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스티온.jpg|width=400]]}}} ||<#ffffff,#010101>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rost_Wyrm.png|width=400]]}}} || || 〈[[라이브온 카드리버]]〉의 [[고대드래곤족#s-4.0.4|오스티온]]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서리고룡]] || [목차] == 개요 == {{{+1 '''Bone Dragon'''}}} 해석하면 뼈룡, 골룡(骨龍), 해룡(骸龍), 해골룡(骸骨龍), 유해룡(遺骸龍), 유골룡(遺骨龍)인데 대부분 해골용이라고 나온다. 고룡(古龍)이라고도 한다. 판타지 세계관에 흔히 나오는 몬스터로, [[해골]]만 남은 [[드래곤]]. 보통 [[드래곤 본|드래곤의 유해나 유골]]로 만든 [[언데드]]나 [[드래곤 좀비]]라는 설명이 붙는 경우가 많다. == 설명 == [[워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서리고룡]]도 이쪽 계열. [[이누야샤]]의 [[류코츠세이]]도 크게 보면 이쪽일지도(한자 표기가 용골정이다). [[파이널 판타지 10]]에서는 무시무시한 위력인 '''것 마냥''' 등장하지만, 부활 효과를 가진 1000원짜리 아이템 "[[피닉스의 깃털]]"을 던져주면 한방에 죽는다(...).[* 이 시리즈 대부분의 언데드가 그렇다. 대부분의 회복마법이 언데드에게 공격마법으로 쓰인다. 보스급이었던 6의 [[마열차]]도 피닉스의 깃털 한방에 승천했다(...).] 어째 [[쓰레기]] 취급받는 경우가 많다. 별명 자체가 [[우주쓰레기]]인 [[서리고룡|프로스트 웜]]은 물론이요,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의 본 드래곤[* 묘하게도 홀수 시리즈(3, 5. 1은 네크로폴리스 진영 자체가 없었다)에서는 우주쓰레기였던 반면 짝수 시리즈(2, 4)에서는 동레벨대 중상급의 성능을 자랑했다. 하지만 7편에서는 강력해졌다.]부터 해서 [[킹덤 언더 파이어]]의 본 드래곤[* 기본이 연타형식인 드래곤과는 달리 일단 단타에다가 드래곤보다 느리다. 미칠듯이... 그나마 몇 차례 상향 패치와 게임의 사후관리 중단 뒤 고인물들의 연구로 파이어리 블래스트를 통한 일꾼 테러 및 지상 유닛들을 대거에 몰살시키는 활용법으로 쓰이고 있다. 다만, 스팀판 패치에서 생산시 초기 마나가 100에서 50으로 줄어드는 너프로 인해 나오자마자 파이어리 블래스트를 쓸 수 없다.]도 그렇고 [[드래곤 블레이즈]]의 이안은 본 드래곤을 탑승하는데 이 게임에서 최악의 폭탄 지속시간과 연비 등으로 고르게 되면 가장 성능이 낮아 난이도가 높아지거나 [[악마성 시리즈]]의 화이트 드래곤은 용 머리에 척추뼈 꼬리뼈만 앙상하게 벽에 붙어 달려있는 이름값 못하는 잡몹으로 등장하기까지 한다. 대부분의 [[양판소]]에서도 최강의 물질은 [[드래곤 본]]이라고 하는데, 그 드래곤 본이 통짜로 들어간 본 드래곤은 어째서인지 우주쓰레기 취급이다. 헐리우드 영화의 박물관 속 공룡 화석마냥 우르르 무너져내리며 사망하는 클리셰는 덤. 작품에 따라 가루가 되어 휘날리기까지 한다. 죽은 용을 되살린 [[언데드]]라서 그런지 일반 드래곤보다 약하다는 설정이 일반적. 역시 용은 살아있을 때가 강하다. [[판타지 마스터즈]]에서는 암흑 에피소드 1의 스페셜로 등장. 발매 당시 유일한 8렙 5밥으로 무진장 욕을 먹었다.[* 5밥이나 먹는 것치고 능력치가 구리기 때문.] 오죽하면 현거래되는 스페셜 카드중 최저가로 풀려도 줍는 사람이 없는 스페셜로 알려졌다. 하지만 업글카드인 본드래곤 C랭이 나오면서 이야기가 달라졌다. 기본능력치 9/3/9에 마더리스 특능인 기선제압까지 달고나와 웬만해선 죽일 수 없는 괴물로 등극. 