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1 [[變]][[身]]/[[変]][[身]]}}} 몸이나 마음 따위가 바뀌는 것. 형태가 뒤틀리는 [[변형]]이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바뀌는 [[상태변화]]와는 상당히 다르다. 또한 도구를 사용해 외모나 복장을 바꾸는 [[변장]]과도 차이가 있다. 변신은 초능력을 통해서 몸이나 마음이 변하는 것이다. == 영상매체에서의 변신 == [[슈퍼로봇]]물, [[마법소녀물]]이나 [[특촬물]]에서[* 특히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긴 시간을 이용하면서 탈의, 변형, [[합체]] 등을 하는 행동의 총칭. 이 작품들은 주로 적과 싸우는 내용이며 적과 싸우기 전에 전투준비를 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뒤집어 말하면 안 변신하면 제대로 못 싸우는 일이 많고, 이걸 전개 상의 위기로 써먹기도 한다. 보통은 화려한 연출을 넣어서 [[뱅크신]]으로 자주 등장시킨다. 일본 [[소년만화]]에서는 주로 주인공의 파워업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뱅크신으로 자주 써먹다 보니 배경은 어느 장면에 넣어도 이상하지 않게 추상적이지만 화려한 공간(...)으로 처리하고 각종 장비를 장착하거나 의상이 바뀌는 것을 부위별로 자세히 보여주고 마지막에 폼나게 자세 잡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가면라이더 시리즈]]는 배경이 변하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변신하는 경우가 더 많다. 배경이 변하는 변신은 [[슈퍼전대 시리즈]]. 변신할 때에 포즈를 잡는 것은 [[가면라이더(초대)|초대 가면라이더]]가 원조이며, 이는 체내에 내장된 스위치를 가동하는 행동이라고 한다.[* [[가면라이더 스피리츠]]에서 [[타키 카즈야]]의 발언.] 이때 [[결정 대사|캐치프레이즈 식의 멘트]]를 치기도 한다. 원래 변신이라고 하면 일본 쪽에서는 울트라맨, 가면라이더, 슈퍼전대의 슈트를 입는다는 이미지가 강했으나 [[드래곤볼]]의 [[초사이어인]] 이후로는 [[색놀이|염색만으로도]](...) 변신한다는 이미지를 박아넣을 수 있게 되었으며, 지금은 '변신'이라고 하면 아주 폭넓은 의미로 쓰인다. 또 일본에선 '변신'이라는 말이 [[SD]], [[롤플레잉 게임#s-5|RPG]][* 단, 일본어 표기인 「ロープレイングゲーム」는 사정이 조금 다름.]와 마찬가지로 [[반다이]]의 상표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반다이가 스폰서가 아닌 [[특촬물]]에선 '변신'이란 구호를 쓸 수가 없다.[* 특이하게 같은 스폰서를 받고 있는 '''[[슈퍼전대 시리즈]]'''도 '변신'이라는 구호를 쓸 수 없다. 슈퍼전대는 매번 새로운 전대가 나올 때마다 변신 구호가 바뀐다. 아무래도 가면라이더와 정체성이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듯.] 그러나 반다이의 변신구호 상표등록은 '''특촬물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은 '변신' 구호를 사용하는 작품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래서 가면라이더 패러디를 할 때 대놓고 '변신'이라고 해도 OK. 다만 [[타카노 핫세이]]가 감독을 맡은 특촬영화 '''HE-LOW'''에서는 [[키도 신지]] 역의 [[스가 타카마사]]와 [[타카야마 가무]] 역의 [[요시오카 타케시]]가 작중에서 직접 본인들이 맡은 작품에서 쓴 변신기를 들고 와 [[배우개그|변신구호를 외치려다가]] [[https://youtu.be/M_r78_2Cy-A|짤렸다]](...).][* 특촬물에만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아예 스폰서조차 다른 애니메이션인 [[비스트 워즈]] 시리즈의 일본어 더빙판에서는 변신 구호를 잘만 사용한다.] 또는 앞에 별도의 구호를 붙여 'XX변신'이라는 식으로 피해가기도 한다.[* [[초력전대 오렌쟈]]의 '초력변신', [[마법전대 마지렌쟈]]의 '마법변신', [[마탄전기 류켄도]]의 '격룡변신'등.] 