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국무위원)] [include(틀:보건복지부장관)] ||<-2> [[파일:정부상징.svg|width=30]][br]{{{#!wiki style="margin: 10px 0px 7px"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width=150]]}}}'''大韓民國 保健福祉部長官'''[br]'''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br]of the Republic of Kore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규홍|[[파일:조규홍 내정자.jpg|width=100%]]]]}}} || || '''현직''' ||[[조규홍]] {{{-2 / 제55대}}} || || '''취임일''' ||[[2022년]] [[10월 4일]]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건복지부]]의 장관. 과거에는 크게 [[요직]]이라 볼 수 없었지만[* 다만, 군부정권 시절에는 법이고 뭐고 없었는지 1961년 [[http://www.hani.co.kr/arti/PRINT/778824.html|장덕승 보건사회부 장관은 직접 걸인과 부랑아를 국토건설 사업에 동원하겠다]]고 했다. 한국합심자활개척단 등의 이름을 만들어 실제로 마구잡이로 잡아다가 강제로 황무지 개간 등을 시키는 행태가 많았다.] 복지 업무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집행하는 예산도 점차 많아지고 있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으로 인해 보건 행정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어서 보건복지부와 그 장관의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직제상 보건복지부 장관은 제1차장을 맡고 있다. 본부장은 [[국무총리]]가 맡고 제2차장은 [[행정안전부장관]]이 맡고 있다.] 다른 부처들처럼 정치인이 장관으로 기용되는 경우는 수두룩하지만 국민의 정부기의 김성호 등과 같은 재무관료나 문민정부기의 최광 등과 같이 경제학자를 임명하는 사례도 있고, 보건산업 진흥에 포인트 맞춰 이명박 정부의 [[임채민(1958)|임채민]] 장관과 같이 산업부 출신을 임명하기도 하고, 산하 기관인 [[국민연금공단]]의 기금운용규모가 갈수록 커짐에 따라 [[문형표]] 등과 같은 연금 전문가가 장관으로 기용되기도 한다. 의료인 출신들이 임명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의사 혹은 간호사 출신들이며, 약사 출신 장관으로 노태우 정부의 [[김정수(1937)|김정수]] 장관이 있다.[* [[김승희]]가 윤석열 정부의 장관 후보자로 지명받았으나 자진 사퇴하였다.] 약사 또는 약학 연구자 출신들은 보건복지부 장관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구.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쪽으로 빠지는 편이다.[* 참여정부의 김정숙 식약청장이 약학 학사-생화학 석사-약제학 박사에 이은 한국한의학연구원 경력 등으로 청장을 역임한 사례가 있고, 이명박 정부 충북대학교 약학대학장을 지낸 [[윤여표]]가 식약청장이 되기도 했으며, 문재인 정부의 [[류영진]] 식약처장은 개국 약사(대한약사회 부회장 경력) 출신, 문재인 정부의 [[이의경]] 처장과 윤석열 정부의 [[오유경]] 처장은 약학 교수 출신이다.] * [[http://egloos.zum.com/badoc/v/5296440|의사 출신]]으로 보건부 시절 구영숙[* 여자 이름 같지만 남자다.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249|한국 최초의 소아과의사]]라고 한다.], 오한영, [[최재유(1906)|최재유]] 장관이 있었고, 보건사회부 시절에는 노태우 정부 권이혁, [[문태준]] 장관, 김영삼 정부 박양실 장관 등이 있었으며, 보건복지부 시절에는 김대중 정부 [[주양자]] 장관, 박근혜 정부 [[정진엽]] 장관 등이 있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정호영]]이 장관 지명까지는 받았으나 청문회에서 낙마하였다. * 간호사 출신으로는 국민의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에 임명된 [[김모임]], 참여정부에서 임명된 [[김화중]] 등이 있다. [* 김모임, 김화중의 경우 각각 전현직 국회의원 출신이었다. 간호사 출신이라기보다는 현역의원을 임명했다고 보는 편이 맞을지도 모른다] 역대 보건복지계열 부처 [[여성]] 장관은 총 8명으로, 전통적으로 [[환경부]]와 더불어 여성 장관들이 많이 임명되었다. 다만 부처 끗발이 약해 장관 중 말석으로 여겨지는 환경부와는 달리 [[국민연금공단]]과 점차 예산이 확대되는 복지 분야를 들고 있기 때문에 장관 중에서는 중상위권으로 위상이 낮지 않은 편이다. 보건복지부 관료 출신의 내부 승진은 드문 편이다. 국민의 정부의 [[최선정]][* 사회복지정책실장, 차관 역임] 장관에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 [[권덕철]] 장관[* 보건의료정책실장, 기획조정실장, 차관 역임]이 20년 만에 발탁되었다. 