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독일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0205060_581c6a911df07.jpg|width=100%]]}}} || || '''Boxer'''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oEeEcycUp28)] [[독일]]과 [[네덜란드]]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ARTEC GmbH사[*A [[라인메탈]]과 [[크라우스-마페이 베그만]]의 합작 회사]가 생산한 [[차륜형 장갑차]]. 독일 연방군은 복서 앞에 수송장갑차란 의미의 GTK[* Gepanzertes Transport Kraftfahrzeug]를 붙이고 다르게는 다용도 장갑차란 의미의 MRAV[* Multirole Armoured Vehicle]를 수식어로 사용한다. 네덜란드는 PWV[* Pantser Wiel Voertuig]를 붙인다. == 제원 == ||<-3> '''{{{#white GTK/PWV 복서 다목적 장갑차량}}}''' || ||<-3> '''{{{#white 개발 및 생산}}}''' || ||<-2> '''{{{#white 개발사}}}''' ||ARTEC GmbH[*A] || ||<-2> '''{{{#white 개발기간}}}''' ||1994년 ~ 2002년 || ||<-2> '''{{{#white 생산기관}}}''' ||ARTEC GmbH || ||<-2> '''{{{#white 생산기간}}}''' ||2009년 ~ 현재 || ||<-2> '''{{{#white 생산대수}}}''' ||'''독일''' 505대 이상 [br] (2009년부터 배치) [br] '''네덜란드''' 200대 [br] (2018년까지 배치) [br] '''리투아니아''' 88대 [br] (2021년까지 배치) [br] '''호주''' 211대 [br] (2026년까지 배치) [br] '''영국''' 623대 [br] (2022년부터 배치) [br] '''알제리''' 500대 [br] (2023년까지 배치) [br] '''우크라이나''' 18대 [br] (2023년부터 배치) || ||<-2> '''{{{#white 운용연도}}}''' ||2011년 ~ 현재 || ||<-2> '''{{{#white 운용국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br]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5]] 리투아니아 [b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br]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br]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5]] 알제리 [br]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 || ||<-3> '''{{{#white 제원}}}''' || ||<-2> '''{{{#white 전장}}}''' ||7.93 m || ||<-2> '''{{{#white 전폭}}}''' ||2.99 m || ||<-2> '''{{{#white 전고}}}''' ||2.37 m || ||<-2> '''{{{#white 공허중량}}}''' ||24.0 t || ||<-2> '''{{{#white 전투중량}}}''' ||36.5 t ~ 38.5 t || ||<-2> '''{{{#white 포탑중량}}}''' ||- || ||<-2> '''{{{#white 승무원}}}''' ||'''APC''' 3명+보병 8명 [br] '''BEV''' 3명+공병 6명 [br] '''AMB''' 3명+부상병 3~7명 [br] '''CV''' 3명 [br] '''CPV''' 2명+지휘관 1명/참모 2명 [br] '''GNGP''' 3명+지휘병 4명 [br] '''DTV''' 1~3명+감독관 1명 || ||<-3> '''{{{#white 공격력}}}''' || ||<-2> '''{{{#white 기관포/[br] 미사일}}}''' ||'''독일형''' [br] [[RWS|FLW-200]][* FLW-200+ 개량형 RWS 같은 경우, 라인메탈의 Mk.20 RH-202 20mm 기관포를 탑재할 수 있다.]+[[M2 브라우닝 중기관총|M3M 중기관총]] [br] [[H&K GMG|GMG 40mm 유탄발사기]] [br] '''네덜란드형''' [br] [[RWS|M151]]+[[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12.7mm 중기관총]] [br] '''리투아니아형''' [br] [[RWS|라파엘 SAMSON Mk.II]]+30mm 기관포 [br] [[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Spike-LR 대전차미사일]] [br] '''호주형''' [br] Mauser Mk.30-2/ABM 기관포+7.62mm 동축기관총 || ||<-2> '''{{{#white 관통력}}}''' ||- || ||<-2> '''{{{#white 조준 및 사격장치}}}''' ||'''라인메탈 