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성군 농어촌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성율포70-3G.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성율포70-5_7000.png|width=100%]]}}} || || 율포70-3 || 율포70-5 || ||<-6> [[파일:보성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보성군 농어촌버스 율포70번대}}} || ||<-6> {{{#!folding [ 통합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보성율포70노선도.svg|width=75%]]}}} || ||<-2> 기점 ||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원봉리(보성버스터미널) ||<-2> 종점 ||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전일리(군학) || ||<|2> 종점[br]행 || 첫차 || 6:00(70-1) ||<|2> 기점[br]행 || 첫차 || 6:30 || || 막차 || 20:20(70) || 막차 || 20:50 || ||<-2> 배차간격 ||<-4> 통합 1일 11회[* 율포70번과 70-3번이 각 1일 3회, 70-5번은 1일 2회, 나머지 노선이 1일 1회씩 운행한다.] || ||<-2> 본선 노선[br](율포70) ||<-4> 보성터미널 - 보성역 - 다향고([[보성중학교(전남)|보중]]) - 덕정 - 방축 - [[보성녹차밭|대한다원]] - 밤고개삼거리 - 만수 - 율포 - 회천면사무소 - 회령시장 - 전일 - 군학 || ||<-6> {{{#!folding [ 지선 노선 정보 보기 ] ||<-2> 율포70-1 ||<-4> 군학 → 전일 → 회령시장 → __'''[*신리 회령시장 → 도강마을입구 → 신리 → 도강마을입구 → 회령시장]'''__ → 회령시장 → (율포70번과 동일) → 보성터미널 || ||<-2> 율포70-2 ||<-4> 군학 → 전일 → 회령시장 → __'''[*벽교.신리 회령시장 → 도강마을입구 → 신리 → 영천마을 → 양동 → 영천마을 → 회령시장]'''__ → 회령시장 → (율포70번과 동일) → 보성터미널 || ||<-2> 율포70-3 ||<-4> 군학 → 전일 → 회령시장 → __'''[*벽교 회령시장 → 도강마을입구 → 영천마을 → 양동 → 영천마을 → 회령시장]'''__ → 회령시장 → (율포70번과 동일) → 보성터미널 || ||<-2> 율포70-4 ||<-4> 군학 → (대한다원까지 율포70번과 동일) → 대한다원 → __'''[*노산 대한다원 → 노산마을 → 방축]'''__ → 방축 → (율포70번과 동일) → 보성터미널 || ||<-2> 율포70-5[br](첫차) ||<-4> 군학 → 전일 → 회령시장 → __'''[*강산대야 삼장 → 삼수 → 대은 → 웅치면사무소 → 서제동 → 강산 → 연암 → 유촌 → 하청룡 → 구교마을]'''__ → 보성터미널 || ||<-2> 율포70-5[br](막차) ||<-4> 군학 → 전일 → 회령시장 → __'''[*대야 삼장 → 삼수 → 대은 → 웅치면사무소 → 연암 → 장변 → 하청룡 → 구교마을]'''__ → 보성터미널 || ||<-6> 군학 방향은 본선과 운행 경로가 같으며, 분기 구간의 운행 경로는 각주를 확인. ||}}} || == 개요 == 보성읍과 녹차밭, 회천면 율포리, 회령리, 전일리를 오가는 노선. == 역사 == * 예전에는 [[장흥군]] 수문리까지 운행했으나, 시기 미상으로 단축되었고 이 구간은 [[장흥교통]]의 버스가 대신 운행하고 있다. == 특징 == * 보성읍에서 회천면의 [[보성녹차밭|대한다원]], 율포해수욕장까지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노선 중 하나로, 이 노선은 율포에서 회차하지 않고 벽교리, 회령시장과 전일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 [[18번 국도]]를 타고 회천면으로 가간다. * 본선과 지선 모두 군학 방향으로는 운행 경로가 같으며, 회령시장에서 보성읍으로 나올 때 경로 차이만 있다. * 노산마을은 '율포70-4번'을 달고 운행하는 3회차만 마을 내부를 경유하며, 그 외 시간대에는 18번 국도 상의 정류장만 경유한다. 