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rd1=보문동(경주))] [include(틀:성북구의 법정동)] ||<-2> '''[[성북구|{{{#000000,#dddddd 성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보문동}}}'''[br]普門洞 | Bomu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성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070050 || || '''관할 법정동''' || 보문동1~7가 || || '''하위 행정구역''' || 20통 129반 || || '''면적''' || 0.56㎢ || || '''인구''' || 16,219명[*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 밀도''' || 28,962.5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성북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영배(1967)|김영배]] ,,(초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한신(정치인)|한신]] ,,(초선),, || ||<-2> '''성북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육영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소형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관우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태근]] ,,(6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병기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안암로3길 35[* 보문동7가 108-1] || || [[https://www.sb.go.kr/dongoffice/PageLink.do?link=forward:/PageContent.do&tempParam1=&menuNo=02000000&subMenuNo=02220000&thirdMenuNo=02220700&fourthMenuNo=02220701|보문동 주민센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400_1146519033470.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행정구역)|동]]. == 역사 == 천 년 사찰 [[보문사]][* [[1115년]]에 창건되었다.]의 이름을 따서 이름 지어진 동네.[* [[보문사]]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에 하나,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석모도]]에 하나 있다.] 현재 터널이 뚫려 있는 동망봉 자리는 옛날 [[단종(조선)|단종]] 임금의 정비인 [[정순왕후(조선 단종)|정순왕후]]가 살던 곳이었다. [[정순왕후(조선 단종)|정순왕후]]가 이곳 청룡사 자리에서 살면서 아침 저녁으로 [[영월군|영월]]로 유배간 남편을 그리며 동쪽을 바라보았다고 해서 언덕 이름이 동망봉(東望峰)이다. [[사대문#서울특별시|4대문]]과 가까워 예전에 보문동 일대에는 [[1937년]] 구획정리 사업으로 도시형 [[한옥]] 단지가 빼곡히 들어서 있었다. [[http://pds4.egloos.com/pds/200703/19/03/b0010803_01032827.jpg|#]] 1980년대 사진에는 [[돈암동]]에서 보문동에 이르기까지 온 지역이 [[한옥]]으로 덮여있었다. 무궁화 양복점 등 유명 옷가게들도 있었다. 지금도 여전히 한옥은 많은데 후술하는 교통과 관련이 있다.