LANCE 포탑'''[* 호주형] [br] Rheimmetall SEOSS|| ||<-2> '''{{{#white 상하 부앙각}}}''' ||'''라인메탈 LANCE 포탑''' [br] − 15° / + 45° || ||<-2> '''{{{#white 좌우 회전각}}}''' ||360° || ||<-2> '''{{{#white 부무장}}}''' ||'''독일형''' [br] [[MG3|MG3A1]] or [[MG5]] 기관총 1정 || ||<-2> '''{{{#white 방어체계}}}''' ||- || ||<-3> '''{{{#white 기동력}}}''' || ||<-2> '''{{{#white 엔진}}}''' ||[[MTU(기업)|MTU]] 8V199 TE20 / TE21[* A0~2 TE20, A3 TE21] 디젤엔진 || ||<-2> '''{{{#white 최대출력/[br] 회전 수}}}''' ||530 / 600 kW // 3000 rpm|| ||<-2> '''{{{#white 최대토크/[br] 회전 수}}}''' ||2700 / 3000 Nm // - || ||<-2> '''{{{#white 출력비}}}''' ||16.1 kW / t || ||<-2> '''{{{#white 변속기}}}''' ||[[앨리슨 트랜스미션|앨리슨]] HD4070 자동변속기 [br] 전진 7단, 후진 3단 || ||<-2> '''{{{#white 현가장치}}}''' ||독립식 더블 위시본 8x8 현가장치 || ||<-2> '''{{{#white 타이어 규격}}}''' ||415 / 80 R 27 || ||<-2> '''{{{#white 연료용적}}}''' ||- || ||<-2> '''{{{#white 최고속도}}}''' ||'''도로:''' 103 km/h || ||<-2> '''{{{#white 항속거리}}}''' ||1,100 km || ||<-2> '''{{{#white 최저 지상고}}}''' ||500 mm || ||<-2> '''{{{#white 초월능력}}}''' ||800 mm || ||<-2> '''{{{#white 초호능력}}}''' ||2,000 mm || ||<-2> '''{{{#white 등판능력}}}''' ||60% || ||<-2> '''{{{#white 도섭능력}}}''' ||1,200 mm || ||<-3> '''{{{#white 방호력}}}''' || ||<-2> '''{{{#white 장갑형식}}}''' ||[[균질압연장갑|균질압연강 구조물]] [br] [[복합장갑]] [br] [[장갑(무기)|세라믹 장갑]] || ||<-2> '''{{{#white 방호력}}}''' ||'''STANAG 4569 Level 4''' [br] 전면 30mm탄 및 추가장갑 장착 시 RPG 방호 [br] 전방위 14.5mm탄 방호 [br] 8kg급 지뢰 방호 || == 개발 == 1994년 [[독일]], [[프랑스]], [[영국]]이 차세대 차륜 장갑차를 공동개발하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그러나 1999년 프랑스는 차기 장갑차를 자국의 설계로 만드려고 이 프로그램에서 탈퇴했으며, 여기서 나온 결과물이 [[VBCI]]다. 영국도 2003년에 공동개발을 포기했고 자국산 장갑차 개발 계획인 FRES(Future Rapid Effect System)에 전념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1999년에 참관국으로 시작하여 2001년에 정식으로 공동개발에 참여하였다. == 운용 == 복서의 첫 프로토타입은 2002년에 나왔으며 독일과 네덜란드는 2004년에 각각 4대의 시제차를 받아 성능시험 및 피드백을 할 수 있었다. * '''[[독일]]:''' 독일군은 [[M113]]과 [[TPz 푹스|TPz 푹스 1]]을 대체하기 위해 총 1,000대 규모의 복서를 도입할 예정이다. 2011년에는 독일군의 복서가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되어 최초로 실전을 치루었다. *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M577(M113의 지휘장갑차형)과 [[AIFV|YPR-765]]를 대체하기 위해 약 380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 '''[[리투아니아]]:''' 2021년까지 88대가 도입될 예정. 리투아니아군에게 공급되는 복서에는 라파엘 사에서 만든 SAMSON 무인터렛이 장착되는데, 이 터렛에는 Mk.44 부시마스터 II 30mm [[기관포]]와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이 장비되어 있어 공격력을 보장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IFV형 복서의 리투아니아군 측 제식명은 [[리투아니아어]]로 [[늑대]]를 뜻하는 빌카스(Vilkas). 앞에서 서술한 IFV형 말고도 운전 교육용 차량까지 도입하기로 되어 있으며, 현재 기준으로 IFV형과 운전 교육용 차량 둘 다 도입되기 시작했다. * '''[[영국]]:''' 2018년 3월 31일 영국정부가 Boxer 장갑차를 구매할 것이라 발표하였다. 