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해남도의 시군)] {{{+1 碧城郡 / Pyŏksŏng County }}} ||<-2> {{{+2 벽성군}}} [br] 碧城郡 / Pyŏksŏng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1,552㎢ || || 광역시도 || [[황해남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20면 || || 시간대 || UTC+9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벽성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황해남도]]의 군. 원래 해주군이었으나, 1938년 해주읍이 [[해주시|해주부]]로 분리 승격됨에 따라 나머지 지역은 벽성군이 되었다. '벽성'은 조선시대 해주의 별호였다. 광복 당시에는 면적 1553 ㎢[* 땅 넓기로 유명한 [[안동시]]와 면적이 거의 비슷하다!]로 [[해주시]]를 둘러싼 매우 큰 군이었으나, 1954년 북한 정권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지금처럼 영역이 줄었다. 현 벽성군의 중심지는 옛날의 가좌면 취야리이다. 교통편으로는 [[옹진선]] 철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옹진선]]과 [[토해선]] 철도]가 지난다. 광복 당시에는 20개 면으로 이루어졌고 군청은 해주시 북본동에 있었다. 광복 이후 [[삼팔선]]이 그어지면서 가좌면 일부, 대거면 일부, 월록면 일부, 해남면 대부분, 동강면, 송림면 전 지역(서부)와 영천면 일부, 내성면 대부분, 추화면 대부분, 일신면, 청룡면 전 지역(동부)가 38선 이남에 위치하였는데 이렇듯 꽤 많은 면들이 남한령이 되면서 남한에서도 벽성군을 그대로 유지시킬 법도 했는데, 정작 벽성군의 중심지 역할을 해야 할 [[해주시]]가 북한령이 된 데다가, 결정적으로 38선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 나니 해주만 때문에 두 동강 나버렸으므로 벽성군의 남한령 지역은 그대로 존치시키지 않고 서부 지역은 [[옹진군(황해남도)|옹진군]], 동부 지역은 [[연백군]]에 편입시켰다. 그 과정에서 가좌면은 옹진군 부민면에, 대거면과 월록면은 옹진군 [[옹진읍]]에, 영천면은 연백군 내성면에 편입시켰다. 물론 [[6.25 전쟁]] 휴전 이후에는 [[연평도]]를 제외한 전 지역이 옹진, 연백과 함께 완전히 북한령이 되고 말았지만. == 북한 기준 행정구역 == 총 1읍 21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읍: 벽성읍 * 리: 남창리, 내호리, 대성리, 도현리, 용정리, 백운리, 사현리, 상림리, 서원리, 석담리, 석동리, 쌍암리, 안곡리, 옥정리, 원평리, 월봉리, 월현리, 장천리, 장현리, 죽천리, 통산리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벽성군기.png|width=50%]] || [[파일:벽성군.jpg|width=100%]] || 벽성군은 대한민국에서 면을 가장 많이 관할하는 행정구역이다. * '''가좌면'''(茄佐面) * 관할 리 : __취야(翠野)__, 국봉(菊峰), 매곡(梅谷), 오봉(五峰), 옥정(玉井), 용호(龍湖), 자양(紫陽), 장현(長峴) * 취야평야의 가운데에 있다. 중심지인 취야리는 해주와 [[장연군|장연]], [[옹진군(황해남도)|옹진]]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자 벽성군 서부의 소중심지였고, 현 벽성군의 중심지이다. 일부 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 '''검단면'''(檢丹面) * 관할 리 : __온천(溫泉)__, 가현(加峴), 냉정(冷井), 대암(大巖), 도락(道樂), 지남(指南) * 군 서북쪽 끝에 있는 면으로 면소재지는 온천리이다. 