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3> '''{{{+2 별내역}}}'''[br](삼육대학교) || ||<-3> [[수도권 전철 경춘선|[[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30]]]] || ||<|2> [[청량리역|{{{-1 {{{#585858,#a7a7a7 청량리 방면}}}}}}]][br][[갈매역|갈 매]][br]← 1.4 ㎞ || [[수도권 전철 경춘선|{{{-1 {{{#ffffff 경춘선[br](P124)}}}}}}]] ||<|2> [[춘천역|{{{-1 {{{#585858,#a7a7a7 춘천 방면}}}}}}]][br][[퇴계원역|퇴계원]][br]1.6 ㎞ → || || [[수도권 전철 경춘선|{{{-1 {{{#ffffff 경춘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급행'''}}}}}}}}}}}}]]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3> {{{+2 '''별내역'''}}} || ||<-3> [[서울 지하철 8호선|[[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30]]]]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파일:GreatTraineXpress_B.svg|width=30]]]] || || --[[인천대입구역|{{{-1 {{{#585858,#a7a7a7 인천대입구 방면}}}}}}]][br][[상봉역(GTX)|상 봉]]--[br]← 6.7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1 {{{#ffffff GTX-B[br](착공 예정)}}}}}}]] || --[[마석역|{{{-1 {{{#585858,#a7a7a7 마석 방면}}}}}}]][br][[왕숙역|왕 숙]]--[br]3.3 ㎞ → || || {{{#!html
시종착}}}[*A 차후 [[별내별가람역]] 방향 연장 예정] || [[서울 지하철 8호선|{{{-1 {{{#ffffff 8호선[br](804)[br](미개통)}}}}}}]] || [[모란역|{{{-1 {{{#585858,#a7a7a7 모란 방면}}}}}}]][br]--[[다산역|다 산]]--[br]3.1 ㎞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춘선 별내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Byeollae || || [[한자]] ||<-2> 別內 || || [[간체자]] ||<-2> 别内 || || [[가나(문자)|가나]] ||<-2> [ruby(別内, ruby=ピョルネ)][* 과거에 잘못된 표기인 ピョルレ로 표기하고 있었으나 표기법에 맞게 ピョルネ로 수정됐다. [[https://imgur.com/a/BTfVTsa|별내역 표기 관련 코레일 답변]]] || ||<-3> '''주소''' || ||<-3>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북로]] 375[br]([[별내동]] 182-5)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 ([[업무분담역|위탁역]])[br]([[춘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 [[경춘선]] ||<-2> [[한국철도공사]] || || --[[별내선|{{{#ffffff 별내선}}}]]-- ||<-2> 미정 || ||<-3> '''개업일''' || || [[경춘선]] ||<-2><|2> 2012년 12월 15일 || || [[수도권 전철 경춘선|{{{#ffffff 경춘선}}}]] || || --[[별내선|{{{#ffffff 별내선}}}]]-- ||<-2><|2> 2024년 6월 29일 예정 || || --[[수도권 전철 8호선|{{{#ffffff 8호선}}}]]--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5 (차후 쌍섬식으로 변경 예정)}}} || ||<-3> '''철도거리표''' || || [[망우역|{{{-1 {{{#585858,#a7a7a7 망우 방면}}}}}}]][br][[갈매역|갈 매]][br]← 1.4 ㎞ || '''[[경춘선]]'''[br]별 내 || [[춘천역|{{{-1 {{{#585858,#a7a7a7 춘천 방면}}}}}}]][br][[퇴계원역|퇴계원]][br]1.6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미개통 노선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 [[암사역|{{{-1 {{{#585858,#a7a7a7 암사 방면}}}}}}]][br]--[[다산역|다 산]]--[br]← 3.1 ㎞ || --'''[[별내선|{{{#e6186c ⑧ 별내선}}}]]'''[br]별 내--[br]{{{#red (미개통)}}} || {{{#!html