[* 지적도에서 보면 알겠지만 [[성북천]]과 평행 및 직각으로 구획정리가 잘 되어있어 큰 필지 한옥도 많은데, 내부 개조만 하면 살기에 그리 불편하지 않다.] 1980년대에는 당시 유명했던 가수 [[전영록]], [[이덕화]], 전계연, 가수 [[김추자]], 영화 배우 [[황해(배우)|황해]] 등 유명 연예인들이 많이 살았다. 10.26 사건의 [[김재규]], 스케이트 선수 [[이규혁]] 선수도 보문동에 살았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김재규]]가 보문동에 살 무렵,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삼선동]]에 살았다.] [[손석희]] 아나운서도 어린 시절 보문동에 살면서 동신초등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옛날에는 동망봉으로 단절되어 있어 다른 지역과 통하지 못해 교통 조건이 좋지 않아 발전이 늦어졌다. 서울 도심의 도로망 구조가 [[사대문안|4대문 안]]을 중심으로 방사선으로 뻗는 구조인데 [[혜화동]]에서 [[동소문로]] - 미아로 방향이나 [[창신동]]에서 [[종로]], [[청량리]] 방향이나 [[고려대]] - [[종암동]] 방향이 주간선이 되다 보니 이 축에서 벗어난 보문동은 발전이 늦을 수밖에. 그래도 1970년대까지는 [[미아리고개]]를 넘어오는 시내버스들의 40% 정도가 보문로를 통과하는 관계(60%는 동소문로 통과)로 동소문로축에 비해 크게 뒤처지지는 않았으나,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으로 인해 주도권이 동소문로축으로 확실히 넘어가는 바람에 사람들에게 더더욱 잊혀지는 존재가 되었다. 물론 그 덕택에 [[한성대입구역]], [[성신여대입구역]] 인근의 한옥들이 교통 편리에 의한 주택 수요 증가[*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부동산 가격 상승이 컸던 시기가 1990년대 초반인데, 이때는 다세대, 빌라 등도 마찬가지였다. 단독주택이 대량으로 빌라화된 시기. ~~2000년대 이후의 부동산 가격 상승은 아파트만 상승하고 빌라 등은 찬밥 신세인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빌라 개발의 이익이 별로다.~~]로 대부분 다세대, 빌라 등으로 철거 신축될 때 상대적으로 교통이 불편한 보문동의 한옥들은 대부분 그대로 남았다는 것이 아이러니. 이후 [[서울 지하철 6호선]] 건설과 동망봉에 터널이 뚫리면서 [[종로구]] [[숭인동(종로구)|숭인동]]과 이어진 후 교통 문제가 많이 나아졌으나, 6호선은 4호선 같은 포스가 없는 데다가 동망봉터널 맞은편은 상습 정체 지역인 관계로 그냥 '이전보다 나아졌다' 정도의 수준이었다. 그러나 최근 [[우이신설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으로 거듭난 관계로 나름 발전의 계기가 되고 있다. 아직은 예전 모습이 많이 남아있어 [[서울특별시|서울]]치곤 수수한 모습이지만, 새 아파트들이 들어설 예정이 있어 다시금 도심에 가까운 좋은 위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 지리 == === 관할 === 1943년 [[동대문구]]에 속하였다가 1946년 [[신설동]]으로 바뀌었다. 1955년 신설동에서 분리되었으며, 1975년 [[성북구]] 소속이 되었다.[* 보문동 주민센터가 [[신설동역]] 쪽에 가까운 것이 과거 이곳이 [[동대문구]] 땅이었던 흔적이다.] === 위치 === 보문동은 위치상 [[성북구]]의 최하단에 위치해 있어 서남 방향으로는 [[종로구]], 동남 방향으로는 [[동대문구]]와 경계에 붙어있다. 보문동의 북쪽으로는 [[성북구]] [[삼선동]], 북동쪽으로는 [[성북구]] [[안암동]]과 닿아있다. 참고로 면적은 0.56㎢이다. 보문동의 세로 방향으로 [[성북천]][* 이 [[성북천]]은 [[청계천]]으로 연결된다.]이 흐르고 있어 운동이나 산책하기에 좋다. [[오리]]나 [[왜가리]] 등도 볼 수 있다. 보문역 사거리에서 남동쪽 길([[보문로(서울)|보문로]])로 내려가면 대광중고교 삼거리와 [[신설동역]] 오거리가 나온다. 대광중고교 삼거리에 [[대광초등학교(서울)|대광초등학교]][* [[대광초등학교(서울)|대광초등학교]]는 성북구 보문동에 속하지만, 길 건너편의 [[대광중학교(서울)|대광중학교]]와 [[대광고등학교]]는 동대문구 신설동에 속한다.]가 있다. [[대광고등학교|대광고]]를 지나 신설동역 방면으로 크게 두 블럭 정도만 걸어내려가면 [[성동구]]인 [[왕십리뉴타운]]과 [[중구(서울특별시)|중구]]인 [[황학동]] [[이마트 청계천점]]도 발에 닿을 만큼 가까운 거리다. 