영어권에서 이런 변신은 '[[http://powerlisting.wikia.com/wiki/Transformation|Transformation]]', 'Metamorphosis', 'Change', 'Morph', '[[http://powerlisting.wikia.com/wiki/Shapeshifting|Shapeshift]]'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마법소녀물]]을 포함한 애니매이션에서는 'Transformation'이나 작중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변신 구호 등으로 표기하며, [[특촬물]]에서는 'Morph'로 표기되는 등, 매체 장르별로 구분되게 표기한다. 특히 일본 매체의 경우 변신의 일본어 발음인 'Henshin'으로 표기할 때도 있다. [[파워레인저]] 시리즈에서는 유서 깊은 변신 구호인 'It's Morphin Time!'이 유명하다.[* 참고로 이 변신구호를 역으로 들여온 [[슈퍼전대]]가 있었으니, 바로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이다.] 로봇물의 경우 보통은 평범한 차량이나 일상용품, 생물 등의 형태로 평상시에 위장(?)하고 있다가 싸울 때만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것이 보통. 특촬물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일상복 차림에서 전투복으로 갈아입는 과정이 많다. 대부분의 캐릭터가 [[토니 스타크]]처럼 스스로 하이테크 파워슈트를 개발해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천재 부자가 아닌만큼 주로 휴대용 기기에 슈트를 (압축해서) 넣고 다니다가 필요해지면 즉시 휴대용 기기에서 파츠를 소환해서 즉시 장착하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로봇이 등장하는 특촬물에서는 [[슈트 액터]]가 로봇을 연기하기 때문에, 로봇의 변신 과정을 연출하는데 제약이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특촬물에서는 변신 과정과 슈트 액터의 연기를 별개로 촬영한다. [[코스프레]] 모임에서는 슈트 액터가 로봇 슈트를 입고 변신 과정을 연출하는 경우도 드물게나마 보인다. 다만, 이 경우에서도 [[다간]]처럼 비교적 단순한 변신 과정이 구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용자물의 [[오체분시]]처럼 신체의 분리, 합체가 필요한 변신 과정은 연출하기 어렵다. [[아이돌 데스 게임 TV]]에서는 등장인물인 텐노지 아야카가 로봇 슈트를 입은 상태에서 [[오체분시|이러한 변신 과정을]] 연출하기도 했다. 아예 형태가 바뀌는 로봇물이나 의상의 느낌이 완전히 달라지는 특촬물과는 달리 마법소녀물에서의 변신은 좀 애매한데, 연출이 제아무리 화려해도 따지고 보면 변신이 아니라 그냥 옷 갈아입고 화장하는 수준인 경우가 많다.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The MOVIE 1st]]의 오디오 코멘터리에서는 변신이란 용어에 대해서 "몸이 변하는 것도 아닌데?"라고 [[티아나 란스터]]가 지적하자 "마법소녀는 옷을 갈아입는 것만으로도 변신이야. [[불문율|그게 약속이라고]]!"라고 [[스바루 나카지마]]가 반박한다.(...) 대개 변신하지 않았을 때는 평범한 소녀였던 주인공들이 변신 후에는 마법소녀다운 초능력이나 마법, 초인적인 신체능력을 보이는 차이가 있다.[* 예외적인 케이스로 마법은 변신과 상관없이 쓸 수 있고 의상은 말 그대로 옷 갈아입기인 [[키노모토 사쿠라]] 같은 경우도 있다.] 덧붙여 어쩐지 얼굴은 크게 변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마법소녀가 변신하면 [[안면인식장애|주변 인물들은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부터 꽤 많이 지적받아온 부분이라 특별한 마법 때문에 알아보지 못한다는 설명을 덧붙이는 경우도 있고, 못 알아보는 것도 당연할 만큼 외양이 크게 바뀌는 경우도 있으며[* 본래는 어린이지만 변신하면 성인이 된다든지, 연령대가 변하는 건 아니지만 머리색이나 눈 색이 크게 바뀐다든지, 안경을 벗거나 가면을 쓰는 등 도구를 동원한다든지 등. 