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벨기에의 대외관계)] [include(틀:모로코의 대외관계)]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100%]]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100%]] || || [[벨기에|{{{#000 '''벨기에'''}}}]] || [[모로코|{{{#fff '''모로코'''}}}]]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와 [[모로코]]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프랑코포니]] 회원국들이며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다. 그리고 벨기에에는 모로코인 공동체가 존재하며 벨기에 내 [[무슬림]] 공동체의 일부에 속해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모로코는 프랑스와 스페인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벨기에와 수교했다. 1960년대에 벨기에는 모로코, 튀르키예로부터 노동자들을 많이 받아들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008552?sid=101|#]] === 21세기 === 2009년 8월 9일, 벨기에서 헬기로 탈옥한 죄수가 모로코에서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804305?sid=102|#]] 2015년 11월 24일, 벨기에 정부는 모로코 측과 테러 관련 정보 협력을 요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009223?sid=104|#]] == 문화 교류 == 양국은 프랑코포니 회원국에 속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81168?sid=102|#]] 이에 따라 교류가 활발하다. 모로코는 사실상 [[프랑스어]]가 공용어이고 벨기에는 프랑스어가 공용어이기 때문에 양국간의 언어 교류가 활발하다. 그리고 모로코인들이 벨기에에서 정착한 경우가 많은 편이다. === 스포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FIFA 월드컵 카타르/F조)] 양국은 스포츠에서 교류가 활발하다. 모로코 출신 축구선수들이 벨기에 리그에서 활약하는 경우도 많으며 모로코 출신 축구선수들이 벨기에 국적을 가진 경우도 많이 있다. 벨기에 출신의 오마르 축구선수는 모로코인과 벨기에인 사이에서 태어났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3&aid=0000063326|#]] 2022년 11월 27일, 모로코 축구팀이 벨기에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하면서 16강에 진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60398?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484888?sid=104|#2]] 벨기에는 모로코와의 경기에서 패한 뒤에 F조에서 탈락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17322?sid=104|#]]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모로코와 벨기에는 항공노선을 통해 왕래를 하고 있다.[[http://www.startup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583|#]] == 공동체 == === 모로코계 벨기에인 === 벨기에에는 모로코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전술했다시피 모로코인 공동체는 1960년대에 벨기에가 모로코인 노동자들을 많이 받아들인 것이 시초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008552?sid=101|#]] 그리고 벨기에의 모로코인들은 대부분이 [[무슬림]]이며 벨기에 무슬림 공동체의 일부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모로코인들이 벨기에 국적을 가진 경우도 많이 있다. 벨기에가 2010년대 중반부터 다에쉬에 의한 테러가 일어나자 무슬림 공동체에서 벨기에인 정체성을 확립할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282278?sid=104|#]] === 벨기에계 모로코인 === 벨기에계 모로코인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빌랄 엘 카누스]], [[셀림 아말라]], [[아나스 자루리]], [[일리아스 셰이르]]. == 갈등 == 벨기에는 모로코인 공동체가 존재하지만, 모로코인 공동체와 관련된 갈등이 존재한다. 벨기에에서 모로코인들이 [[인종차별]]을 받고 있는데다가 [[이슬람 근본주의]]와 관련된 문제가 생겨나고 있다. 또한, 사우디 등의 지원으로 [[살라피즘]] 등 이슬람 근본주의 단체들이 벨기에의 모로코인들에게 전파를 하기 시작하면서 벨기에의 모로코인 공동체가 이슬람 근본주의화되는 문제가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008552?sid=101|#]] 이로 인해 벨기에에서 테러가 발생되면서 벨기에는 큰 피해를 보고 있다. 2008년 5월, 모로코 경찰은 벨기에와 네덜란드를 공격할려던 이슬람 근본주의 단체를 해산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171966?sid=104|#]] 2010년 11월 23일, 벨기에 당국은 테러공격을 모의한 혐의를 가진 벨기에, 네덜란드, 모로코 국적자들을 체포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782783?sid=102|#]] 2011년 12월 13일, 벨기에 리에주 시에서 모로코 출신 벨기에 시민권자가 테러를 저지르고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0320494?sid=104|#]] 2010년대 중반에는 벨기에에서 다에쉬에 의한 테러가 발생했다. 다에쉬에 의한 테러가 벨기에내 모로코인에 의해 발생된 경우가 많아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738193?sid=104|#]] 그러다보니 벨기에가 지하디스트 근거지가 된 것에 우려를 낳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027597?sid=104|#]] 2015년 11월 21일, 튀르키예 당국은 파리 테러를 일으킨 모로코 출신 벨기에 국적자를 체포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885718?sid=104|#]] 2016년 1월 19일, 모로코 정부는 파리 테러에 연루된 벨기에인을 체포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126576?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991952?sid=104|#2]] 하지만 신원공개를 하지 않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0759450?sid=104|#]] 3월 18일, 파리 테러를 일으킨 모로코 출신의 [[살라 압데슬람]]이 벨기에 [[몰렌베크생장]]에서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950038?sid=104|#]] 4월 14일, 벨기에 법원은 모로코 출신의 다에쉬 총책에게 징역 15년형을 선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334922?sid=104|#]] 2017년 6월 14일, 벨기에 당국은 테러 혐의를 가진 모로코 출신 국적자 등 4명의 벨기에 국적을 박탈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337280?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468103?sid=104|#2]] 6월 20일, 벨기에 검찰은 브뤼셀 중앙역에서 테러를 저지르고 사망한 테러범이 모로코 국적을 가진 남성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353745?sid=104|#]] 2017년 11월 12일, 러시아 월드컵에서 모로코 축구팀이 본선에 진출한 것과 관련해 브뤼셀에서 모로코 축구팬들에 의한 난동이 일어나 큰 피해가 생겼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28393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167473?sid=104|#2]] 2022년 11월 27일, 모로코 축구팀이 벨기에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하자 벨기에 내의 모로코 축구팬들이 난동을 피워 큰 피해(...)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323072?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05609?sid=104|#2]] == 관련 문서 == * [[벨기에/외교]] * [[모로코/외교]] * [[프랑코포니]] * [[벨기에/역사]] * [[모로코/역사]] * [[벨기에/경제]] * [[모로코#경제|모로코/경제]] * [[벨기에인]] / [[마그레브 아랍인|모로코인]] * [[프랑스어]] /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천주교]] / [[이슬람교]] / [[순니파]] / [[수피즘]]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북아프리카 국가]] [[분류:벨기에의 대국관계]][[분류:모로코의 대국관계]][[분류:프랑코포니]][[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