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시리즈)] ||<-2>
{{{#fff '''{{{+1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 (2018~2019)[br]ベイブレードバースト超ゼツ[br]Beyblade Burst Turb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LIyjp6EZbj5EljyE2jtMLiXm8s.jpg|width=100%]]}}} || ||<-2> {{{#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 장르}}}''' ||[[액션]], [[스포츠]], [[배틀]] || || '''{{{#fff 원작}}}''' ||모리타 히로(森多ヒロ) || || '''{{{#fff 시리즈 원안}}}''' ||시바타 료(柴田亮)[br]타카하라 후미히코(高原文彦) || || '''{{{#fff 총감독}}}''' ||[[아키야마 카츠히토]] || || '''{{{#fff 감독}}}''' ||야마구치 켄타로(山口健太郎) || || '''{{{#fff 부감독}}}''' ||오진구 || || '''{{{#fff 시리즈 구성}}}''' ||소노다 히데키(園田英樹) || || '''{{{#fff 캐릭터 디자인}}}''' ||오하시 도시아키(大橋俊明) || || '''{{{#fff 아바타 플롭 디자인}}}''' ||<|2>나가모리 요시히로(長森佳容) || || '''{{{#fff 아바타 총작화감독}}}''' || || '''{{{#fff 미술 설정}}}''' ||시와 시오리(志和史織)[br]스에 노부히토(須江信人) || || '''{{{#fff 미술 감독}}}''' ||네모토 쿠니아키(根本邦明) || || '''{{{#fff 색채 설계}}}''' ||오오우치 아야(大内綾) || || '''{{{#fff CGI 디렉터}}}''' ||세오 후토시(瀬尾太) || || '''{{{#fff 촬영 감독}}}''' ||스즈키 히로미치(鈴木大倫) || || '''{{{#fff 편집}}}''' ||와타나베 나오키(渡辺直樹) || || '''{{{#fff 음향 감독}}}''' ||마츠오카 히로키(松岡裕紀) || || '''{{{#fff 음악}}}''' ||제인 에펜디(Zain Effendi) || || '''{{{#fff 애니메이션 제작}}}''' ||[[OLM]] TEAM ABE || || '''{{{#fff 제작}}}''' ||[[타카라토미]][br][[ADK|d-rights]][br][[테레비 도쿄]] || || '''{{{#fff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18년 4월|2018. 04. 02.]] ~ 2019. 03. 2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 06. 18. ~ 2019. 06. 03. || || '''{{{#fff 스트리밍}}}''' ||'''없음'''[* 2023년 10월 1일부터 [[넷플릭스]]에서도 서비스를 종료한 탓에 스트리밍 서비스가 사실상 모두 종료되어버렸다.] || || '''{{{#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 화수}}}''' ||51화 || || '''{{{#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7세 이상 시청가}}}]] || || '''{{{#fff 관련 사이트}}}''' ||[[https://www.beyblade.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의 3번째 작품.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을 이은 후속 시리즈로 [[2018년]] 4월 2일부터 5시 55분에 방영되었다. == 상세 == 총감독은 [[아키야마 카츠히토]]. 감독, 부감독, 캐릭터 디자인, 구성은 동일하나 음악은 대니 제이콥으로 바꿨다. 베이블레이드 제트 배틀 세트 이미지에서 제트 아킬레스를 사용하는 새로운 주역 등장인물, '[[아카바 아이가]]’가 등장한다는게 밝혀졌으며, 코로코로코믹스 18년 4월호에서 제트 아킬레스, 위닝 발키리, 엠퍼러 포르네우스의 정보와 신 등장인물들이 그려진 일러스트, 스토리 배경이 공개되었다. 시간 배경은 버스트 갓 시점으로부터 2년 후, 그 시간동안 세계랭킹 1위를 계속 지켜온 바루토를 쓰러뜨리기 위한 신예 블레이더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바루토 세대와 신 세대가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며, ZERO-G처럼 [[아카바 아이가|새로운 메인 주인공]]이 새로운 세대를 이어나간다. 전작으로부터 거의 10년이 지난 ZERO-G에 비해 초제츠는 2년만 지난 지라 전작 등장인물들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편.다만 대부분이 복장이 바뀌었다. 버스트 시리즈에서 베이와의 공명, 유대감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시리즈이다. 초제츠 베이는 대부분 레이어에 금속 파츠가 추가되었고, 갓 레이어 시리즈의 기믹이 사라졌으며, 갓 칩 시스템이 레이어의 뒷면에 장착하는 레벨 칩 시스템[* 레이어에 부착함으로서 밸런스, 중량, 락의 강도 등을 강화한다]으로 바뀌었다.[* 이런 점들 때문에 레이어의 형태가 단순해져 갓 레이어 시리즈의 디자인보다 뒤떨어진다는 평이 나오는 중. 그리고 레이어에 레벨 칩을 끼우기 위한 마름모 구멍이 강요되기 때문에 베이에 따라 거슬린다는 반응이 나오기도 한다.][* 다만 2018년 4월에 출시된 크래시 라그나로크부터는 기믹이 부활했다.] 