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병조판서]] [목차] == 개요 == 조선시대 [[육조|6]][[판서]](六判書) 중에 하나이며, 대사마(大司馬)라고도 한다. 정2품 [[당상관]]으로 [[병조]]의 수장으로 정이품(正二品)이며, 정원은 1원이다. 군사와 통신(파발을 담당하고, 역들을 관리) 담당하였으므로 현재의 [[국방부]]와 [[정보통신부]] 장관 역할을 수행했다. 아래로 병조참판(兵曹參判: 종이품), 병조참의(兵曹參議: 정상품 당상), 병조참지(兵曹參知: 정삼품 당상)가 각 1원, 병조정랑(兵曹正郞: 정오품), 병조좌랑(兵曹佐郞: 정육품)이 각 4원이 있다. == 상세 == 병조 아래에 무선사(武選司),[* 무관의 인사, [[무과]] 시험을 담당] 승여사(乘輿司),[* [[역참]]을 담당] 무비사(武備司)[* 병사와 병기의 관리, 훈련을 담당]의 3개 사를 두어 일을 분담시켰다. 이 속사(屬司)에는 정5품의 정랑(正郞)과 좌랑(佐郞) 등을 4명씩 두어 일을 맡아보게 하였는데, 중대사에는 판서와 참판, 참의 등이 직접 간여하였다. 육조의 서열은 1418년까지는 이-병-호-예-형-공조의 순이어서, 병조가 이조 다음인 제2서열이었는데, [[세종(조선)|세종]] 즉위 이후 이-호-예-병-형-공조로 조정되어 예조 아래인 제4서열 순위가 되었다. 병조판서는 병권을 쥐는 자리인 만큼, 외척이나 공신 등을 비롯한 권신들이 많이 맡기도 했으며 무관 출신들도 병조판서 자리를 많이 맡기도 했다. 그 외에도 국왕의 측근들이나 외척, 공신들의 측근들이나 권신들의 측근들이나 정권을 쥔 당파의 핵심인사들도 병조판서를 많이 맡았다. 정권 보위의 핵심보직이었던 만큼 [[계유정난]] 당시 병조판서 조극관은 궁궐에서 좌찬성 이양, 영의정 황보인과 함께 반란군에게 살해당했고 [[김종서(조선)|김종서]], [[황보인]]에 버금갈 정도로 집안이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병조판서 자리에 올랐다고 병권을 장악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명색이 [[군정권]]자이자 평시 [[군령권]]자지만, [[도체찰사]], [[체찰사]], [[도원수]]를 비롯한 실권자들이 많아 전시에 실병력 지휘권은 없다시피 했다. 임진왜란 시기의 병조판서 [[이항복]]은 [[도원수]] [[권율]]의 사위였고 실제 군령은 남부 [[도체찰사]] [[이원익]]이 내렸기 때문에 북부 [[도체찰사]] [[유성룡]]과 함께 후방지원에 전념했다.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이후 평시 군령권도 [[비변사]]에게 빼앗겨 버렸기에 명목상 하급자[* 둘 다 똑같이 '''정2품이다.''']인 [[오군영]]의 각 대장간의 서열관계도 애매해지게 된다. 병조판서와 각 군영의 대장들이 모두 비변사의 당상이었기 때문이다. 영조 대의 무관 구선행은 병조판서를 지낸 뒤 금위대장이 된 사례도 있다. 병조판서 역시 삼정승([[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으로 갈 수 있는 주요 길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