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원사)] [include(틀:사준사구)] [[파일:IMG_0076_3-310x630.jpg|width=35%]] Борохул / 博爾忽(박이홀) (? ~ 1217) [목차] == 개요 == 몽골 제국의 장수로 [[칭기즈 칸]]이 가장 신임하는 장수인 '''[[사준사구]]''' 중 전략가형인 '''4준'''의 한 명이었다. 후신(Hu'ušin) 씨족 출신으로 주르킨 토벌 때 전장에서 발견돼, 칭기즈 칸의 어머니인 [[호엘룬]]에게 입양되어 키워졌다고 한다. 케레이트군과의 격전이었던 '''카라 칼지드 전투'''에서 빈사 상태에 빠진 칭기즈 칸의 셋째 아들인 [[오고타이 칸]]의 상처를 입으로 피를 빨아 치유한 뒤에 말에 태워 구출하는 등의 대공을 세웠다. 그 공을 인정받아 전투 이상으로 중요했던 '부케울'[* 음식을 맛보는 직책]과 '바우르치'[* 요리하는 직책]에 임명되었고, 이후에는 군량을 관리하는 장군에 임명되었다.[* 전근대 전쟁에서 군량을 관리하는 것은 전투 이상으로 중요한 일이었다. 당장 [[관도대전]]에서 월등히 유리했던 [[원소]]가 오소에 쌓아놨던 군량이 기습으로 모조리 타버리면서 패전의 빌미가 되었던 것을 생각해보라.] --[[행보관]]-- 1206년 몽골 통일 이후, [[칭기즈 칸]]에게 반항하는 [[오이라트]], 투마트 등의 삼림부족을 토벌하기 위해 출정했는데 1217년, 투마트족을 토벌하기 위해 본대와 떨어져서 앞서 나가다가 투마트족 군사들의 기습을 받아 전사했다. 후손으로 아들은 토곤(원나라의 토곤과 동명이인), 손자로는 시레문, 타차르, 증손자로는 시레문의 아들인 유찌차루, 타차르의 아들인 벨구타이, 수루도타이가 있었다. 의외로 [[고려]]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원 세조 [[쿠빌라이 칸]]의 황녀로 고려 [[충렬왕]]과 혼인한 [[제국대장공주]]의 어머니가 이 보로클의 딸일 가능성이 있다. == 대중매체에서 == || [[파일:attachment/보로클/보로클.png]] || || '''[[징기스칸 4]] 일러스트''' || [[코에이]]의 [[푸른 늑대와 흰 사슴]] 시리즈에 등장한다. 능력치는 정치 73, 전투 64, 지모 78 내정 특기는 농업과 외교를 가지고 있다. [각주] [[분류:몽골 제국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