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벨카 전쟁)]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벨카 전쟁/어설트 레코드/0-50, top2=벨카 전쟁/어설트 레코드/101-168)] 에이스 컴뱃 제로의 특전인 어설트 레코드를 정리한 페이지다. 양식은 다음과 같음. || 순서(No.) || 파일럿 || 기종 || TAC || TAC 의미 || ||<-5> 격추 일시 || ||<-5> 설명 || 해당 기록은 벨카 전쟁 이후 [[오시아]]측에서 벨카 전쟁에 참전했던 적 파일럿들에 대한 기록이다.(중간중간 오시아나 [[사핀 왕국]], [[우스티오]] 등 연합군 소속 파일럿들이 있으나, 이들은 정전 이후 배신한 파일럿들이다. 대표적인 예로 [[국경없는 세계#s-2]]의 주도자 중 한명으로 간주되는 [[조슈아 브리스토]]다.) || 51 || 카르스텐 노보트니 || F-20A || Vampir 1 || 흡혈귀 || ||<-5> 95. 05. 17 [[Operation Hell Bound]]에서 격추 || ||<-5>벨카 공군 인명록에 "카르스텐 노보트니"는 존재하지 않는다. 소속되어 있는 항공부대원들의 증언 등을 통해 데이터 변조의 가능성이 높다. 위험분자인 만큼 행방을 조사중. || || 52 || 루돌프 자이펠트 || F-20A || Vampir 2 || 흡혈귀 || ||<-5> 95. 05. 17 [[Operation Hell Bound]]에서 격추 || ||<-5>가름 편대에 의해 격추되어 중상을 입고 종전을 맞지만, 직후 벨카 공군 센 기지에서 항공기를 탈취하여 도주, 연합군 공군기에 의해 격추당한다. 타국으로의 망명을 시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 || 53 || 로라 서머 || MiG-29A || Iris || 무지개의 여신 || ||<-5> 95. 05. 17 [[Operation Hell Bound]]에서 격추 || ||<-5>벨카 왕가를 섬기던 기사, 알브레히트 서머의 후손. 유적 요새 그라디상트의 에어리어 가든의 방위 임무를 맡는다. 현재 딘즈마르크에서 일반 시민과 결혼, 두 아이의 어머니로 살아가고 있다. || || 54 || 바트 에서 || Su-32 || Mume || 미이라 || ||<-5> 95. 05. 17 [[Operation Hell Bound]]에서 격추 || ||<-5>대 사핀 전선에서 사핀 해군 제3함대를 괴멸시킨 기록을 가진, 제7항공사단 제65전투비행단의 편대장. 벨카 전쟁에서 대함전의 핵심이 되었다. 헬 하운드 작전에서 격추된다. || || 55 || 에렌 지글러 || EA-6B || Artist || 예술가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Alpha]]에서 격추 || ||<-5>센 평원에서 격추됨. 종전 후 제대하여 화가로 전향. 99년에 회화 '귀신'을 발표. 전쟁의 비참함과 평화의 숭엄함을 그린 이 작품은 시니그라드 회화전에서 극찬을 받았다. || || 56 || 하리만 라인하르트 || F-1A || Biene || 벌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Alpha]]에서 격추 || ||<-5>센 평원에서 격추됨. 목숨은 건졌지만 후유증으로 시력에 문제가 생겨 어쩔 수 없이 제대. 현재는 자택에서 요양중이지만 공군 복귀를 위하여 재활 훈련을 계속 하고 있다. || || 57 || 크레버 루드비히 || F-2A || Strom || 큰 강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Alpha]]에서 전사 || ||<-5>대대로 우수한 군인을 배출한 루드비히 가문의 후손. 센 평원에서 벌어진 공중전에서 격추되어 전사. 루드비히 가문의 선조는 토템헴 전설로도 유명한 벨카 왕조를 섬긴 기사단 중 1명이였다. || || 58 || 에밀 빌헬름 || J35J || Zugvogel || 철새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Beta]]에서 격추 || ||<-5>여러 종류의 기체를 몰았던 비행 경력은 벨카 공군 내에서도 상당히 이색적이다. 종전 후에는 사핀 왕국으로 이주. 현재는 스턴트 파일럿으로 활약하면서 각지의 곡예비행 대회에 나가고 있다. || || 59 || 토르벤 레마 || F-20A || Falter || 나비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Beta]]에서 전사 || ||<-5>엑스칼리버 방위를 맡아 제5항공사단 제32전투비행단으로 발령. 임시로 여러 곳에서 대원들을 긁어모은 혼성부대였지만 편대장으로 취임한 레머의 지휘 하에 주요 방위 부대가 된다. 