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 [include(틀:상위 문서,top1=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 [include(틀: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 목록)] 카드는 신막 8-2시즌(2023. 7. 10.~) 기준으로 작성한다. [목차] == 기본 == > '''원심''' > 원심을 가진 카드는 아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 * 현재 간격이 턴 시작 시의 간격보다 2 이상 멀어져 있다. > * 이번 턴 동안 당신이 아직 《공격》을 수행하지 않았다.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 원심의 “턴 시작 시의 간격”은 개시 페이즈의 처리를 수행하기 전의 간격을 참조합니다. 집중력의 획득, 부여패에서 벚꽃결정을 1개씩 떨어뜨리기, 조화결정을 연소시키기 등의 처리보다 전의 상태를 참조합니다. 따라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토코요#바람의 무대|바람의 무대]]」 등 간격을 변화시키는 부여패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탈리야|기동전진/후퇴]]는 원심의 조건에 영향을 끼칩니다. > * 원심을 가진 카드의 사용조건은 "턴 시작 시로부터 간격이 2 이상 멀어질 것"으로, 간격이 가까워진 경우에는 원심 조건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간격의 변화량만을 참조하는 경우에는 “2 이상 변화했다면” 등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 > > '''Q.''' 《공격》이 대응에 의해 간격이 변화해서 실패했어요. 이때, 간격이 턴 시작 시보다도 2 이상 멀어져 있다면, 공격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원심의 발동조건을 충족할 수 있나요? > '''A.''' 아니오, 원심의 조건은 충족되지 않습니다. 대응에 의해 《공격》이 실패한 경우라 해도 그 턴 동안 《공격》을 수행한 것으로 봅니다. > > '''Q.''' 원심의 조건인 "아직 공격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원심을 가진 카드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만을 참조하나요? 예를 들어, 상대가 간격 2에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리나#자루치기|자루치기]]」를 사용했고, 이어서 간격 4까지 후퇴해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리나#참|참]]」을 사용한 경우에, 「참」에 대응으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오보로#토비카게|토비카게]]」를 사용해 「[[#원심격|원심격]]」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한가요? > '''A.''' 네, 가능합니다. 참조되는 것은 원심을 가진 카드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만입니다. > > '''Q.''' 개시 페이즈에 《공격》을 수행한 경우에, 메인 페이즈에 원심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 '''A.''' 불가능합니다. 원심은 같은 턴에 《공격》을 수행했는가 아닌가가 조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개시 페이즈에 《공격》을 수행한 경우 원심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Q.''' 개시 페이즈에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리나#압도|압도]]」가 파기되었지만, 그때 간격이 5였어요. 메인 페이즈에 원심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나요? > '''A.''' 할 수 있습니다. 효과에 의해 발생한 《공격》이 적정거리 부정으로 (대응의 개입 없이) 실패한 경우, 그것은 《공격》을 수행한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 > '''Q.''' 원심을 가진 카드를 「토비카게」,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인용|인용]]」 등의 카드 효과로 사용할 수 있나요? > '''A.''' 그 턴 동안 당신이 아직 공격을 수행하지 않았고, 현재 간격이 턴 시작 시보다 2 이상 멀어져 있다면 가능합니다. }}} {{{#!folding 통합 규칙 [ 펼치기 · 접기 ] > '''추가 규칙 6-2 원심''' > 텍스트에 원심이라고 적힌 카드는, 다음의 텍스트를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 【상시】 현재 간격이 턴 시작 시 간격보다 2 이상 멀어져 있으며, 또한 현재 턴에 당신이 아직 《공격》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가 아니라면, 이 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 }}} === 통상패 === ==== 원심격 ==== ||
