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보성 나들목'''}}}[br]{{{-2 '''寶城 나들목'''}}}[br]{{{-2 '''Boseong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보성 요금소'''[br]{{{-2 Boseong Tollgate}}}}}}}}} || || [[서영암IC|{{{#!html영암 방면}}}]][br][[장흥IC]][br]← 23.0 km || [[남해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0.svg|height=23]]{{{#!html
남해선}}}]]'''{{{#fff {{{+1 5}}}}}}''' || [[해룡IC|{{{#!html 순천 방면}}}]][br][[벌교IC]][br]18.5 km → || ||<-3> {{{-1 {{{#0047a0 ◀ [[장흥정남진휴게소]](양방향)}}}}}} || ||<-3> {{{-1 {{{#0047a0 [[보성녹차휴게소]](양방향) ▶ }}}}}} || ||<-3> [include(틀:지도, 장소=34.813996 127.106920,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 || ||<-3> {{{#fff '''관리기관'''}}} || || [[남해고속도로|{{{#fff 남해선}}}]] ||<-2>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보성지사 || ||<-3> {{{#fff '''개통'''}}} || ||<-3> [[2012년]] [[4월 27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8)]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9)]([[화보로]]) || [목차] [clearfix] == 설명 == '''[[남해고속도로]] 5번.'''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남해고속도로 62 (용정리 산118-8)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보성군]]에서 유래했다.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보성지사 이 나들목에서 나와 춘정교차로에서 [[18번 국도]] 벌교, 장흥 방향으로 조금 더 이동해야 나타난다. == 구조 == === [[도롱IC|순천]] 방향(상행선) === * 진출 가능: 화보로 양방향, 송재로 양방향 * 진입 가능: 화보로 양방향, 송재로 양방향 === [[서영암IC|영암]] 방향(하행선) === * 진출 가능: 화보로 양방향, 송재로 양방향 * 진입 가능: 화보로 양방향, 송재로 양방향 == 역사 == * [[2012년]] [[4월 27일]]: 남해고속도로 서영암 나들목 ~ 도롱 나들목 구간 개통과 함께 트럼펫형 나들목으로 개통하였다. == 특징 == [[광주광역시]]로 향하는 [[29번 국도]]와 연계되기 때문에, 통행량이 적은 [[남해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영암 - 순천)]]에서 그나마 붐빈다고 할 수 있는 나들목이다. [[29번 국도]] 보성 - 광주 구간([[화보로]])은 고속도로 개통을 앞두고 보성 - 능주 구간 왕복 4차로 개통을 완료했으며[* 능주 - [[화순읍|화순]] 구간은 그 이전부터 4차로 개통이 완료되었고, 화순 - 광주 구간은 중요한 [[너릿재터널]]이 있는지라 훨씬 예전부터 4차로였다.], [[신너릿재터널]] 개통 이후로는 광주 주남마을 앞까지 무정차로 주행할 수 있어서 일반국도임에도 고속도로나 다름없어졌다. 거기에 [[남해고속도로]]와 연계가 되어 [[장흥군|장흥]], [[벌교읍|벌교]], [[고흥군|고흥]]으로 가는 차량들도 [[29번 국도]] 덕을 많이 보게 되었다. 광주에서 벌교/고흥으로 갈 때는 전통적으로 사평, 송광을 경유하는 [[22번 국도]] - [[15번 국도]] 경로를 많이 이용했는데, 왕복 2차로에다가 주암호 호반과 산골짜기를 지나서 급커브와 구배가 많았다. 하지만 고속도로 개통 이후 [[벌교IC|벌교 나들목]]을 통한 [[29번 국도]] - [[남해고속도로]] 경로가 생기면서 도로 환경이 더욱 쾌적해졌고 소요 시간이 줄어들었다. km 상으로는 보성 나들목 경유가 약간 돌아가는 셈이지만 거의 차이가 안 난다. 하지만 광주 - 고흥/녹동 [[시외버스]]는 아직도 구불구불한 국도를 이용하여 소요시간이 많이 걸려서 이용객들의 불편이 있었는데, [[고흥군]] 지역 도의원인 [[송형곤]] 의원의 노력으로 2016년 7월 1일부로 보성 나들목(IC) 경유 노선이 첫 선을 보이며 시범적으로 왕복 35회 중 왕복 4회를 보성 나들목 경유 노선으로 운행한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630057400054|광주-고흥 일부 시외버스 소요시간 단축·요금 인하]], 2016-06-30, 연합뉴스] 광주에서 장흥으로 가는 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29번 국도]] 확장 이후에는 [[29번 국도]] - [[839번 지방도]] 경로나 [[29번 국도]] - [[2번 국도]] 경로를 많이 이용한다. 전자는 거리가 짧으나 도로 상태가 좋지 않고, 후자는 도로 상태가 좋지만 멀리 돌아간다. 이 역시 고속도로 개통 이후 전자보다는 쾌적하고 후자보다는 덜 돌아가는 경로가 생겼다.[* 2024년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이 되면 [[강진JC|강진 분기점]]을 통해 강진광주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경로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고속도로 진출 표지판에는 당초 [[화순군]] 이양면의 이름이 같이 올라가 있었다. 그래서 1지명이 보성, 2지명이 이양으로 되어 있었는데, 이를 조합하면 '''"보성이양"'''이 되어... [[http://pgr21.com/pb/pb.php?id=humor&no=215851|관련 짤방]] 그러다 2015년에 2지명이 이양에서 화순으로 바뀌었다. ---그냥 광주를 넣어도 될 거 같은데--- 백괴게임의 남해고속도로 게임에서 이 나들목이 나왔을 때 나가기를 선택하면 [[으리]] 으으리...를 반복하다 죽는 설정이 나온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남해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남해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