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00 베트남인(비엣족)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 [include(틀:동남아시아의 민족)] [include(틀:동아시아와 북아시아의 민족)] [include(틀:베트남 관련 문서)]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Soldiers_of_Vietnam_Peoples_Army (1).jpg|width=100%]] || || [[베트남 인민군|베트남군]] 군인들 || * [[베트남어]]: '''Người Việt Nam''', '''𠊛越南'''(베트남인), '''Người Việt''', '''𠊛越'''(비엣족), '''Người Kinh''', '''𠊛京'''(킨족) * [[영어]]: Vietnamese people [[베트남]] 국적을 가진 사람 또는 베트남에 전통적으로 거주해온 [[민족]]을 총칭한다. 중국에 거주하는 베트남계 소수민족인 [[징족]]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 기원 == 베트남인의 대부분은 비엣족(Việt, 越, 월)[* 킨족(Kinh, 京, 경)이라고도 부른다.]이고, 그 외 54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비엣족의 원주지(原住地)는 [[중국 대륙]] 최남부라는 설이 있다. 그래서 [[오월동주]]나 [[와신상담]]의 고사로 유명한 [[춘추시대]]의 [[월나라]]와 비엣족이 모종의 관계가 있지 않겠냐는 재밌는 이야기도 있다. 물론 지칭하는 한자(越)가 같다는 점 외에 직접적인 관계는 전혀 없다. 애초에 베트남 북부에 거주하는 이들을 '비엣족'이라고 칭하는 시점은 [[조타]]의 [[남월]] 시기부터로 봐야하는데, 조타는 진나라의 장수였고 당시 중원에서 으레 쓰이던 가변적인 명칭인 월(越)을 국명으로 사용한 것 뿐이다. 당시 [[중원]]에서 부르는 월(越)이라는 명칭은 광범위하고 가변적이었으며, 사실 이런 특정 집단을 지칭하는 한자가 별개의 집단을 지칭하며 중복되어 쓰이는 경우는 꽤 흔한 일이었다.[* 대표적인 예로 [[동이|동이(東夷)]]는 원래 지금의 [[산둥성|산동성]] 일대의 거주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시간이 흘러 [[한민족]]이나 [[퉁구스|퉁구스계]] 민족 등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역사상 존재했던 수많은 국가 중 대중적으로 알려진 건 소수의 국가뿐이다. 학술적으로 접근하면 중복되는 국명이 상당히 많고, 이들을 구분하기 위해 동서남북 혹은 전·후를 국명에 붙인다. 그리고 이런 위치상·시대상 구분 방법으로도 한계가 있을 정도로 중복되는 국명이 많다. 어쨌든 비엣족의 원주지를 [[중국 대륙]] 최남부로 보는 시각에서는 비엣족이 한족의 남하 과정에서 밀려나 베트남 북부 지역으로 이주했다고 본다. 이는 [[태국인]]의 대부분을 이루는 타이족[* [[태국인]]들은 [[윈난성]]에 살던 타이족과 크메르계 혈통을 가진 원주민 몬족, 그리고 약간의 [[말레이]] 인종이 혼혈된 사람들이다.], [[미얀마]] [[버마족]]의 이주에 관한 설과 비슷한 면이 있다. 참고로 북부 비엣족의 유전자를 조사하면, 현재 중국 대륙 최남부 지역인 [[광둥성]], [[광시좡족자치구]], [[하이난성]]에 사는 주민과 소수민족인 [[묘족]]과 가깝다고 한다. == 특징 == [[하노이시|하노이]]를 포함한 북부 지역 베트남인은 외형상 [[광둥성]], [[광시좡족자치구]], [[하이난성]] 등지의 중국 대륙 최남부 지역 거주민과 비슷한 편이다.[* 참고로 [[태국]]의 타이족과 [[라오스]]의 라오족, [[미얀마]]의 버마족 역시 애초에 [[중국 대륙]] 최남부에서 살다가 남하한 집단들이다. 타이족만 해도 태족이라고 중국 대륙 최남부에 같은 계열 소수민족이 있다.] 그래서 [[동남아시아인]]은 모두 다 피부색이 어두울 것이라는 선입견과는 다르게 [[동아시아인]]처럼 생긴 사람도 제법 볼 수 있다. 다만 남부 지역은 원래 인종이 다른 [[참파]]의 근거지였기 때문에 그들과 혼혈되어 피부색도 어둡고 생김새도 다르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 북부와 남부가 어느 정도 동화되었기 때문에 여타 동남아인에 비하면 동아시아인과 피부색이 비슷한 편이다. 베트남의 주류 민족인 비엣족은 현 [[중국 대륙]] 최남부에서 왔다고 추정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지배를 천년 동안 받았기 때문에 [[중국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서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화교]] 국가인 [[싱가포르]]와 더불어 유이하게 [[한자문화권]]에 들어가는 국가다. 그래서 보통 [[동아시아]]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이런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특수한 사례로서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분류할 때도 있다. 