베타 작전에서 사망. || || 60 || 다니엘 루드비히 || JAS-39C || Quelle || 샘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Beta]]에서 격추 || ||<-5>대대로 우수한 군인을 배출한 루드비히 가문 출신. 종전 후 전범 혐의로 체포, 징역형에 처해짐. 출소 후에는 일정한 거주지를 가지지 않고 각지를 방랑한다. || || 61 || 스벤 로이터 || MiG-29A || Flamingo || 홍학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Theta]]에서 격추 || ||<-5>종전 후 퇴역. 퀵 서비스, 접시닦이, 택시 운전사등 오시아 국내에서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지만, 현재는 술집의 해결사가 되어 일만 시민으로 생활하고 있다. || || 62 || 에른스트 블럼 || F/A-18C || Kolibri || 벌새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Theta]]에서 행불 || ||<-5> '''No Record''' || || 63 || 겔하르트 루드비히 || Typhoon || Woge || 큰 파도 || ||<-5> 95. 05. 19 [[Battle of Schayne Plains|Operation Theta]]에서 격추 || ||<-5>대대로 유력 정당에 자금을 원조하여 정부의 보호를 받았던 루드비히 가문이였으나, 전후 정권교체에 의하여 7대에 달하던 귀족도 몰락. 남국의 소국으로 망명한 겔하르트 자신도 그곳에서 병사하였다. || || 64 || 헬무트 슈마허 || F-2A || Roller || 롤러(카나리아) || ||<-5> 95. 05. 23 [[Operation Judgment]]에서 전사 || ||<-5>부친이 구 벨카 공군참보사령부 소속으로 근무하는 등 슈마허 가문은 선조 대대로 군벌 가문이였다. 장교 후보로 촉망받았지만, 벨카 중남부의 전투에서 격추 전사. || || 65 || 시그발트 엔텐만 || F-15S/MTD || Habicht || 큰매 || ||<-5> 95. 05. 23 [[Operation Judgment]]에서 격추 || ||<-5>88년 벨카 공군 입대. 전시중에는 언제나 스스로 최전선에 나섰다. 특기할만한 전과는 없었지만 군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 책임감 등은 당시 군 내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 66 || 루카 볼프람 || X-29A || Fliege || 파리 || ||<-5> 95. 05. 23 [[Operation Judgment]]에서 격추 || ||<-5>91년 테스트 파일럿에서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로 전속. 다양한 기체를 능숙히 다루는 솜씨를 가지고 다수의 특수 작전에 참가. 작전 중 피격 추락기록은 딱 한번.[* 즉, 최초 피격이자 추락기록이 사이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 || 67 || 옌스 톤 || SR-71 || Rabe || 까마귀 || ||<-5> 95. 05. 23 [[Operation Judgment]]에서 전사 || ||<-5>20대부터 세계 각지의 전장을 돌아다닌 용병. 귀국 후에 정규군으로 참가. 용병이라는 직업 상 각국의 군 관계자와도 면식이 있어, 귀중한 인재였다. 유해는 고양인 게라라의 지르바르트 산에 매장되었다. || || 68 || 울리히 스테케렌브루크 || EA-6B || Bergnebel || 산안개 || ||<-5> 95. 05. 23 [[Operation Judgment]]에서 격추 || ||<-5>레이더망의 파괴가 장기이며, ECM에 대한 지식도 상당하다. 종전 후 하트워그 브레머와 같이 오시아 과학기술청에 초빙되어 적 방공망 제압기술의 연구원으로 성과를 거두고 있다. || || 69 || [[도미니크 주보프]] || MiG-31 || Schwarze Leader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행불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전쟁 중에는 탈주자 킬러라 불리며 우군에게서도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 종전 후 전범으로 몰리지 않기 위해 도주. 현재는 오시아에 살고 있다는 정보도 있지만 진위는 불명.[* [[브랫 톰슨]]은 이런 사람을 찾아가서 인터뷰를 한 것이다. --이 시대의 기자들은 괴물인가?!