<|2> '''이름''' ||<-2> 원심격 ||<|8> [[파일:na_08_hagane_o_n_1_s2.png|width=200px]] || ||<-2> [ruby(遠心撃, ruby=えんしんげき)]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N-1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공격 || - || || '''적정거리''' ||<-2> 2 - 6 || || '''데미지''' ||<-2> 5 / 3 || || '''텍스트''' ||<-3>원심[br]【공격후】 현재 턴이 당신의 턴이라면, 당신과 상대의 손패를 모두 덮음패로 만들고, 당신의 집중력은 0이 되고, 현재 페이즈를 종료한다.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턴 시작 시 간격이 2였고, 2번 후퇴해서 간격 4에서 원심격을 사용했어요. 이에 대응해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뒷걸음질/파고들기|뒷걸음질/파고들기]]」를 사용해, 간격이 3이 되었어요. 이 경우에 공격은 실패하나요? > '''A.''' 아니오, 실패하지 않습니다. 원심은 어디까지나 카드를 사용할 때의 제한입니다. 따라서, 카드를 사용한 후에 간격이 변화해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 '''Q.''' 손패에 덮음패로 만들 수 없는 카드([[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치카게#독|독]])가 있는 경우에, 「원심격」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한가요? > '''A.''' 네,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심격」의 【공격후】 효과로는 독을 덮음패로 만들지 않고 손패에 남기게 됩니다. }}} [[#대천공 크래시|대천공 크래시]]와 함께 하가네의 둘뿐인 라이프 데미지 공격카드이자 운용의 핵심. 원심 조건이 만족하면 전력 레벨을 뛰어넘는 공격을 때려박고, 상대 손패까지 태워버릴 수 있는 공격이다. 원심격을 쓴 쪽의 카드와 집중력도 전부 태워버리지만 어차피 카드와 집중력을 쓸만큼 전부 쓰고 원심격을 쓰면 되므로 큰 페널티는 아니다. 다만 강력한 공격인만큼 사용 난이도가 높은 카드에 속한다. 우선 원심 조건 때문에 이 공격을 쓰려면 다른 공격은 모조리 봉인되고, 공격 후의 패널티 때문에 AP를 하나도 남길 수가 없어서 다음 턴 상대 공격에 취약해진다. 또한 상대가 간격 5 유지를 잘 하는 기동력 좋은 조합이라면 원심격을 쓸 조건을 맞추기 힘들어진다. 무엇보다 5/3이라는 피해 자체가 양날의 검으로, 상대가 라이프로 받아서 생기는 '''플레어 3'''이 역스노우볼로 굴러가며, 대응이 없는 하가네가 딱히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다면 그대로 패배할 수도 있다. 2시즌에 패치로 공격후 효과에 자신의 턴 조건이 붙었는데, 이는 상대 턴에 오보로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오보로#토비카게|토비카게]]'''로 이 카드를 대응으로 날린 뒤 상대 페이즈를 강제종료시켜버리는 뒷목을 잡게 만드는 콤보가 발견되었기 때문(...) 상대 페이즈 강제종료는 사라졌지만 토비카게 원심격 콤보 자체가 막힌건 아니라 가끔 쓰인다. 일단 대응 원심격이면 그걸 대응할 수는 없어서... ==== 사풍진 ==== ||
<|2> '''이름''' ||<-2> 사풍진 ||<|8> [[파일:na_08_hagane_o_n_2.png|width=200px]] || ||<-2> [ruby(砂風塵, ruby=さふうじん)]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N-2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공격 || - || || '''적정거리''' ||<-2> 0 - 6 || || '''데미지''' ||<-2> 1 / - || || '''텍스트''' ||<-3>【공격후】 현재 간격이 턴 시작 시 간격에서 2 이상 변화했다면, 상대는 무작위 손패를 1장 버림패로 만든다.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간격이 2 이상 변화한다란, 가까워지는 것과 멀어지는 것 어느 쪽이라도 괜찮나요? > '''A.''' 네, 어느 쪽이든 상관없습니다. }}} 공격 카드지만 상대의 손패를 털어서 러쉬를 견제하는 서포트 카드. 원심 조건은 없어서 2칸 전진이든 후퇴든 하면 상대 손을 털 수 있지만, 공격카드이므로 이 카드 이후에 원심을 못쓰는 점에 주의하자. ==== 대지 부수기 ==== ||