베트남을 제외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문화적으로 [[인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던지라 베트남과 이질감이 아주 크다.[* [[태국]]에도 동아시아 문화가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고 하지만, 근현대 태국으로 이주한 화교와 일본 문화의 영향 정도고 기본적으로는 [[인도/문화|인도 문화]]의 영향이 가장 컸다. 사실상 동남아시아에선 베트남을 제외하고는 동아시아의 문화는 희미한 편이다.그나마 싱가포르도 동아시아 문화의 영향이 있지만 여기는 [[국제도시]] 격 국가여서 [[말레이인]],[[인도인]],[[영국인]],[[아랍인]] 등 아주 많은 국가 출신 사람들이 많아 짬뽕되어 있다. ]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베트남은 [[캄보디아|크메르]]족, 참족 등 인접 동남아시아 민족들과 역사적으로 사이가 좋지 않았고, 옛부터 동아시아에 더 강한 친근감을 보였다. 현대의 베트남인 중에는 자신들이 [[동아시아]]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꽤 많다고 한다. 그 이유로는 지리적인 부분만 제외한다면, 당장 역사적으로 베트남 정치 체제와 사회를 지배해온 이념과 종교는, 고대에는 [[힌두교]]권에 속했다가 [[상좌부 불교]]가 지배적으로 자리잡은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나 힌두교에서 [[이슬람]]으로 갈아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같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달리, 시종일관 통치 이데올로기로서는 [[유교]], 문자는 [[한자]]나 한자에 기반한 [[쯔놈]]을 사용했으며, 통치 체제나 관료제 또한 중국에서 따왔다. 중국과 유구히 대립해왔던 베트남은 동아시아 국가들처럼 자신들의 문명이 주변의 다른 국가보다 뛰어나다는 사상이 기본으로 되어있는 국가라는 게 주위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등 타 [[인도차이나]]와 다른 특이점이라 볼 수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60px-Nam_Tien.png]] 베트남 민족의 확장사. 베트남어로는 이 확장을 남띠엔(Nam tiến, 南進(남진)이라고 한다. 비엣족은 세계 초강대국 중국의 정복전쟁 및 영향권 하에 있어서 확장이 불가능한 북쪽 대신[* 아예 없진 않았고 11세기에 [[북송]]을 공격한 [[송월희녕전쟁]]의 사례가 있다.] 남쪽으로 이주하면서 점차 [[남중국해]] 해안을 따라 [[참파]]와 [[캄보디아]]의 영토를 뜯어가며 확장했다. 현재는 이들 지역에 비엣족이 다수 유입되었지만 아직 여러 소수민족이 많이 남아 있다. 그래서 중남부 베트남인은 참족과 크메르인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에 혼혈화가 진행되었음에도 북부와는 외모, 문화 등에 있어 상당히 이질적이다. 요약하자면 중세 이후 베트남이란 [[국가]] 형성 과정은 '''정치적으로는 중국에서의 철저한 [[독립]]을 추구하되, 문화적, 이데올로기적으로는 동아시아 [[문명]]으로의 내재화'''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국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베트남은 [[한국]], [[일본]]보다 더 철저한 [[중화사상]]을 내세워 국내용 칭호나 문서에서는 아예 대놓고 베트남 조정을 중국 왕조와 대비되는 '''[[남조]]'''라 칭했고, [[참파]], [[크메르]] 같은 [[힌두교]]-[[불교]]권에 가까운 인근 나라들을 정벌하며 [[유교]]를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 전파를 명분으로 삼았다. 레 왕조 때 지배층이 친명 스탠스로 유교를 받아들였으나 남부 사람들은 오히려 반중 정서를 유지하여 간극이 생겼고, 이후 찐씨의 북부, 응우옌씨의 남부 지배체제가 정착되면서 백성들의 생활패턴에도 영향을 미쳐 북부는 농경사회 속에서 유교적 생활습관을 유지한 반면, 남부 사람들은 영토 확장을 하면서 이기적이고 도전적인 습성을 유지하며 유교에 일절 가치를 두지 않았다. 그래도 민족 동질성만큼은 통일돼 있다. 동아시아의 문화인 [[과거 제도]]와 종묘사직에 지내는 제사 또한 일찍부터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했고, 정복한 참파나 크메르쪽에 대충 끼워 맞춘 동아시아식 작위를 내리며 외왕내제식 통치를 했다. 베트남은 자신들의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뛰어나다는 사상을 가지고 다른 민족을 몰아내며 남진을 계속 했다. 현대 베트남은 [[ASEAN]] 회원국으로 중화질서가 무너진 현대에는 타 [[인도차이나]] 국가들과의 협력을 중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인도문화권인 타 인도차이나와 구별되는 일종의 아이덴티티가 있다. === 종교 === 베트남은 [[공산주의]] 국가임에도 원칙적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며, 총 15개의 종교[* [[불교]], [[이슬람교]], [[가톨릭]], [[개신교]], [[바하이교]], [[까오다이교]], 호아하오교, 크메르 브라만교 등.]