그리고 이번 시리즈부터 드라이버 높낮이에 의한 전략이 추가되었다.[* 출시 초기 베이(제트 아킬레스, 위닝 발키리, 엠페러 호루네우스)의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삼는다. 야드(저), 익스텐드(중), 볼케닉(고).] 이름의 유래는 '''[ruby(초절,ruby=초제츠)](超[ruby(絶,ruby=ゼツ)]) + [ruby(Z,ruby=제트)]''' == 스토리 == >아카바 아이가는 풍부한 자연 속에서 자란 초 야생 소년. >아오이 바루토의 베이 배틀에 자극을 받은 아이가는 초제츠 베이, 제트 아킬레스와 함께 최강 무적의 블레이더를 목표로 하게 된다. >더 강한 상대와 싸우고, 더 강해지고 싶다. >바루토를 이기기 위해, 그리고 세계 챔피언이 되기 위해, 아이가는 세계로 달려간다. >지금 여기에, 아카바 아이가의 모험과 도전의 날들이 시작된다. == 국내 방영 == 유출된 정발 배틀 세트 이미지에서 아이가의 로컬명은 '서아진'으로 확인되었고, 국내 방영 제목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 5월 넷째주에 제트 아킬레스, 위닝 발키리, 엠퍼러 포르네우스 등이 정발되며, 방영 일자는 6월 18일. 본방 당시 번역 및 연출은 전작과 동일하다. 참고로 초제트 방영 기념으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마스터즈]]라는 예능 프로그램도 방영했다. == 방영 목록 == * [[TV 도쿄]] : [[2018년]] [[4월 2일]] ~ [[2019년]] [[3월 25일]] * [[투니버스]] : [[2018년]] [[6월 18일]] ~ [[2019년]] [[6월 3일]] || '''{{{#fff 회차}}}''' || '''{{{#fff 방영 일자}}}''' || '''{{{#fff 제목}}}''' || ||<|2> '''1''' || 2018년 4월 2일 || これが超ゼツベイだ!! || || 2018년 6월 18일 || 이게 바로 초제트 베이야! || ||<|2> '''2''' || 2018년 4월 9일 || アキレスVSフォルネウス!! || || 2018년 6월 25일 || 아킬레스 대 포르네우스! || ||<|2> '''3''' || 2018년 4월 16일 || [ruby(夕陽, ruby=ゆうひ)]の[ruby(決斗, ruby=けっとう)]!! || || 2018년 7월 2일 || 석양의 결투! || ||<|2> '''4''' || 2018년 4월 23일 || [ruby(決, ruby=き)]めろ!ゼットバスター!! || || 2018년 7월 9일 || 끝내버려! 제트 버스터!! || ||<|2> '''5''' || 2018년 4월 30일 || [ruby(超, ruby=ちょう)]ゼツ[ruby(対決, ruby=たいけつ)]! [br] ヴァルキリーVSロンギヌス!! || || 2018년 7월 16일 || 초제트 대결! 발키리 대 롱기누스!! || ||<|2> '''6''' || 2018년 5월 7일 || [ruby(白, ruby=しろ)]き[ruby(暴君, ruby=ぼうくん)]! [br] バトルロイヤル!! || || 2018년 7월 23일 || 폭군 루이! 배틀 로열! || ||<|2> '''7''' || 2018년 5월 14일 || [ruby(開幕, ruby=かいまく)]!ロンギヌスカップ!! || || 2018년 7월 30일 || 개막! 롱기누스 컵!! || ||<|2> '''8''' || 2018년 5월 21일 || [ruby(変幻, ruby=へんげん)]!ヘルサラマンダー!! || || 2018년 8월 6일 || 변신! 헬 살라맨더!! || ||<|2> '''9''' || 2018년 5월 28일 || [ruby(火炎旋風, ruby=かえんせんぶう)]ゲキリン! || || 2018년 8월 13일 || 분노의 화염 슛! || ||<|2> '''10''' || 2018년 6월 4일 || アキレスVSラグナルク!! || || 2018년 8월 20일 || 아킬레스 대 라그나로크! || ||<|2> '''11''' || 2018년 6월 11일 || [ruby(裏切, ruby=うらぎ)]りの[ruby(激闘, ruby=バトル)]! || || 2018년 8월 27일 || 배신의 배틀! || ||<|2> '''12''' || 2018년 6월 18일 || [ruby(剛腕, ruby=ごうわん)]!ヘラクレス!! || || 2018년 9월 3일 || 최강파워! 헤라클레스!! || ||<|2> '''13''' || 2018년 6월 25일 || [ruby(超, ruby=ちょう)]ゼツ[ruby(決勝戦, ruby=バトル)]!! || || 2018년 9월 10일 || 초제트 결승 배틀! || ||<|2> '''14''' || 2018년 7월 2일 || [ruby(暴竜, ruby=ばうりゅう)]!ブラッディロンギヌス!! || || 2018년 9월 17일 || 드래곤! 블러디 롱기누스! || ||<|2> '''15''' || 2018년 7월 9일 || ルイを[ruby(倒, ruby=たお)]せ! || || 2018년 9월 24일 || 루이를 꺾어라! || ||<|2> '''16''' || 2018년 7월 16일 || [ruby(大航海, ruby=だいこうかい)]!バトルシップクルーズ!! || || 2018년 10월 1일 || 대항해! 배틀쉽 크루즈! || ||<|2> '''17''' || 2018년 7월 23일 || [ruby(勇者, ruby=ゆうしゃ)]と[ruby(聖剣, ruby=エクスカリバー)]!! || || 2018년 10월 8일 || 용자와 엑스칼리버! || ||<|2> '''18''' || 2018년 7월 30일 || ユーレイ[ruby(船, ruby=せん)]の[ruby(超, ruby=ちょう)]ゼツバトル! || || 2018년 10월 15일 || 유령선의 초제트 배틀! || ||<|2> '''19''' || 2018년 8월 6일 || [ruby(大激闘, ruby=だいけきとう)]!ベイアスロン!! || || 2018년 10월 22일 || 대격돌! 