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잉의 항공기)] [include(틀:보잉의 민항기 역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73700.jpg|width=100%]]}}}|| || '''[[보잉]], [[B731|737-130]], [[N73700]][br]보잉 737의 프로토타입'''[* 1973년 [[NASA]]에게 [[N515NA]]로 팔렸고 2003년부터 뮤지엄 오브 플라이트에 전시되고 있다. 최소 2015년까지는 [[보잉 747]]의 프로토타입인 [[N7470]]의 바로 옆에 전시되고 있었으나 현재는 실내로 옮겨졌다. 그리고 커스터머 코드 상으로는 [[루프트한자]]가 주문한 기체이지만 정작 루프트한자는 해당 기체를 도입하지 않았고 두번째로 생산된 기체를 자사의 737 1호기인 D-ABEA로 도입했다.][* 또한 N73700이라는 번호는 [[보잉 737 클래식|737-300, -400, -500]]의 프로토타입들도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821_095037.png|width=100%]]}}}|| || '''[[사우스웨스트 항공]], [[B38M|737 MAX 8]], N8717M[br]10,000번째로 생산된 보잉 737'''[*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보잉 737만 고집하는 항공사로 유명하다.] || [목차] == 개요 == [[미국]]의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에서 개발한 [[협동체]] 쌍발 [[여객기]]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제트 여객기이며, 특별히 여객수요가 감소하는 시기가 아닌 경우 3~5초마다 이착륙이 이루어지는 비행기다.[* 에어버스의 [[A320 패밀리]]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각국의 민간 항공사들에 기본으로 세팅되어 있던 기종이었다. 이후 에어버스에서 [[A320|대항마]]를 내고 성능으로도 월등한 실력을 보이고 후계기들에 문제가 발생하는 사고들이 연이어 일어나면서 왕년의 인기를 이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베스트 셀러 다운 면모는 유지하고 있다.] == 제원 == ||<-11> '''보잉 737''' || ||||<:><|2> '''세대 구분[br]형식''' ||<:><-2> '''737 오리지널''' ||<:><-3> '''737 클래식''' ||<:><-5> '''Next-Generation 737''' || ||<:> '''737-100''' ||<:> '''737-200''' ||<:> '''737-300''' ||<:> '''737-400''' ||<:> '''737-500''' ||<:> '''737-600''' ||<:> '''737-700''' ||<:> '''737-800''' ||<:> '''737-900''' || ||||<:> '''승무원''' ||<:><-9> 2 || ||||<:> '''최대 좌석 수''' ||<:> 124 ||<:> 136 ||<:> 149 ||<:> 188 ||<:> 140 ||<:>123(32")/130(30") ||<:> 140(32")/148(30") ||<:> 175(32")/184(30") ||<:> 177(32")/215(28") || ||||<:> '''화물 용적'''[*A 화물기나 콤비 기종을 제외한 여객전용 파생형에는 [[ULD]] 탑재불가 ] ||<:> 18.4 m³ ||<:> 24.8 m³ ||<:> 30.2 m³ ||<:> 38.9 m³ ||<:><-2> 23.3 m³ ||<:> 30.2 m³ ||<:> 47.1 m³ ||<:> 52.4 m³ || ||||<:> '''길이''' ||<:> 28.65 m ||<:> 30.53 m ||<:> 33.4 m ||<:> 36.5 m ||<:> 31.0 m ||<:> 31.2 m ||<:> 33.6 m ||<:> 39.5 m ||<:> 42.1 m || ||||<:> '''폭''' ||<:><-2> 28.35 m ||<:><-3> 28.88 m ||<:><-4> 34.32 m || ||||<:> '''날개 면적''' ||<:><-2> 102.0 m² ||<:><-3> 105.4 m² ||<:><-4> 124.58 m² || ||||<:> '''높이''' ||<:><-2> 11.23 m ||<:><-3> 11.13 m ||<:><-4> 12.60 m || ||||<:> '''동체 폭''' ||<:><-9> 3.76 m || ||||<:> '''최대 연료 탑재량''' ||<:> 17,865 