종점}}}[*A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yeollae.jpg|width=100%]]}}} || || '''현 역사(2012년 개업, 2013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IMG_2202.jpg|width=100%]]}}} || || {{{#fff '''공사 중이었던 승강장'''}}} || >'''주민 편의를 위해 탄생한 경춘선 신설역사, 별비면과 내동면의 첫 글자가 합쳐진 이름''' >별내역은 2012년 12월 15일 영업을 개시한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2013년 4월 현재의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당초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했으나 2014년 8월 무배치간이역으로 전환되었다. 기존 경춘선의 역사가 아니라 긴 역 간 거리를 보완하고, 인근 별내동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탄생한 신설역사로 이를 통해 서울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별내역 역명은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일대는 조선시대에는 양주군 별비면과 내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별비면과 내동면에서 한 글자씩을 따서 별내(別內)라 부르게 되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 [[수도권 전철 경춘선]] P124번.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북로]] 375 ([[별내동]] 182-5) 소재. 부역명은 '''[[삼육대학교]]'''이다. 원래 이 역은 가평관리역 휘하의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했으나, 2014년 8월 1일에 개정된 열차 운전 시행 세칙에 따라 무배치간이역으로 전환되었다. 다만 코레일네트웍스 직원이 상주하고 있어 완전한 무인은 아니다. 현재는 노선 끄트머리의 [[춘천역]]이 이 역을 관리한다. == 역 정보 == 원래 [[경춘선]] 복선전철화 계획에는 없는 역이었으나, [[별내신도시]]를 지으면서 새로 생긴 역이다. [[2024년]] [[6월 29일]]에 [[서울 지하철 8호선|수도권 전철 8호선]]의 연장 구간인 [[별내선]]이 이 역까지 연장될 예정이고, 11년 6개월 만에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파일:별내역8호선.jpg|width=500]] || || 8호선 별내역 조감도 || [[신내역]]과 마찬가지로 대피선이 없으며 [[2012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공덕역]] 구간 개통 당일에 개업했다. 개통 초기에는 [[선개통 후완공]]의 이유로 비판을 받았다. 현재의 역사는 2013년 4월에 완공되었다. 신설 노선이나 역이 채 완공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조기 개통시키는 [[선개통 후완공]]이라는 관행이 이 역에서 절정을 이루었는데, 실제로 아직 미완성된 티가 너무 심하게 나는데도 최소한의 설비만 갖추고 개통시킨 탓에 이용객들의 불만이 많았다고 한다.[*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825936|「경기 남양주시 별내역, 선로와 개찰구만 있으면 이용가능?」]], 중부일보, 2012-12-18][*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282079|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출구는 2개가 있지만, 그중 1번 출구에 있는 선로는 군용 선로가 바로 보이는 곳이기도 하고 나가도 [[수도권 전철 8호선|8호선]] 별내선 연장 구간 공사장이 있을 뿐이기 때문에 개방할 수 없다(셔터를 닫아놨다). 군용 선로는 [[퇴계원역|퇴계원]]-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간 舊 경춘선의 일부이다. 이 중에서 퇴계원역 - [[5군수지원여단|85정비대대 갈매소대]]까지만 지선으로 남아서 쓰이고 나머지 구간은 전부 폐선되었다. 따라서 별내역을 이용하려면 2번 출구로만 출입해야 한다. 원래는 구 경춘선 선로를 완전히 폐선하고 그쪽으로도 택지 개발을 하려고 했으나 [[별내신도시]] 반대편 택지개발이 무산되고 [[폐선]]을 하지 못한 탓이다. 이쪽 별내역 남측이 택지개발에서 제외되었기에 [[별내신도시]]와 [[다산신도시]] 간에 연담화가 되지 못한다는데 고속도로로 단절되어 있다. 원래 군부대를 치우고 나서 고속도로 밑으로 일반 도로를 내서 연담화시키는 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갈매역]]에서 [[성북역]](現 광운대역)으로 이어지는 구간은 이미 폐선되었는데 갈매역에서 [[퇴계원역]] 구간이 남은 것이다. 별내역 설계 때는 경춘선 선로가 폐선될 것을 가정하고 설계를 했다는 뜻이 된다. 1번 출구 가까이에 [[남양주 버스 115|115]], [[남양주 버스 707|707]]번 버스가 정차하는 주을래마을 정류소와도 연계할 수 없다. 다만 해당 부대가 2018년부로 이전하였고, 8호선 출입구가 생기면 이 문제는 해결될 전망이다. 