개그 성향이 강한 작품에서는 아예 성별이 바뀌기도 한다(...).] 아예 다들 잘만 알아보는 걸로 클리셰 비틀기를 시전하는 경우도 있다. [[마법소녀물]]에서는 변신할 때 긴 시간 동안 주인공의 [[노출]]이 이뤄지는 경우도 있다. [[요술공주 밍키 시리즈|요술공주 밍키]]에서 나오는 등과 엉덩이, [[큐티하니]]의 가슴,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의 [[전신]] [[실루엣]] 등이 유명하다. 이 때문에 악당이 공격을 하지 않는 이유는 주인공들의 노출을 구경하기 위한 것이라는 우스갯 소리도 있다.--그럼 여성 빌런들은 왜 공격을 안하는데-- 2000년대 이후의 마법소녀물은 [[프리큐어 시리즈]]같은 아동물에선 변신 장면의 노출을 극도로 피하거나, 아니면 작정하고 노출을 더 심하게 하여 [[서비스신]]처럼 활용하기도 한다. 물론 마법소녀물 밖에도 변신 장면을 써먹는 애니메이션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보자면, '''생물학적 변신'''을 보여주는 [[벤10]], [[수왕기]], [[애니모프]], [[요괴인간 벰]], [[프로토타입(게임)|프로토타입]] 등이 있다. 일본 밖의 마법소녀물의 경우는 한국의 [[쁘띠쁘띠 뮤즈]]와 이탈리아의 [[Winx Club]], [[W.I.T.C.H.]] 같은 것이 있다. 판타지 배경의 작품에서도 드래곤을 비롯한 비인간형 환상종이나 마물들이 인간 모습으로 변신하는 연출을 자주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몸이 밝은 빛으로 감싸지면서 마물의 형태가 인간 형태로 바뀐 뒤에 빛이 사라지면서 인간 모습이 되는 연출을 보여준다. 본모습에선 옷을 입지 않지만 인간의 모습에선 옷을 입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15~18세 관람가 작품에선 인간으로 변신했을 때도 벗고 있는 모습이 나오기도...-- 빛 대신에 '펑' 하는 효과음과 함께 하얀 연막을 터뜨리며 변신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인간의 모습에선 원래 모습의 흔적, 예를 들어 뿔이나 꼬리, 지느러미(?) 등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 [anchor(맹점)]맹점 === [youtube(_dQSLDo-7kg)] --현실--[* 위 영상은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세일러 문 S]] 90화,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세일러 스타즈|세일러 스타즈]] 등 많은 영상을 짜깁기한 것으로 공식이 아니다.] 이 변신은 꽤 길어서, 상당히 짧으면 1분 이내에서 길면 2~3분까지 걸린다. 대부분 누구나 다 나이를 먹고 생각해보면 '주인공들이 변신하고 있을 때 왜 악당들은 그걸 가만히 지켜보고만 있나?'라며 궁금해한 적이 있을 것이다. 대부분 변신장면은 [[뱅크신]]으로써 공들여 만들어져 멋지긴 한데 이것저것 다 천천히 보여주다보니 적의 공격에 굉장히 취약해보인다. 이런 부조리에도 불구하고 변신 장면을 안 넣으면 마법소녀 팬들과 특촬물 팬들이 위화감을 느끼기 때문에 계속 넣고 있다. 무엇보다 TV 애니메이션이나 특촬물은 거의 매 화마다 변신 장면을 뱅크신으로 넣음으로서 '''방영 시간을 때우는''' 용도로 쓰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변신 장면이 지나치게 긴 데 대한 변명들도 존재한다. 가령 방송 후반부나 너무 많은 수가 한꺼번에 변신하거나 변신 자체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장면 등에서는 변신을 짧게 편집해버리기도 하는데, 따라서 사실 변신이나 합체는 순식간에 이루어지지만 실제 방송에는 길게 늘려서 보여주는 경우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우주형사 갸반]]에서는 변신(증착)자체는 순식간에 이루어지지만, 천천히 다시 보여준다는 설정이다.[* 여기서 나오는 해설은 "어째서 변신 중에 공격을 하지 않는가?"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으로써 만들어졌다고 한다. 여담으로 [[해적전대 고카이저 VS 우주형사 갸반]]에서는 이 해설이 다시 나오면서 고카이저에게도 이 해설이 붙었다.][*해설 (갸반)'''우주형사 갸반이 컴뱃 슈트를 증착하는 시간은 그저 0.05초에 불과하다.'''