L ||<:> 19,532 L ||<:><-3> 20,103 L ||<:><-4> 26,025 L || ||||<:> '''자체 중량''' ||<:> 25,941 kg ||<:> 27,646 kg ||<:> 32,900 kg ||<:> 35,100 kg ||<:> 31,900 kg ||<:> 36,440 kg ||<:> 37,585 kg ||<:> 41,480 kg ||<:> 42,460 kg || ||||<:> '''최대 이륙 중량''' ||<:> 44,225 kg ||<:> 58,105 kg ||<:> 63,276 kg ||<:> 68,039 kg ||<:> 62,823 kg ||<:> 65,997 kg ||<:> 77,564 kg ||<:> 79,002 kg ||<:> 85,139 kg || ||||<:> '''항속 거리''' ||<:> 3,148 km ||<:> 4,444 km ||<:> 6,670 km ||<:> 5,000 km ||<:> 5,200 km ||<:> 5,648 km ||<:> 6,230 km ||<:> 5,765 km ||<:> 5,800 km || ||||<:> '''순항 속력''' ||<:><-5> 마하 0.745, 911km/h ||<:><-4> 마하 0.785, 960km/h || ||||<:> '''최고 속력''' ||<:><-9> 마하 0.82, 1,003km/h || ||||<:> '''엔진 x2''' ||<:> [[P&W]] [[JT8D]]-7[br](14,000 lb) ||<:> JT8D-15A[br](16,000 lb) ||<:> [[CFM56]]-3B1[br](20,000 lb) ||<:> CFM56-3B-2[br](22,000lb) ||<:> CFM56-3C-1[br](23,500 lb) ||<:> CFM56-7B18[br](19,500 lb) ||<:> CFM56-7B20[br](20,600 lb) ||<:> CFM56-7B24[br](24,200 lb) ||<:> CFM56-7B26[br](26,300 lb) || ||||<:><-6> '''보잉 737 MAX''' || |||| '''형식''' || '''737 MAX 7''' ||<:> '''737 MAX 8''' ||<:> '''737 MAX 9''' ||<:> '''737 MAX 10'''|| ||||<:> '''승무원''' ||<:><-4> 2 || ||||<:> '''최대 좌석 수''' ||<:> 172 / 140(32")||<:> 210 / 175(32") ||<:> 220 / 204(30") ||<:> 230 || ||||<:> '''화물용적'''[*A] ||<:> 32.45 m³ ||<:> 43.69 m³ ||<:> 51.37 m³ ||<:> m³ || ||||<:> '''길이''' ||<:> 35,56 m ||<:> 39.52 m ||<:> 42.16 m ||<:> 43.8 m || ||||<:> '''폭''' ||<:><-4> 35.92 m|| ||||<:> '''날개 면적''' ||<:><-4> 127 m²|| ||||<:> '''높이''' ||<:><-4> 12.3 m || ||||<:> '''동체 폭''' ||<:><-4> 3.76 m || ||||<:> '''최대 연료 탑재량''' ||<:><-4> 25,817 L (6,820 Gal) || ||||<:> '''최대 착륙 중량''' ||<:> 66,043 kg ||<:> 69,309 kg ||<:> 74,344 kg ||<:> kg || ||||<:> '''최대 이륙 중량''' ||<:> 80,286 kg ||<:> 82,191 kg ||<:> 88,314 kg ||<:> kg|| ||||<:> '''항속 거리''' ||<:> 3,850 nmi / 7,130 km ||<:> 3,550 nmi / 6,570 km ||<:> 3,550 nmi / 6,570 km[*B 보조연료탱크 1개] ||<:> 3,300nmi / 6,110 km[*B]|| ||<:> '''순항 속력''' ||<:><-4> 마하 0.785, 960km/h || ||<:> '''최고 속력''' ||<:><-4> 마하 0.82, 1,003km/h || ||<:> '''엔진 x2''' ||<:><-4> [[CFM 인터내셔널 LEAP|CFM 인터내셔널 LEAP-1B]] 26,786-29,317 lbf (119-130kN) || || == 상세 == 보잉 737은 미국의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이 개발한 중단거리 운항 협동체 여객기이다. 보잉 737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제트 여객기이며, 보잉 727의 하위 기종으로 [[DC-9|맥도넬 더글라스 DC-9]]와의 경쟁을 위해 개발되었다. 보잉 737은 [[보잉 727]]과 같이 [[보잉 707]]의 동체를 사용하며[* 완전히 일치하는 건 아니다. 707이 727, 737보다 동체가 위아래로 길다. 