<|2> '''이름''' ||<-2> 대지 부수기 ||<|8> [[파일:na_08_hagane_o_n_3.png|width=200px]] || ||<-2> [ruby(大地砕き, ruby=だいちくだき)]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N-3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공격 || 전력 || || '''적정거리''' ||<-2> 0 - 3 || || '''데미지''' ||<-2> 2 / - || || '''텍스트''' ||<-3>대응불가[br]【공격후】 상대의 집중력은 0이 되고, 상대를 위축시킨다. || 한 장으로 적의 리소스 3~5을 털어버리는 강력한 전력 카드. [[#대중력 어트랙트|대중력 어트랙트]]로 0거리 클린치 후 다음 턴에 쓰는 편이며, 상황에 따라서는 상대방의 한 턴을 무력화할 수도 있다. ==== 초반동 ==== ||
<|2> '''이름''' ||<-2> 초반동 ||<|6> [[파일:na_08_hagane_o_n_4_s6_2.png|width=200px]] || ||<-2> [ruby(超反動, ruby=ちょうはんどう)]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N-4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현재 간격에 따라 아래를 수행한다.[br]5 이상 ⋯ 간격→플레어(자신):1[br]4 이하 ⋯ 플레어(상대)→간격:1 || 거리에 따라서 상대 플레어를 견제하거나 카드 하나로 2AP 분의 행동을 할 수 있는 카드. 거리가 멀면 가까워지고 가까우면 멀어져서 원심을 챙기면서 원하는 거리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전에는 초반발이라는 근접조건 한정의 무빙 카드였으나 6-2시즌에서 크게 버프되었다. ==== 원무련 ==== ||
<|2> '''이름''' ||<-2> 원무련 ||<|6> [[파일:na_08_hagane_o_n_5.png|width=200px]] || ||<-2> [ruby(円舞錬, ruby=えんぶれん)]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N-5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원심[br]상대의 플레어가 3 이상이면, 플레어(상대)→오라(자신):2 || 상대 플레어 견제 카드 2. 상대의 2플레어(4AP)를 태워서 내 2오라(2AP)를 채우기 때문에 한 장으로 6AP의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카드로, 이 카드와 원심 조건을 위해 소모되는 3+AP를 감안해도 원심격 못지 않은 이득을 챙길 수 있다. 후퇴를 자주 해야하는 하가네의 단점도 상쇄시켜준다. 하지만 상대가 후퇴를 잘 하거나 플레어를 바로바로 써버려서 날려버릴 플레어를 남겨주지 않는 스타일의 플레이를 하면 이 카드를 내기가 힘들어지므로 상대 조합을 보고 빼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 종 울리기 ==== ||
<|2> '''이름''' ||<-2> 종 울리기 ||<|6> [[파일:na_08_hagane_o_n_6_s8.png|width=200px]] || ||<-2> [ruby(鐘鳴らし, ruby=かねならし)]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N-6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원심[br]아래에서 1가지를 선택한다. 이번 턴에 당신이 수행하는 다음번 《공격》에 그 효과를 준다. * +2/+1 * 대응불가와 거리확대(원1)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라이프가 3 이하인 상태에서 「종 울리기」의 아래쪽 효과를 선택한 다음,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리나#일섬|일섬]]」을 사용한 경우, 그 데미지는 어떻게 되나요?[* 8 시즌 패치 전에 작성된 FAQ로, 여기서 말하는 아래쪽 효과는 "이번 턴에 당신이 수행하는 다음번 《공격》은 오라 데미지가 3 이상이라면 +0/+1, 그렇지 않다면 +2/+0 된다."이다. 아래에서 언급되는 아래쪽 효과도 동일.] > '''A.''' 통합 규칙에 의거해 데미지의 수정은 분류별로 동시에 적용합니다. 「종 울리기」의 효과와 결사의 효과는 둘 모두 가산 효과이므로 동시에 적용합니다. 원래 데미지가 2/2이므로, 「종 울리기」의 효과로는 +2/+0, 결사의 효과로 +1/+0이 되어, 최종적으로 5/2가 됩니다. > > '''Q.''' 