가 정부의 인가를 받아 활동하고 있다. 베트남인들은 주로 [[불교]]를 많이 믿으며, [[유교]] 역시 베트남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장유유서 같은 유교적 전통이 베트남에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심지어 공산당 정권도 19세기 이전부터 뿌리내린 불교와 유교는 대놓고 탄압하지 못했을 정도다. 그리고 중국처럼 [[도교]] 역시 베트남인의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자리잡고 있다. 다만 [[베트남]]은 [[공산주의]] 국가라 그런지 대부분의 국민들은 주로 [[무신론자]] 아니면 [[무종교]]인으로 간주되며, 진지한 [[불자#s-1|불자]]는 사실 얼마 되지도 않는다. 그냥 한국의 [[유교]] 사상이나 [[북유럽]]의 종교 문화와 비슷하다고 봐도 될 듯. 베트남 불교 사찰에서는 대웅전 등은 건드리지 않아도, 조사 스님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 둔 조사전에는 조사들의 상을 치우고서 [[호치민]]의 동상과 [[금성홍기]]를 대신 모셔놓은 경우가 많다. 노년층에서는 독실하되 겉으로 드러내지 않으며 가정에서라도 신앙생활을 하는 불자가 아직 많이 남아있으나, 젊은 층은 불교를 잘 모르고 관심도 없어서 믿지 않는다. 교육 과정에서부터 불교는 물론 기타 종교에 대해서도 잘 가르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프랑스]] 식민지배의 영향으로 [[가톨릭]]을 믿는 베트남인들도 많아서 전 인구의 5%가 [[가톨릭]] 신자다. 가톨릭 신자는 주로 남부 지방에 몰려 있는 경향이 있다.[* 사실 북부 지방의 100만에 달하는 신자들이 [[월맹]]의 북베트남 통치가 굳어지자 1954년에 남베트남으로 대거 이주한 영향이 크다고 한다.] 물론 [[홍콩]]이나 [[마카오]]와는 달리 [[개신교]]가 흥하지는 못한 편이다. 애초 도시 하나만 떼어 [[영국]]과 [[포르투갈]]이 지배한 저 둘과 나름 땅덩이가 있는 베트남은 조금 다르다. [[대한민국]]처럼 전국적으로 개신교 선교가 되었으면 인구 빨로 신자가 많을 수도 있으나, [[프랑스인]]들은 베트남을 3분할 통치하여 [[사이공]]을 중심으로 한 남부 코친차이나[* [[호치민시]] 주변 지역을 코친차이나라고 하여 프랑스 직할령으로 삼았다.]만 직접 통치했으며,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통킹 및 [[후에]]를 중심으로 한 중부 안남은 응우옌 왕조가 통치하는 간접 통치라 불교세가 온전히 살아 있었다. 그 외의 종교로 [[도교]]와 [[불교]] 교리를 짬뽕시켜서 [[까오다이교]](Cao Dai, 道高台)나 호아하오교(道和好)같은 베트남 특유의 [[신흥종교]] 신자들도 있는데 이들 종교들은 남부 [[메콩 강]] 델타 지역이 근거지다. 베트남 남부 지역은 베트남 민족사적 관점에서도 [[프랑스]] 식민지배 직전 19세기는 되어야 확실하게 [[참파]]를 비롯한 토착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자국의 경계 내에 온전하게 흡수한 지방이었으며, 중세부터 꾸준히 [[유교]]와 [[대승 불교]]가 확실하게 자리 잡은 북부 홍강 델타와 달리 [[프랑스]]의 식민지배로 인하여 저 두 지배적인 종교적 영향력이 정부 권력의 지원을 받고 안정적으로 자리 잡지 못하여 저런 여러 종교의 영향력이 [[짬뽕(동음이의어)#s-2|짬뽕]]된 신흥혼성종교(syncretic religion)가 크게 떠올랐던 지방이다. 까오다이교와 호아하오교는 신앙의 자유를 보장받고는 있다 하나, [[남베트남]]의 반공 국시를 지지하고 무장 반공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과거로 인해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때문에 베트남 공안은 이들이 남베트남 시절의 국기였던 [[황저삼선기]]를 내걸거나, 교주/창시자를 기리는 행사를 열거나 하면 반체제 행위로 간주하고서 탄압한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126016015&wlog_tag3=naver|#]] 한편, [[소수민족]]인 [[참족]]은 [[이슬람교]]를 믿는 경우가 많다. === 언어 ===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한다. [[말레이시아]]의 [[네그리토]], [[인도]] 동부 카시족, [[캄보디아인]] 등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구사한다. 현대에 들어 소수민족들도 소수어를 버리고 [[베트남어]]를 상용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인구증가율이 상당하다. [[출산율]] 감소가 늦게 시작된 관계로 출산율은 현재 1.8명대 정도로 크게 낮지는 않은 편이다. 