베이애슬론!! || ||<|2> '''20''' || 2018년 8월 13일 || [ruby(爆炎, ruby=ばくえん)]!リヴァイブフェニックス!! || || 2018년 10월 29일 || 화염! 리바이브 피닉스! || ||<|2> '''21''' || 2018년 8월 20일 || [ruby(共闘, ruby=きょうとう)]!タッグバトル!! || || 2018년 11월 5일 || 2인 1조! 태그배틀! || ||<|2> '''22''' || 2018년 8월 27일 || [ruby(怒, ruby=どとう)]の[ruby(3, ruby=スリー)]ベイバトル!! || || 2018년 11월 12일 || 이변의 쓰리 베이 배틀! || ||<|2> '''23''' || 2018년 9월 3일 || [ruby(激戦, ruby=げきせん)]![ruby(守, ruby=まも)]れベイスター!! || || 2018년 11월 19일 || 격전! 베이스타를 지켜라! || ||<|2> '''24''' || 2018년 9월 10일 || [ruby(勇者, ruby=アキレス)] VS[ruby(勇者, ruby=エクスカリバー)]!! || || 2018년 11월 26일 || 아킬레스 대 엑스칼리버! || ||<|2> '''25''' || 2018년 9월 17일 || [ruby(超竜, ruby=ちょうりゅう)]!ガイストファブニル!! || || 2018년 12월 3일 || 드래곤! 가이스트 파브닐!! || ||<|2> '''26''' || 2018년 9월 24일 || [ruby(白熱, ruby=ヒートアップ)]!バトルシップ!! || || 2018년 12월 10일 || 히트 업! 배틀쉽! || ||<|2> '''27''' || 2018년 10월 1일 || [ruby(天下無双, ruby=てんか むそう)]への[ruby(道, ruby=みち)]! || || 2018년 12월 17일 || 천하무적의 길! || ||<|2> '''28''' || 2018년 10월 8일 || バルトVSアイガ!! || || 2018년 12월 24일 || 강산 대 서아진!! || ||<|2> '''29''' || 2018년 10월 15일 || [ruby(冥界, ruby=めいかい)]の[ruby(魔王, ruby=まおう)]デッドハデス! || || 2018년 12월 31일 || 저승의 마왕! 데드 하데스! || ||<|2> '''30''' || 2018년 10월 22일 || アイガ、[ruby(荒, ruby=あら)]ぶる! || || 2019년 1월 7일 || 변해가는 서아진! || ||<|2> '''31''' || 2018년 10월 29일 || [ruby(新生, ruby=しんせい)]![ruby(超, ruby=ちょう)]Ƶヴァルキリー!! || || 2019년 1월 14일 || 새로운 탄생! 초Z 발키리!! || ||<|2> '''32''' || 2018년 11월 5일 || [ruby(魔城, ruby=まじょう)]デッドグラン!! || || 2019년 1월 21일 || 마성 데드 그랑!! || ||<|2> '''33''' || 2018년 11월 12일 || [ruby(戦慄, ruby=せんりつ)]!デッドグランの[ruby(罠, ruby=わな)]!! || || 2019년 1월 28일 || 전율! 데드 그랑의 함정!! || ||<|2> '''34''' || 2018년 11월 19일 || [ruby(合体, ruby=がったい)]ベイ! エクリプス!! || || 2019년 2월 4일 || 합체 베이! 이클립스!! || ||<|2> '''35''' || 2018년 11월 26일 || [ruby(炎神, ruby=えんじん)]! [ruby(超, ruby=ちょう)][ruby(Ƶ, ruby=ゼツ)]スプリガン!! || || 2019년 2월 11일 || 불꽃 신! 초Z 스프리건!! || ||<|2> '''36''' || 2018년 12월 3일 || アイガ、[ruby(闇, ruby=やみ)]との[ruby(戦, ruby=たたか)]い!! || || 2019년 2월 18일 || 서아진, 어둠과의 싸움!! || ||<|2> '''37''' || 2018년 12월 10일 || [ruby(超, ruby=ちょう)]ゼツ激突[ruby(激突, ruby=げきどつ)]! [ruby(魔城, ruby=まじょう)]の[ruby(決戦, ruby=けっせん)]!! || || 2019년 2월 25일 || 초제트 격돌! 마성의 결전!! || ||<|2> '''38''' || 2018년 12월 17일 || 爆裂誕生! [ruby(超, ruby=ちょう)]Ƶアキレス!! || || 2019년 3월 4일 || 위대한 탄생! 초Z 아킬레스!! || ||<|2> '''39''' || 2018년 12월 24일 || アイガ、魂の再戦!! || || 2019년 3월 11일 || 서아진, 혼신의 복수전!! || ||<|2> '''40''' || 2018년 1월 7일 || 風の騎士エアナイト! || || 2019년 3월 18일 || 바람의 기사 에어 나이트! || ||<|2> '''41''' || 2019년 1월 14일 || [ruby(魔王, ruby=ハーツ)] VS [ruby(神, ruby=ファイ)]!! || || 2019년 3월 25일 || 하츠 대 파이!! || ||<|2> '''42''' || 2019년 1월 21일 || バトルロイヤル!戦略大作戦!! || || 2019년 4월 1일 || 배틀로열! 중요한 건 전략!! || ||<|2> '''43''' || 2019년 1월 28일 || 破壊神!デッドフェニックス!! || || 2019년 4월 8일 || 파괴의 신! 데드 피닉스!! || ||<|2> '''44''' || 2019년 2월 4일 || 超ゼツ特訓、王国編!! || || 2019년 4월 15일 || 초제트 특훈, 왕국편!! || ||<|2> '''45''' || 2019년 2월 11일 || 超ゼツ特訓、サバンナ編!! || || 2019년 4월 22일 || 초제트 특훈, 사바나편!! || ||<|2> '''46''' || 2019년 2월 18일 || 飛べ! 