「종 울리기」를 사용한 후, 전진 등을 하고 나서 공격한 경우, 턴 시작 시의 간격에서 2 이상 멀어지지 않게 되었더라도 효과는 적용되나요? > '''A.''' 네, 적용됩니다. > > '''Q.''' 「종 울리기」의 아래쪽 효과를 사용한 다음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사이네#율동호극|율동호극]]」을 사용한 경우, 데미지는 어떻게 되나요? > '''A.''' 최초의 《공격》만 「종 울리기」의 효과를 받습니다. 따라서 「3-4, 3/1」, 「4-5, 1/1」, 「3-5, 2/2」의 《공격》이 발생합니다. > > '''Q.''' 「종 울리기」를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쿠루루#인더스트리아|인더스트리아]]」로 복제했어요. 「[[#사풍진|사풍진]]」을 사용하기 전에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쿠루루#듀~플리기어|듀~플리기어]]」를 사용해서 아래쪽 효과를 1번, 2번, 3번 선택한 경우, 「사풍진」의 데미지는 각각 어떻게 되나요? > '''A.''' 각각 「3/-」, 「5/-」, 「7/-」이 됩니다(단 「사풍진」은 초극을 갖지 않으므로, 3번째의 데미지는 최종적으로 「5/-」가 됩니다). 「종 울리기」에 의한 데미지 가산은 모두 동시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원래 「1/-」인 《공격》에의 강화는 모두 「+2/+0」이 됩니다. > > '''Q.''' 「종 울리기」의 아래쪽 효과를 선택하고, 「[[#대천공 크래시|대천공 크래시]]」 (X=3)를 사용했어요. 상대는 이에 대응해 X=2가 되도록 간격을 이동시켰어요. 이 경우에, 《공격》의 데미지는 어떻게 되나요? > '''A.''' 「대천공 크래시」의 데미지는 간격의 변화량에 따라 수시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X=2가 되었기 때문에 원래 데미지는 「2/1」이 되고, 「종 울리기」의 효과에 의해 「4/1」이 됩니다. }}} 원심 조건이 붙은 버프 카드. 데미지 +2/+1은 공격 하나를 준 원심격 급으로 강화해주는 수준이고, 아래쪽 선택지도 [[#원심격|원심격]]에 적용하면 대응불가에 적정거리 2-7이 되어 클린히트에 도움을 준다. +2/+1이라는 수치는 전례없는 초강력한 버프라서 이용해먹을 수만 있다면 어이없는 창조 킬각을 낼 수 있다. 가령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사이네#향명공진|향명공진]]-종 울리기-[[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사이네#등 베기|등 베기]] 같은... ==== 인력장 ==== ||
<|2> '''이름''' ||<-2> 인력장 ||<|7> [[파일:na_08_hagane_o_n_7_s7_2.png|width=200px]] || ||<-2> [ruby(引力場, ruby=いんりょくば)]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N-7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부여 || - || || '''봉납''' ||<-2> 2 || || '''텍스트''' ||<-3>전력화: 【상시】 이 카드의 화살표(→)로 이동하는 벚꽃결정이 1개 많아진다.[br]【전개시】 간격→오라(자신):1[br]【전개중】 달인의 간격이 1 감소한다. || 전개 효과는 '''달인의 간격을 무시하는 1~2 전진'''에 가까우며 전개 중 효과는 달인의 간격을 줄여버려서 상대의 후퇴를 방해한다. 근접 레인지락 전략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7-2 시즌에 상향되었다. 이전에는 간격 결정 하나 빼는 효과에 봉납도 4나 되었기 때문에 왜 씀? 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 비장패 === ==== 대천공 크래시 ==== ||
<|2> '''이름''' ||<-2> 대천공 크래시 ||<|9> [[파일:na_08_hagane_o_s_1_s5.png|width=200px]] || ||<-2> [ruby(大天空クラッシュ, ruby=だいてんくうクラッシュ)]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S-1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비장패 || || '''소모값''' ||<-2> 4 || || '''카드 타입''' || 공격 || - || || '''적정거리''' ||<-2> 0 - 10 || || '''데미지''' ||<-2> X / Y || || '''텍스트''' ||<-3>초극[br]【상시】 X는 현재 간격이 턴 시작 시 간격에서 변화한 값과 같다. Y는 X의 절반(올림)과 같다.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대천공 크래시」를 사용할 때, 간격 변화가 6 (X=6)인 경우에 데미지는 6/3이 되는데, 상대 오라가 5라도 오라로 받는 것이 불가능하게 해결되나요? > '''A.''' 