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Benson_DD-421_01.jpg]] [목차] == 개요 == Benson-class destroyer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심즈급 구축함]]의 후계 함급으로 건조된 [[미합중국 해군]]의 [[구축함]]. == 제원 == ||<-3> {{{#fff {{{+1 '''벤슨급 구축함'''}}}[br]''Benson-class destroyer''}}} || ||<-2> '''이전급''' ||[[심즈급]] || ||<-2> '''다음급''' ||[[글리브스급]] || ||<-2> '''표준배수량''' ||1,620톤 || ||<-2> '''만재배수량''' ||2,474톤 || ||<-2> '''전장''' ||106.12m || ||<-2> '''전폭''' ||11m || ||<-2> '''흘수''' ||만재 시 5.41m || ||<-2> '''승조원''' ||208명[* 전시엔 276명] || ||<-2> '''출력''' ||50,000SHP || ||<-2> '''최고 속력''' ||37.5노트 (약 69.5km/h) || ||<-2> '''항속거리''' ||12노트 (약 22km/h) 순항 시 12,000km || ||<|3> '''동력''' ||<|2> '''기관''' ||밥콕 & 윌콕스 [[보일러]] 4기 || ||베슬리헴 스틸 [[증기 터빈]] 2기 || || '''추진''' ||2축 [[프로펠러]] || ||<|7> '''무장''' || '''주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5문[* 라피는 4문] || ||<|2> '''부포''' ||2연장 [[보포스 40mm 포]] 2기[*라피] || ||[[오리콘 20mm 기관포]] 7문[*라피] || ||<|3> '''대잠''' ||5연장 21인치 [[어뢰]] 발사관 2기[* 라피는 1기] || ||[[폭뢰]] 거치대 2기 || ||K-건 폭뢰 발사대 4 ~ 6기[*라피] || || '''기타'''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6정 || == 상세 == 벤슨급은 구축함의 경우로는 대형으로, 기존 구축함과 비교하여 병기에서 훨씬 낫고 더 효율적인 포가(砲架)를 채용하고 참신한 5연장 어뢰발사관을 탑재했었다. == 운용사 == 총 30척이 1938년부터 1942년까지 건조된 후 운용되었으며 이 중 3척[* [[과달카날 해전]]에서 [[래피]], 바톤이 격침당했고 랜스데일은 1944년 독일 공군에 의해 격침되었다.]이 전쟁 중 손실되었다. 종전 이후에는 맥시코와 타이완에 생존 함선들이 양도되기도 하였다. == 자매함 목록 == || 함번 || 함명 || 함명 유래 || 취역일자 || 퇴역일자 || 최후 || || DD-421 || USS 벤슨(USS Benson) || 윌리엄 S. 벤슨 || 1940/7/25 || 1946/3/18 ||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뤄양(洛陽)으로 활동[br]1974년 해체 || || DD-422 || USS 마요(USS Mayo) || 헨리 T. 마요 || 1940/9/18 || 1946/3/18 || 1972년 스크랩 처리 || || DD-425 || USS 매디슨(USS Maddison) || 제임스 J. 매디슨 || 1940/8/6 || 1946/3/13 || 1949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426 || USS 랜스데일(USS Landsdale) || 필립 V. H. 랜스데일 || 1940/9/17 || || 1944년 상선 호위 중 독일군 폭격기의 뇌격으로 격침 || || DD-427 || USS 힐러리 P. 존스(USS Hilary P. Jones) || 힐러리 P. 존스 주니어 || 1940/9/6 || 1947/2/6 ||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한양(漢陽)으로 활동[br]? || || DD-428 || USS 찰스 F. 휴즈(USS Charles F. Hughes) || 찰스 F. 휴즈 || 1940/9/5 || 1946/3/18 ||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459 || USS 래피(USS Laffey) || 바틀렛 래피[*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수병. 증기선 USS 마모라 소속으로 근무했다. 야주 시티 전투 당시 동료 승조원 두명과 함께 12파운드 함포를 가지고 상륙, 포격을 가해 남부군을 몰아냈다. 이 공로로 동료들과 함께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 1942/3/31 || || 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히에이(순양전함)|히에이]]의 포격으로 격침 || || DD-460 || USS 우드워스(USS Woodworth) || 셀림 E. 우드워스 || 1942/4/30 || 1951/1/14 || [[이탈리아]]에 양도되어 아르티질레레(Artigilere)로 활동[br]1971년 해체 || || DD-491 || USS 파렌홀트(USS Farenholt) || 아서 W. 파렌홀트 || 1942/4/2 || 1946/4/26 || 1972년 스크랩 처리 || || DD-492 || USS 베일리(USS Bailey) || 시어도어러스 베일리 || 1942/5/11 || 1946/5/2 ||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598 || USS 밴크로프트(USS Bancroft) || 조지 밴크로프트 || 1942/4/30 || 1946/5/18 || 1973년 해체 || || DD-599 || USS 바튼(USS Barton) || 존 K. 바튼 || 1942/5/29 || || 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아마츠카제]]의 뇌격으로 격침 || || DD-600 || USS 보일(USS Boyle) || 토머스 보일 || 1942/8/15 || 1946/3/29 || 1973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601 || USS 챔플린(USS Champlin) || 스티븐 챔플린 || 1942/9/12 || 1947/1/31 || 1972년 해체 || || DD-602 || USS 미드(USS Meade) || 리처드 W. 