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이 원소]] [include(틀:주기율표)] [include(틀:원소 정보, name_ko=보륨, name_en=Bohrium, number=107, symbol=Bh, category=전이 원소, state=고체, weight=267, density=37 g/cm3, melt=// °C, boil=// °C, fusion=// kJ/mol, vapor=// kJ/mol, valence=//, ion=// kJ/mol, negativity=//, affinity=// kJ/mol, found=옛 소련 핵물리학종합연구소, found_link=, found_link_alt=, found_year=1976, CAS=//, prev=시보귬, prev_alt=시보귬, prev_symbol=(Sg), next=하슘, next_alt=하슘, next_symbol=(Hs), ref=)] [[파일:Bh 보륨.png]] {{{+2 '''B'''o'''h'''rium}}} == 개요 == [[주기율표]] 7족에 속하는 합성원소로 원소기호는 Bh, 원자번호는 107이며 화학적으로 희유금속인 [[레늄]]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1976년 옛 [[소련]] 핵물리학종합연구소에서 처음으로 합성에 성공하였다. 보륨의 발견자는 [[독일]]의 중이온 연구소로 되어 있지만, 첫 발견자가 정해지기까지는 [[러시아]]와의 논쟁이 있었다. [[러시아]]는 1976년에 [[비스무트]]와 크롬 원자핵을 충돌시켜 107번째 원소를 만들고, [[독일]]도 1981년에 같은 방법으로 107번째 원소를 만들었다. 먼저 만든 것은 러시아였지만 [[독일]]이 좀 더 확실한 증명이 가능했기 때문에 명명권 분쟁을 일으켰다. 1992년 IUPAC는 러시아와 독일 양쪽에 영예를 돌리기 위해 서로 협의해서 이름을 짓도록 통달했다. 그 후, 1997년에 보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화합물은 옥시염화물(BhClO,,3,,)이 확인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양자역학]]을 확립시킨 물리화학자 [[닐스 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