정확히 말하자면 737의 동체는 707의 동체를 축소한 727의 동체를 가져온 것이다.], 초창기의 보잉 737들인 737-100과 737-200은 [[보잉 727]], [[DC-9|맥도넬 더글라스 DC-9]] 등의 여객기에도 사용된 [[프랫 & 휘트니 JT8D]] 엔진을 사용하고 낮은 높이를 가지고 있다. 가장 작은 보잉 737인 737-100은 85명 가량의 승객을, 가장 큰 737인 737 MAX 10은 최대 230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보잉 737은 보잉이 자사의 협동체 여객기를 생산할 때 사용하는 [[미국]] [[워싱턴 주]] 렌튼 공장에서 제작된다. 렌튼 공장에서는 2차대전 시기 [[B-29]]폭격기와 보잉 737의 형제 기종들인 [[보잉 707]]과 [[보잉 727]]은 물론, [[보잉 757|757]]도 생산되었다. 현재는 737과 737을 기반으로 한 [[E-7]], [[P-8|P-8 포세이돈]]을 제작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보잉 737들은 렌튼 공장에서 생산 및 도색되어 시험 비행을 진행한 후, [[시애틀]] 보잉 필드에 있는 보잉 737 인도 센터로 이동되어 고객에게 인도된다. 보잉 737을 기반으로 하는 군용기인 P-8도 렌튼 공장에서 제작되어 도색과 시험 비행을 진행하고, 보잉 필드에 있는 보잉 군용기 인도 센터로 이동되어 인도된다. 보잉 737은 크게 4개의 형식으로 나뉘며, 크게 [[보잉 737 오리지널|737 오리지널]], [[보잉 737 클래식|737 클래식]], [[보잉 737 NG|Next-Generation 737]], 그리고 현재 생산되고 있는 최신 보잉 737인 [[보잉 737 MAX|737 MAX]]로 분류된다. 737 클래식부터는 737 오리지널에서 사용되던 저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을 버리고, 효율적인 [[CFM 인터내셔널 CFM56]] 고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였으며 737 MAX에서는 더욱 커지고 바이패스비가 높아진 [[CFM 인터내셔널 LEAP]] 엔진을 사용한다. 보잉 737은 현재 보잉의 유일한 협동체 여객기로, 가장 강력한 경쟁 상대는 [[에어버스]]의 [[A320 패밀리]]이다. 보잉은 2005년까지 [[보잉 757|757]]을 항공사들에게 인도한 이후로 737을 자사의 유일한 협동체 여객기로 판매하고 있으며, 최신 형식인 737 MAX는 172석급의 737 MAX 7, 230석급의 737 MAX 10까지 다양한 크기를 제공한다. 737 MAX는 기존의 Next-Generation 737의 초기 기체들에 비해 20%, 이후 생산된 Next-Generation 737에 비해서는 14%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저 바이패스비 [[터보팬|터보팬 엔진]]인 [[프랫 & 휘트니 JT8D|JT8D]]를 사용한 -100, -200 형식은 지상고가 낮아도 괜찮아서 지상고가 낮게 설계되었는데, -300부터 -900까지는 고 바이패스비 [[터보팬|터보팬 엔진]]인 [[CFM 인터내셔널 CFM56|CFM56]]엔진을 사용하며 랜딩기어 길이를 늘려, 지상고를 높였어야 했으나, [[안전불감증|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엔진 아래를 찌그려뜨려서 장착했다.]] 나중에 737 MAX부터는 더 큰 엔진인 [[CFM 인터내셔널 LEAP|LEAP]]를 사용하는데, [[안전불감증|이번에도 랜딩기어를 늘리면 추가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엔진 하부를 찌그러트린 뒤 '''엔진 앞부분이 약간 위를 보도록 기울여 장착'''했고]][* '''이마저도 엔진 사이즈를 줄인 [[CFM 인터내셔널 LEAP|LEAP-1B엔진]]을 사용했다!'''], 이것이 후술할 [[보잉 737 MAX/결함|보잉 737 MAX의 결함]] 원인이 된다. == 개발 == [[보잉]]은 과거부터 중단거리 운항을 위한 제트 여객기를 개발하고 있었고, 보잉이 중단거리 노선 운항을 위해 보잉 707을 소형화하고 3개의 엔진을 탑재하여 판매한 기종이 바로 [[보잉 727]]이다. 그러나, 727은 [[맥도넬 더글라스]]의 [[DC-9]] 등의 여객기에 비해서는 너무 컸고, DC-9와 같이 빠르게 여러 중단거리 노선을 운항하기에는 부적합했기 때문에 보잉은 이러한 체급의 여객기가 필요했다. 