상대가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는다면 오라로 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Q.''' 「대천공 크래시」를 사용했을 때 대응으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토코요#시의 춤|시의 춤]]」이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뒷걸음질/파고들기|뒷걸음질/파고들기]]」 등에 의해 간격의 변화량이 변했을 경우, 데미지는 변화하나요? > '''A.''' 데미지는 변화합니다. 대응에 의해 간격의 변화량이 변한 경우, 그에 맞춰서 「대천공 크래시」의 데미지도 변화합니다. > > '''Q.'''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천지반박|천지반박]]」이 있는 상태로 「대천공 크래시」를 사용하면 데미지는 어떻게 되나요? > '''A.''' 통합 규칙에 의거해 수치의 적용은 대입 다음 뒤바뀜의 순서가 됩니다. 먼저 「대천공 크래시」의 효과에 의해 데미지가 결정되고, 그 후에 「천지반박」에 의해 오라와 라이프의 데미지가 뒤바뀝니다(예를 들어, 간격의 변화가 5인 경우, 먼저 5/3이 되고, 최종적으로 3/5가 됩니다). }}} 이론상 10/5까지도 가능하지만 보통은 5 간격에서 0으로 초접근하여 5/3으로 쓰거나 5 이상 후퇴한 뒤 5/3에 [[#종 울리기|종 울리기]] 버프를 달고 쓴다. 히미카와 조합하여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히미카#백드래프트|백드래프트]]+[[#종 울리기|종 울리기]]를 [[#대산맥 리스펙트|대산맥 리스펙트]]로 2번씩 발라서 때리는 대천공 원샷 콤보가 있다. 5시즌에 비용이 1 감소하는 상향을 받았다. --4코스트로 5/3을 때리는 여신이 있다?-- 덕분에 5 이상 간격에서 [[#대중력 어트랙트|대중력 어트랙트]]와 조합하여 6코스트로 0거리까지 땡겨 후드려패는 플랜이 더 쉬워졌다. ==== 대파종 메갈로벨 ==== ||
<|2> '''이름''' ||<-2> 대[ruby(파종, ruby=하가네)] 메갈로벨 ||<|7> [[파일:na_08_hagane_o_s_2.png|width=200px]] || ||<-2> [ruby(大破鐘メガロベル, ruby=だいはがねメガロベル)]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S-2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비장패 || || '''소모값''' ||<-2> 2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당신의 다른 비장패가 모두 사용된 상태라면,[br]더스트→라이프(자신):2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부여》 비장패가 부여패 영역에 있는 상태로 「대파종 메갈로벨」을 사용하면 어떻게 되나요? > '''A.''' 부여패 영역에 있는 카드는 아직 사용된 상태가 아니므로, 효과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드문 예외입니다만, 그 부여패가 상대의 비장패인 경우에는, 당신의 비장패가 아니므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슬쩍 자신의 이름(하가네破鐘)이 들어가있는 비장패. 한글판에선 이에 루비가 달렸다. 이 게임에 둘 밖에 존재하지 않는 강력한 라이프 2 힐 카드 중 하나다. 다른 비장패를 모두 사용해야 하는 조건 때문에 적절한 재기 비장패 조합을 찾지 않으면 힐받아도 게임을 뒤집지 못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보통은 잘 사용 안하는 카드. 쿠루루와 하가네 조합으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쿠루루#리게이너~|리게이너~]]로 이 카드를 돌려쓰는 좀비 플랜이 있다. 다만 이전부터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히미카|히미카]]처럼 초반 화력 투사로 승부하는 조합에 약한 모습을 보였고, 전체적인 여신들 화력도 상향 평준화된 지금은 잘 나오는 조합은 아니다. ==== 대중력 어트랙트 ==== ||
