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베라 루빈}}}[br]Vera Rub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1055019574_195bf00af2_o.jpg|width=100%]]}}} || || '''본명''' ||베라 쿠퍼[br]Vera Cooper|| ||<|2> '''출생''' ||1928년 7월 23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2> '''사망''' ||2016년 12월 25일 (향년 88세)||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 || '''직업''' ||[[천문학자]]|| || '''학력''' ||[[배서 칼리지]] {{{-2 (학사)}}}[br][[코넬 대학교]] {{{-2 (석사)}}}[br][[조지타운 대학교]] {{{-2 (박사)}}}|| || '''수상''' ||브루스 메달[br]딕슨 상[br]왕립천문학회 금메달[br]국가과학 메달|| [목차] [clearfix] == 개요 == [[암흑 물질]]의 증거를 발견한 여성 천문학자이다. [[노벨상]] 물리학상 후보로 거론됐지만 수상하지 못하고 2016년 12월 25일 숨을 거두었다. == 생애 == [[배서 칼리지]]를 졸업하였다[* 배서 칼리지는 [[미국]]의 [[리버럴 아츠 칼리지]] 중 한 곳이자 전통적으로 [[여자대학]]에서 시작한 곳이기도 하다. [[1970년]]대에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어 현재 미국에서도 여자대학의 수는 적어졌다.]. 이후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천문학) 진학을 희망했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거부당한다.[* 당시 과학계에서는 성차별이 심각했기 때문에 여성의 입지는 좁았다.] 알려지지 않은 연유로 [[하버드대학교]] 석사과정 지원 역시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바로 결혼한 다음 [[코넬 대학교]]를 대신 들어간다. 1960년대부터 20년 가까이 무려 200개 넘는 은하를 대상으로 [[암흑물질]] 이론의 근거가 될 관측 연구를 선도했으며, 훗날 공로를 인정받아 1993년 미국의 대통령이 수여하는 국가과학 메달(National Medal of Science)을 받았다. 코넬대 연구원이었던 로버트 루빈(Robert J. Rubin) 박사와 결혼하였으며, 슬하에 딸(쥬디스 영, 물리학자 겸 천문학자)과 아들(칼 루빈, 수학자)을 두었다. [[분류:미국의 천문학자]][[분류:1928년 출생]][[분류:2016년 사망]][[분류:필라델피아 출신 인물]][[분류:배서 칼리지 출신]][[분류:코넬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조지타운 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