--] [* 특이하게도 편대장이 '(편대명) 1'이라는 콜사인을 쓰는 다른 편대들과는 다르게 '슈바르체 리더'라는 콜사인을 사용한다.] || || 70 || 세르게이 카르코프 || MiG-31 || Schwarze 2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야간전투비행단"이라는 것은 사실상 "배반자 처단 부대"였다. 상기 항공단의 상세한 내용은 거의 없다시피 하며, 현재에도 전후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 || 71 || 헤럴드 브레메 || MiG-31 || Schwarze 3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추락 후 유체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종전 후 외국으로 도망갔다는 소문도 있으나, 국민등록기록이 파기된 이상 사실 확인은 불가능. || || 72 || 제프 본호프 || MiG-31 || Schwarze 4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개인 정보는 말소. 야간전투비행단의 임무는 적전도주자의 사살 이외의 것도 있을 것이라 추정되지만 상세한 점은 아직도 불명. || || 73 || 헬가 콜린즈 || MiG-31 || Schwarze 5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현재 오미크론 일렉트로사의 중역인 프리드리히 갤렌이 종전 후 극비리에 개명한 콜린즈라는 소문도 있지만, 증거가 전여 없기 때문에 증명은 불가능. || || 74 || 라파엘 반텐버그 || MiG-31 || Schwarze 6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벨카 패전이 확실해진 후 증거 소멸을 위하여 야간전투비행단의 기록은 파기되었다. 현재에도 전후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 || 75 || 알렉산더 로스하트 || MiG-31 || Schwarze 7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소속 사실 이외에는 모든 기록이 삭제. 부대 등록시의 이름, 연령, 생존 정보 등도 의심스러운 점이 많으며, 야간전투비행단의 존재 자체도 포함하여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 || 76 || 맥시밀리안 베르너 || MiG-31 || Schwarze 8 || 흑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13야간전투비행단 제6전투비행단 소속. 유체 확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벨카의 국민등록기록도 소실되었기 때문에 본 대상의 존재 확인 자체가 불가능. 위험 분자의 가능성 높음. || || 77 || [[볼프강 부흐너]] || MiG-21bis[* 전용기가 아닐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정황상 핵투발 명령 거부 이후 탈주한 것이기 때문에 해당 기지의 예비기를 무단으로 타고 나왔을 수 있기 때문이다.] || Huckebien || 까마귀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행불 || ||<-5>벨카 공국의 귀족 가문, 부흐너 가문의 장남. '후케바인'(까마귀)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명령 위반[* 벨카 자국 영토에 대한 핵투발 지시 거부다.]을 저지르는 바람에 슈바르츠 편대의 공격을 받는다. 도주 중 조우한 가름 편대가 격추. 손상 기체만 발견. 행방불명.[* 물론 모두가 알다시피 배틀액스 작전에서 [[그라바크]]에게 격추당한 [[잭 바틀렛]] 대위를 우연히 만났고, 사정을 들은 바틀렛 대위가 그를 격추된 자기 편대원이라고 상부에 구라쳐서(!) 숨겨준 것이 부흐너 대령 행방불명의 전말이다. --오시아 정보부도 모르게 숨겨준 위엄.-- 사실 [[B7R]]의 지형적 특성(심한 전자장이 발생하는 지역)과 전자전의 결과로 데이터가 엉망이 된 상황을 이용해서 성공한 것. 해당 항목 참고. ] || || 78 || 안 츠바이크 || Su-47 || Nachtigall || 나이팅게일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행불 || ||<-5>벨카 구 자료에서 개인 정보는 전무. 