<|2> '''이름''' ||<-2> 대중력 어트랙트 ||<|7> [[파일:na_08_hagane_o_s_3.png|width=200px]] || ||<-2> [ruby(大重力アトラクト, ruby=だいじゅうりょくアトラクト)]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S-3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비장패 || || '''소모값''' ||<-2> 5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간격→플레어(자신):3[br]【재기】 이번 턴에 당신이 원심을 가진 카드를 사용했고, 이 카드를 사용하지 않았다. || 발동에 5 플레어가 들어가지만 간격이 플레어로 반환되는 걸 감안하면 2 플레어로 3 간격을 이동하는 무시무시한 비장패. 2 전진 후 이걸로 간격 5에서 순식간에 간격 0까지 당겨버리기 때문에 [[#원심격|원심격]]을 카운터하기 위해 간격 5에서 버티는 상대의 플랜을 박살내기 좋고, 동시에 클린치 여신 조합이랑 쓰기도 좋기 때문에 많이 쓰인다. 하가네-카나에 종막 루트에서는 0거리 클린치를 거는 동시에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카나에#벚꽃파도|벚꽃파도]] 의지 조건을 맞출 수 있다. ==== 대산맥 리스펙트 ==== ||
<|2> '''이름''' ||<-2> 대산맥 리스펙트 ||<|7> [[파일:na_08_hagane_o_s_4.png|width=200px]] || ||<-2> [ruby(大山脈リスペクト, ruby=だいさんみゃくリスペクト)] || || '''카드 번호''' ||<-2> NA-08-hagane-O-S-4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비장패 || || '''소모값''' ||<-2> 4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원심[br]당신의 버림패에 있는 《전력》이 아닌 서로 다른 카드를 2장까지 선택하고, 원하는 순서로 사용한다.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버림패에 2장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쿠루루#듀~플리기어|듀~플리기어]]」가 있는 경우에, 그 2장을 선택할 수 있나요? > '''A.''' 네, 가능합니다. 각각은 다른 카드로 취급합니다. > > '''Q.''' 카드 2장을 선택한 후에, 한쪽의 해결 도중에 페이즈가 종료된 경우(「[[#원심격|원심격]]」 등), 다른 한쪽은 어떻게 되나요? > '''A.''' 다른 한쪽은 사용되지 않고 버림패에 그대로 남습니다. > > '''Q.''' 카드 2장을 선택한 후에, 1장째의 해결 후에 2장째가 버림패를 떠난 경우에는 어떻게 되나요? > '''A.''' "당신의 버림패에 있는 ~카드"가 아니게 되었으므로, 2장째의 카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하가네를 쓴다면 버림패에서 고르는 카드는 거의 [[#원심격|원심격]]과 [[#종 울리기|종 울리기]], 또는 다른 여신의 데미지 버프 계통 카드로 고정된다. 원심격 빠진 상대에게 빅엿을 먹일 수도 있고, 한 턴에 종울리기+@를 2번 써서 원심격을 더욱 크고 아름답게 쓰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 예로는 위에서 언급한 [[#종 울리기|종 울리기]]+[[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히미카#백드래프트|백드래프트]] 콤보. [[#초반동|초반동]]/[[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히미카#백스텝|백스텝]] 등으로 적당히 후퇴 -> 손에서 종 울리기+백드래프트 -> 대산맥으로 버림패의 종울리기+백드래프트 재사용 -> 크고 아름다운 [[#대천공 크래시|대천공]]으로 원샷을 날리는 콤보다. == 어나더 1: 대장장이[*이어해후 제5확장. 참전 여신: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메구미|메구미]],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카나에|카나에]] / 어나더 여신: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토코요#어나더 1: 허무신|『허무신』 토코요]], 『대장장이』 하가네,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호노카#어나더 1: 오우카|『오우카』 호노카]]] == {{{#!folding 통합 규칙 [ 펼치기 · 접기 ] > '''추가 규칙 6-3-1 영역: <모루>''' > <모루>는 『대장장이』 하가네를 깃들인 플레이어와 연결되어 있다. 양쪽 플레이어가 『대장장이』 하가네를 깃들인 경우, <모루>는 2곳 존재하고, 각각이 서로 다른 플레이어와 연결되어 있다. > <모루>에 존재할 수 있는 객체는 분류가 통상패인 카드와 벚꽃결정이다. > <모루>에 카드가 존재하는 경우, 그것은 앞면이다. }}} === 카드 교환 === ||
<-2> 교환 전 ||<|5> '''→''' ||<-2> 교환 후 || || 카드 번호 || 이름 || 카드 번호 || 이름 || || O-N-1 || [[#원심격|원심격]] || A1-N-1 || [[#화롯불|화롯불]] || || O-N-2 || [[#사풍진|사풍진]] || A1-N-2 || [[#선회기|선회기]] || || O-S-1 || [[#대천공 크래시|대천공 크래시]] || A1-S-1 || [[#대연성 마테리얼|대연성 마테리얼]] || === 통상패 === ==== 화롯불 ==== ||