보잉은 1960년대부터 새로운 중단거리용 여객기에 대한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당시 보잉이 개발하고 있던 기종은 60명 가량의 승객을 100km-1,600km의 거리를 운항하기 적합한 여객기였다. 보잉 737의 개발은 상당히 늦게 진행되었다. 당시 경쟁 기종이었던 [[DC-9|맥도넬 더글라스 DC-9]]는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였다. 즉, 보잉이 중단거리 협동체 여객기 시장에서 활약하기에는 매우 시간이 촉박했다. 보잉의 초창기 737 디자인 컨셉트는 보잉 727과 같이 T-테일을 사용하고 있고, 지금의 737이 3-3 배열을 사용하여 6열 배열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5열 배열을 사용하는 여객기였다. 그러나, [[보잉 747]]의 아버지로도 부르는 보잉의 엔지니어인 조 서터가 보잉 737의 엔진을 지금과 같이 날개 밑으로 재배치했고 T-테일을 사용하지 않기로 하였으며 6열 배열을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승객들의 탑승과 화물 적재를 용이하기 하기 위해 랜딩 기어의 높이를 줄였고, 승객의 수가 100명 가량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보잉 737의 동체는 707과 727에서 사용되었던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보잉은 727에서도 사용되었던 프랫 & 휘트니 JT8D 엔진을 보잉 737의 엔진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보잉 737의 초창기 개발이 어느정도 진행되고 난 후인 1965년 2월 1일에 737을 런칭하였고 독일의 항공사인 루프트한자가 21대의 737을 주문하면서 737의 최초 고객이 되었다. 이후 유나이티드 항공 등의 항공사가 737을 주문하였고, 유나이티드 항공은 당시 737-100으로 개발되던 737보다 더욱 큰 737을 원하면서 737-200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후 737-200이 737-100보다 훨씬 높은 판매량을 보여주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483076083_0a3cea1594_o.jpg|width=100%]]}}} || || '''보잉 737-100의 롤아웃 현장''' || 첫 보잉 737은 737-100으로, 1967년 1월 17일에 보잉의 렌튼 공장에서 롤아웃하였다. 롤아웃 후 약 3개월 뒤인 1967년 4월 9일에 737-100의 첫 비행이 있었으며, 1967년 12월 15일에 FAA가 737-100을 인증하였다. 737-100 1호기는 이후 NASA에서 사용된 후 현재는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 보잉 필드에 있는 The Museum of Flight에 전시되어 있다. 737-100의 첫 인도는 최초발주고객인 루프트한자에게 인도되었으며, 루프트한자는 자사의 첫 737-100을 1967년 12월 28일에 인도받았다. 이후 737의 두번째 형식이자, 737-100의 동체를 연장하여 더욱 많은 승객을 탑승시킬 수 있게 한 737-200이 1967년 6월 29일에 롤아웃하였고 1967년 8월 8일에 첫 비행을 진행한 후 1967년 12월 21일에 인증되었다. 737-200은 유나이티드 항공에게 최초로 인도되었다. == 가장 많이 생산된 제트 여객기 == 보잉 737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제트 여객기이며, 판매량이 다른 제트 여객기들에 비해 월등하게 높다. 적절한 수송량, 높은 성능, 뛰어난 효율성으로 일반 항공사들은 중단거리 노선을 운항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하고, [[저비용 항공사]]들은 주력 기종으로 사용하며, 화물 분야에서도 많은 수의 보잉 737들이 화물기로 개조되어 운용되고 있다. 2020년대에는 737-800에 대한 화물기 개조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보잉은 [[보잉 비즈니스 제트]](Boeing Business Jet, BBJ)라는 브랜드로 Next-Generation 737을 전용기 사양으로 판매하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737 MAX를 기반으로 한 전용기인 BBJ MAX가 판매되고 있다. 