[br](고카이쟈)'''해적전대 고카이쟈가 변신하는 시간도 그저 0.12초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렇게 천천히 보여주는 것도 그냥 입자가 몸에 모이면서 변신이 완료되는 것에 불과하다. 또 [[절대무적 라이징오]] 같은 경우에도 갓 라이징오가 등장한 이후에 학교에서 미리 라이징오로 합체하고 가는데, 순식간에 합체해서 날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때문에 [[합체 방해|이 시점을 노려 공격하는 경우]]도 있다. [[전설의 용자 다간]]의 악당 [[레드론]]의 경우 용자로봇들의 합체 시간을 계산해서 그 시간 이내에 공격을 가해 합체를 방해하는 전법을 써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도 했다. 전장으로 오던 다른 용자팀이 미리 합체하고 오는 바람에 소용없게 되어버렸지만... [[용자경찰 제이데커]]의 경우, 거대 판다 편에서 [[제이데커]]의 합체 중 [[데커드]]가 붙잡혀 굴욕을 맛보았다.(...) [[황금용자 골드란]]의 경우는 아예 지원 메카와 합체하러 가는 주인공기를 걷어차 날리고 [[월트란|자기]]가 대신 합체하는 기상천외한 작전도 등장한다. [[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의 패러디인 [[매너방위대]]의 악당들 역시 변신 도중에 공격하는 지능적인 행동을 보인다.[* 중간에, '설마, 5호기까지 다 할 작정이냐?'라고 한 걸 보면, 기다릴 마음이 아주 없었던 것 같지는 않다. 변신시간이 너무 길어서 그렇지...] 그 후의 매너방위대는 '''변신 장면을 편집하는 새로운 변신법을 보여주면서''' 변신물의 법칙을 가볍게 깔아뭉겠다.(…) [[파워레인저 레스큐]]는 1화부터 메가조드 합체를 시도하다가 적이 공격하고 그걸 반격하면서 합체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극장판에서도 데카 골드가 변신 도중 공격을 받아 변신이 풀린 적이 있었다. 더 재미있는 건 '''데카 골드의 변신 장면은 이게 전부였다는 것(...)''' 마법소녀물의 경우 [[공상과학세계 걸리버보이]]에선 히로인인 [[미스티(걸리버 보이)|미스티]]가 변신 도중에 악당들이 방해를 해서 변신 전의 옷이 사라지고 변신 후의 옷이 나타나는 도중에 변신이 중단되어버리는 바람에 알몸이 되어 본인은 물론 아군과 적군 모두 패닉에 빠지는 사태도 있었다(...). 이때 미스티가 악당에게 대놓고 "변신 때 공격하는 건 매너가 아니라는 거 몰라?!"라며 구박한다. 한국에 방송되었을 때에는 잘렸다고 한다. [[빨간망토 차차]]에서는 변신하는 동안 적이 뛰어와 칼을 내리치는데 이미 그 전에 변신이 끝나서 막는 연출이 있다. 이런 경우는 실제로는 초고속인가 싶어도 그럼 변신 중에 이 사람들은 어떻게 그렇게 빨리 움직이느냐는 의문점이 제기될 수 있다. 실제로 변신할 때 화려하게 자세 잡는 걸 초고속으로 돌려보면 많이 이상해 보이지 않겠는가... 일부 히어로물이나 마법소녀물에서는 주인공들이 악당 앞에서 변신하는 게 아니라 자기 방 안이나 공중 화장실 등 사람들의 눈에 잘 안띄는 장소에 숨은 다음에 변신을 미리 끝내고 악당 앞에 나타나기도 한다. 일부 특촬물에선 변신 시 씌워지는 CG가 공격을 튕겨내는 일종의 방어막 역할을 한다는 설정이 있어 변신할 때 때려봤자 소용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서 많이 보이는 패턴이다.[*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블레이드]]의 경우 앞에 나타나는 카드 모양의 장막인 오리할콘 엘리먼트를 통과하면 변신되는데, 변신자가 아닌 인물이 이것에 닿으면 데미지를 입는다. 심지어 이걸 적극적으로 공격에 활용하는 장면까지 나온다. 오히려 괴인이 부숴버리는 경우도 있고. 그 외에도 [[캐스트 오프]]를 통해서 마스크드 폼의 중갑옷을 고속으로 발사해버리는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카부토]], 아머를 구성하는 과일이 날아다니며 적을 타격하는 [[가면라이더 가이무(가면라이더)|가이무]]나, 변신하는 순간 강렬한 열풍을 발산하여 주변을 전부 불태워버리는 [[가면라이더 아마존즈]]의 라이더들, 변신을 시작한 순간 이미 신체강화가 적용되어 한 손으로 트럭을 멈춰세우고 변신한 [[가면라이더 드라이브(가면라이더)|드라이브]] 등도 있다.] [[극장판]] [[디지몬 어드벤처]] [[우리들의 워 게임!]]