4월 3일 영국군이 소위 '''MIV'''[* Mechanised Infantry Vehicle, 기계화 보병 차량]라 불리는 차량에 요구하는 조건에 부합한 차량이 Boxer 장갑차임을 선정이유로 밝혔다. 7월 19일, 영국 국방부는 400대에서 600대의 차량을 구매하려 하고 있으며 옵션으로는 추가로 900대 정도의 차량을 발주할 가능성도 내비췄다.[* 만약 그정도 수량을 발주하게되면 여기서 추가로 최대 1,500대의 차량을 도입하려 할 수도 있다고도 전해진다.] 첫 물량이 조달된 경우, Boxer 장갑차는 2022년부터 전력화를 시작한다. 또한 영국이 대규모 발주로 말미암아 Boxer 프로그램의 복귀가 분명함으로서 영국 Boxer 장갑차에 대한 별도의 옵션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계약된 수량은 528대로 2022년부터 도입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도입 수량을 늘려 100대를 추가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총 623대가 도입된다고 한다.[[https://twitter.com/geoallison/status/1512439313409187842?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512439313409187842%7Ctwgr%5E%7Ctwcon%5Es1_&ref_url=https%3A%2F%2Fukdefencejournal.org.uk%2Fbritain-to-purchase-100-extra-boxer-armoured-vehicles%2F|#]] * '''[[호주]]:''' 2018년 [[호주군]]은 노후화된 [[LAV-25]]를 대체하기 위해 차기 차륜형 장갑차 도입 사업을 벌였는데, [[SPz 푸마 IFV]]의 30mm 포탑을 적용한 복서 장갑차가 [[프랑스]]의 VBCI와 경쟁을 한 끝에 사업을 따내었다. 총 211대의 도입분 중에서 초도물량 25대를 제외한 나머지는 호주 현지에서 생산한다고 한다. * '''[[알제리]]:''' 2023년까지 500대가 도입될 예정이다. == 특징 == 많이 쓰여지는 8륜을 사용하지만, 타국의 8륜 차륜형 장갑차가 보통 20톤이 안되는 것에 비해 복서는 기본차체가 25.2톤에 달한다. 이는 [[중동]] 파병을 통해 장갑차도 강력한 방어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고, 그에 따라 장갑을 추가하고 차체구조를 최적화으로서 추가된 무게로 추론되며, 실제로 복서의 방호력은 절륜하다. 복서 다음 가는 체급의 차륜형 장갑차라고 볼 수 있는 이탈리아의 프레치아 IFV가 전투 중량이 28톤정도 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복서의 체급은 왠만한 궤도형 장갑차 이상이다. 강철과 [[세라믹]]으로 된 3중 구조의 장갑을 장착하여 전방위에서 중기관총의 공격과 포탄 파편을 방어하며 전면은 [[30mm]] [[기관포]]의 공격에도 버틸 수 있다. 여기에 추가 장갑을 부착하면 RPG급 [[대전차로켓]]도 방어 할 수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종 IED와 8kg급 [[대전차지뢰]]를 방어하며, 내부에는 파편 방지용 라이너와 [[화생방]] 방호 장비, 화재 진압 시스템, 시트 [[에어백]]도 구성되어 있어 탑승자들에게 높은 생존성을 제공한다. 또한 차체 전체에, 특히 전면부에 강하게 적용한 경사면은 방어력을 올려줄 뿐만 아니라 [[레이더]] 및 열상관측기에 대한 [[스텔스]] 기능도 가지게한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ilder-Truppentransporter-GTK-Boxer-1200x800-0d15cc5efea7f287.jpg]] 차륜장갑차 답게 이동속도와 작전범위가 뛰어나며 험지 돌파능력도 준수하다. 8개의 바퀴가 모두 다른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독일군은 [[A400M]]을 사용하여 복서를 공중 수송하며, 아프가니스탄에 운송할 때는 [[An-124|An-124-100]] 수송기를 사용했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800px-Toilettensitzmodul_im_GTK_Boxer.jpg]] 탑승원들의 편의를 위해 [[에어컨]]이 기본으로 장착되어있고 물을 끓이는 포트와 화장실도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보병 수송 모듈에선 분리식 좌석을 적용하여 인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증가시켰다. == 모듈 == 복서 장갑차는 모듈식 설계를 적용하였는데, 기동부가 되는 기본 차체의 뒷부분에 임무에 따라 다른 모듈을 탑재할 수 있어 확장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차종을 통일하여 제작 과정 및 비용을 절감하였다. 