마을 내부가 목적지인 경우 보성읍에서는 [[보성군 농어촌버스/보성읍|다원72번]]을 대신 이용할 수도 있다. * 하루 두 번 '율포70-5'번을 달고 회천면에서 돌아올 때 율포리 대신 웅치면을 경유하며, 이 중 첫차는 서제동마을을 비롯한 강산리 내부까지 경유한다. 반대 방향으로는 전일리(군학)을 경유하지 않는 것만 빼면 [[보성교통|웅치50-2번]]이 대신 운행하며, 첫차만 강산리 내부를 들어가는 것도 동일하게 운행 중이다. * 회령시장과 전일리 일대에서는 [[장흥군 농어촌버스|수문리, 안양면, 장흥터미널 방향 농어촌버스]]로 연계가 가능하나, 이 노선과 장흥행 버스 모두 배차간격이 길어 시간을 잘 맞춰야 한다. ==# 시간표 #== ||
<-8><#008000> {{{#ffffff 보성 버스 율포70번대 운행시간표}}}[br]{{{#ffffff 2023년 7월 31일 기준}}} [[https://www.boseong.go.kr/tour/tourguide/traffic/rural_bus|#]] || || 횟수 || 보성 출발 || 다원, 율포 || 회령, 군학 || 경유지 || 율포 || 보성 도착 || 번호 || || 1 || 06:00 || 다원 06:10[br]율포 06:20 || 회령 06:25[br]군학 06:30 || 벽교[br]회령 06:32 || 06:35 || 07:00 || 율포70-1 || || 2 || 07:20 || 다원 07:30[br]율포 07:45 || 회령 07:47[br]군학 07:50 || 양동 08:05[br]회령 08:10 || 08:15 || 08:40 || 율포70-3 || || 3 || 08:30 || 다원 08:40[br]율포 08:55 || 회령 09:00[br]군힉 09:05 || 회령 09:10 || 율포 09:15[br]노산 09:30 || 09:40 || 율포70-4 || || 4 || 09:55 || 다원 10:05[br]율포 10:15 || 회령 10:20[br]군학 10:25 || 벽교 10:30[br]양동 10:35[br]회령 10:45 || 10:50 || 11:15 || 율포70-2 || || 5 || 11:15 || 다원 11:25[br]율포 11:40 || 회령 11:45[br]군학 11:50 || 회령[br]11:55 || 12:00 || 12:25 || 율포70 || || 6 || 11:55 || 다원 12:05[br]율포 12:20 || 회령 12:25[br]군학 12:30 || 회령 12:35[br]삼수 12:45 || 웅치 12:55[br]강산 13:00 || 13:10 || 율포70-5 || || 7 || 14:40 || 다원 14:50[br]율포 14:55 || 회령 15:00[br]군학 15:05 || 양동 15:10[br]회령 15:15 || 15:20 || 15:40 || 율포70-3 || || 8 || 15:40 || 다원 15:50[br]율포 16:00 || 회령 16:05[br]군학 16:10 || 회령 16:15[br]삼수 16:25 || 웅치 16:30[br]대야 16:35 || 16:40 || 율포70-5 || || 9 || 18:15 || 다원 18:25[br]율포 18:40 || 회령 18:45[br]군학 18:50 || 회령[br]18:52 || 18:55 || 19:20 || 율포70 || || 10 || 19:00 || 다원 19:10[br]율포 19:15 || 회령 19:20[br]군학 19:25 || 양동 19:30[br]회령 19:32 || 19:35 || 20:00 || 율포70-3 || || 11 || 20:20 || 다원 20:30[br]율포 20:40 || 회령 20:45[br]군학 20:50 || 회령[br]20:52 || 20:55 || 21:10 || 율포70 || ||<-8> 기/종점 시간 외에는 예상 통과시간으로, 표기된 시간보다 빠르게/느리게 통과할 수 있으니 '''시간표 시간 10분 전'''에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것을 권장. ||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보성역]](무궁화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보성교통, version=372)] [[분류:보성군 농어촌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