<|2> '''이름''' ||<-2> 화롯불 ||<|6> [[파일:na_08_hagane_a1_n_1.png|width=200px]] || ||<-2> [ruby(炉火, ruby=ろび)] || || '''카드 번호''' ||<-2> NA-08-hagane-A1-N-1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현재의 간격이 3 이상이라면,[br]간격→플레어(자신):1[br]간격→플레어(상대):1 || 서로 2AP의 이득을 챙기면서 2칸 클린치하는 카드. 당연히 클린치 계열 조합과 상성이 좋다. 상대 쪽도 플레어를 버는 것이 거슬린다면 [[#원무련|원무련]] 같은 플레어 견제 수단을 챙겨두자. ==== 선회기 ==== ||
<|2> '''이름''' ||<-2> 선회기 ||<|6> [[파일:na_08_hagane_a1_n_2.png|width=200px]] || ||<-2> [ruby(旋回起, ruby=せんかいき)] || || '''카드 번호''' ||<-2> NA-08-hagane-A1-N-2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현재 간격이 턴 시작 시 간격에서 2 이상 변화하였다면, 카드를 1장 뽑고 당신은 집중력을 1 얻는다.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현재 간격이 턴 시작 시의 간격에서 2 이상 변화하지 않았을 때 이 카드를 사용했어요. 집중력 1은 얻을 수 있나요? > '''A.''' 아니오, 얻을 수 없습니다. }}} 간격 변화를 조건으로 하는 AP2 수급기이자 [[#연성공격|연성공격]]을 빠르게 뽑기 위한 수단. 단, 카드 드로우로 인한 빠른 버닝과 홀수 패산 발생은 조심해야 한다. 연성공격이 패산 맨 밑에 있는 상황을 막아주지는 않으므로... === 비장패 === ==== 대연성 마테리얼 ==== ||
<|2> '''이름''' ||<-2> 대연성 마테리얼 ||<|7> [[파일:na_08_hagane_a1_s_1.png|width=200px]] || ||<-2> [ruby(大錬成マテリアル, ruby=だいれんせいマテリアル)] || || '''카드 번호''' ||<-2> NA-08-hagane-A1-S-1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비장패 || || '''소모값''' ||<-2> 1 || || '''카드 타입''' || 행동 || - || || '''텍스트''' ||<-3>종단[br]이 카드가 당신의 카드라면, 아래 효과를 해결한다.[br]모루에 카드가 있다면, 더스트에서 벚꽃결정을 1개 가져와 모루에 놓는다. 모루에 카드가 없다면, 손패에서 다른 여신의 《공격》 카드를 1장 선택하고 모루에 놓아도 된다.[br]당신의 추가패에서 「[[#연성공격|연성공격]]」 1장을 패산 아래에 놓는다.[br]【재기】 이번 턴에 당신이 「연성공격」을 사용했다.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상대의 버림패에서 「연성공격」을 사용했어요. 이 턴 제 「대연성 마테리얼」은 재기되나요? > '''A.''' 네, 재기됩니다. > > '''Q.''' 상대 턴에 대응으로 「연성공격」을 사용했어요. 「대연성 마테리얼」은 재기되나요? > '''A.''' 아니오, 재기되지 않습니다. 「대연성 마테리얼」을 재기시키려면 당신의 턴에 당신이 「연성공격」을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모든 딜 수단이 빠진 대신 들어간, 파트너 여신의 공격 하나를 [[#원심격|원심격]]급 슈퍼파워공격으로 만들어주는 비장패. 단점은 느리다는 것. 1순에 빠르게 모루 올리고 쓰지 않으면 [[#대산맥 리스펙트|대산맥 리스펙트]]를 써도 3~4순은 되어야 완전체가 되기 때문에 그 전에 얻어맞고 겜이 터져버린다. 거기다가 파트너 여신쪽이 공격카드가 많아야 하고, 그 중에 공격력 낮으면서 유틸리티가 좋은 공격을 쓰는 게 좋기 때문에 파트너 여신 상성도 많이 타는 편. 모루는 룰상으로는 하가네 A1을 선택한 플레이어가 가지는 영역으로, 게임상에선 대연성 마테리얼 카드나 별도의 모루 컴포넌트 등을 이용해 나타낼 수 있다. ===== 연성공격 ===== ||
<|2> '''이름''' ||<-2> 연성공격 ||<|6> [[파일:na_08_hagane_a1_s_1_ex1.png|width=200px]] || ||<-2> [ruby(錬成攻撃, ruby=れんせいこうげき)] || || '''카드 번호''' ||<-2> NA-08-hagane-A1-S-1-Ex1 || || '''사용자''' ||<-2> 하가네 || || '''분류''' ||<-2> 통상패 || || '''카드 타입''' || 미정 || 미정 || || '''텍스트''' ||<-3>【상시】 이 카드는 이름, 사용자와 이 효과를 제외하고 모루에 있는 카드의 복제가 된다. 이 카드가 손패에 있다면 상대의 효과로 선택될 수 없고, 손패 또는 덮음패에 있지 않다면 재구성 이외의 방법으로는 패산이나 손패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이 카드는 봉인되지 않는다. 