空中大決戦!! || || 2019년 4월 29일 || 날아라! 치열한 공중전!! || ||<|2> '''47''' || 2019년 2월 25일 || 炎神 VS 破壊神!! || || 2019년 5월 6일 || 불의 신 대 파괴의 신!! || ||<|2> '''48''' || 2019년 3월 4일 || 俺たちのべイブレー ド! || || 2019년 5월 13일 || 우리들의 베이블레이드! || ||<|2> '''49''' || 2019년 3월 11일 || アイガ VS ファイ!! || || 2019년 5월 20일 || 서아진 대 파이!! || ||<|2> '''50''' || 2019년 3월 18일 || アイガ, 超 ゼツ 共鳴!! || || 2019년 5월 27일 || 서아진, 초제트 교감! || ||<|2> '''51''' || 2019년 3월 25일 || 絆! アイガ VS バルト!! || || 2019년 6월 3일 || 유대감! 서아진 대 강산!! || == 주제곡 == === 오프닝 - 超ゼツ無敵ブレーダー!(초제트 무적 블레이더) === ||<-2>
'''{{{#fff OP[br]超ゼツ無敵ブレーダー![br]초제트 무적 블레이더}}}'''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0hck7YU9Fk, width=100%)]}}} || ||<-2> '''{{{#fff 첫번째 오프닝 (일본판)}}}'''[*A 1~15화.]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P32cHXKUj4, width=100%)]}}} || ||<-2> '''{{{#fff 두번째 오프닝 (일본판)}}}'''[*B 16화~28화. 그림자로 덮여있던 아이가와 그 주변 라이벌들은 하얀색에 가깝게 변했고, 배경은 붉어졌으며 베이런처의 노란 스크린이 빨갛게 변했다. 아이가의 가족 장면은 배틀쉽 크루즈의 베이 퀸과, 샤샤 굿텐의 어머니, 토비스케, 구미타, 크리스티나 쿠로다가 등장하며, 난 베이 조 장면은 아이가의 가족이 등장하고 코우지와 베이고마 학원 학생 두 명의 장면은 왼쪽부터 오 호이, 라반 반노, 키야마 란지로가 등장하고 아오이 토코나츠&니카의 장면은 대립 구도를 세운 스오우와 후부키로 바뀌었다. 키야마 란지로와 크래시 라그나로크가 등장해 대결하는 장면은 잔 보가드와 버스터 엑스칼리버로 바뀌었고, 경기장은 배틀쉽 크루즈로 바뀌었다. 정면으로 달리는 아이가 양옆에 있던 란지로와 스오우의 장면은 아이가의 눈동자 속 잔의 모습과, 그 다음으로 후부키, 손으로 화면을 덮는 라반과 각자의 베이(크래쉬 라그나로크, 헬 샐러맨더, 아처 헤라클레스)와 함께 등장하는 란지로, 오른눈을 드러낸 스오우, 오 호이의 장면으로 대치되었다. 스미에 후부키, 엠페러 포르네우스와 대결하는 장면은 파이, 리바이브 피닉스로 바뀌었고, 옆으로 달리는 아이가 양옆의 후부키, 오 호이 장면은 뒤에서 피닉스를 펼치며 미소를 짓는 파이, 그 피닉스 사이로 가면을 벗으려는 카일 하킴과 그들을 지켜보는 아이가로 바뀌었다. 아이가를 손 안에서 지켜보는 시리사기죠 루이의 장면은 파이의 손에서 검게 변한 리바이브 피닉스의 장면으로 바뀌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lkVy_dbk2I, width=100%)]}}} || ||<-2> '''{{{#fff 세번째 오프닝 (일본판)}}}'''[*C 29화~38화. 32화부터 위닝 발키리는 초Z 발키리로 바뀌었고, 베이 퀸과 샤샤 굿텐의 어머니, 토비스케, 구미타, 크리스티나의 장면은 다시 아이가의 가족으로, 버전 2에서 아이가의 가족이 등장했던 부분은 나이트 백작, 이벨 옥스포드, 가면을 벗은 카일 하킴으로, 오 호이와 라반은 중앙에 란지로, 양옆으로 후부키와 오른눈을 스오우, 스오우와 후부키의 대립은 난 베이 조와 바루토의 쌍둥이 동생 남매로 대체되었다. 잔과 버스터 엑스칼리버는 하츠와 데드 하데스로 바뀌었고, 경기장도 데드 그랑으로 바뀌었다. 아이가의 눈에 들어오는 캐릭터는 카일, 이벨, 나이트 백작, 그리고 양옆에 프리 데라호야와 쿠레나이 슈로 바뀌었으며, 피닉스 사이의 카일은 파이와 얼굴이 겹쳐져 보이는 하츠로 바뀌었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는 라반과 잔이 추가되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PTap0YCWI8, width=100%)]}}} || ||<-2> '''{{{#fff 네번째 오프닝 (일본판)}}}'''[*D 39화~51화. 제트 아킬레스는 초Z 아킬레스로 바뀌었고, 나이트 백작, 이벨, 카일이 왼쪽순으로 등장하는 장면은 키트 로페즈, 잔, 라반으로 바뀌었으며, 하츠와 데드 하데스는 바루토와 초Z 발키리로 바뀌었고 발키리와 아킬레스의 성수가 격돌하는 장면이 하얗게 살짝 묘사된다. 아이가의 눈에 들어오는 캐릭터는 에어 나이트를 프리 앞에서 꺼내는 키트, 이에 맞서 가이스트 파브닐을 꺼내는 프리, 초Z 스프리건 뒤로 1기 오프닝에서 비 속 연습하던 장면처럼 비가 내리고 갓 마지막 화처럼 흑백의 배경 속에 뒤에 초Z 스프리건의 성수를 두고 불꽃 속에서 치열한 모습을 보이는 슈로 바뀌었다. 42화부터 리바이브 피닉스는 데드 피닉스로 바뀌었으며, 파이도 복장이 바뀌었고 하츠와 얼굴이 겹쳐지던 묘사는 사라지고 미소를 짓는 파이가 아예 광기로 무장해 비웃는 미소를 짓는 묘사로 바뀌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qNVA6PsSS4, width=100%)]}}} || ||<-2> '''{{{#fff 첫번째 오프닝 (한국판)}}}'''[*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XpYSKvRHNw, width=100%)]}}} || ||<-2> '''{{{#fff 두번째 오프닝 (한국판)}}}'''[*B]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hErG2hIOMI, width=100%)]}}} || ||<-2> '''{{{#fff 세번째 오프닝 (한국판)}}}'''[*C] || || '''노래''' || 시사키 료스케(佐々木涼介) || || '''작사''' ||<|3> 오오스미 도모타카(大隅智孝)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GO! BURST! GO! BURST! GO! BURST! GO GO GO! GO! BURST! GO! BURST! BEYBLADE BURST! ひとつひとつ 作り上げた超ゼツベイで [[아카바 아이가#s-4.1|하나 하나 새로 태어난 초제트 베이]]로 [強くなる] と誓っ世界へ飛び出した! [[아카바 아이가|강해지리라 다짐하며 앞으로 달려나간다!]] 