윤석열 정부에서 제1차관 [[조규홍]]이 장관 후보자로 지명받았으나, 차관 임명 이전에는 [[기획재정부]]에서 공직 생활 대부분을 보냈기 때문에 내부 승진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 역대 장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사회부 || 보건부 ||<|4> || ||<-2> ↓ || ||<-2> 보건사회부 || ||<-2> ↓ || ||<-2> 보건복지부 || 여성가족부[br](가족 관련 사무) || ||<-2> ↓ || ↓ || ||<-3> 보건복지가족부 || ||<-3> ↓ || ||<-2> '''보건복지부''' || '''여성가족부''' ||}}} === 사회부 / 보건부 === ==== 사회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5>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 초대 || [[전진한]](錢鎭漢) || 1948년 8월 1일~1948년 12월 24일 || || 2대 || [[이윤영]](李允榮) || 1948년 12월 24일~1950년 11월 23일 || || 3대 || [[허정]](許政) || 1950년 11월 23일~1952년 1월 12일 || || 4대 || [[최창순]](崔昌順) || 1952년 1월 12일~1952년 10월 9일 || || 5대 || [[박술음]](朴術音) || 1952년 10월 9일~1955년 2월 16일 || ==== 보건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3>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 초대 || [[구영숙(1892)|구영숙]](具永淑) || 1948년 6월 4일~1950년 11월 26일 || || 2대 || [[오한영]](吳漢泳) || 1950년 11월 26일~1952년 2월 5일 || || 3대 || [[최재유(1906)|최재유]](崔在裕) || 1952년 2월 5일~1955년 2월 16일 || === 보건사회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3>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 초대 || [[최재유(1906)|최재유]](崔在裕) || 1955년 2월 17일~1956년 5월 26일 || || 2대 || [[정준모]](鄭準謨) || 1956년 5월 26일~1957년 6월 17일 || || 3대 || [[손창환(정치인)|손창환]](孫昌煥) || 1957년 6월 17일~1960년 4월 28일 || || [[허정|허정 과도내각]] || 4대 || [[김성진(1905)|김성진]](金晟鎭) || 1960년 4월 28일~1960년 8월 19일 || ||<|3>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 5대 || [[신현돈(정치인)|신현돈]](申鉉燉) || 1960년 8월 23일~1960년 9월 12일 || || 6대 || [[나용균]](羅容均) || 1960년 9월 12일~1961년 1월 29일 || || 7대 || [[김판술]](金判述) || 1961년 1월 30일~1961년 5월 18일 || ||<|2> [[국가재건최고회의]] || 8대 || [[장덕승]](張德昇) || 1961년 5월 20일~1961년 7월 6일 || || 9대 || [[정희섭]](鄭熙燮) || 1961년 7월 7일~1963년 12월 16일 || ||<|5>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 10대 || [[박주병]](朴柱秉) || 1963년 12월 17일~1964년 5월 11일 || || 11대 || [[오원선]](吳元善) || 1964년 5월 11일~1966년 4월 15일 || || 12대 || [[정희섭]](鄭熙燮) || 1966년 1월 15일~1969년 10월 21일 || || 13대 || [[김태동(1918)|김태동]](金泰東) || 1969년 10월 21일~1971년 6월 4일 || ||<|2> 14대 ||<|2> [[이경호(정치인)|이경호]](李坰鎬) ||<|2> 1971년 6월 4일~1973년 12월 3일 || ||<|6>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 || 15대 || [[고재필]](高在珌) || 1973년 12월 3일~1975년 12월 9일 || || 16대 || [[신현확]](申鉉碻) || 1975년 12월 9일~1978년 12월 22일 || || 17대 || [[홍성철]](洪性澈) || 1978년 12월 22일~1979년 12월 14일 || || 18대 || [[진의종]](陳懿鍾) || 1979년 12월 14일~1980년 9월 2일 || ||<|2> 19대 ||<|2> [[천명기(정치인)|천명기]](千命基) ||<|2> 1980년 9월 2일~1982년 5월 21일 || ||<|3>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 || 20대 || [[김정례]](金正禮) || 1982년 5월 21일~1985년 2월 19일 || || 21대 || [[이해원(1930)|이해원]](李海元) || 1985년 2월 