또한, [[737 AEW&C]], [[P-8]] 같이 여러 군용 기종의 기반으로도 생산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BIK.png|width=100%]]}}} || || '''[[루프트한자]], [[B735|737-530]], D-ABIK[br]2,000번째로 생산된 보잉 737'''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000th 737.jpg|width=100%]]}}}|| || '''[[터키항공]], [[B738|737-8F2]], TC-JVZ[br]6,000번째로 생산된 보잉 737'''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903_231818.png|width=100%]]}}}|| || '''[[플라이두바이]], [[B738|737-8KN]], A6-FDW[br]7,000번째로 생산된 보잉 737'''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821_095037.png|width=100%]]}}}|| || '''[[사우스웨스트 항공]], [[B38M|737 MAX 8]], N8717M[br]10,000번째로 생산된 보잉 737''' || 1967년 737-100의 첫 등장 이후 2019년 737 MAX 10의 등장까지 10,000대가 넘는 737이 생산되었으며, 10,000번째 보잉 737은 사우스웨스트 항공에게 인도된 737 MAX 8로 N8717M으로 등록되었다. 보잉 737은 1980년대부터 에어버스의 A320 패밀리와의 경쟁을 진행해 왔으며, 맥도넬 더글라스가 보잉에게 인수되기 전에는 맥도넬 더글라스의 DC-9, MD-80, MD-90과도 보잉 737이 경쟁하였다. 보잉은 에어버스 A320 패밀리와 맞서기 위해 계속해서 보잉 737의 개량형을 출시하고 있으며, 현재는 737 MAX와 A320neo 패밀리가 경쟁 관계에 있다. A320 패밀리가 737 시리즈 생산량을 220여대 차이로 바짝 뒤쫓고 있다. == 보잉 737의 각 형식 == [[파일:B737_history.png|width=900]][* 해당 사진에 MAX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보잉 737 오리지널|737 오리지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오리지널)] 보잉 737의 형식 중 737-100, 737-200을 통틀어 부르는 형식이다. ==== [[보잉 737 오리지널#737-100 (B731)|737-100 (B73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오리지널, 문단=3.1)] ==== [[보잉 737 오리지널#737-200 (B732)|737-200 (B73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오리지널, 문단=3.2)] ===== [[보잉 737 오리지널#737-200C (B732)|737-200C (B73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오리지널, 문단=3.2.1)] ====== [[보잉 737 오리지널#737-200C/Adv (B732)|737-200C/Adv (B73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오리지널, 문단=3.2.1.1)] ===== [[보잉 737 오리지널#737-200/Adv (B732)|737-200/Adv (B73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오리지널, 문단=3.2.2)] === [[보잉 737 클래식|737 클래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클래식)] 보잉 737의 형식 중 737-300 ~ 737-500까지를 통틀어 부르는 형식이다. ==== [[보잉 737 클래식#737-300 (B733)|737-300 (B733)]]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클래식, 문단=3.1)] ==== [[보잉 737 클래식#737-400 (B734)|737-400 (B73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클래식, 문단=3.2)] ===== [[보잉 737 클래식#737-400SF|737-400SF (B73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클래식, 문단=3.2.1)] ==== [[보잉 737 클래식#737-500 (B735)|737-500 (B73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클래식, 문단=3.3)] === [[보잉 Next-Generation 737|Next-Generation 