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잉의 항공기)] [include(틀:보잉 737의 형식)]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737-500 조종석.jpg|width=100%]]}}} || || '''보잉 737-500의 조종석''' ||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363263.jpg|width=100%]]}}} || || '''[[US 에어웨이즈]], N371US[br]보잉 737-300의 프로토타입이자 최초의 보잉 737 클래식''' || 보잉 737 클래식은 보잉이 개발한 중단거리용 협동체 항공기로, 보잉 737-100, 737-200이 포함된 보잉 737 오리지널을 완전 탈바꿈한 후속 형식이다. 737 클래식은 737-300, 737-400, 737-500으로 총 3개의 형식으로 생산되었으며, 1984년 2월 24일에 첫 비행을 하였고 2000년에 마지막 737 클래식이 생산되어 총 1,988대의 737 클래식에 생산되었다. 737 클래식은 Next-Generation 737가 나온 뒤 단종되었지만, 여전히 여러 항공사들이 737 클래식을 운항 중에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공군 2호기(737-300) 1대만 유일하게 운항중이지만, 2025년에 [[보잉 737 MAX|보잉 737 MAX 8]]로 교체될 예정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984318?sid=100|#]] 이 기종이 퇴역하면 대한민국에선 더이상 737 클래식 항공기를 운용하지 않게 될 예정이다. == 제원 == ||<-4> '''보잉 737 클래식''' || || '''형식''' || '''737-300''' || '''737-400''' || '''737-500''' || || '''운항승무원''' |||||| 2명 || || '''표준 좌석수''' || 128(2클래스 8(36")/120(32"))[br]149(30" 1클래스)[br]140(32" 1클래스) || 146(2클래스 8(36")/138(32"))[br]168(30" 1클래스)[br]159(32" 1클래스) || 108(2클래스 8(36")/100(32"))[br]122(32" 1클래스)[br]143(30" 1클래스) || || '''최대 좌석수[br](FAA 비상구 한계)''' || 149명 || 189명 || 149명 || || '''전장''' || 33.4m || 36.5m || 31.1m || || '''높이''' || 11.13m |||| 11.1m || || '''날개 길이''' |||||| 28.9m || || '''동체 지름''' |||||| 3.76m || || '''엔진''' |||||| [[CFM 인터내셔널 CFM56]]-3B계열 || || '''추력''' || 14,500kN |||| 14,500~17,500kN || || '''무게''' || 32,700kg || 33,200kg || 31,300kg || || '''최대이륙중량''' || 62,820kg || 68,050kg || 60,550kg || || '''항속거리''' || 4,204km || 4,204km || 4,444km || || '''순항속도''' |||||| 마하 0.74(780km/h) || || '''최고속도''' |||||| 마하 0.82(876km/h) || || '''최고 순항 고도 ''' |||||| 11,270m(36,975ft) || == 개발 == 보잉은 737 오리지널에서도 737-200에 대한 개량을 진행하여 737-200 Advanced를 제작하였지만, 이것으로만은 만족하지 않았고 더욱 강화된 보잉 737을 제작하여 시장을 선도하기를 원했다. 737 오리지널은 당시로써는 개량이 필요한 여객기였고, 맥도넬 더글라스의 [[MD-80|DC-9 개량형]]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더욱 크고, 효율적이고, 더욱 먼 곳까지 비행이 가능한 737이 필요했다. 보잉은 1979년부터 새로운 737에 대한 개발을 진행하였다. 기존의 737들과 외관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엔진 나셀이다. 앞에서 본 엔진 나셀의 형태가 (일반적인) 원형이 아닌 밑이 평평한 약간 찌그러진 타원형 형태이다.[* 독특한 모양 때문에 이 나셀 디자인을 "햄스터 볼주머니 Hamster Pouch"라고 부르기도 했다. [[https://www.airspacemag.com/history-of-flight/how-737-got-its-hamster-mouth-180952391|#]],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80420/89711834/1|#]] 국내에선 [[삼각김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모양.] 이전의 737-100과 737-200에는 [[프랫 & 휘트니 JT8D]] 저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이 사용되었으나 연비향상과 소음감소를 위해 새로운 737에는 훨씬 효율적이고 조용한 CFM 인터내셔널의 [[CFM56]] 고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애초 지름이 더 작은 JT8D 엔진을 기준으로 설계되었을 뿐 아니라, 특히 정비나 공항 적재 작업의 편의성, 기체 중량 감소를 위해 랜딩 기어의 길이도 최소한으로 설계된 탓에 737의 지상고는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때문에 직경이 더 넓은 CFM56 엔진을 날개 아래에 그대로 달게 되면 엔진이 바닥에 닿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잉은 [[CFM 인터내셔널]]과 협력하여 CFM56 엔진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 구조를 몇 가지 변경하는 한편[* [[CFM 인터내셔널 CFM56#s-3.2|CFM56-3]] 계열. 