그리고 소수민족의 베트남어의 사용이 늘어나며 사용자수가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고로 80~90년대를 기점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수보다 베트남어 모어 화자가 많아졌다. 베트남인들의 이름은 [[한자]]로 되어 있다. [[호치민|호지명]], [[쩐흥다오|진흥도]] 등 베트남의 역사적 인물들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베트남어 단어의 60%는 한자에서 비롯된 단어들이다. 그러나 [[쯔놈]]을 폐지하고 [[쯔꾸옥응으]]를 도입하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베트남 여성은 중간이름에 티(Thị)가 많이 붙는데, 한자로 적으면 씨(氏)가 된다. 남성은 빈도수가 좀 덜하지만 [[응우옌반티에우]]나 [[반 다크홈]] 같은 경우처럼 중간이름에 반(Van)이 많이 붙는데, 한자로는 문(文)이다. === [[소수민족]]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6px-Percentage_Vietnamese.png]] 지역별 소수민족 비중 지도. 노란색은 베트남 민족이 20% 미만, 주황색은 20~40%, 분홍색은 40~60%, 붉은색은 60~80%, 짙은 붉은색은 80% 이상인 지역이다. 베트남 역사에서 전통적으로 중심지인 북부[* 물론 [[하노이]] 등 수도와 옛 왕조 시대부터 역사적 중심지였던 곳은 색이 아주 진한 걸 볼 수 있다. 소수민족이 많은 곳은 여러 소수민족들이 거주하는 중국 [[윈난성]]과 가까운 북부 고산지역.]보다 [[참파]], [[캄보디아]] 등의 영토였던 남부의 색이 진한데, 베트남의 남진에 따라 베트남인과 명나라 멸망 후에 유입된 유민들의 집단 이주, 강력한 동화정책 등으로 소수민족을 대체해 나갔다. 일례로 [[호찌민시]]는 18세기 이전까지 쁘르이노꼬(ព្រៃនគរ)라 불리던 [[캄보디아]] 영토였으며 내륙의 떠이 응우옌(Tây Nguyên, 西原, 서원) 지역은 남베트남과 이후 통일 베트남의 베트남인 이주 정책으로 소수민족이 소수가 된 지역이지 20세기 초중반까지는 소수민족이 다수인 지역이었다. 실제 [[1930년대]]만 해도 이 지역 인구의 95%는 소수민족이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AkIhYEavBrEC&pg=PA146&lpg=PA146&dq=Tay+Nguyen+vietnamese+population&source=bl&ots=JxKOSiBZl9&sig=M8QQ0dQhQqi128QrdnRjbpI9BDE&hl=ko&sa=X&ved=0ahUKEwib0JbqtPXMAhWEnZQKHSrRDFMQ6AEIPjAF#v=onepage&q=Tay%20Nguyen%20vietnamese%20population&f=false|#]] 참족[* [[참파]]의 주류 인종], 므엉족[* 비엣족과는 인종적으로 같다고 한다. [[한나라]]가 베트남을 침공하였을때 중국 문화를 거부하고 고산 지대로 피신하여 자신들만의 생활을 영위했다.], 묘족[* 중국 대륙 최남부와 베트남 일대에 거주. [[중국어]]로는 먀오족.], 태족[* [[베트남어]]로는 따이족] 등이 주요 소수민족이다. 현대에는 베트남에 병합되었지만 천년이 넘도록 베트남의 최대 적수 중 하나였던 [[참파]]를 세운 참족은 베트남인과 인종적으로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 인종에 속하는 민족이다. 이들은 원래 오늘날 [[말레이시아]] 일대에서 거주했다가 2천년 전에 현 베트남 중남부로 이동해 왔으며 [[한자]] 문화권이었던 베트남과 달리 [[힌두교]]를 받아들인 인도 문화권 민족이었기 때문에 베트남과 참파 사이의 차이가 매우 컸다. 물론 이후에 둘 다 [[대승 불교]]를 믿게 되었던 적도 있었지만 베트남은 [[유교]], [[도교]]였고, 참파는 [[힌두교]], [[이슬람]]으로 결이 달랐다. 베트남의 역사는 '''북부에 있던 베트남이 남부의 참파를 밀어붙이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종 참파가 베트남을 [[관광]]시키고 수도까지 턴 적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베트남이 참파보다 우위의 힘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그렇게 참파는 14세기 말부터 서서히 베트남에게 밀리더니 18세기에는 베트남이 참파의 근거지인 현 베트남 남부까지 들어오면서 베트남의 [[종속국]]이 되어 버렸다. 참족은 베트남에게 서서히 밀리자 [[말레이시아]] 일대로 이주하기도 했으며, 일부는 잔류했다. 말레이시아로 간 참족은 [[말레이인]]에 동화되어 이슬람 신자가 되었으며 베트남 잔류 참족 역시 [[힌두교]]를 버리고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베트남에서 얼마 되지 않는 [[무슬림]]은 참족이 대부분이다. 중국과 인접해 있고 오래전부터 중국과 얽히고 설킨 역사로 인하여 [[한족|호아족(華族)]]이라는 [[중국인]] 혈통의 [[중국계 베트남인]]들도 86만 명 가량 살고 있으며, 베트남화된 한족으로 보이는 사람들도 역사서에 보인다. 이들은 중국이 베트남을 침공했을때 베트남으로 들어오거나 베트남 독립 이후 베트남으로 이주해온 한족들의 후손들인데 베트남어로는 씨 니엡이라는 이름으로 특히 [[삼국지]] 매니아들에게 유명한 [[사섭]]이 있다. 