73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보잉 737의 형식 중 737-600 ~ 737-900까지를 통틀어 부르는 형식이다. ==== [[보잉 Next-Generation 737#737-600 (B736)|737-600 (B736)]]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1)] ==== [[보잉 Next-Generation 737#737-700 (B737)|737-700 (B73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2)] ===== [[보잉 Next-Generation 737#737-700C (B737)|737-700C (B73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2.1)] ==== [[보잉 Next-Generation 737#737-700ER (B737)|737-700ER (B73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2.2)] ==== [[보잉 Next-Generation 737#737-800 (B738)|737-800 (B73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3)] ===== [[보잉 Next-Generation 737#화물기 개조 (B738)|화물기 개조 (B73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3.1)] ==== [[보잉 Next-Generation 737#737-900 (B739)|737-900 (B739)]]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4)] ===== [[보잉 Next-Generation 737#737-900ER (B739)|737-900ER (B739)]]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Next-Generation 737, 문단=3.4.1)] === [[보잉 737 MAX|737 MA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MAX)] 보잉 737의 형식 중 737 MAX 7 ~ 737 MAX 10 까지를 통틀어 부르는 형식이다. ==== [[보잉 737 MAX#737 MAX 7 (B37M)|737 MAX 7 (B37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MAX, 문단=4.1)] ==== [[보잉 737 MAX#737 MAX 8 (B38M)|737 MAX 8 (B38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MAX, 문단=4.2)] ==== [[보잉 737 MAX#737 MAX 200 (B38M)|737 MAX 200 (B38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MAX, 문단=4.2.1)] ==== [[보잉 737 MAX#737 MAX 9 (B39M)|737 MAX 9 (B39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MAX, 문단=4.3)] ==== [[보잉 737 MAX#737 MAX 10 (B3XM)|737 MAX 10 (B3X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MAX, 문단=4.4)] == 사건/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사건 사고)] === 결함 === ==== [[보잉 737 방향타 결함 사건|방향타 결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방향타 결함 사건)] ==== [[보잉 737 MAX/결함|MCAS 결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 MAX/결함)] == 등장매체 == * [[ 트랜스포트 피버 2 ]]에서 737-200C가 화물기, 737-100 버전이 여객기로 등장한다. == 기타 == 워낙 많은 항공사에서 민간용으로 사용하는 탓에 민수용 항공기 이미지가 단단히 박혀있지만 군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에서 [[E-X]] 계획을 추진하며 도입하는 [[E-7|E-737]]이 바로 737-700을 조기경보기에 맞게 개조한 기종이다. 