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궁 주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8985, #009893 20%, #009893 80%, #028985); color: #FFD400" '''대궁 제3대 궁주'''}}} || ||<-3> {{{#gold '''조선 인조의 손자'''[br]{{{+1 '''복녕군 | 福寧君'''}}}}}} || ||<-2> '''[[봉호|{{{#gold 봉호}}}]]''' ||복녕군(福寧君)[* 봉호는 어머니의 본관지인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에서 유래했다.] || ||<-2> '''[[시호|{{{#gold 시호}}}]]''' ||효헌(孝獻) || ||<-2> '''[[본관|{{{#gold 본관}}}]]''' ||[[전주 이씨|전주]](全州) || ||<-2> '''[[이름|{{{#gold 이름}}}]]''' ||욱[* '''栯'''은 '산앵두 '''욱'''', '나무이름 '''유''''의 두 가지 음으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대법원이 지정한 인명용 한자에서는 후자의 독음을 인정하지 않는다. 물론 이 사실은 조선시대와 전혀 무관하지만, 당시에 복녕군의 이름을 어떻게 읽었는지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기에, 오늘날의 사례를 과거로 소급 적용한다.](栯) || ||<-2> '''{{{#gold 생부}}}''' ||[[인평대군]] || ||<-2> '''{{{#gold 생모}}}''' ||복천부부인 동복 오씨 || ||<-2> '''{{{#gold 부인}}}''' ||군부인 [[양천 허씨]] (郡夫人 陽川 許氏, {{{-3 ? ~ 1688}}}) || ||<-2> '''{{{#gold 자녀}}}''' ||'''2남 5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양원군 이환(陽原君 李煥, {{{-3 1658 ~ 1724}}}) 차남 - [[의원군]] 이혁(義原君 李爀, {{{-3 1661 ~ 1722}}})[* [[고종(대한제국)|고종]]의 6대조.] 장녀 - [[청풍 김씨|김석달]](金錫達)[* [[현종(조선)|현종]]의 왕비 [[명성왕후]]의 남동생.]의 처 차녀 - [[풍산 심씨|심종한]](沈宗漢)의 처 3녀 - [[전주 최씨|최현제]](崔賢齊)의 처 4녀 - 심일회(沈一會)의 처 5녀 - 최수온(崔守溫)의 처 }}} || ||<-2> '''{{{#gold 묘소}}}'''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 ||<|2> '''{{{#gold 생몰[br]기간}}}''' || '''[[음력|{{{#gold 음력}}}]]''' ||[[1639년]] [[2월 9일]] ~ [[1670년]] [[10월 15일]] || || '''[[태양력|{{{#gold 양력}}}]]''' ||[[1639년]] [[3월 13일]] ~ [[1670년]] [[11월 27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후기의 왕족. [[인평대군]]의 장남으로, 대궁의 3대 종주이다. == 생애 == 1651년([[효종(조선)|효종]] 2년) 8월 5일에[* 음력 6월 20일.] 복녕군으로 봉해졌다.[[http://sillok.history.go.kr/id/kqa_10206020_001|#]] 3년 뒤에 효종이 종친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치를 때, [[회원군(1636)|회원군 이윤]][* [[선조(조선)|선조]]의 막내아들 [[영성군(1607)|영성군]]의 아들. [[인조]]의 [[사촌]]이다.]과 함께 합격해서 가자[* 加資.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의 품계를 올리는 일. 또는 그 품계.]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ra_10302014_001|#]] 1662년([[현종(조선)|현종]] 3년)에는 소덕대부로 가자받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ra_10302014_001|#]], 현종과 [[명성왕후]]가 [[온양행궁]]에 갈 때 수행하기도 했다.[[https://ko.wikipedia.org/wiki/%EB%B3%B5%EB%85%95%EA%B5%B0|#]] 1670년([[현종(조선)|현종]] 11년)에 사망했다. == 사후 == 5촌 당조카 [[숙종(조선)|숙종]] 재위 시절에 복녕군의 동생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은 '삼복(三福)'이라 불렸는데[* 장남 복녕군은 이미 현종 시절인 1670년 32세로 단명했다.] 이들은 이후 정계에 몰아치는 폭풍 속에 휘말렸고, 복평군을 제외한 두 명은 [[사형]]당했다. 자세한 것은 '''[[경신환국#s-3.3|삼복의 변]](三福의 變)''' 참조. [[고종(대한제국)|고종]] 즉위 후인 1864년(고종 1년)에 [[시호]] '효헌(孝獻)'을 받았다. 후술하겠지만 고종은 실제 혈통 상 복녕군의 7대손이다. 묘는 처음에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에 있었다. 그러다 1999년에 후손들이 [[인평대군]] 묘가 있는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로 이장했다. == 가족과 후손 ==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장남 양원군 이환[* 양원군이 소현세자의 둘째 아들인 경완군 이석린의 양자로 출계했다는 가짜 뉴스가 [[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B%90%EA%B5%B0_(1658%EB%85%84)|위키백과 해당 문서]]에 수년간 존재했었다. 이석린의 대를 이은 자는 양원군이 아니고, 1872년(고종 9년) 12월에 학생 이의저([[성종(조선)|성종]]의 14남 [[영산군]]의 7대손)를 임녕군으로 봉하면서 이석린의 양자로 지명하였다.]에게는 아들 여흥군 이해, 손자 이정석이 있었지만 여흥군이 죄를 짓고 주살당하는 바람에 대가 끊겼고, 수백 년 뒤인 1864년(고종 1년)에 이병연이 이정석의 양자로 처리되었다. 차남 [[의원군]]은 [[인평대군]] 봉사손 지위를 물려받았다. 의원군의 현손 [[남연군|이채중]]은 [[정조(조선)|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의 [[양자(가족)|양자]]로 입적해 남연군으로 봉해졌다. 남연군의 4남이 [[흥선대원군]], 그 막내아들이 [[고종(대한제국)|고종]]이다. '''즉, 조선 최후의 왕통은 복녕군의 후손으로 이어진다.''' 1녀는 [[명성왕후]]의 남동생인 김석달과 혼인했는데, 자녀가 없어 김도협을 [[양자(가족)|양자]]로 들였다.[* 친부는 명성왕후의 오빠인 김석연이다.][* 이렇게되면 복녕군과 명성왕후는 사촌형수인 동시에 사돈이 된다.] 김도협의 딸은 [[박문수]]의 첫째 부인이다. [[http://sillok.history.go.kr/id/ksa_13807008_002|《숙종실록》 1712년 7월 8일 자 기사]]를 보면 [[유혁연]]의 외손이 복녕군의 [[사위]]라고 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평대군, version=278, paragraph=6, title2=안흥군, version2=2, paragraph2=4)] [[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1639년 출생]][[분류:1670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인평대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