에서는 [[인펠몬]]이 [[완전체(디지몬 시리즈)|완전체]]로 진화하던 중의 [[그레이몬]]과 [[캅테리몬]]을 요격해서 [[성장기]]로 퇴화시켜버리는 만행을 저지른 일례도 있다. 다른 예로 [[용자왕 가오가이가]]는 [[파이널 퓨전]] 도중 EM 토네이도 필드를 구축하며 합체하고 적의 공격을 튕겨내기도 한다. 다만 이런 경우는 그렇게 좋은 방어막을 왜 싸울 때는 안 쓰나? 하는 다른 의문이 생긴다.[* 가오가이가의 경우 EM 토네이도를 헬 앤드 헤븐 사용시 셋업 무브로 사용하기에 안 쓰는건 아니다. '''애초에 합체 상태에선 [[프로텍트 셰이드]]라는 훨씬 강력한 방어막을 사용한다.'''] 물론 화려한 뱅크신에 집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신을 빠르게 처리해버리는 작품들도 꽤 있다. [[캐나다]]의 '''우주 특공대 류'''인 [[Atomic Betty]]라던가, 변신물로 유명한 [[트랜스포머]] 역시 원작 만화에서는 몇 초 단위로 기가기가가각~ 하는 특유의 소리를 내며 빠르게 변신해버린다. [[드래곤볼]]의 [[초사이어인]] 변신도 마찬가지.[* 그래도 첫 변신은 공들여 연출해준다.] 한 순간에 변신해버린다. [[슈퍼전대 시리즈]] 역시 초창기 작품들은 대부분 별도의 포즈나 변신 뱅크 없이 공중제비 한번 돌거나 가볍게 턴을 하는 것만으로 순식간에 변신이 이루어지는 패턴이 많았다. 또 초반 얼마 정도에만 이런 화려한 연출을 보여주고 나중에는 그냥 빠르게 편집해버리는 경우도 꽤 있다. 트랜스포머 실사 영화도 처음에는 변신장면을 길게 보여줬으나 나중에는 그냥 슥삭슥삭 변신하는 것으로 넘기는 경우가 많다. [[볼트론: 전설의 수호자]] 같은 것도 비슷한 종류다. 슈퍼히어로 영화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나오기도 하는데, 전화 부스에 들어가서 순식간에 옷을 갈아입고 나오는 [[슈퍼맨]]의 변신 장면 역시 유명하다. 어차피 슈퍼맨 옷 안 입어도 능력은 그대로라서 엄밀히 말해서는 변신이라기보다는 위장이라고 해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원더우먼]]도 70년대 TV판의 경우 고향 밖에서는 변신해서 복장을 입어야 히어로의 힘을 갖는 방식이어서 미처 변신을 하지 못하고 적에게 당하거나 하는 식의 전개가 나오기도 했었지만 설정이 바뀌면서부터는 상관없어졌다. 여담으로 원더우먼 변신방법이 꽤 당시 유명했는데 초반에는 빙빙 돌면 변신 이후의 복장으로 돌고 있는 모습이 그냥 슬로모션으로 오버랩되는 연출이었지만 촬영이 번거로워서 빛 번쩍하면 변신 완료되는 단순한 형식으로 바뀌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일종의 변신이라 할 장면이 등장하는데, [[아이언맨]]이 유명하다. 엄밀하게 말하면 변신이라기보다는 장비 장착하는 것이지만, 연출상 다른 창작물들의 변신과 유사점이 많다. 초반인 1, 2까지는 화려하고 느린 연출을 보여주다가 어벤져스, 아이언맨 3 쯤부터는 슉슉 빠르게 진행된다. 이쪽은 장비 속도가 빨라질수록 토니 스타크의 기술력이 발전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시간 자체는 빨라져도 연출 자체의 임팩트는 변하지 않는 것이 독특한 점.[* 이후에는 나노 기술이 접목된 기술까지 쓴다. 이 기술은 [[앤트맨]] 때문에 사용했다고.] 네이버 토요웹툰인 [[어글리후드]]에서도 변신 능력을 가진 [[리지 니콜스|인물]]이 등장하는데 이 문단에서 지적한 사항을 풍자하려는 의도인지 변신하려고 준비하는 순간마다 적에게 당해 기절하거나, 장면이 전환된 탓에 처음 언급된 75화에서 무려 45주가 지난 120화에서 능력이 공개된다(...) === 기타 === [[재키찬 어드벤처]]에서 원숭이 부적으로 나온다. 문제는 동물, 물고기, 곤충, 절지동물으로만 변신하게 된다. 악당 랏소가 이 부적에 당해서 동물이 된다. [[큐티하니]] 플래시에서는 여주인공 [[키사라기 하니]]가 항상 나체를 선보이며 변신을 한다. 특히 33화에서는 큐티하니로 변신 도중 실패하는 장면이 나온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하니는 팬서 크로우 일당을 막기 위해 우주기지로 향했으나, 이는 팬서 크로우의 간부 시스터 질의 계략이었다. 