이목(梨木)시장은 지역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광탄천(鑛灘川)이 이 면에서 발원, 장곡면 죽천, 장연군 태탄을 거쳐 황해로 흘러든다. * '''고산면'''(高山面)[* [[전라북도]] [[완주군]]과 [[함경남도]] [[정평군]]에 이름과 한자가 똑같은 면이 있다.] * 관할 리 : __원평(原坪)__, 사현(士峴), 석담(石潭), 수정(壽井), 입암(立巖) * 석담리의 석담구곡은 율곡 [[이이(조선)|이이]]와도 관계 깊은 곳으로, 고산구곡가로 유명하다. 율곡 이이는 1곡 관암(冠巖), 2곡 화암(花巖), 3곡 취병(翠屛), 4곡 송애(松崖), 5곡 은병(隱屛), 6곡 조협(釣峽), 7곡 풍암(楓巖), 8곡 금탄(琴灘), 9곡 문산(文山)으로 이름붙였으며, 가장 경치가 좋다는 은병에 [[소현서원]]을 세웠다. 현재는 소현서원의 강 건너편에다 석담휴양소가 운영되고 있다. 석담리에 이이의 가문인 [[덕수 이씨]] 문성공파의 종가가 있었다. 한국전쟁 때 14대 종손이 월남해서 문성공파 후손들은 남한에도 있다. * '''금산면'''(錦山面) * 관할 리 : __작천(鵲川)__, 감수(甘水), 냉정(冷井), 부산(缶山), 산산(蒜山), 송전(松田), 신창(新昌), 추정(楸井), 학현(鶴峴) * 해주시 동북쪽에 있는 면으로 재령 방면으로 통하는 철도가 지난다. 면소재지는 작천리. * '''나덕면'''(羅德面) * 관할 리 : __통산(通山)__, 나치(羅峙), 내곡(內谷), 일곡(日谷), 자하(紫霞), 전산(錢山), 중덕(中德), 통천(通天), 한평(閑坪) * '''내성면'''(來城面) * 관할 리 : __소호(蘇湖)__, 금성(錦城), 대산(大山), 오봉(梧峰), 팔학(八鶴), 화전(花田) * 전지역이 38선 이남이었으며, 면소재지는 소호리. * '''대거면'''(代車面) * 관할 리 : __도평(桃坪)__, 갈현(葛峴), 강정(江亭), 고산(苽山), 수동(水洞), 숙달(淑達), 은동(隱洞), 종평(宗坪) * 일부 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 '''동강면'''(東江面) * 관할 리 : __오금(梧琴)__, 금산(琴山), 덕현(德峴), 사인(舍人), 석교(石橋), 연봉(鳶峰), 화산(花山) * 옹진반도에 있는 면으로, 전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면소재지는 오금리. * '''동운면'''(東雲面) * 관할 리 : __덕달(德達)__, 공수(公須), 두동(斗洞), 사동(沙洞), 삼정(參井), 영정(咏亭), 운양(雲陽), 주산(周山) * '''미율면'''(彌栗面) * 관할 리 : __석정(石井)__, 가정(佳井), 내동(內洞), 도현(道峴), 동호(東湖), 둔창(屯倉), 매정(梅井), 안곡(安谷) * '''서석면'''(西席面) * 관할 리 : __남파(南坡)__, 동양(東陽), 문정(文井), 백운(白雲), 서원(書院), 석동(席洞), 송간(松間), 신광(神光), 연근(蓮根), 율동(栗洞), 읍청(揖淸), 지동(芝洞) * 해주시 서쪽에 있는 면으로, 1938년 서변면(西邊面)[* 해주읍 시가지 바로 서쪽 및 남쪽(38선 이남인 용당포 반도) 지역을 관할했으며, 1936년 일부 지역이 먼저 해주읍에 편입되었다.]과 석동면(席洞面)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 면소재지는 남파리. * '''송림면'''(松林面) * 관할 리 : __송현(松峴)__, 가평(加坪), 내동(內洞), [[대수압도|대수압(大睡鴨)]], [[소수압도|소수압(小睡鴨)]], 육도(六島), ~~[[연평도|연평(延坪)]]~~ * 옹진반도에 있는 면으로, 전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면소재지는 송현리. 송현·가평·내동 3개리만 육지에 있고, 나머지 4개리는 도서지역이다. 원래 '''[[연평도]]'''도 송림면에 속했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남한령이 되면서 송림면은 연평리 하나만을 관할구역으로 삼으면서 경기도 옹진군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1999년에 송림면을 연평면으로 개칭하였다. 