그 외에 미군에서 [[C-40]]이란 제식명으로 채용하여 병력 및 VIP 수송용 항공기로 잘 굴려먹고 있고 [[P-8]] [[대잠초계기]]도 737-800 베이스이다. [[대한항공]]에서 [[보잉 747]]을 임차하여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로 사용하기 전까지, 공군 1호기로 운용되던 기체 역시 737-300이었다.[* 참고로 이 [[보잉 737 클래식|733]]은 [[대한민국]] 최초의 보잉 737이다. 국내에 [[보잉 737 오리지널]] 기체가 없진 않지만 그 기체들은 대부분 [[보잉 737 NG]] 들어오던 시절에 중고로 들어왔다고 할수 있다.] VIP 수송용이다. [[파일:20230301_153900.png|width=100%]]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대한민국 前 공군 1호기 737-300.]] [[1985년]]에 도입되었으나 '''유럽이나 미주까지 다닐 수 없어서''' 그다지 알려지진 못한 비운의 기체. 그래도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평양 방문]]에 사용되었고, [[베트남]] 정도의 거리까지는 열심히 끌고 다녔다고 한다. [[대한항공]]에서 임차한 [[보잉 747-400]]에 공군 1호기의 이름을 물려준 이후에는 공군 2호기로 명명되었으며, 주로 국무총리급 요인들의 해외 출장시 사용 중. 2018년 3월 대북 특사도 이걸 타고 방북했으며 2018년 9월 문재인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 마지막날 [[백두산]] 등반일정으로 공군 2호기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ckheed-737-N35LX-061222-03-wp.jpg|width=100%]] 캣버드라는 이름의 F-35의 항전장비 테스트 기체가 있다. 기수 끝을 잘 보면 [[F-35]]의 노즈가 붙어있는 것이 보인다. 이는 인도네시아 항공에서 사용하던 737-300을 개조한 것. [[보잉 757]]에는 F-22의 항전장비 테스트 기체가 있는데, 이 기체의 이름은 '''캣피쉬'''. 항목 참조. 워낙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다보니 세계에서 가장 많은 추락사고를 일으킨 기종이기도 하다. 2019년 말 기준으로 승객이 한 명이라도 사망한 추락 사고 건수가 비행 백만회당 80건으로 모든 여객기 기종 중 가장 많다. 2위는 비슷할 정도로 많이 팔렸던 기종인 [[보잉 727]](백만회당 51건).[* 737이 히트를 치기 전까지는 727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제트 여객기였다.][[http://www.airsafe.com/events/models/rate_mod.htm|#]] 현지 시간으로 2013년 7월 22일, [[사우스웨스트 항공]]의 여객기가 [[뉴욕]] [[라과디아 공항]]에서 착륙 도중 노즈기어가 부러지는 사고를 일으켜 최소 8명이 다쳤다. [[대한항공]]에서 국내선 및 단거리 국제선용으로 쓰는 비행기다.[* 심지어 [[대한항공]]은 작은 [[A220]]까지 운용한다.] [* 게다가 대한항공은 737-900(non-ER)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항공사다. 739는 별로 수요가 없었다.] 아시아나항공도 에어부산에게 737을 넘겨주기 전 까지는 737-400과 737-500을 잘 쓰고 있었다. 사진에도 [[대한항공]]의 737이 있다. [[대한항공]]뿐만이 아니고 각국의 잘 나가는 메이저 항공사에서도 중단거리용으로 많이 투입하는 항공기다. [[A320]]만 굴리는 [[에어부산]]/[[에어서울]]을 제외한 모든 [[대한민국]]의 [[저비용 항공사]]들도 737밖에 안 쓴다. 그것도 [[Q400]]같은 기종을 굴리다가 싹 다 737로 바꾼 것. 다만 인천이라면 어느정도 납득은 가는말이다. 위 두항공사 특히 대한항공의 경우 인천 착발은 거의 광동체다. 737이야말로 전세계 베스트셀러급 여객기로 손꼽히는 기종이다. 물론 기종이 나온 지 오랜 역사를 가진 기종이지만 그렇다고는 해도 아직까지 유명 항공사들이 잘 운용하고 있는 기체고, 여러 차례 업그레이드 모델을 내놓으면서 [[대한항공]]도 737을 계속 도입하고 있다. 더구나 [[미국]]에서라지만 유명한 [[저가 항공사]]인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이 기종을 원메이크로 운용 중이다. [[아시아나항공]]도 737의 라이벌인 [[A320]]을 잘만 운용하고 있으며, 이전에도 737을 잘만 운용했었다.[* 지금은 전부 [[에어부산]]으로 넘겼다가 퇴역했다.] [[진에어]]의 737도 모두 [[대한항공]]에서 받아온 것이다. 다른 비행기에 비해 작아서 오해가 많기 때문에 덧붙이자면, 얘도 일단 여객기니까 가까이서 보면 당연히 크다. 