이때 쯤이면 주을래마을 자체가 이미 십수년 전에 없어진 만큼 정류장 이름이 별내역 N번 출구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 별내역을 경유하는 일부 버스는 버스 내 노선안내도에 승객들이 무조건 이용할 수밖에 없는 "별내역 2번출구" 대신 셔터로 닫아 이용할 수 없는 "별내역 1번출구"로 잘못 표기했으나 지금은 수정되었다. 원래 [[갈매역]]에 있던 [[삼육대학교]] 부역명이 이 역에 붙었다. 그리고 퇴계원터널이 개통되자 삼육대 앞에 가는 [[남양주 버스 73]]번이 이 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가 예타를 통과하며 노선 정차역으로 확정되었다. 하지만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와 경춘선 출입문 배열이 달라져서 스크린도어를 철거 후 다시 설치하거나 승강장을 쌍섬식으로 뜯어고쳐야 하는 등 복잡한 문제가 생겼다. KDI에서 2019년 10월 발표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GTX열차를 정차시키기 위해 약 300억 가량을 들여 부본선을 설치, 즉 쌍섬식으로 고치는 역사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고, 같은 경춘선 내 GTX-B 역사인 평내호평역과 마석역은 이미 부본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왕숙역은 미개통 역이니만큼 역사 공사시에 부본선이 함께 건축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GTX-B의 경춘선 구간은 철도를 공유하므로 GTX 건설에 따른 추가비용이 없다는 얘기는 엄밀히 말해 틀린 말이다. 사실 이외에도 기존 경춘선 4개 역사에 총 340억 가량을 들여 환승 게이트의 설치 등이 계획되어 있다. 현재는 도시 최남단 위치, 상봉역을 종착으로 둔 경춘선의 한계, 긴 배차간격 등으로 배후 인구에 비해 이용객이 크지 않은 편이나 8호선 개통 및 장차 GTX 개통 후에는 환승역으로서 상당히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이는 역이다. 상술된 GTX 예타보고서에 따르면 송도 → 마석 방향의 하차와 마석 → 송도 방향의 승차에서 모두 GTX 전체 역사를 통틀어 3위 안에 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의·중앙선 [[운정역]]의 경우 신도시 외곽에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며, 노선 특성 상 배차간격과 정시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선 경춘선과 유사한 점이 있으나 도심으로 직결되어 도심접근성이 우수한 경의중앙선과 달리 경춘선은 상봉역에서 끊긴다는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다. == 역 주변 정보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IC]] 바로 옆에 있다. 고속도로 퇴계원IC를 지나가다 보면 별내역이 바로 옆에 달라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별내역 조명때문에 주간보다 야간이 더 잘 보인다. [[별내IC]]에서는 [[별내별가람역]]이 가깝다. 별내역 남쪽으로 [[47번 국도]]가 지나간다. 별내역은 [[별내신도시]]의 대표역이지만 주거 지역과는 약간 멀다. 역세권 500m 내에는 아이파크스위트, 힐스테이트스테이원, 아직 미입주한 자이더스타 정도가 있으며 도보가능권인 반경 1km 정도로 넓혀도 6~7개 정도 단지가 전부라 이용객 대부분 버스를 이용한다. 그래도 신도시로 도로사정이 좋고 4호선 연장 개통으로 두 역을 잇는 버스 노선이 확충되어 있다. 이 곳은 신도시 정중앙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민자사업]] 구간이 관통하기 때문에 도시계획에 지장이 매우 크다. 바로 앞에 [[이마트 별내점]]과 상가단지가 원래 있었고 2021년 아이파크와(롯데시네마도 같이 들어옴) 힐스테이트가 완공되어 들어오면서 한산했던 별내역 부근이 많이 채워졌다. 거기에 역 앞 대형 상업부지가 자이타운으로 개발되면서 2023년 말부터 2026년까지 차례로 고층 아파트와 상업시설이 차례로 입주할 예정이다. 바로 옆 역들인 [[갈매역]], [[퇴계원역]]과 함께 버스 이용도 좋지 않다. 그래도 계속된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여서 버스 노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시내버스 73, 81, 169, 땡큐30, 땡큐50번과 마을버스 33, 80, 83, 84, 85, 85-1 땡큐20번이 정차한다. 갈매를 경유하거나 목적지로 하는 83, 169번은 별내역에 정차하기 위해 노선이 뺑뺑 돌며, 또한 85-1번은 별내역에서 회차하여 다시 별내별가람역 방면으로 가기 때문에 별내역 바로 앞의 정류소에만 정차하며, 이마트 앞에는 서지 않는다. 물론 대부분 배차간격이 길고 그나마 배차가 잦은 마을버스 80이나 85, 남양주시 공영버스인 땡큐버스를 이용하는 게 좋다. 시내버스는 주로 청량리역(169), 석계역(115)으로 가는 노선들인데, 대부분 배차 간격이 길고 20년도 이후로는 코로나 영향을 직격으로 받아 보기도 어렵다. 공항버스인 8844번도 코로나 19 이전에는 정차했으나 현재는 무기한 운행이 중단되었다. 