하단에 설명된 모듈 이외에도 수많은 모듈이 존재한다. === APC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57f0754798f6.jpg]] 보병수송장갑차 모듈로, [[H&K]] 40mm [[유탄발사기]]와 M2QCB 12.7mm [[중기관총]]를 주무장으로 사용한다. 승무원 3명(조종수 1명, 사수 1명, 차장 1명)과 8명의 기계화 보병을 수송할 수 있다. 독일 연방군이 125개를 도입했다. === CRV === 보병전투차 모듈로, 라인메탈의 LANCE 30mm 기관포 포탑을 탑재했다. 호주군이 도입했으며 독일 연방군도 주문할 예정이다. === RCT30 === 보병전투차 모듈로, [[SPz 푸마]]와 동일한 RCT30 포탑을 탑재했다. === 빌카스 === 보병전투차 모듈로, 라파엘의 SAMSON Mk.II 무인 포탑을 탑재했다. 리투아니아군이 RCT30 포탑이나 LANCE 포탑보다 저렴한 가격을 이유로 도입했다. === GNPR === 공병수송장갑차[* Battlefield Engineering Vehicle] 모듈로, 주무장은 APC 모듈과 동일하다. 승무원 9명(조종수 1명, 차장 1명, 사수 1명, 공병 6명)이 탑승하며 2명분의 좌석에 각종 공병장비를 따로 구비하였다. 네덜란드군이 41개를 도입했으며, 호주군도 발주한 상태이다. === AMB === 의무장갑차 모듈로 무장은 탑재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승무원 3명(조종수 1명, 차장 겸 군의관 1명, 의료보조원 1명)이 탑승하며, 기존 복서가 14m^3의 적재 공간을 가진 것에 비해 의무형은 전고가 증가하여 17.5m^3의 공간을 가진다. 때문에 7명의 경부상 인원을 앉은 체로, 또는 3명의 중부상 인원을 눕힌 채로 탑승시킬 수 있다. 독일 연방군이 72개, 네덜란드군이 58개를 도입했다. === 카고 === 수송장갑차 모듈로 승무원 2명(조종수 1명, 차장 겸 사수 1명)이 탑승한다. 특수 적재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2톤의 화물을 실을 수 있다. === CPV === 지휘장갑차 모듈로 승무원 5명(조종수 1명, 차장 1명, 군지휘관 1명, 참모 2명)이 탑승한다. 40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였으며 후방에 있는 램프에서 작전 브리핑을 할 수 있다. 각종 통신장비와 [[C4I]] 장비도 장착되어 있다. 독일 연방군이 65개, 네덜란드군이 55개를 도입했다. === 카고/C2 === 수송지휘장갑차 모듈로, 수송장갑차와 지휘장갑차의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모듈이다. 승무원 3명(조종수 1명, 차장 1명, 사수 1명)이 탑승하며 4명의 지휘인원이나 1명의 부상병, 또는 1.5톤의 화물을 적재 할 수 있다. 네덜란드가 19개를 도입했다. === DTV === 주행교육용장갑차 모듈로, 주행교육관이 교육생을 감독할 수 있게 사면이 창문으로 된 돌출공간이 있다. 독일, 네덜란드, 호주, 리투아니아가 도입했다. === MIV-REC === 구난차량 모듈로 호주와 영국이 도입할 예정이다. === RCH 15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GM 모듈)] [[PzH2000]]에 사용된 155mm 52구경장 포탑을 기반으로 만든 자주포 모듈이다. === [[스카이레인저 3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카이레인저 30)] 라인메탈의 [[스카이레인저 30]] 대공포탑을 장착한 자주대공포 모듈. == 파생형 == === 궤도형 복서 === 복서 장갑차를 궤도화 시킨 [[궤도형 장갑차]]이다. 기존의 차륜형 복서 장갑차와 동일한 모듈식 설계가 적용되어있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모든 모듈이 동일하게 탑재 가능하다고 한다. == 기타 == * 리투아니아의 빌카스 장갑차의 경우, 도입 이후 SAMSON Mk.II 무인 포탑이 중동의 이스라엘의 기후에 맞게 개발되어서 리투아니아의 기후에선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는 문제점[* 기관포 사격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고 한다.]이 발견되었었다고 한다. 현재는 해결된 상태이다. == 관련 문서 == *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 둘러보기 == [include(틀:크라우스-마페이 베그만의 차량)]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리투아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알제리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차륜형 장갑차]][[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독일 연방군/기갑차량]][[분류:네덜란드군/기갑차량]][[분류:호주군/기갑차량]][[분류:영국군/기갑차량]][[분류:크라우스-마페이 베그만의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