立ちはだから [ruby(強敵, ruby=ライバル)]たちをなぎ倒して 나를 가로막는 그 누구라도 이기고야 말겠어 もう負けない! あいつに勝つまであきらめない! 당당히 맞서! 이길 때까지 포기는 없다! 燃えろ! 闘志のオ-ラ!! (GO! GO! GO! BURST!) 타올라! 투지의 불꽃!! (GO! GO! GO! BEYBLADE BURST! 放て! 超ゼツシュ-ト!! (GO! GO! GO! BURST!) 강렬한 초제트 슛 GO!! (GO! GO! GO! BEYBLADE BURST!) スピン&オ-バ-! (GO! BURST!) LET'S SPIN AND OVER! (GO! BEYBLADE BURST!) バ-ストフィニッシュ! (GO! SHOOT!) BURST FINISH! (GO! SHOOT!) ぜんぶぜんぶぜんぶぜんぶ勝ってやる!! (3! 2! 1! GO SHOOT!) 모두 모두 모두 모두 이기자! (3! 2! 1! GO SHOOT!) 世界中でぶん回ぜ! (超! ゼツ!) 세계 곳곳에서 힘차게 돌려! (초! 제트!) スタジアムに鳴り響く働撃!! (GO! GO! GO! GO!) 이 경기장을 감도는 ENERGRTIC SHOCK!! (GO! GO! GO! GO!) 超ゼツ勝つって決めたから! (超! ゼツ!) 초제트 승리를 차지하는 날! (초! 제트!) どんな強いヤツだって負けない!! (GO! GO! BEYBLADE BURST!) 아무리 강한 상대라도 문제없어!! (GO! GO! BEYBLADE BURST!) 超ゼツ無敵ブレ-ダ-! (超! ゼツ!) 초제트 무적의 파워 블레이더! (초! 제트!) コブシを突き上けるチャンピオン!! (GO! GO! GO! GO!) 두 주먹 불끈 쥐고 서는 챔피언!! (GO! GO! GO! GO!) 超ゼツなるって決めたから! (超! ゼツ!) 초제트 되리라 굳게 다짐해! (초! 제트!) どんな高い壁だって超えるぜ!! (GO! GO! BEYBLADE BURST!) 아무리 높은 벽이라도 뛰어넘겠어!! (GO! GO! BEYBLADE BURST!) さあ! あいつよりもう! もっと速く!! 자! 그 누구보다! 더 빠르게!! あいつよりもう! もっと攻めろ!! 그 무엇보다! 더 강하게!! ぶっ飛ばぜ!! 날려버리자!! ベイブレ-ドバ-スト!!!!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GO! BURST! GO! BURST! GO! BURST! GO GO GO! GO! BURST! GO! BURST! BEYBLADE BURST! 超! ゼツ! 超! ゼツ! 超! ゼツ! 초! 제트! 초! 제트! 초! 제트! || }}}}}}}}} || === 엔딩 1 - BEY POP === ||<-2>
'''{{{#fff ED[br]BEY-PO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e-n9HBbWzk, width=100%)]}}} || ||<-2> '''{{{#fff 첫번째 엔딩 (일본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wZydceq_Y0, width=100%)]}}} || ||<-2> '''{{{#fff 두번째 엔딩 (한국판)}}}''' || || '''노래''' || 쿠사카와 슌(草川俊) || || '''작사''' ||<|3> 오오스미 도모타카(大隅智孝)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Everybody BEY-POP! Everybody BEY-POP! Everybody BEY-POP! Everybody BEY-POP! ぐるぐるまわる Everybody BEY-POP! 빙글빙글 Turn Around 世界中で今日もバトる ほら Let's Dance BEY-POP! 즐거운 세계 신나는 배틀 OK! Let's Dance BEY-POP! 今日はこのベイで行くぜ! 오늘은 어떤 베이로 할까 このレイヤー・ディスク・ドライバー! 여기 레이어 • 디스크 • 드라이버! ちょっと待って!? この組み合わせ! 여기 레이어 • 디스크 • 드라이버! キセキ!? マジで!? 最強じゃん!! 왠지 오늘은 느낌이 좋아! バトルしようぜ! SAY! 3! 2! 1! GO SHOOT! 배틀을 시작해! SAY! 3! 2! 1! GO SHOOT! バーストフィニッシュだ! ・・って 버스트 피니시 My Bey 「負けたのオレのベイ・・」(オーマイガッ!) 이번엔 진 거야 말도 안돼 (Oh My God!) Everybody BEY-POP! ぐるぐるまわる Everybody BEY-POP! 빙글빙글 Turn Around 世界中で今日もバトる ほら Let's Dance BEY-POP! 즐거운 세계 신나는 배틀 OK! Let's Dance BEY-POP! Everybody BEY-POP! 心もはずむ Everybody BEY-POP! 내 마음도 즐거워 リズムのって声を上げて ほら Let's Sing BEY-POP! 리듬을 타고 소리를 높여 OK! Let's Sing BEY-POP! 日が暮れるまでベイ回そう! 色んな改造しよう! 붉은 태양 아래 우리 모두 함께! 두 눈을 꼭 감고 소원을 빌어 君だけのベイを作ろう! 明日は絶対勝とうぜ!! 보다 멋진 베이를 함께 만들어! 우리 내일은 꼭 이기는 거야 (オーイェー) (오-예-) (カモン!) (C'mon!) Everybody BEY-POP! ぐるぐるまわる Everybody BEY-POP! 빙글빙글 Turn Around 世界中で今日もバトる ほら Let's Dance BEY-POP! 즐거운 세계 신나는 배틀 OK! Let's Dance BEY-POP! Everybody BEY-POP! 心もはずむ Everybody BEY-POP! 내 마음도 즐거워 リズムのって声を上げて ほら Let's Sing BEY-POP! Everybody BEY-POP! 리듬을 타고 소리를 높여 OK! Let's Sing BEY-POP! || }}}}}}}}} || === 엔딩 2 - BEY-POP SWING === ||<-2>