부역명이 [[삼육대학교]]이다. 다만 이곳을 통해 등교하는 삼육대생은 조금뿐이다. 별내역을 통해서 학교로 갈 경우 이 역에서 도보로 삼육대를 가면, 후문까지 20분이 걸리고 정문까지는 30분이 걸린다. 후문까지 가는 버스도 77번이 땡큐20번으로 바뀌며 사라졌고, 73번은 갈 수록 배차 간격이 늘어나며 83번은 하루에 몇 대만 다닌다. 그나마 33번 신규노선이 생겼지만, 전적으로 연계 버스노선이 부실하여 [[이수역|총신대]]만큼이나 부역명이 괴이하다. 삼육대를 대중교통을 이용해 방문하려면, 퇴계원역에서 [[남양주 버스 115|115번]]을 타거나, 서울로 가서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화랑대역]]에서 내린 뒤 상술한 115번을 비롯하여 [[서울 버스 202|202]], [[서울 버스 1155|1155]], [[서울 버스 2212|2212]], [[남양주 버스 82|82번]] 버스를 탄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삼육대생은 거의 이 버스들을 탄다. 또한 1155번, 115번의 경우 [[석계역]]과 [[태릉입구역]]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경춘선|[[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2년 || 722명 || [*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3년 || 1,973명 || || || 2014년 || 3,428명 || || || 2015년 || 4,150명 || || || 2016년 || 4,651명 || || || 2017년 || 4,889명 || || || 2018년 || 4,858명 || || || 2019년 || 5,218명 || || || 2020년 || 4,215명 || || || 2021년 || 5,033명 || || || 2022년 || {{{#178c72 5,646명}}} || || ||<-3> {{{#ffffff '''출처'''}}} || ||<-3>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10224927&id=www_020203020000|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2022년 기준 별내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5,646명으로, 경춘선 전체로 봤을 때 [[평내호평역]], [[마석역]], [[퇴계원역]] 다음인 4위로 적지만은 않은 수요를 보이고 있으나, 경춘선이라는 노선의 한계로 인해 별내동의 교통 수요가 [[화랑대역]] 방향으로 가는 [[서울 버스 1155|1155번]], [[서울 버스 202|202번]] 등의 버스 노선으로 분산되어 있어 별내신도시 전체의 수요를 온전히 흡수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개통 4년 차인 2016년 이후로는 승객 증가율이 눈에 띄게 감소하여 2015년에 4천 명을 돌파한 이후로 하루 이용객이 5천 명 대에서 머물고 있는데, 이유는 별내신도시의 입주가 대부분 끝나 별내동 인구 증가율이 더뎌졌기 때문이다. 다만 역 근처 상업지구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고 추후 8호선과 GTX 노선이 개통할 예정이라 미래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 주 수요층이 경춘선을 이용하는 주민들로 한정되어 있기에 2022년 이 역과 직경으로 약 2.8km 거리에 4호선 [[별내별가람역]]이 개통한 이후에도 이 역은 [[사릉역]]과 다르게 큰 타격을 받지 않았다. ==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 [[파일:attachment/Byeollaeg.jpg|width=500]] || || 스크린도어 설치 전 별내역 승강장 || ||<-4> ↑ [[갈매역|갈매]] || || {{{#ffffff 2}}} || ㅣ || ㅣ || {{{#ffffff 1}}} || ||<-4> [[퇴계원역|퇴계원]] ↓ || || {{{#ffffff 1}}} ||<|2>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춘선]] ||[[평내호평역|평내호평]]·[[가평역|가평]]·[[춘천역|춘천]] 방면|| || {{{#ffffff 2}}} ||[[신내역|신내]]·[[망우역|망우]]·[[상봉역|상봉]] 방면|| 2018년 2월 기준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이 역은 퇴계원 방면으로 8퍼밀 내리막이 있다. 아울러 GTX가 개통될 때를 대비해서 부본선을 설치해 쌍섬식으로 만들 예정이다. === [[서울 지하철 8호선]] === [include(틀:미개통)] || [[파일:별내역승강장.jpg|width=500]] || || 8호선 별내역 승강장 (예정) || 이 역도 [[구리역]]과 마찬가지로 [[상대식 승강장]]으로 건설된다. ||<-4> 당역종착[*A]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다산역|다산]]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당역종착[*A]|| || {{{#ffffff 하}}} ||[[구리역|구리]]·[[잠실역|잠실]]·[[문정역|문정]]·[[복정역|복정]]·[[남한산성입구역|남한산성입구]]·[[모란역|모란]] 방면|| == 연계 교통 == *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시내버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c3c6c8 '''별내역2번출구.