사씨 가문은 [[한나라]] 때 베트남 북부를 간접지배했던 영주들이었으며 한때 한나라가 중부 베트남에 진출해 현재 [[다낭]]에 일남군을 만들기도 했으나 참족에게 밀려나 버렸다. 그리고 리 왕조(1009년~1225년)를 건국한 [[태조(리)|리꽁우언]](李公蘊), 호 왕조의 창시자 [[호꾸이리]], 막 왕조의 개국자 [[태조(막)|막당중]]도 원래 남중국 일대에서 이주해온 중국인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 [[판타인잔]]도 [[화교]] 가문 출신이며 [[명나라]]가 망해버리자 명나라 유민들이 대거 베트남으로 들어오기도 했다. 이 유민들은 훗날 베트남이 [[메콩 강]] 일대로 진출할때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베트남의 인상이 예전부터 영 좋지 않았고, [[베트남 전쟁]]과 [[중월전쟁]]의 여파로 [[1978년]]~[[1979년]] 2년 사이에 [[화교]]를 포함한 중국인 45만 명이 베트남을 떠났기 때문에, 베트남에 소수민족으로 남아있는 [[한족]]의 수는 전체 인구 중 1% 수준으로 적은 편이다. 이들 [[중국계 베트남인]] 대부분은 [[홍콩]]이나 [[마카오]]로 갔다. [[구룡성채]]의 경우 [[1980년대]] 초반까지 중국계 베트남인의 난민 유입으로 인해 토착 [[삼합회]]와 난민 삼합회 간 갈등이 극심해지기도 했다가 [[1986년]] [[홍콩 경찰]]과 영국 총독부 관리들의 진입 성공으로 평정되었다. 이후 중국에 반환되는 과정에서 결국 철거되어 버렸다. 나머지 잔류한 중국계 호아족의 수는 86만명에 달하고 베트남에서 6번째로 수가 많은 소수민족이다. 어쨌든 덕분인지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화교]]가 경제 분야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는 거의 유일한 국가이다. 중국계 인구가 70%인 [[싱가포르]]는 말할 바도 없고 3% 남짓인 [[필리핀]], [[인도네시아]]도 화교가 경제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과 대비되는 부분. 따지고 보면 대부분의 비엣족은 중국 최남부인 [[윈난성]], [[광둥성]] 등에서 남하한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지만, 동화된지 너무 오래되어 중국계 주민이라 하지는 않는다. === 북부와 남부의 인종차이 === [[중국인]]과 [[이탈리아인]]처럼 북부랑 남부의 생김새가 다른데, 흔히 생각하는 베트남인의 모습은 남부 베트남인들의 외모로, [[구릿빛 피부|피부색도 어두운 편이고]] 생김새도 전형적인 [[동남아인]]의 모습이다. 현 남베트남인들의 혈통에는 [[참족]]과 [[크메르족]]의 피가 진하게 섞여 있는데, 이는 남베트남은 말레이계 민족인 참족의 나라 [[참파]]였다가 베트남에게 밀려 합병되고 참인들은 베트남인들에게 동화되었고, 남베트남 지역 중 과거에 [[캄보디아]] 영토였던 지역의 크메르인들 또한 캄보디아 본토로 떠나지 않고 그대로 남은 이들이 베트남인들에게 동화되었으며, 이렇게 베트남화된 참인들과 크메르인들이 현 남베트남인들로 이어져서 그렇다. 반면 북부 베트남인의 모습은 [[동아시아인]]과 흡사하게 생긴 경우가 많다. [[중국]] 남부나 [[대만]] 사람들과 매우 유사하게 생겼으며, [[한국인]]이나 북방 중국인과 비슷하게 생긴 사람들도 있다. === 해외의 베트남인 === [[베트남어]]: Người Việt Hải Ngoại (𠊛越海外), Việt Kiều (越僑) ==== [[대한민국]] ==== [include(틀:대한민국의 주요 인종 및 재한 외국인)] 대한민국에서 [[중국인]] 다음으로 2번째로 [[체류]]자가 많은 외국인이다.[* 3위는 [[태국인]]이다.] 최근에 한국 [[유학]]을 많이 온다. 특히 [[평택대학교]]에 꽤 많다는 듯. [[재한 외국인]] 수로는 [[한족]] 중국인과 비슷하다[* [[조선족]]으로 대표되는 [[한국계 중국인]]이 가장 많고, 기타 [[중국인]]들도 2위 수준이다.][* 베트남인의 재한 수는 [[태국인]]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국내 거주인 수는 2020년대 기준 약 20만명대이다. 재한 베트남인의 유입은 2000년대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되는데 이러한 과정에는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결혼]]을 하고 5년 정도 지나면 베트남에서 가족을 초청하는데, 가족의 비자가 간소화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베트남 가족 전체가 이주를 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물론 수입차가 많이 나기 때문에 오는 경우가 다수.] 다만 1세대의 경우 아무래도 한국어가 서툴고 여자는 연애결혼이 아니라, 경제적인 점을 고려하여 결혼을 하는 국제결혼이 많은데다가, 남성들도 주로 3D업종의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이들 업계의 임금 인상을 힘들게 한다는 점을 들어[* 본래 외국인 노동자가 필요한 이유는 특정 산업군의 노동력이 부족한 것을 한시적으로 메꾸기 위해 들여오는 것인데, 일각에선 "(베트남인을 포함한) 대량의 외국인 노동자를 무분별하게 들여와 오히려 노동시장에서 한국 노동자와의 임금 경쟁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다. 