'''{{{#fff ED[br]BEY-POP SW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nQ4-A_Uv4c, width=100%)]}}} || ||<-2> '''{{{#fff 세번째 엔딩 (일본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ArFRiKy1jA, width=100%)]}}} || ||<-2> '''{{{#fff 네번째 엔딩 (일본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dg9Shxos4Q, width=100%)]}}} || ||<-2> '''{{{#fff 세번째 엔딩 (한국판)}}}''' || || '''노래''' || 쿠사카와 슌(草川俊) || || '''작사''' ||<|3> 오오스미 도모타카(大隅智孝)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Everybody BEY-POP! Everybody BEY-POP! Everybody BEY-POP! Everybody BEY-POP! キレキレダンスでLet's Go! Everybody BEY-POP! 빙글빙글 댄스로 Let's Go! Everybody BEY-POP! 止まらないBEY-POP! Everybody BEY-POP! 멈추지 않아 BEY-POP! アタックタイプ ディフェンスタイプ 어택형 디펜스형 3!2!1!GO SHOOT!でDIVE! 3! 2! 1! GO SHOOT!으로 DIVE! スタミナタイプ バランスタイプ 스테미나형 밸런스형 火花を散らして BUMP! BUMP! BUMP! 불꽃을 날리면서 BUMP! BUMP! BUMP! 右回転? 左回転? 目が回りそうなメリーゴーラウンド! 우회전 고? 좌회전 고? 눈이 돌아갈 것 같은 회전목마! 「今日こそは‥! 今日こそは!! 「오늘만큼은‥! 오늘만큼은!! OH! NO! 負けたぜ‥ワンモアタイム!!」 OH! NO! 또 졌잖아‥원 모어 타임!!」 Everybody BEY-POP! キレキレダンスでLet's Go! Everybody BEY-POP! 빙글빙글 댄스로 Let's Go! Everybody BEY-POP! 止まらないBEY-POP! Everybody BEY-POP! 멈추지 않아 BEY-POP! Everybody BEY-POP! キラキラバトルでLet's Fight! Everybody BEY-POP! 불꽃튀는 배틀 Let's Fight! Everybody BEY-POP! 何度でもBEY-POP! Everybody BEY-POP! 몇번이라도 BEY-POP! 涙をこらえた 笑顔の裏側 분한 눈물을 삼키고 애써 미소를 지어봐 強くなりたいあいつよりも 강해지고 싶어 그 누구보다도 明日は絶対勝つ!!(カモン!!) 내일 꼭 이길거야!!(C'mon!) Everybody BEY-POP! キレキレダンスでLet's Go! Everybody BEY-POP! 빙글빙글 댄스로 Let's Go! Everybody BEY-POP! 止まらないBEY-POP! Everybody BEY-POP! 멈추지 않아 BEY-POP! Everybody BEY-POP! キラキラバトルでLet's Fight! Everybody BEY-POP! 불꽃튀는 배틀 Let's Fight! Everybody BEY-POP! 何度でもBEY-POP! Everybody BEY-POP! 몇번이라도 BEY-POP! || }}}}}}}}} || === 영문판 오프닝 & 엔딩 - Turbo === ||<-2>
'''{{{#fff OP/ED[br]Turb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5zG_OB8vRQ, width=100%)]}}} || ||<-2> '''{{{#fff 오프닝 & 엔딩 (영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JsiPrgbarI, width=100%)]}}} || ||<-2> '''{{{#fff [[로라 스탈]][* 주인공 [[아카바 아이가]]의 영판 성우다.] 커버 버전}}}''' || || '''{{{#fff 아티스트}}}''' || [[네이선 샤프|Nathan Sharp]]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I hear the world calling out for a hero. 세상이 히어로를 부르는 소리가 들려 Chance the game, spin the bey and join the fight. 경기할 기회를 잡아, 베이를 돌리며 배틀을 하자 It's our time, let's go turbo! Beyblade burst collide! 우리 차례야. 초제트로 가자!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충돌이다! Stand your ground, it's a new generation. 네 자리에 서있어. 그게 바로 신세대야. Stakes are high, only legend will survive. 엄청 위험한 만큼 전설만이 살아남을 수 있어. Won't give up, let it rip into battle! Beyblade Burst Turbo! (Let it rip!) 