환승센터(49447) | 별내역2번출구.이마트(49448)'''}}}}}} {{{#!wiki style="text-align: left"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별 노선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4> || ||<-2> '''별내역2번출구.환승센터(49447)'''[br]별내상업지구 {{{-1 (퇴계원)}}} 방면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1|{{{#ffffff 81{{{-2 (별가람고→식송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1|{{{#ffffff 81{{{-2 (식송마을→별가람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30|{{{#ffffff 땡큐30{{{-2 (금곡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e8ea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50|{{{#ffffff 땡큐50{{{-2 (금곡동)}}}}}}]]}}} || || [[마을버스|{{{#ffffff '''마을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0|{{{#ffffff 80{{{-2 (양지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5-1|{{{#ffffff 85-1{{{-2 (당고개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e8ea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20|{{{#ffffff 땡큐20{{{-2 (금곡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e8ea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85|{{{#ffffff 땡큐85{{{-2 (별내하우스토리)}}}}}}]]}}} || || [[공항버스|{{{#ffffff ~~'''공항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8844|{{{#ffffff 8844{{{-2 (광릉내)}}}}}}]]}}} || ||<-4> || ||<-2> '''별내역2번출구.이마트(49448)'''[br]메가볼시티 {{{-1 (서울)}}} 방면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1|{{{#ffffff 81{{{-2 (식송마을→별가람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30|{{{#ffffff 땡큐30{{{-2 (청학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e8ea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50|{{{#ffffff 땡큐50{{{-2 (에코랜드수영장)}}}}}}]]}}} || || [[마을버스|{{{#ffffff '''마을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0|{{{#ffffff 80{{{-2 (별내별가람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e8ea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20|{{{#ffffff 땡큐20{{{-2 (별내별가람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e8ea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땡큐85|{{{#ffffff 땡큐85{{{-2 (별내별가람역)}}}}}}]]}}} || || [[공항버스|{{{#ffffff ~~'''공항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8844|{{{#ffffff 8844{{{-2 (김포공항/인천공항)}}}}}}]]}}} || }}}}}}}}} ||}}}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춘선의 역 목록)] [[분류:201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24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남양주시의 도시철도역]][[분류:경춘선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경춘선]][[분류:별내선]][[분류: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