데이터 파기가 이루어진 흔적도 없는 것으로 보아 어떤 사정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그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아무런 정보도 발견되지 않았다. || || 79 || 바스티앙 슈나이더 || MiG-29 || Grauwespe 1 || 회색 말벌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전쟁추진파인 "구 랄드파"의 영향력이 강하다고 알려진 제3항공사단에서 가장 활약했던 제13전투비행단 그라우베스페 편대의 편대장. 과거 7사자명예훈장을 수여받은 톱 에이스였다. || || 80 || 에두아르다 사이츠 || MiG-29 || Grauwespe 2 || 회색 말벌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그라오베스페 편대 2번기에 탑승. 92년의 동 편대 발족 시부터 참가. 서부전선에서 그라오베스페 편대는 수많은 오시아 국방공군기를 격추. 에두아르다 사이츠 자신도 서부전선에서 21기 격추의 기록을 남겼다. || || 81 || 레오폴드 클라인 || MiG-29 || Grauwespe 3 || 회색 말벌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그라오베스페 편대 3번기에 탑승. 기체 및 유해는 미회수. B7R에서 격추된 전투기는 벨카 전쟁에서만 100기를 넘어선다고 하며, 지형적인 문제때문에 회수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 || 82 || 스테판 치게 || MiG-29 || Grauwespe 4 || 회색 말벌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그라오베스페 편대 3번기에 탑승. 앞쪽의 편대기가 적기를 견제, 뒤쪽의 치게가 격추하는 전법은 현재 벨카 공군에서도 채용되어 "그라오베스페 전법"이라 불리고 있다. || || 83 || [[그라바크|아슈레이 베르니츠]] || Su-47 || Grabacr || 그라바크(북구신화)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벨카 공군 제6항공사단 제4전투비행단 편대장. B7R 전투 시 편대에서 벗어나 단독 행동을 취하지만 가름 편대와 조우, 격추당한다. 이후 오시아 국방공군에 전속한다.[* 그리고 편성된 편대가 어그랫서 편대인 [[그라바크|8492 비행대]]다. --에컴5를 해본 유저라면 이를 바득바득 갈 그 비행대 편대장이다.--] || || 84 || [[에리히 힐렌베란트]] || F-14D || Schnee 1 || 눈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80년대에 벨카군 입대. 우스티오 국경 부근에서 용병 부대와 교전 후 격추되었지만 황야를 헤매다 기적적으로 생환한다. 현재는 오시아 통합령(구 남 벨카)내의 민간 항공훈련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다. || || 85 || 루디 코흐 || F-14D || Schnee 2 || 눈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제22항공사단 제4전투비행단 소속. 전투 중 격추되어 전사. 기체 및 유해는 B7R에서 회수. 제트연료 인화로 인한 기체 폭발이 일어났기 때문에 발견된 기체는 일부에 불과하다. || || 86 || 로알드 플라이셔 || F-14D || Schnee 3 || 눈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통합군 폭격기를 추격 중 보텐 호수 상공에서 소속불명 기체의 급습을 받는다. 공격을 회피하여 긴급착륙. 기체는 불에 휩싸여 폭발. 다음 출격 기회를 가지지 못한 채 종전을 맞는다. || || 87 || 칼하인츠 패스바인더 || F-14D || Schnee 4 || 눈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슈니이 편대 해체 후 잔존 항공 부대를 흡수하는 식으로 자신의 편대를 편성. 부대명을 901전투비행단이라 짓고 종전 직전까지 전투에 참가. 종전 직후 대공포화에 격추되어 전사. || || 88 || 하트워그 브레머 || EA-6B || Schnee 5 || 눈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적의 레이더망을 파괴하는 "소프트 킬" 기술에 능했기 때문에 종전 후 오시아 과학기술성에 초빙된다. 레이더 방해 시스템의 기술 향상에 전력을 기울여, 지금도 같은 곳에서 활약하고 있다. || || 89 || 셀리그 스탈 || F/A-22A || Bergvogel || 산새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전시 중 특수 환경 하의 통신 시스템을 과학기술성에 제안. 실전운용도 직접 시험했다. 