원래 엔진 아랫쪽에 위치하던 엑세서리 기어박스를 9시 방향으로 옮기고, [[팬]]블레이드의 지름도 68.3인치(173 cm)에서 60인치(152 cm)로 20 cm 가량 축소했다. 그래도 JT8D의 팬블레이드 지름에 비해서는 25 cm 이상 크지만. 팬 지금의 축소로 원래의 CFM56에 비해서는 바이패스비가 떨어져 추력과 연비에서 약간 손해를 보게 되었다. 물론 JT8D 엔진보다는 비할 바 없이 개선되었지만. 그 결과 엔진의 전체 형상이 - 원래 모델과는 반대로 - 높이보다 폭이 넓은 형태가 되었다. 즉 껍데기(나셀)만이 아니라 엔진 자체도 약간 납작한 타원형이다.], 엔진 나셀의 형태도 그에 맞추어 밑쪽이 평평한 타원형 형태로 설계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었다. 737 하면 떠오르는 아래가 찌그러진 엔진 디자인은 여기서부터 시작되어 NG 라인업을 거쳐 현행인 MAX까지 이어지고 있다. 또한 더욱 공기역학적이며, 윙팁이 23cm 가량 길어진 더욱 큰 날개를 사용하였다. 737 클래식의 첫 형식인 737-300은 1984년 2월 24일에 미국 워싱턴 주 렌튼에 있는 737 공장에서 첫 비행을 하였으며, 1984년 12월에 사우스웨스트 항공에게 인도되어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다. 두번째 형식인 737-400은 1986년에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고, 마지막 형식이자 가장 작은 737 클래식인 737-500은 1990년 2월 28일에 사우스웨스트 항공에게 처음으로 인도되어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다. 일부 항공사들은 737 클래식에 Next-Generation 737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한 블렌디드 윙렛을 장착하고 운항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 737-300 (B733)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5101-republic-of-korea-air-force-rokaf-boeing-737-3z8.jpg|width=100%]]}}} || || '''[[대한민국 공군]], 85101''' || 737-300은 737 클래식에서 두번째로 작은 형식이자, 최초의 737 클래식이고 가장 많이 팔린 737 클래식이기도 하다. 최초의 737-300은 1984년 1월 17일에 롤아웃하였으며, 1984년 2월 24일에 첫 비행을 진행하였다. 737-300은 총 149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으며, 4,176km의 항속거리를 가지고 있다. 총 1,113대의 737-300이 생산되었고, 마지막 737-300은 에어뉴질랜드에 인도되었다.[* MSN:25609/3130 등록부호: ZK-NGJ 현재는 [[나우루 항공]]에서 VN-XNU로 운용 중이다.] 737-300은 추후 Next-Generation 737에서 737-700으로 대체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대가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s-3.2|공군 2호기]]로 운용 중에 있다. 2025년에 [[보잉 737 MAX|보잉 737 MAX 8]]로 교체될 예정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984318?sid=100|#]] === 737-400 (B73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gr6tw.png|width=100%]]}}} || || '''[[US 에어웨이즈]], N404US[br]보잉 737-400의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589315.jpg|width=100%]]}}} || || '''[[아시아나 항공]], HL7513''' || 737-400은 에어버스 A320, 맥도넬 더글라스 MD-80과 경쟁하는 형식으로, 1985년에 런칭되었으며 737-300과 757-200의 사이를 채우는 위치를 가지고 있다. 737-300의 동체 연장형인 737-400은 1988년 1월 26일에 롤아웃하였고 1988년 2월 19일에 첫 비행을 진행하였다. 737-400은 최대 188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고, 3,820km의 항속거리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 737-400은 체코항공에 인도되었으며,[* MSN:28478/3132 등록부호:OK-FGS. 현재는 UTair에서 RA-73069(舊 VQ-BIC)로 운항중이다] Next-Generation 737의 737-800으로 대체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이 22대, 에어부산이 4대를 운영한 이력이 있다. 총 26대 중에서 4대는 에어부산으로 넘어가서 운항하다가 퇴역했다. ==== 737-400SF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44tsgrygh.png|width=100%]]}}} || || '''[[에어인천]], HL8271'''[* 현재는 퇴역하고 후계기인 737-800SF로 대체되었다.] || 737-400SF는 737-400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한 형식으로, Aeronautical Engineers Inc.이 개조를 진행하였다. 