이유는 즉 우주기지 안에는 등록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있는 방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하니는 그 방에서 평소처럼 변신을 시도했지만, 이때 바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가동되어 [[https://cdn.anisearch.com/images/anime/screen/1/1438/full/271519.jpg|하니의 모습은 큐티하니로 변했지만, 매번 변신마다 하니의 옷이 되어주는 꽃잎(?)들이 이 장치에 흡수되어 나체 상태가 되고 만 것이다.]] [[http://blog.livedoor.jp/ryonamoon/archives/1043495620.html|이후 잠시동안 시스터 질에게 나체 상태로 묶여 피가 날 정도로 베이며 패닉 비스무리한 상황에 놓인다.]] 그러나 시스터 질을 시기한 간부 프레디 크로의 방해로 전력이 끊겨 간신히 하니는 그 방을 탈출해서 다시 변신을 할 수 있었다. 이때 하니의 나체 모습은 가려져 있었고 나체 상태의 하니를 보며 눈이 하트 모양이 된 팬서 전투원의 표정은 덤.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의 좀비 모드와 [[서든어택]], [[AVA]]에서 등장하는 짝퉁 모드에서는 좀비(또는 감염자)에게 공격당하는 '''즉시''' 바로 좀비로 변신.(일부 모드 제외) 군인의 흔적 따윈 없다. 덕분에 일명 '''빛보다도 빠른 전우의 배신'''이라는 재미난(…) 상황이 종종 연출. 영화 감독 [[존 카펜터]]의 [[괴물]](원제 [[더 씽]])과 그 프리퀄 작품에 등장하는 괴물도 대중문화에서 '변신'하면 빼놓을 수 없는 유명세를 자랑한다. 문제는 유명한 이유가 영화 자체가 워낙 걸작인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변신할 때마다 [[혈액|피]]와 [[내장]]과 [[체액]](...)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2011년 만들어진 프리퀄은 변신 시의 묘사가 비교적 깔끔해졌다. 뭐 여전히 징그럽긴 하지만 82년도작보다는 훨씬 건전한(...) 연출. 심지어는 피도 전혀 튀지 않는다!!] 변신 시간의 길이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변신 장면이 길다 싶을 때는 어찌 손쓸 수 있는 상황이 아니거나 '''[[화염방사기]]가 꼭 고장나 있는 덕분에(...)''' 괴물은 안전하게(?) 변신. ~~그리고 영화 화면은 피칠갑.~~ [[화나]]의 '''악당수업'''이라는 곡에 의하면 '''상대가 변신할 때 딴 생각 말고 일단 패'''는 게 악당의 첫 번째 행동 강령이라고 한다. --어떤 명언이든 뒤에 변신을 붙이면 [[가면라이더 시리즈|가면라이더]]가 된다는 드립이 [[https://arca.live/b/singbung/39040270|유명하다]].----[[야마우치 사쿠라|이 캐릭터]]의 대사 뒤에 변신을 붙이면 [[아마존즈]]가 된다-- --[[매너방위대|옷갈아 입는건 변신이 아니다.]]-- ===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기술 중 하나.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변신(포켓몬스터))] === 관련 문서 === * [[변신 캐릭터]] * [[서비스신]] * [[뱅크신]] == 작품명 == === [[오비디우스]]의 [[서사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변신 이야기)] === 게임 === 일본 [[메이비 소프트]]에서 나온 에로게 제목. 2만 붙이면 후속작이 된다. === 상업지 === 상업지 작가 [[DA HOOTCH]]의 작품.