주위에 5개 구([[성북구]], [[종로구]], [[동대문구]],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성동구]])가 경계로 함께 만나고 있어 사통 팔달 이동이 용이하다. === 교통 === [[종로]]와 [[경복궁 광화문|광화문]]이 버스 몇 정거장이면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편이다.[* 보문역에서 종로3가까지 택시 3.5㎞, 직선으론 2.9㎞.] 보문역에서 서쪽 동망봉터널(창신터널)을 통해서 [[종로구]]로 넘어간다. 동망봉터널[* 발음이 어려워 '창신터널'이라고도 부른다.]을 지나 남서쪽으로 내려가면 동신초등학교가 있고, [[서울 지하철 6호선]] [[창신역]]과 [[동묘앞역]]으로 이어진다. 2017년 9월부터 서울의 첫 번째 경전철인 [[우이경전철|우이신설선]]이 보문동을 지나가게 되었다. 경전철은 [[신설동역]](1호선, 2호선 지선, 우이신설선)과 [[보문역]](6호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4호선, 우이신설선)을 경유하기 때문에,[* 신설동역과 보문역, 성신여대입구역이 모두 환승역이 된다는 뜻.] 보문역에서 북쪽으로 한 정거장인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으로 4호선 환승도 수월하고, 한 정거장 남쪽으로 내려가면 신설동역을 통해 1, 2호선 환승도 수월하여 보문동의 지하철 이용이 더욱 편리해졌다. === 인근 시설 === ==== 아파트 ==== 보문동에 이름 있는 아파트로는 현재 2022년 입주한 보문리슈빌하우트, 2017년 입주한 [[보문파크뷰자이]](2017년/1,186세대), 보문 [[아이파크]](2003년/431세대), 보문 [[e편한세상]](2013년/440세대), 보문하우스토리(2011년/162세대) 등이 있다. 최근 입주한 신축 아파트인 [[보문파크뷰자이]](2017년/1,186세대)가 유명해지면서[* 수영장 등 최상의 커뮤니티 시설이 있다고 한다.] 종로, 광화문 등 서울 중심가로 가는 교통이 편리하고, 입지가 좋은 편인 보문동 아파트들이 가성비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보문자이]]는 특히 [[성북구]] 중 최하단인 보문동 중에서도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종로구]]와 경계를 함께 하고 있다. 숭인공원에 붙어있어 도심지이나 공기가 좋고, 지대가 높아 시원한 뷰를 갖고 있다.[* 동망봉 일출뷰, 롯데타워뷰, 남산타워뷰 모두 가능.] 그로 인해 아파트 가격도 높다.[* 주변에서 독보적으로 비싸다. [[삼선동]]의 SK뷰가 그나마 비슷하게라도 따라올뿐.] 최근 보문역에 들어선 보문리슈빌하우트(보문 2구역(계룡건설/465세대))과 보문 5구역(현대산업개발/186세대/26층 주상복합)으로 인해 인근 환경의 드라마틱한 개선이 기대되며, [[우이신설선]]과 [[지하철 6호선]] 환승인 보문역이 시너지를 얻어 그동안 개발되지 않았던 이 일대가 더욱 좋아질 전망이다. ==== 대학교 ==== 근처에 [[고려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성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이 있다. 고려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성대학교는 도보 통학이 가능하며 성균관대학교도 걸어갈 수는 있다.[*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은 [[신부(종교)|신부]]를 양성하는 학교로, 특성상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숙사]] 생활을 한다.] [[경희대학교]]나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경대학교]], [[동국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로도 다니기 편리한 편이다.[* 단, 과거에는 거리에 비해 해당 대학교와 연결되는 대중교통이 빈약했던 관계로 [[서경대학교]] 정도를 제외하고는 의외로 통학이 어려웠다. 택시 타고 안 막히면 10~15분에 도달할 학교들인데 버스나 지하철로는 2~3번 환승에 최단거리보다 빙 돌아간다. 오히려 거리상으로 더 먼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신촌권 대학들이 [[서울 버스 272|205번 버스]](현 272) 버프로 더 빨리 갈 수 있었다. 