물론 반대측에선 "그래봤자 전체 인구 2%도 안되는 수준으로 지금 정도가 적정선"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식의 이민에 반감을 가지는 사람들도 있는 편이다.[* 다만 이런 [[외국인 노동자]]들은 실제 한국 국적을 취득하여 눌러사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은 고향으로 돌아갈 날을 그리워하며 공장, 회사 내에 있는 기숙사에서 숙식을 하고 번 돈은 본국 가족들에게 부치는 경우가 많다. [[환율]] 차이로 인해 그렇게 몇 년만 일하면 본국에서는 땅이나 농장을 살만한 상당한 거금을 만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로 이런저런 이유로 한국과 베트남 양국 정부는 재한 베트남인에 대해서 상당히 예의주시하고 있다. ==== 중국 ==== [include(틀:중국의 민족)]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징족)] 베트남에서 주류를 점하는 비엣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이기도 한데, 중국에서는 이들을 [[징족]](京族: 경족)이라고 부른다. 인구는 약 3만여 명으로, 대부분 [[광시좡족자치구]]에 거주하며, 이 중 베트남 국경에 인접한 팡청강(防城港) 시에 거의 40% 가량이 거주하며, 특히 팡청강 시에서도 징족들이 몰려사는 세 섬(巫头 우터우, 万尾 완웨이, 山心 산신 섬)을 경족삼도(京族三岛)라고 한다. 이 징족은 중국에 체류하는 베트남 국적자(약 3만여 명)와는 구분된다. [[캄보디아]]에도 베트남인이 많이 거주하는 편이다. ==== [[미국]] ==== [include(틀:미국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트남계 미국인)] [[베트남계 미국인]]은 20세기 기준 [[공화당(미국)|공화당]]에 대한 지지율이 높은 편이었다.[* 다만 어느 정도 앙금을 풀고 있는 베트남계도 있는데다가 통일 베트남에서 오고 있는 인원 때문에 색채가 희미해져서 2016년 대선 때는 [[힐러리 클린턴]]을 더 많이 지지했다. 물론 공화당 후보가 대놓고 배타주의 냄새를 풍기는 [[도널드 트럼프]]였던 것도 한몫했다.(...)] 다만 베트남계 미국인 중 상당수는 원래 [[중국계 베트남인]]이었다가 적화통일 후 탈출한 사람들이다. 물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어쩔 수 없는지, --여전히 [[일당독재]]긴 하지만-- [[베트남 정부]]가 개방 정책을 펴고 서구권과도 관계 모색에 들어간 이후부턴 악감정을 벗고 베트남에 투자하거나 귀국해서 살고 있는 [[보트피플]]의 수도 상당하며, 베트남 부동산 시장의 큰 손 가운데 하나가 이런 보트피플과 그들의 자녀들이다. 사실 베트남이 개혁/개방 정책을 편 시기도 [[냉전]]이 끝나기 전인 [[1985년]]으로 꽤 빠른 편이긴 했는데, 이는 [[베트남 전쟁]]이 종전된 지 10년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발표된 것으로 이런 것을 근거로 당시 베트남 공산당(베트민, 북베트남)이 벌였던 전쟁의 일차적 목표는 베트남 공산화보다는 [[국민국가]] 형성이었다고 보는 역사학자도 상당한 편이다.[* 실제로 베트남은 소련이나 중국 같은 공산국가들 보다 의외로 자본주의적인 면이 강했다. 지금이야 소련은 멸망한지 오래고 중국은 개혁했지만 중국의 경우 아직도 사회주의적인 모습이 남아있으나 베트남은 80년대에 이미 개혁을 해서 인지 정치만 사회주의지 경제는 자본주의적이다.] ==== 기타 ==== 한편으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구 식민 종주국 [[프랑스]] 등 [[서구권]]에 거주하는 베트남인들이나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베트남계 싱가포르인]]들이 싱가포르에 거주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태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사는 베트남 사람들도 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남베트남]]계로 소위 말하는 [[보트피플]]출신이다. 특히 홍콩은 [[구룡성채]]에 베트남 국적 화교들이 대거 몰려 들어갔고 다른 곳에서도 베트남 사람들이 난민으로 화교, 비엣족 둘 다 많이 들어갔다. [[구룡반도]]의 카우룬시티 구의 경우 남베트남 난민들의 집단 거주지역이었다. 마카오,싱가폴,말레이시아도 상황은 비슷했다. 이 국가에 귀화한 베트남인들 대다수는 화교계 였으며 이들은 현지 중국계들과 통혼을 하는 방식으로 귀화한 이들이 많다고 한다. 