연평리를 제외한 나머지 법정리는 이북5도 체계하에서 여전히 벽성군 송림면에 속해 있다. * '''영천면'''(泳泉面) * 관할 리 : __공해(控海)__, 갈산(葛山), 매산(梅山), 수산(繡山), 영양(迎陽), 장방(長芳), 좌랑(佐郞), 척두(尺頭), 한우(閑右) * 해주시 동쪽에 있는 면으로, 1938년 영동면(泳東面)[* 해주읍 시가지 바로 동쪽 지역을 관할했으며, 1936년 일부 지역이 먼저 해주읍에 편입되었다.]과 천결면(泉決面)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 일부 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면소재지는 공해리. * '''운산면'''(雲山面) * 관할 리 : __지촌(芝村)__, 관동(館洞), 당동(堂洞), 백정(柏亭), 서동(書洞), 오담(鰲潭), 유정(柳亭), 황금(黃金) * 군 서북쪽에 있는 면으로 면소재지는 지촌리이다. 오담리는 [[김구]]가 태어난 곳이다. * '''월록면'''(月祿面) * 관할 리 : __상림(桑林)__, 군만(群蠻), 답동(畓洞), 사천(沙川), 삼현(三峴), 안현(安峴), 용정(龍井), 장둔(長屯) * 일부 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 '''일신면'''(日新面) * 관할 리 : __생왕(生旺)__, 광전(廣田), 내동(內洞), 무정(武井), 법교(法橋), 심해(深海), 저산(滁山), 천석(泉石) * 전지역이 38선 이남이었으며 면소재지는 생왕리이다. 저산리의 저(滁) 자는 심지어 중국 고문헌에서도 쓰인 적이 거의 없는 벽자라서[* 저(滁) 자는 중국 [[장쑤성]] [[난징시]] 북쪽으로 흘러 [[장강]] 하류에 합류하는 저하(滁河)라는 물줄기, 또는 [[안후이성]] 추저우시(滁州市)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 글자이다. 위 두 지역의 지명으로만 쓰일 뿐 다른 뜻은 없다.] 입력할 때와 읽을 때 심각하게 애로사항이 꽃핀다. 참고로 저산리는 38선 이남에 있어서 남연백군에 속했다가 1952년 북한이 청단군 남촌리와 합병시키면서 폐지되었다. * '''장곡면'''(壯谷面) * 관할 리 : __죽천(竹川)__, 국봉(菊峰), 대성(大成), 동봉(東峰), 백운(白雲), 쌍암(雙巖), 정현(精峴), 죽동(竹洞), 회산(回山) * 면소재지인 죽천은 시장이 있는 농축산물의 집산지이다. * '''청룡면'''(靑龍面) * 관할 리 : __영양(迎陽)__, 구정(龜井), 덕녕(德寧), 맹해(孟海), 용매(龍媒), 학산(鶴山), 학월(鶴月) * 군 남쪽에 위치하며, 전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면소재지는 영양리이다. 앞바다에 [[용매도]](龍媒島)가 있는데, 위성사진으로 보면 현재는 본토와의 사이에 다리(방파제)가 놓인 듯하다. * '''추화면'''(秋花面) * 관할 리 : __약현(藥峴)__, 마룡(馬龍), 만송(晩松), 서덕(瑞德), 순명(順明), 신왕(新旺), 오천(鰲川), 월학(月鶴), 학남(鶴南), 향산(香山) * 면소재지는 약현리로, 조선시대 이곳에 위치한 [[역참]] 이름에서 유래한 '청단(靑丹)'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청단평야 가운데에 있으며, 현 [[청단군]]의 중심지로 북쪽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청단역]]이 있으며, 6.25이전까지 청단경찰서가 있었다. * '''해남면'''(海南面) * 관할 리 : __오남(梧南)__, 당산(堂山), 봉대(峰垈), 삼봉(三峰), 항현(項峴) * 옹진반도에 있는 면으로, 거의 전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면소재지는 오남리. [[분류:황해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