미드 3세[br]로버트 L. 미드 || 1942/6/22 || 1946/6/17 || 1973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603 || USS 머피(USS Murphy) || 존 M. 머피 || 1942/7/25 || 1946/3/9 || 1972년 스크랩 처리 || || DD-604 || USS 파커(USS Parker) || 폭스홀 A. 파커 주니어 || 1942/8/31 || 1947/1/31 || 1973년 스크랩 처리 || || DD-605 || USS 칼드웰(USS Caldwell) || 제임스 R. 칼드웰 || 1942/6/10 || 1946/4/24 || ? || || DD-606 || USS 코글런(USS Coghlan) || 조셉 B. 코글런 || 1942/7/10 || 1947/3/31 || ? || || DD-607 || USS 프래지어(USS Frazier) || 대니얼 프래지어 || 1942/7/30 || 1946/4/30 || ? || || DD-608 || USS 갠스부트(USS Gansevoort) || 게르트 갠스부트 || 1942/8/25 || 1946/2/1 || ? || || DD-609 || USS 길레스피(USS Gillespie) || 아치볼드 H. 길레스피 || 1942/8/18 || 1946/4/17 || ? || || DD-610 || USS 호비(USS Hobby) || 제임스 H. 호비 || 1942/11/18 || 1946/2/1 || 1972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611 || USS 칼크(USS Kalk) || 스탠튼 F. 칼크[*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해군 장교. 1917년 자신이 복무하던 USS 제이콥 존스(DD-61)이 독일 잠수함의 뇌격으로 격침될 때 승조원들이 탈출할 시간을 벌기 위해 노력하다 저체온증과 탈진으로 사망하였다. 이 희생을 기려 사후 해군수훈장이 수여되었다.] || 1942/10/17 || 1946/5/3 ||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612 || USS 켄드릭(USS Kendrick) || 찰스 S. 켄드릭 || 1942/9/12 || 1947/3/31 || 시험용으로 소모 || || DD-613 || USS 롭(USS Laub) || 헨리 롭 || 1942/4/28 || 1946/2/2 || ? || || DD-614 || USS 맥켄지(USS MacKenzie) || 알렉산더 S. 맥켄지 || 1942/11/21 || 1946/2/4 || ? || || DD-615 || USS 맥래나한(USS McLanahan) || 테넌트 맥래나한 || 1942/12/19 || 1946/2/2 || ? || || DD-616 || USS 닐즈(USS Nields) || 헨리 C. 닐즈[*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해군 장교. 아군 모니터함 USS 테쿰셰가 기뢰와 접촉해 격침되자 보트를 타고 가서 10명의 승조원을 구출하였다.] || 1943/1/15 || 1946/3/25 || 1972년 해체 || || DD-617 || USS 오드로노(USS Ordronaux) || 존 오드로노 || 1943/2/13 || ? || ? || == 매체에서의 등장 == [[파일:external/wiki.gcdn.co/Benson_wows_main.jpg]] [[파일:external/wiki.gcdn.co/Lo_Yang_wows_main.jpg]] * [[월드 오브 워쉽]]에서 미국 구축함 8티어로 나온다. 또한 중화민국(대만)에 넘어간 형식인 뤄양 역시 8티어 프리미엄 함선으로 나왔다. * 콘솔버전인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서는 미국 구축함 6티어로 나온다. 어뢰사거리가 늘어서 본격적으로 어뢰전도 해볼만해진다.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대공강화 개수를 받지 않은 사양으로 추축군--뭐?-- 해상 타겟으로 등장한다. 파괴 시 전술점수는 16점이며, 상대방은 제공권의 최대 16%를 잃는다. * 중국의 모바일 게임 [[전함소녀]]에 선대 [[래피(벤슨급)(전함소녀)|래피]]가 등장한다. * 또 다른 중국의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의 구축함 중 [[벤슨(벽람항로)|벤슨]], [[베일리(벽람항로)|베일리]], [[라피(벽람항로)|라피]], [[하비(벽람항로)|호비]], [[커크(벽람항로)|칼크]]가 등장한다. * 지금은 서버가 종료된 대만의 모바일 게임 [[강철소녀]]에 벤슨이 등장했다. 개장시 뤄양으로 변경되었다. [[파일:Naval Creed 벤슨.png|width=800&hight=800]] [[파일:Naval Creed 래피.png.jpg|width=800&hight=800]] [[파일:Naval Creed 뤄양.jpg|width=800&hight=800]] * [[Naval Creed:Warships]]에서 [[Naval Creed:Warships/미국 테크 트리/구축함#s-1.2.3|4티어 구축함]]으로 나온다. 그리고 자매함중 하나인 래피와 중화민국으로 넘어간 형식인 뤄양도 [[Naval Creed:Warships/미국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s-1.1.1|4티어 프리]][[Naval Creed:Warships/중국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s-1.2.2|미엄 구축함]]으로 나온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함선)] [include(틀:현대전/대만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벤슨, version=29)] [[분류:구축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이탈리아군/군함]][[분류:대만군/군함]][[분류:194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