물론 [[1990년대]] 이후로는 통일 베트남에서 온 베트남인들이 많아졌지만 [[가치관]]의 차이가 상당한지라 [[갈등]]을 빚는 경우도 종종 있고[* [[한국]]은 지리적으로 [[베트남]]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한국으로 오는 [[보트피플]]의 수가 많지 않은 데다가, 보트피플들을 구조하고 나서는 한국에 정착시키지 않고(정착한 이들이 없지는 않지만 소수다) [[미국]]이나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 제3국으로 보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 정착한 보트피플 출신 베트남인들이 많지 않아 남베트남계 이주민들과 통일 베트남계 이주민들이 갈등을 빚는 일이 거의 없다.], 현 베트남 정부에 대한 반감을 지닌 이들도 많다. 반면에 구 [[동독]] 지방이나 [[폴란드]]나 [[불가리아]], [[체코]],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이나 [[구소련]]에 속한 [[중앙아시아]]에서 거주하는 베트남인들은 대개 구 [[북베트남]]에서 온 사람들이 주류로, 원래는 노동자로 일하러 들어왔는데 동구권 국가들의 체제 전환 이후에도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베트남으로 돌아가기는 뭐해서 그대로 눌러앉은 경우다. 출신 성분이 성분인지라 현 베트남 정부와의 마찰은 별로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 등 [[아라비아 반도]] 산유국에 해외 노동자 형식으로 나가 있는 베트남인들이 있다. [[파일:phuongchi.jpg]] [[일본]]에서 활동했던 전 [[아이돌링!!!]] 소속의 베트남계 일본인 아이돌 폰치. 아이돌링이 해체한 이후 드라마에 출연하면서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21세기]] 들어선 베트남계 이민자가 [[동아시아]]에 상당히 늘어나 [[일본]]에도 상당히 많아지고 있다. 특히 일본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면서 비어있는 노동자 비율을 주변국에 의지하고 있다 보니 베트남 출신 외국인 노동자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베트남인 노동자에 대한 대우가 좋지 않다고 한다. [[https://twitter.com/nhk_news/status/1073513742627934208|관련한 NHK의 동영상 뉴스]] === 키 === 전반적으로 평균 키가 작은 편이다. 다만 베트남이 꾸준한 경제성장률을 유지함에 따라 베트남 국민들의 영양 상태가 상당히 호전되었고, 그 영향으로 2022년 기준 베트남 보건부의 통계에 따르면 10대~20대 평균 키가 남성 168.1cm, 여성 156.2cm까지 상승했다고 한다.[* 2010년과 비교해 각각 3.7cm, 2.6cm 정도 더 성장했다.][[http://www.insidevin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344|#]] 가끔 큰 사람들도 외국계가 많은 편이다. 그래서 비교적 체격이 큰 한국 남성은 현지 화장실에서 엉거주춤하게 서서 볼일을 봐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물론 이는 인종차도 있긴 하겠지만 과거 다른 지역이 그랬듯 식단에 따른 차이나 성장기 시절 생활습관 등에 따른 차이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장신이 많은 베트남 국가대표 [[농구]]팀도 존재하나 다수는 중국계나 [[혼혈]]이며, 기량은 전세계 최하위 수준으로 같은 동남아 지역인 [[필리핀]]에도 압살당하는 수준이다. 이들의 작은 키는 [[베트남전]] 당시에도 주목되었는지, 당시 연합군 공문에는 "[[북베트남]]군에 장신이 발견될 경우, 높은 확률로 [[소련]]이나 기타 [[동아시아]][* [[중국]], [[북한]] 등. 특히 북한은 해방 전후까지만 해도 남한 지역에 비해 장신이 많았다는 통계 자료가 남아있다.]에서 파견된 간부급 병력일테니, 반드시 생포하라"는 내용이 있기도 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에 --한이 맺혔는지-- 베트남 정부에서는 '''2011~2030년 신장, 체력 종합 개선안'''을 내놓았다. 2020년까지 남성 167cm, 여성 156cm, 2030년에 남성 168.5cm, 여성 157.5cm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말에 의하면, 장기적으로 보면 크긴 하겠지만 단기간에 그 정도로 빨리 평균키가 성장하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한다.[[http://www.vinahanin.com/index.php?mid=vnnews&document_srl=116752|#]] 사실 이나마도 70년대에 비하면 많이 커진 편인데,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콩]]들의 벙커에 [[미군]]은 물론 그전까지 왜소했던 [[한국군]]마저 들어가지 못할 만큼 벙커가 작았다는 얘기는 유명하다.[* 베트남 전쟁에 쓰인 지하벙커와 땅굴 상당수가 현대 베트남인도 들어가기가 힘들어 폐쇄당했다. 그만큼 현대 베트남인들의 체격이 커졌다는 의미.][* 참고로 1960년대 한국 남성 평균 키는 160후반대 정도였다.] 