737-400을 최초로 737-400SF로 개조한 항공사는 바로 알래스카 항공으로, 알래스카 항공은 보유하고 있던 737-400의 일부를 737-400SF로 개조하기도 하였으며 몇 대의 기체를 여객기와 화물기 모두로 사용할 수 있는 콤비로도 개조하였다. 알래스카 항공은 추후 이 737-400SF들을 737-800BDSF들로 대체하였다. 국내에서는 [[에어인천]]이 2013년부터 2021년까지 2대를 운항했었다. 그중 HL8271은 2021년 매각 당시 무려 기령 30년 이었다.[*포털 사이트에 가보면 active 라고 나와있다. 즉 아직까지 운항 중이라는 것.] === 737-500 (B73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391468.jpg|width=100%]]}}} || || '''[[사우스웨스트 항공]], N501SW[br]보잉 737-500의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5296_1645673535.jpg|width=100%]]}}} || || '''[[전일본공수]][* 정확히는 [[ANA 윙스]] 소속이다.], JA307K[br]마지막으로 생산된 보잉 737 클래식''' || 737-500은 737 클래식에서 가장 작은 형식이자, 마지막으로 개발된 737 클래식이다. 737-500은 1987년에 사우스웨스트 항공이 런칭하였으며, 737-300의 동체를 단축하여 737-200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737-500은 737 클래식에서 가장 긴 항속거리를 가지고 있다. 이후 737-500은 1989년 6월 30일에 첫 비행을 진행하였고, 1990년 2월 28일에 사우스웨스트 항공이 첫 737-500을 인도받으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하게 되었다. 737-500을 대체하는 형식은 737-600이다. 또한, 737-500은 737 클래식에서 가장 항속거리가 긴 형식이다. 737-500은 145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으며, 4,398km의 항속거리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 737-500는 [[전일본공수]]에 인도된 상단 사진의 기체이며[* MSN: 29795/3116, 등록번호: JA307K], 동시에 이 기체를 끝으로 737 클래식은 단종되었다.[* 2020년 퇴역하여 현재는 중국 산둥성의 한 대학교에 보존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이 7대, 에어부산이 3대를 운영한 이력이 있다. 총 7대 중에서 3대는 에어부산으로 넘어가서 운항하다가 퇴역했다. 2022년 3월부터 2023년 5월까지 공군에서 KF-21 AESA 레이더 시험기로 1대를 운용한 적이 있었다. == 보잉 737 클래식 기반 특수기 == === 737 캣버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3706772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eec9f639ea8ed081e6613748206fb06.jpg|width=100%]]}}} || || '''[[록히드 마틴]], N35LX''' || 보잉 737-3[[루프트한자|30]] 기반으로 제작한 [[F-35]]의 항전장비 테스트 기체. 선배격으로 [[F-22]]의 항전장비 테스트 기체인 [[보잉 757#757 캣피쉬|보잉 757 캣피쉬]]가 있다. === KF-21 AESA 레이더 시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tgatw4.png|width=100%]]}}} || || '''[[대한민국 공군]], ZS-TFJ''' || 2022년 3월에 [[대한민국 공군]]에서 737-500을 임차도입 및 개조해서 만든 [[KF-21 보라매]]의 AESA 레이더 시험기. 1992년에 생산된 기령 30년의 기체이며[* 과거에는 [[체코항공]] 소속이였다.] 개조에만 약 100억원이 들었다고 한다.[[https://youtu.be/qAnmwPbDP5k|#]] 상술된 737 캣버드처럼 기수에 KF-21의 레이돔을 부착한 게 특징.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도인 [[프리토리아]]에서 paramount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방위산업체.][* 그 때문인지 남아공 국적으로 등록되어 있다.]가 개조 및 도색을 완료했으나 정작 한국에 들어올때는 보라매의 레이돔을 떼고 로고도 가린채로 왔다가[[https://twitter.com/loveaselin/status/1500475022070403072?s=20|#]] 다시 재조립되었다. 2023년 5월 27일 모든 테스트를 마치고 송출되었다. == 사건 사고 == 보잉 737 클래식 시리즈는 이전 세대인 보잉 737 오리지널보다 더 많이 생산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사고 발생률은 오리지널보다는 적은 편이다. 항공사고 전문 사이트인 aviation-safety.net에 따르면, 보잉 737 클래식은 총 130건의 사건/사고를 겪었으며, 이 중 동체 손실은 총 72건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잉 737/사건 사고, 문단=2.2)] == 참고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Boeing_737_Classic|(영문 위키백과) Boeing 737 Classic]] == 둘러보기 == [include(틀:보잉의 민항기 역사)] [[분류:보잉 737]][[분류:1984년 출시]][[분류:200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