모루에 있는 벚꽃결정 수에 따라 아래 효과를 모두 얻는다.[br]0 이상 ⋯ +1/+0 되고, 거리확대(원1)을 얻는다.[br]1 이상 ⋯ +1/+1 되고, 거리확대(원1)을 얻는다.[br]2 이상 ⋯ +1/+1 되고, 거리확대(원1)을 얻고, 무효화되지 않는다. || {{{#!folding FAQ [ 펼치기 · 접기 ] > '''Q.''' 모루에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토코요#빗어내리기|빗어내리기]]」가 있고, 집중력이 2인데요. 「연성공격」으로 공격하면, 그 카드는 패산 맨 위로 되돌아가나요? > '''A.''' 아니오, 되돌아가지 않습니다. <사용중> 영역에서 <패산> 영역으로는 이동하지 않습니다. > > '''Q.'''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인용|인용]]」이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오보로#그림자 마름|그림자 마름]]」에 의해 상대가 손패에 있는 「연성공격」을 덮음패로 만들 수 있나요? 또,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우츠로#검은 파동|검은 파동]]」 등에 의해 버림패가 될 수 있나요? > '''A.''' 아니오,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그런 효과들로 손패에 있는 「연성공격」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Q.''' 「[[#사풍진|사풍진]]」에 의해 상대의 손패에 있는 「연성공격」이 공개된 경우에는 어떻게 되나요? > '''A.''' 「연성공격」은 버림패가 됩니다. > > '''Q.'''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궤변|궤변]]」에 의해 상대의 버림패에 있는 「연성공격」을 사용할 수 있나요? > '''A.''' 네, 할 수 있습니다. > > '''Q.''' 모루에 벚꽃결정이 2개 존재할 때 「연성공격」이 얻는 것은 +3/+2와 거리확대(원3)인가요? 아니면 +1/+1과 거리확대(원1)인가요? > '''A.''' 그 경우 +3/+2와 거리확대(원3)입니다. > > '''Q.''' 모루에 벚꽃결정이 2개 존재할 때 「연성공격」을 사용해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반론|반론]]」으로 대응되었어요. 데미지는 무효화되나요? > '''A.''' 아니오, 「이 《공격》은 무효화되지 않는다」를 가진 경우 데미지만 무효화하는 효과도 받지 않습니다. > > '''Q.'''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라이라|라이라]]를 깃들였고, 모루에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라이라#짐승의 손톱|짐승의 손톱]]」이 있어요. 이 카드를 사용했을 때 대전되나요? > '''A.''' 네, 대전됩니다. 이 카드는 사용자를 복제하지 않으므로 하가네의 카드입니다. > > '''Q.''' 모루에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미즈키#쏘아 떨구기|쏘아 떨구기]]」가 있어요. 「연성공격」은 코다마의 카드인가요? > '''A.''' 아니오, 사용자는 복제하지 않으므로 하가네의 카드입니다. > > '''Q.''' 상대의 「연성공격」을 사용한 경우, 【상시】 효과로는 어느 쪽 플레이어의 모루를 참조하나요? > '''A.''' 카드는 일부 정보를 제외하고 보유자의 <모루>에 있는 카드의 복제입니다만, 추가로 얻는 효과로는 사용한 플레이어의 <모루>에 있는 벚꽃결정을 참조합니다. 하가네A1를 깃들이지 않았다면 <모루>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0 이상의 효과만을 얻습니다. }}} '사용자'를 복제하지 않는다는 것은 '여신'의 정보를 복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연성공격은 봉인한 카드의 여신이 아닌 하가네의 카드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이 효과를 응용하여 '다른 여신의 카드에 적용되는 효과'를 십분 활용할 수 있다. 유리나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리나#기염만장|기염만장]]을 연성공격에 적용시킨다든지, 유키히A1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씨실/날실|씨실/날실]]을 연성하여 유키히의 다른 카드에 효과를 적용한다든지. "사용자"라는 용어는 원래 통합룰에서만 언급되었고, 텍스트 상에서는 "다른 여신의~"라든지, "이 카드는 코다마의 카드로 취급한다"등으로 간접적으로만 언급되었는데, 이 카드에서 최초로 텍스트에 언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