그렇다고 모든 베트남인들이 작다는 건 오산이고, 간혹 우리가 알던 평균키 이상이거나 서양인 정도의 체격을 가진 사람도 보이는데[* 남성은 178 이상, 여성은 166 이상], 이런 사람들은 자국 내에서 피지컬을 인정받아 대형백화점 경비, 경호원, [[베트남 공안부|공안]], 군대, 운동선수를 업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 베트남 출신 인물(가나다) == * [[꽝레]] * [[꿰응옥하이]] * [[남프엉 황후]] * [[당반럼]][* 베트남인-[[러시아인]] [[혼혈]].] * [[당타이선]] * [[도안반하우]] * [[도주이마인]] * [[도흥중]] * [[도티하]] * [[딘보린]] * [[레꽝빈]] * [[레꽝주이]] * [[레 성종]] * [[리꽁우언]] * [[리 성종]] * [[리트엉끼엣]] * [[르엉쑤언쯔엉]] * [[민항#s-3]] * [[바오다이]] * [[반 다크홈]] * [[반띠엔중]] * [[보응우옌잡]] * [[부이띠엔중(1995)]] * [[부이띠엔중(1997)]] * [[판타인잔]] * [[서극]][* 베트남 출신 [[화교]]로, [[영웅본색 3]]편을 만들때 자기 고향을 개판 헬게이트 난장판으로 그린 걸 몹시 싫어했다고 한다.] * [[선뚱 M-TP]] * [[레러이]] * [[응안반다이]] * [[응오꾸옌]] * [[응오딘지엠]] * [[응오타인반]] * [[응우옌꽁프엉]] * [[응우옌꽝하이]] * [[응우옌뚜언마인]] * [[응우옌띠엔린]] * [[응우옌반또안]] * [[응우옌반린]] * [[응우옌 반 쪼이]] * [[응우옌반후에]] * [[응우옌짜이]] * [[응우옌쫑호앙]] * [[응우옌반티에우]] * [[응우옌타인쭝]] * [[응우옌티빈]] * [[응우옌퐁홍주이]] * [[응우옌후이흥]] * [[이용상]] * [[태종(리)|이태종]] * [[조구#s-2]] * [[쩐까인]] * [[쩐다이꽝]] * [[쩐민브엉]] * [[쩐반짜]] * [[쩐투도]] * [[쩐흥다오]] * [[찐민테]] * [[쭈후이먼]] * [[쯩 자매]] * [[카응언]] * [[쿵 리]] * [[틱녓하인]] * [[틱꽝득]] * [[판반득]] * [[판티낌푹]] * [[팜득후이]] * [[https://ja.wikipedia.org/wiki/%E3%83%95%E3%82%A9%E3%83%B3%E3%83%81%E3%83%BC|폰치]][* 베트남계 일본인이다.] * [[하니(NewJeans)]] * [[하득찐]] * [[호꾸이리]] * [[호 탄 타이]] * [[호찌민]] * [[Tam Lu]] == 베트남 국적, 출신의 캐릭터 == ※ 해당국 작품 제외 배우 및 성우가 베트남인인 경우 ☆표시. === 한국 작품 === * 란 - [[요리GO]] * 베트남 등장대부분 전원들 - [[토요미스테리극장]] * [[베트콩]]들 - [[영구람보]] * [[뚜엣]] - [[악의는 없다]] * [[람로완]] - [[아저씨(영화)|아저씨]] * 응우옌 - [[변신 자동차 또봇]] * 리티브 - [[하노이 신부]] * 완득이의 엄마 - [[완득이]] * [[마이(블랙서바이벌)|마이]] - [[블랙서바이벌]] * [[혜주의 엄마]] - [[칼가는 소녀]] * 한초음 - [[초음이의 풀잎학교]] * 흐엉 부인, 킴, 멋진 수염([[중국계 베트남인]]), 안남상선 상인들, 그 외 안남국 사람들 - [[별난 양반 이선달 표류기]] === 일본 작품 === * [[응우옌 반 촘]] - [[에어리어88]] * 루옹 - [[KOF]] * [[인드라 사단 뮨]] - [[마브러브]] * 응우옌티빈 - [[민족음양]] * [[팜 티 란]] - [[슈바르체스마켄]] * 나파 파약아룬 - [[치하야후루]] : 실제로 국적이 언급되었으며, [[한자]]를 읽을 수 있다. * 민 호아 - [[대사각하의 요리사]] * [[으크크 공주]], [[할머니(디엔비엔푸)|할머니]], [[즈멍]] 등 - [[디엔비엔푸(만화)|디엔비엔푸]] * [[응웬 킴 호아]], [[응웬 반 티우]] - [[은하영웅전설]] * [[코쿠리코]] - [[사쿠라 대전 3]] * [[디멘션 W/등장인물|코로기]] - [[디멘션 W]] === 미국 작품 === * [[https://en.wikipedia.org/wiki/Ngoc_Lan_Tran|응옥란쩐]]☆ - [[다운사이징(영화)|다운사이징]] * 팜콴 - [[커맨드 앤 컨커 온라인]] * [[체시어]] - [[DC 코믹스]] * [[카르마(마블 코믹스)]] - [[뉴 뮤턴츠]] * 트랭 팩 - [[퀸카로 살아남는 법]] * [[응우옌(오버워치)|쭝 레 응우옌]] - [[오버워치]] === 기타 국가 작품 === * 영국 작품 * 더 스네이크헤드, 다낭 보이즈 갱단원들 -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 관련 문서 == * [[중국계 베트남인]] * [[베트남계 프랑스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미국인]] == 출처 == * [[먼나라 이웃나라]] 시즌2(지역/주제편) 17권: 동남아시아, 천년 문명의 신비에서 21세기 변화와 개혁의 주역으로 - [[이원복]] 글/그림. 김영사. 2018. p95~96. [[분류:베트남의 민족]][[분류:중국의 민족]][[분류:캄보디아의 민족]][[분류:태국의 민족]][[분류:라오스의 민족]][[분류: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