하지만 상위 업글카드인 본드래곤 B랭은 8렙 6밥[* 2차 업글카드로 실제로는 5밥]에 강한 공포 공격이라는 특능으로 왠지 미묘. 여담으로 B랭은 쩍벌용이라 불린다. 프리 카드중 미니본드래곤 이란 카드도 있는데, 에피소드 1의 본 드래곤과 같이 필드에 나가면 서로의 체력 코인을 1개씩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뭐만하면 마법 맞고 묘지가는 지금와서는 딱히 의미는 없지만(...) 여담으로 미니본드래곤의 카드 텍스트를 읽어보면 어릴땐 매우 귀여워서 악마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았다고 한다. 실제 일러스트도 뼈로 된 용임에도 상당히 귀엽다. 유명한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에도 [[스켈레탈 드래곤]]으로 출연한다. 다만 움직이는 인간 뼈다귀와는 다른 클래스로 취급하는 여타의 매체들과는 다르게 스켈레톤이라는 대분류 안에 속하는 그냥 덩치만 큰 파충류 뼈다귀 신세다. 성능은 재료가 되는 드래곤의 나이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생전의 모든 초자연적 능력을 잃고 날지도 못하는데다가 히트다이스 역시 스켈레톤의 것을 써서 생전의 힘 절반도 내지를 못한다. 그래도 꼴에 드래곤 베이스랍시고 물기 꼬리치기 손톱 날개로 후리는 화려한 콤보는 건제해서 어중지간한 파이터가 생각없이 돌격했다가는 순식간에 개피가 되어 사망에 이를 것이다. 물론 이 게임 내에서도 단순한 드래곤+스켈레톤이 아닌 예외가 있다. 다름아닌 '''[[드라코리치]].''' 이 놈은 애당초 스켈레톤의 범주를 벗어나 최상급 언데드 몬스터인 '''[[리치(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리치]]'''에 속하는데, '''[[드래곤(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드래곤]]의 장점 + [[리치(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리치]]의 장점'''이라는 사기스러운 조합의 완성형인지라 오히려 '''초특급 강화판'''에 가깝다. [[메이플스토리]]의 리프레 던전에 있는 스켈레곤, 스켈로스도 리프레 최강의 몹들이며, 시간의 신전이 나오기 전에는 몬스터중 1인자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현재 레벨도 무려 150 이상. [[맥팔레인 드래곤]]의 파슬 클랜도 설정상 킹 드라코가 히드라에 대항하기 위해 준비한 최종병기로 등장한다. 당연히 설정하기 나름인만큼 강하게 묘사될때도 있으며 제작할땐 드래곤 본 이외에도 드래곤하트를 요구하기도 한다. == 대중매체에서의 본 드래곤 == * [[좀비 드래곤]] * [[스켈레탈 드래곤]] * [[가면라이더 세이버]] - [[프리미티브 드래곤]][* 본 드래곤의 힘이 깃든, 가면라이더 세이버의 강화 폼이자 폭주 폼. 설정상 최초의 용이 본 드래곤으로 변한거라 상술한 본 드래곤의 취급과는 격이 다른 강함을 선보였다.] * [[던전앤파이터]] - [[사룡 스피라찌]] * [[라이브온 카드리버]] - [[고대드래곤족#s-4.0.4|오스티온]] * [[슈퍼 마리오 시리즈]] - [[좀비쿠파]]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서리고룡]] * [[월풍마전]] - [[용골귀]] * [[유희왕]] - [[버서크 데드 드래곤]] * [[포켓몬스터 시리즈]] - [[기라티나]], [[무한다이노]] * [[헬레이저 시리즈]] - [[퍼즐의 수호자]][* 정확히는 평소에는 그냥 인간의 모습이지만, 작중 주요 아이템인 [[비탄의 배열장치]]를 파괴하려고 하면 본 드래곤의 형상으로 변신해 다시 회수해간다.] [[분류:드래곤]][[분류:언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