조기에 종전되어 정식 채용은 되지 못했지만, 전후 이 기술이 전승국으로 유출되면서 현재는 각국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 90 || 한노 엔케 || Su-27 || Graukatze 1 || 잿빛 수고양이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벨카 남부방위선에서 활약. 남부 전선에서 겔브 편대에 이어 격추수 2위를 마크하고 있는 그라우카체 편대의 편대장. 엘리트 집단이라고 불리는 제3전투비행단 안에서는 약간 떨어지는 전과. || || 91 || 비비안 라즈 || Su-27 || Graukatze 2 || 잿빛 수고양이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그라우카체 편대원. 한노 엔케의 추천에 의해 개전 후 같은 부대로 소속 변경. 남부 전선의 베른베르크 제압 시 편대장을 상회하는 전과를 올림. B7R 전투 시 격추되어 전사. || || 92 || [[오브닐|미하엘 하이메로트]] || F-15S/MTD || Ofnir || 오브닐(북구신화)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벨카 공군 제6항공사단 제5전투비행단 소속. 공군사관학교의 "캘러맨 학과" 출신. 신병이면서도 B7R에서 27기의 연합군 기체를 격추한다. 종전 후 유크토바니아 공군에 전속한다.[* 에컴5의 그 오브닐 맞다.] || || 93 || [[디트리히 켈러만]] || F-4E || Silber 1 || 은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70년대에 벨카 공군 입대. "은색의 검독수리"로 활약. 90년대에 퇴역하지만, 벨카 전쟁 발발 후 다시 공군으로 복귀. 95년 5월 28일, B7R에서 격추된 후 다시 퇴역. 현재는 시골에서 은거. || || 94 || 루페르트 애플링 || F-16C || Silber 2 || 은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B7R 전투에서 격추. 생명은 건졌지만 우스티오 영내에 불시착. 그 후 뎃셀섬 형무소로 보내져 종전까지 수감된다. 현재는 벨카로 돌아가 일반 시민으로 생활하고 있다. || || 95 || 스태판 앤더스 || F-16C || Silber 3 || 은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B7R 전투에서 격추. 기체는 산악부에 격돌, 폭발로 불탔다. 기체 손상이 격심하였으나 다행히 남아있던 기체제조번호에서 본인을 확인. 유품은 본국의 유족들에게 반환되었다. || || 96 || 스벤 브루트라그 || F-16C || Silber 4 || 은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B7R 전투에 참가. 작전 중 소식이 두절된다. 확인된 최종 무선 기록에는 공격 상황을 보고하는 목소리가 남아있었지만 노이즈가 심하여 상세한 분석은 불가능. 이후 조사 기록은 없다. || || 97 || 세바스찬 하켄버그 || F-16C || Silber 5 || 은색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U-2]] 정찰기 부대에서 실베르 부대로 전속되지만 B7R 전투에서 격추된다. 원래 친척이 없었기 때문에 유해는 전몰자공동묘지에 이장된다. 유언에 따라 모든 유산은 전쟁고아기금에 맡겨졌다. || || 98 || 플로리안 헤르초크 || Rafale M || Grauorca 1 || 회색 범고래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격추 || ||<-5>전 벨카 해군 소속. 92년에 제3항공사단 제19전투비행단으로 이동. 가름 편대에 격추당한 구 "구 랄드파"의 정치가로 활약하지만 96년에 간부였던 발데마 랄드 실각과 동시에 실종된다. || || 99 || 메인라드 그림 || Rafale M || Grauorca 2 || 회색 범고래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전사 || ||<-5>그라우오르카 편대 2번기 파일럿. 전 벨카 해군 소속. 해군 복무 시절에 편대장인 헤르초크와 함께 해상제공권 확보를 주임무로 활약. 가름 편대에 격추되어 전사. || || 100 || 쟝 펠러 || MIR-2000D || Bergtaube || 산비둘기 || ||<-5> 95. 05. 28 [[Operation Battle-Axe]]에서 피격 || ||<-5>개전 전에는 벨카 해군항공부대 소속. 개전 후 전황 악화로 인하여 공군으로 전속. B7R에서 격추되어 연합군의 포로가 된다. 96년에 아캄 형무소를 탈주. 이후 4회의 탈주 기록 있음. || [[분류:에이스 컴뱃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