지금은 우이신설선 개통에 [[서울 버스 273|273번 버스]]의 존재로 좀 많이 나아졌다.] ==== 병원 ==== 보문동 근처의 큰 병원으로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 [[서울대학교병원]]을 이용할 수 있다. === 보문역 풍경 === 현재 보문역 사거리는 여기가 서울이 맞나 싶을 정도로 소박한 분위기가 풍긴다. 고층 상가빌딩은 거의 없고, 비싼 레스토랑이나 [[스타벅스]] 커피점 같은 것도 없으며, 상점 분위기 역시 매우 수수하다.[* 보문시장, 순대국밥집, 감자탕집, 설렁탕집, 오리고기집, 떡집, 본죽, 파리바게트, 뚜레쥬르 등. 최근에 [[이디야]] 커피, [[배스킨라빈스]] 등이 입점하긴 하였다.] 고려대생, 성신여대생들이 많이 자취해서 그런지 24시간 영업하는 식당들이 더러 있다. 보문동에 이름난 맛집으로는 '안동반점'이라는 중국집을 들 수 있는데, 깔끔하고 화려한 레스토랑을 생각하고 갔다간 깜짝 놀랄 것이다.[* 그래도 손님이 워낙 많아 붐빌 때 가면 한참 줄을 서야 거기서 [[짜장면]]을 먹을 수 있다. 안동반점은 2019년 보문 2구역이 철거됨과 동시에 없어졌었으나, 현재는 다른 곳에 다시 문을 열었다.] 차후 보문 5구역이 개발되면 소박한 풍경을 보기 어려워 질 예정이니, 그동안 많이 즐기는 게 좋을 것 같다.[* 보문 5구역은 호반건설의 서울 첫 진출작으로, 정성을 들여 만든다고 한다.] [[보문역]] 3번 출구에 보험연수원이 위치하고 있다. 옛날에는 예식장 건물이었으나, 2004년부터 연수원에서 건물을 사용 중이다. 보험 업계 기존 종사자 및 신규 종사자 연수와 교육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아침 시간에 연수원으로 들어가는 수강생들을 볼 수 있다. 덕분에 연수원 근처 식당들에는 "연수원 식권" 환영이라는 간판을 종종 볼 수 있다. 주중에는 교육 훈련을 지원하지만 주말에는 자격 시험도 실시하기 때문에 시험을 보러온 사람들도 많다. == 기타 == * [[고려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가 가까이 있는 관계로 대학생 자취, 하숙 인구가 많은 편이다. 게다가 은영유치원, 신암유치원 등 평판 좋은 [[유치원]]들이 동네에 많이 있어서 아이 기르는 젊은 세대 인구가 많다. * [[서울특별시/강북|강북]] 지역에서는 [[중계동]], [[안암동]], [[연희동(서울)|연희동]], [[혜화동]] 등과 함께 젊은 세대의 거주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하는 동네다.[* 20~30대 비율 33.4%, 2023년 2월 기준]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운영하는 [[향토학사]]인 남원애향장학숙이 관내에 있다. 재사생 가운데는 고려대생 비율이 높다고 한다. * [[보문사]]([[대한불교보문종]] 소속)와 미타사([[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등 [[비구니]](여승) 절이 많고, 북쪽의 동선동에 [[성신여자대학교]]가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서울특별시]] 내에서도 풍수상 음기(陰氣)가 강한 동네라고 한다. [[비구니]] [[스님]]들과 성신여대 자취생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동쪽의 [[안암동]]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재학생들 역시 보문동에서 하숙, 자취를 많이 하고 있고, 서쪽의 삼선동에 위치한 [[경동고등학교]]가 가깝고 동쪽의 [[용문고등학교(서울)|용문고등학교]] 역시 멀지 않은 위치라 그런지[*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과거에는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홍대부고]]에도 이 동네 학생들이 상당수 배속되었다. 홍대부고를 제외하면 걸어서 충분히 갈 수 있는 위치에 학교들이 여럿 있다 보니 학생층은 꽤 풍부했던 편.] 여학생들 못지 않게 남학생들도 동네에 많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성북구, version=260)] [[분류:성북구의 법정동]][[분류:성북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