[include(틀:한의학)] [목차] == 개요 == 본초학에서 다뤄지는 약재를 한의학적 분류별로 나눈 것이다. [[한의과대학]]에서 본초학을 배울 때 이 목차의 전체를 통째로 한자로 외우게 하기도 한다. == 해표약 == === 발산풍한약 === [[마황]], 계지, 방풍, [[생강]] 등이 있다. === 발산풍열약 === [[박하]], [[국화]] 등이 있다. == 청열약 == 열을 끈다. 대체로 맛이 역하다. === 청열사화약 === [[석고]], 죽엽, [[치자]] 등이 있다. === 청열조습약 === [[고삼]], [[용담초]] 등이 있다. === 청열양혈약 === 서각([[코뿔소]] 뿔), 적[[작약]] 등이 있다. === 청열해독약 === 우황, [[녹두]] 등이 있다. === 청허열약 === 지골피([[구기자]]의 뿌리 껍질) 등이 있다. == 사하약 == 설사할 때 사, 아래 하([[瀉]][[下]]) 자를 쓴다. 즉 [[설사약]]이다. === 공하약 === [[망초#s-2|망초]]([[황산나트륨]]), 노회([[알로에]]) 등이 있다. === 윤하약 === 화마인([[대마]]씨)이 있다. === 준하축수약 === 약성이 너무 강하고 따라서 독성도 강하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대극]] 등이 있다. == 거풍습약 == === 거풍습지비통약 === [[초오]], 잠사([[누에]] 똥) 등이 있다. === 서근활락약 === 상지([[뽕나무]] 가지)와 몇몇 [[뱀]] 종류가 있다. === 거풍습강근골약 === [[오가피]](가시오가피와 다름)등이 있다. == 방향화습약 == [[후박]] 등이 있다. == 이수삼습약 == 한의학에서 이수(利水)란 부종을 빼고 소변을 늘린다고 보면 이해가 쉽다. === 이수퇴종약 === 의이인([[율무]]), 적소두([[팥]]) 등이 있다. === 이뇨통림약 === 차전자([[질경이]] 씨,) [[활석]] 등이 있다. == 온리약 == 따뜻할 온[[溫]], [[표리부동]]할 때 리([[裏]])자를 쓴다. [[부자(동음이의어)#s-4|부자]], [[건강#s-3|건강]], [[정향]] 등이 있다. == 이기약 == [[기각(한약재)]](한의계에선 지각으로 발음한다.), 시체([[감]] 꼭지) 등이 있다. == 소식약 == 소화제. 산사(야생 [[사과]]), [[맥아]], 계내금([[닭똥집]] 내막) 등이 있다. == [[구충약]] == 오늘날에는 기생충이 드물기 때문에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빈랑]], [[비자나무|비자]] 등이 있다. == 지혈약 == 피를 멈추는 약이 지혈하는 원리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 수렴지혈약 === 백급, 용아초 등이 있다. === 양혈지혈약 === 측백엽([[측백나무]] 잎) 등이 있다. === 화어지혈약 === 포황([[부들]]의 꽃가루) 등이 있다. === 온경지혈약 === 애엽(약[[쑥]]의 잎)이 있다. == 활혈거어약 == [[어혈]]을 고치는 등 혈행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본초들이다. [[천궁#s-1|천궁]], [[몰약]], [[유향]], [[강황]], [[천산갑]] 등이 있다. == 화담지해평천약 == 담, 해, 천은 각각 가래, 기침, 천식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 온화한담약 === [[천남성]] 등이 있다. === 청화열담약 === 해조([[바닷말]]), 곤포([[다시마]]) 등이 있다. === 지해평천약 === 행인([[살구]] 씨), 백과([[은행나무]] 열매) 등이 있다. == 안신약 == 정신병, [[불면증]] 등에 쓴다. 중진안신약에는 [[주사(광물)]], [[호박(보석)]] 등이, 양혈안신약에는 [[영지버섯|영지]] 등이 있다. == 평간약 == === 평간식풍약 === 풍은 중풍할 때 풍이다. [[천마]], [[전갈]] 등이 있다. === 평간잠양약 === 모려([[굴]] 껍데기), [[진주]] 등이 있다. == 개규약 == 마라탕의 이미지를 떠올리면 이해가 쉬운데, 향이 강하고 땀구멍이 열린다. 대체로 향이 강력하다. [[사향]], [[장뇌]] 등이 있다. == 보익약 == 이른바 [[보약]]. 가장 유명한 본초들이 이 분류에 속한다. 몸의 어떤 요소를 보할지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 보기약 === '''[[인삼]]''', '''[[감초]]]''', [[대추|대조]], [[꿀|봉밀]] 등이 있다. === 보양약 === '''[[녹용]]''', [[해구신]], [[해마]] 등이 있다. === 보혈약 === [[당귀]], [[하수오]] 등이 있다. === 보음약 === [[맥문동]], [[백합]] 등이 있다. == 수삽약 == === 지한약 === 땀을 멈춘다. 나도근([[찹쌀]]), 부소맥([[밀]]) 등이 있다. === 지사약 === 설사를 멈춘다. [[육두구]] 등이 있다. === 삽정축뇨지대약 === [[오미자]], [[산수유]], [[복분자]] 등이 있다. == 용토약 == 토가 나오게 한다. 담반([[황산구리]] 함유 광물) 등이 있다. == 외용약 == 외용, 즉 피부 밖에 바르는 것이다보니 직접 먹었을 때는 유해한 것들이 즐비하다. [[유황]], [[비석#s-3|비석]]([[비소]] 함유 광물), [[노봉방]] 등이 있다. == 같이보기 == * [[본초학]] * [[한약재/목록]] [[분류:한의학]] [[분류:본초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