19일~1988년 2월 25일 || ||<|5> [[노태우 정부]] || 22대 || [[권이혁]](權彛赫) || 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5일 || || 23대 || [[문태준]](文太俊) || 1988년 12월 5일~1989년 7월 19일 || || 24대 || [[김종인]](金鍾仁) || 1989년 7월 19일~1990년 3월 19일 || || 25대 || [[김정수(1937)|김정수]](金正秀) || 1990년 3월 19일~1991년 5월 26일 || || 26대 || [[안필준]](安弼濬) || 1991년 5월 27일~1993년 2월 25일 || ||<|3> [[문민정부]] || 27대 || [[박양실]](朴孃實) || 1993년 2월 25일~1993년 3월 7일 || || 28대 || [[송정숙]](宋貞淑) || 1993년 3월 8일~1993년 12월 21일 || || 29대 || [[서상목]](徐相穆) || 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2일 || === 보건복지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6> [[문민정부]] || 29대 || [[서상목]](徐相穆) || 1994년 12월 23일~1995년 5월 15일 || || 30대 || [[이성호(1938)|이성호]](李聖浩) || 1995년 5월 16일~1995년 12월 20일 || || 31대 || [[김양배]](金良培) || 1995년 12월 21일~1996년 8월 7일 || || 32대 || [[이성호(1938)|이성호]](李聖浩) || 1996년 8월 8일~1996년 11월 12일 || || 33대 || [[손학규]](孫鶴圭) || 1996년 11월 13일~1997년 8월 5일 || || 34대 || [[최광(1947)|최광]](崔洸) || 1997년 8월 6일~1998년 3월 2일 || ||<|7> [[국민의 정부]] || 35대 || [[주양자]](朱良子) || 1998년 3월 3일~1998년 4월 30일 || || 36대 || [[김모임]](金慕妊) || 1998년 5월 1일~1999년 5월 23일 || || 37대 || [[차흥봉]](車興奉) || 1999년 5월 24일~2000년 8월 6일 || || 38대 || [[최선정]](崔善政) || 2000년 8월 7일~2001년 3월 22일[* 보건복지부 출신 발탁] || || 39대 || [[김원길]](金元吉) || 2001년 3월 23일~2002년 1월 29일 || || 40대 || [[이태복]](李泰馥) || 2002년 1월 29일~2002년 7월 11일 || || 41대 || [[김성호(1946)|김성호]](金成豪) || 2002년 7월 11일~2003년 2월 27일 || ||<|4> [[참여정부]] || 42대 || [[김화중]](金花中) || 2003년 2월 27일~2004년 7월 1일 || || 43대 || [[김근태]](金槿泰) || 2004년 7월 1일~2006년 2월 10일 || || 44대 || [[유시민]](柳時敏) || 2006년 2월 10일~2007년 5월 22일 || || 45대 || [[변재진]](卞在進) || 2007년 5월 22일~ 2008년 2월 29일 || === 보건복지가족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2> [[이명박 정부]] || 46대 || [[김성이]](金聖二) || 2008년 03월 13일 ~ 2008년 08월 05일 || || 47대 || [[전재희]](全在姬) || 2008년 08월 06일 ~ 2010년 03월 18일 || === 보건복지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3> [[이명박 정부]] || 47대 || [[전재희]](全在姬) || 2010년 03월 19일 ~ 2010년 08월 29일 || || 48대 || [[진수희]](陳壽姬) || 2010년 08월 30일 ~ 2011년 09월 16일 || || 49대 || [[임채민(1958)|임채민]](林采民) || 2011년 09월 17일 ~ 2013년 03월 10일 || ||<|3> [[박근혜 정부]] || 50대 || [[진영(정치인)|진영]](陳永) || 2013년 03월 11일 ~ 2013년 09월 29일 || || 51대 || [[문형표]](文亨杓) || 2013년 12월 02일 ~ 2015년 08월 26일 || || 52대 || [[정진엽]](鄭鎭燁) || 2015년 08월 27일 ~ 2017년 07월 21일 || ||<|2> [[문재인 정부]] || 53대 || [[박능후]](朴凌厚) || 2017년 07월 22일 ~ 2020년 12월 23일 || || 54대 || [[권덕철]](權德喆) || 2020년 12월 24일 ~ 2022년 05월 25일 || ||<|1> [[윤석열 정부]] || 55대 || [[조규홍]](曺圭鴻) || 2022년 10월 04일 ~ 현재 || == 관련 문서 == * [[보건복지부]]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장)] ---- [include(틀:대한민국 국무회의의 배석)]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보건복지부, version=394)] [[분류:보건복지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