포기하지 말고, 배틀에 뛰어들어!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터보! (찢어버리자!) Gonna take the victory! (Let's go!) Bursting out in overdrive! 승리를 거두자 (Let's go!) 폭발하자 오버드라이브로! The warrior will take the lead! (Turbo!) Beyblade Burst Turbo! 전사가 앞장설 것이다! (터보!)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터보! Collide with the energy! (Let's go!) Bladers conquer to survive! 에너지로 부딪쳐! (Let's go!) 블레이더들은 살아남기 위해 이겨! Be a part of the legacy! (Turbo!) Beyblade Burst Turbo! 유물 중 하나가 돼보자! (터보!)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터보! It comes down to the final moment. (Let's go!) 마지막 순간에 이렀어. (Let's go!) I feel the stadium in motion. (Turbo!) 스타디움의 움직이게 느껴져. (터보!) Let them know who we are! Beyblade come alive! 우리가 누군지 보여주자! 베이블레이드가 부활해! Transcend, It's a new competition. A champion sticks to the mission. 초절이라는 새로운 경쟁. 챔피언은 임무에 충실해. Keep on raising the bar! Beyblade Burst Turbo! (Let it rip!) 기대치를 계속 높여봐!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터보! (찢어버리자!) Gonna take the victory! (Let's go!) Bursting out in overdrive! 승리를 거두자 (Let's go!) 폭발하자 오버드라이브로! The warrior will take the lead! (Turbo!) Beyblade Burst Turbo! 전사가 앞장설 것이다! (터보!)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터보! Collide with the energy! (Let's go!) Bladers conquer to survive! 에너지로 부딪쳐! (Let's go!) 블레이더들은 살아남기 위해 이겨! Be a part of the legacy! (Turbo!) Beyblade Burst Turbo! 유물 중 하나가 돼보자! (터보!)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터보! || }}}}}}}}} ||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등장인물#s-3|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이블레이드 버스트/등장인물, 문단=3)]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베이블레이드#s-5|등장 베이블레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이블레이드 버스트/베이블레이드, 문단=5)]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비판|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비판)]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오해|오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오해)] == 제품 발매 정보 == || 3월 17일 제품 || [[파일:위닝발키리.12.Vl.png|width=35%]][br]B-104 스타터 위닝 발키리 12.Vl [[파일:제트 아킬레스.11.Xt.png|width=35%]][br]B-105 스타터 제트 아킬레스 11.Xt [[파일:엠페러 포루네우스.0.Yr.png|width=20%]][br]B-106 부스터 엠페러 호르네우스 0.Yr [[파일:B_107.png|width=35%]][br]B-107 베이블레이드 초제트 배틀 세트 [[파일:B_108.png|width=20%]][br]B-108 베이런처 레드 [[파일:B_109.png|width=20%]][br]B-109 런처그립 건 메탈릭 || || 4월 28일 발매 제품 || [[파일:블러디 롱기누스.13.Jl.png|width=35%]][br]B-110 스타터 블러디 롱기누스 13.Jl [[파일:B_111.png|width=35%]][br]B-111 랜덤 부스터 Vol.10[* 크래쉬 라그나로크 11R.Wd(레어), 로스트 롱기누스.2R.Mr, 레전드 스프리건.0U.Nt, 지크 엑스칼리버.5B.At, 스프리건 레퀴엠.6M.Ir, 위닝 발키리.8.Gr, 제트 아킬레스.4.Ds, 엠페러 호르네우스.7.Zt] [[파일:B_112.png|width=20%]][br]B-112 라이트 런처 LR || || 5월 26일 발매 제품 || [[파일:헬셀러맨더.12.Op.png|width=20%]][br]B-113 부스터 헬 셀러맨더 12.Op [[파일:B-114 그립웨이트 블랙.jpg|width=20%]][br]B-114 그립 웨이트 블랙 || || 6월 23일 제품 || [[파일:B_115.png|width=20%]][br]B-115 부스터 아처 헤라클레스 13.Et [[파일:B-116 그립러버 바이올렛.jpg|width=20%]][br]B-116 그립 러버 바이올렛 || || 7월 7일 발매 제품 || [[파일:B_117.png|width=35%]][br]B-117 스타터 리바이브 피닉스 10.Fr [[파일:B_118.png|width=35%]][br]B-118 랜덤 부스터 Vol.11[* 바이스 레오파드 12L.Ds(레어), 바이스 레오팔드.4.Yr, 나이트메어 롱기누스.Pl, 아크 바하무트.7L.Xt, 스크류 트라이던트.0L.Vl, 위닝 발키리.3.Y, 엠페러 호르네우스.1M.Hn, 블러디 롱기누스.8V.D] B-119 베이런처 LR 블루 || || 8월 10일 제품 || [[파일:버스터 엑스칼리버.1'.Sw.png|width=35%]][br]B-120 스타터 버스터 엑스칼리버 1'.Sw [[파일:초Z트리플부스터세트.png|width=35%]][br]B-121 초제트 트리플 부스터 세트[* 해저드 케르베우스 7.At, 제트 아킬레스 3D.Ds, 울버그.8.Br][* 국내에서는 판권 문제로 인해 울버그는 보라색의 '''하운드 도그'''로 바뀌어 발매했다.] || || 9월 22일 제품 || [[파일:B_122 가이스트 파브닐.8'.Ab.png|width=35%]][br]B-122 스타터 가이스트 파브닐 8'.Ab B-123 롱 베이런처 세트[* 익스텐드 칩이 들어있다.][*E 국내 미발매] B-124 롱 베이런처 L 세트[* 프루프 프레임이 들어있다.][*E] || || 10월 20일 제품 || [[파일:B_125.png|width=35%]][br]B-125 랜덤 부스터 Vol.12[* 데드 하데스 11T.Z'(레어), 맥시멈 가루다.7L.Sw, 쉘터 레귤루스.8'B.Ds', 딥 카오스.0T.Xt, 비트 쿠쿨칸.13D.Yr, 트윈 네메시스.1'H.Wd, 헬 셀러맨더.G.Y, 아처 헤라클레스.H.Fr] [[파일:초Z무쌍스타디움.png|width=35%]][br]B-126 초제트 무쌍 베이스타디움 [* 레프트 아폴로스, 라이트 아르테미스, 레프트 이클립스 & 라이트 이클립스] || || 11월 17일 제품 || [[파일:B_127.png|width=35%]][br]B-127 스타터 초제트 발키리 Z.Ev [[파일:B_128.png|width=35%]][br]B-128 초제트 커스터마이즈 세트[* 초제트 스프리건 0W.Zt', 얼브 이지스 Ω.Qs, 크래시 라그나로크 5C.Vl', 블러디 롱기누스 1'D.Cy] || || 12월 27일 제품 || [[파일:B-129 cho z achiles.png|width=35%]][br]B-129 스타터 초제트 아킬레스 00.Dm [[파일:B_130.png|width=35%]][br]B-130 랜덤 부스터 Vol.13[* 에어 나이트 12E.Et(레어), 에어 나이트.11.Fr, 드랜져 F.10T,Sw, 울보그.0E.At, 엠페러 호르네우스.13M.S, 헬 셀러멘더.13.B', 리바이브 피닉스.12.F', 해저드 케르베우스.4.Mr'] || || 1월 26일 제품 || [[파일:B-131.png|width=20%]][br]B-131 부스터 데드 피닉스 0.At || || 2월 16일 제품 || [[파일:B-132.png|width=45%]][br]B-132 랜덤 부스터 Vol.14 [* 드래이거 F.0.Xt(레어), 사신 레전드 스프리건.5R.Et, 블랙 스프리건 레퀴엠.7.Ab, 골드 위닝 발키리.1'.Op, 홍련 제트 아킬레스.13T.B', 레프트 아폴로스.12M.Sw, 라이트 아르테미스.4P.O][* 국내에서는 판권 문제로 검은색의 '''클로 타이거'''로 바뀌어 발매했다. 그러나 이것은 본토에서 호평을 받게 되면서 한국제품을 역수입하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레어를 뽑으면 시즌 4의 핵심 부품인 '''참 웨이트'''가 들어있다.] || == 기타 == || [[파일:main_logo_large_z.png|width=100%|align=left]] || [[파일:visual__logo.png|width=100%|align=center]] || [[파일:logo_Beyblade_burst_turbo_e.jpg|width=100%|align=right]] || || '''한국판 공식 로고''' || '''일본판 공식 로고''' || '''북미판 공식 로고''' || * 이 시즌부터 베이에 메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베이의 무게나 성능 면에서 무인편, 갓 시절 때보다 월등히 개선되었다. * [[해즈브로]]가 유통한 지역에선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터보"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다. 한편 이 시즌을 기점으로 해즈브로제 베이와 타카라제 베이 간의 성능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했는데 바로 해즈브로가 초제트 시즌의 핵심요소인 메탈 레이어를 헤즈브로가 사용하지 않았고 가이스트 파브닐의 경우 고무 축이 플라스틱으로 대체되버렸다. 또한 드라이버에 슬링 쇼크(SlingShock)라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믹을 삽입했다. * 일본 기준, [[TV도쿄]]에서 방영한 마지막 TV 애니메이션 시즌이다.[* 다음 시즌인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부터는 TVA에서 ONA로 전환되면서 오직 공식 유튜브나 OTT를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한국판은 여전히 [[투니버스]]에서 방송을 진행했으며 북미나 유럽등에서 2회 에피소드를 하나로 묶어서 방영한 탓에 시청 시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분류: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