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변신(상업지))] === [[국카스텐]]의 정규 2집 타이틀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RAME(국카스텐), 문단=4.1)] === 2019년작 한국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변신(영화))] === 소설 === ==== 체코의 소설가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변신(소설))] ==== 일본의 소설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 ====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8979196857_1.jpg]] 일본의 소설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의료 서스팬스 소설이다. 1991년 9월에 일본에서 출간되었고, 2005년 7월 대한민국에서 출간되었다. 작가의 작품 중에서도 비교적 빨리 번역된 작품[* 비밀, 백야행, 짝사랑, 레몬, 게임의 이름은 유괴에 이어 6번째로 번역되었다.]이다. 이후 절판되었다가 2019년에 ‘사소한 변화’라는 제목으로 재발매되었다. 방과 후(1985년작)로 화려하게 등단한 이후 [[비밀]](1998년작)과 [[백야행]](1999년작)으로 다시 인기를 얻기까지 10여년동안 별다른 수확없이 다작하던 시기가 있었는데, 그때 쓴 소설 중 하나며 <[[레몬(소설)#s-2|분신]]>(1993년작), <패럴랠 월드 러브 스토리>(1995년작)와 함께 '나' 시리즈 3부작 중 하나다. 사고로 뇌의 일부를 다른 몸으로 옮긴(뇌 이식 수술이라고 보면 된다.) 사람이 바뀌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다시 말해 기증자(도너)의 뇌에 의해 [[테세우스의 배|이식자의 인성이 점차 잠식되어 가는 것]]. 하필이면 이식한 뇌가 범죄자의 뇌였고, 그것을 당사자이자 주인공인 나루세 준이치에게 알리지도 않았다. 또한 뇌는 사후 몇 분~몇 시간 만에 신경이 죽어버리기 때문에 이식이 어려운 장기인데도 가슴에 총을 맞은 범죄자가 법적인 심정지 판정을 받기도 전에 개두 수술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의료 윤리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 듯 하다. 이 소설의 주제는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극중 인물이자 뇌 이식을 진행한 도겐 박사의 [[독백]]을 통해 나온다. > "예전 주인의 뇌가 지금의 주인(주인공 나루세)에게 이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예전 주인은 그대로 살아서 성격을 내보이고 있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라도 사람에게 죽었다는 판단을 내릴 수는 없는 것 아닐까?'''" 2005년 [[타마키 히로시]], [[아오이 유우]] 주연으로 '''영화화'''되었으나, 평은 좋지 않다. 메디컬 스릴러 원작이 뜬금없이 [[멜로]]물(...)이 되어 버렸다... 이거 볼 시간에 그냥 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진 만화판을 보는 게 낫다는 평. 전 4권으로, 히가시노의 작품 중 유일한 만화화다. 각색이 되긴 했지만 영화판보다 훨씬 원작에 충실한 작품. 현재는 구하기 어렵지만 어둠의 루트 쪽에는 간간히 보인다. 2014년 3분기 WOWOW 제작 '''[[일본 드라마]]'''로 방영. 총 5부작이다. 주인공인 나루세 준이치 역은 [[카미키 류노스케]]가 맡았다. [[혼다 츠바사]]도 나온다. 짧게 방영했기 때문에 군더더기 없고 깔끔하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배우들의 연기 평 또한 좋은 편이다. 드라마 마지막 화에서 형사가 도겐 박사에게 하는 말이 이 작품의 주제를 잘 보여주고 있는 듯 하다. > "당신은 분명 나루세 준이치의 목숨을 살렸어, 그러나! 목숨이란 게 뭡니까. 심장이 뛰고, 호흡을 하고, 뇌파가 나오면 목숨입니까? 인격이 바뀐 이후로 그는 죽을 만큼 괴로워했어요. 그를 살린 건 도대체 누구를 위한 거였던 겁니까. 하나의 장기는 하나의 인생이지 않습니까!" OST는 타카하시 유우의 'おやすみ(잘자)'. 가사가 마지막 화의 장면과 잘 어울린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에로게]][[분류:일본 추리 소설]][[분류:WOWOW 드라마]][[분류:초능력]][[분류:히가시노 게이고]][[분류:서사시]][[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