버스나 트럭을 옆에 세워두면 비교가 안 되는건 말할 것도 없고... 다만 복도가 1개인 소형 [[협동체]] 기종이라서 4발 대형 [[광동체]] 여객기인 [[보잉 747]], [[A380]]은 말할 필요도 없고 쌍발로 한정해도 [[보잉 777]]로 대표되는 쌍발 광동체 기종들과의 차이가 엄청 난다. 동체 지름이 [[보잉 777]]의 엔진의 지름과 비슷한데[* 특히 777-200LR, 777F, 777-300ER에 장착되는 [[GE90|제너럴 일렉트릭 GE90-110B/115B]]가 그렇다.] 777이 4발기에 맞먹는 덩치를 자랑하는 만큼 엔진이 커야 하기 때문이다. 2015년 7월 1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에어 짐바브웨]]의 737에 영국의 체스 [[그랜드 마스터]]인 [[https://en.wikipedia.org/wiki/Nigel_Short|나이젤 쇼트]]가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819601037|혼자 탄 진풍경]]이 펼쳐졌다. 클래스를 넘나들며 마음대로 자리를 옮길 수 있었음에도 그냥 이코노미석의 창가 자리로만 옮겨 앉았고, [[객실 승무원|여승무원]] 2명이 서비스는 물론 기내 안내사항도 방송 대신 직접 "쇼트 씨"(Mr. Short)라고 호칭하며 제공했다. [[러시아]]에서 비행금지조치가 내려졌었다. 이유는 2년 전 카잔 공항에서 보잉 737 한기가 추락했는데, 조사 결과 승강타 결함이었기 때문이다.[* [[러시아]] 민간 항공기의 20%가 737이다.([[아에로플로트]]는 [[A320]] 계열이 좀더 많다)] [youtube(OUeW6Wh3Z18)] 2015년 2월 15일에 인천발 파리행 [[에어 프랑스]]의 777이 러시아에 비상착륙을 한 적이 있는데, YTN에서는 해당 항공기를 737로 소개 한적이 있다. 여담으로 은근 대한민국과 인연이 깊은데 [[이스타항공]]이 737 NG의 전기종(-600, -700, -800, -900)을 운용해보았을 뿐만 아니라 -100과 -MAX 7, -MAX 9, -MAX 10을 제외한 모든 형식이 등록되어있다. -200은 [[한서대학교]] 훈련용, -300은 공군2호기, -400과 -500은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이, 400F(화물기)는 [[에어인천]]이[*현재퇴역], -600, -700은 이스타항공이, -800은 [[진에어]], [[대한항공]],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플라이강원]]이,[* 다시 말해 아시아나항공과 그 계열사(에어서울, 에어부산)를 뺀 나머지 모든 항공사들.], -800 화물기 개조형은 에어인천과 제주항공이[* 에어인천은 -800SF, 제주항공은 -800BCF이다.], 900은 대한항공과 진에어가, 900ER은 대한항공과 이스타항공[*현재퇴역]이, MAX 8은 각각 진에어와 대한항공, 이스타항공이 보유 중이거나 보유했었다. 대한항공의 MAX 8은 HL8348, HL8349, HL8350, HL8351, HL8352의 5대, 진에어에는 HL8353 1대가 등록되어 있다. 구형 737이 운항중 엔진이 꺼지는 사례가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5/2020072501110.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4건이나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원인은 [[코로나 19]]로 인해 항공기들이 장기간 운항하고 있지 않았는데, 그 과정에서 엔진 부품이 부식되었고, 이로 인해 엔진 정지등 일부 결함이 일어나는 것이다.[* 만약 재시동 기능마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엔진의 전원이 완전히 끊겨 비상 착륙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사태로 인해 국적사 9곳이 운영하고 있는 737 148대가 점검 대상에 포함되었다고 한다. == 참고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C%9E%89_737|(한국어 위키백과) 보잉 737]] * [[https://en.wikipedia.org/wiki/Boeing_737|(영문 위키백과) Boeing 737]] == 둘러보기 == [include(틀:보잉 737의 형식)] == 관련 문서 == * [[여객기]] * [[보잉]] * [[보잉 727]] * [[보잉 757]] * [[A320 패밀리|A320]] [[분류:보잉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