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범죄도시 시리즈)] || '''범죄도시3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이상용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
{{{+1 '''개봉일까지'''}}} || {{{+5 {{{#fecb5f '''D[dday(2023-05-31)]'''}}}}}} || ||<-2>
{{{#fecb5f '''{{{+1 범죄도시 3}}}''' (2023)[br]The Roundup: No Way Ou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 [[파일:범죄도시3_메인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액션]], [[범죄물|범죄]], [[스릴러]], [[느와르]], [[미스터리]], [[블랙 코미디]], [[형사물|형사]] || || '''감독''' ||[[이상용(감독)|이상용]][* [[범죄도시 2|전편]] 연출이자 [[범죄도시|제1편]]의 조연출.] || || '''각본''' ||김민성, 차우진[* 본명은 '예동우' 이고, 범죄도시 시리즈 주연이자 기획자인 마동석의 배우자 [[예정화]]의 친 남동생이자 마동석의 처남이다. [[범죄도시 2|전작]]에서 최용기 역할이였다.] || || '''기획''' ||[[마동석]] || || '''제작''' ||[[마동석]] || || '''각색''' || || || '''촬영''' || || || '''조명''' || || || '''미술''' || || || '''편집''' || || || '''음악''' || || || '''사운드''' || || || '''의상''' || || || '''분장/헤어''' || || || '''동시 녹음''' || || || '''시각 효과''' || || || '''특수 효과''' || || || '''소품''' || || || '''세트''' || || || '''출연''' ||[[마동석]], [[이준혁]], [[아오키 무네타카]] 외 || || '''제작사''' ||빅펀치픽쳐스[br]홍필름[br][[SLL#s-4|[[파일:비에이엔터테인먼트 로고.png|height=20&theme=light]][[파일:비에이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png|height=20&theme=dark]]]] || || '''배급사''' ||[[파일:에이비오엔터테인먼트 로고.jpg|width=60]] ---- [[플러스엠|[[파일: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로고.png|height=20&theme=light]][[파일: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png|height=20&theme=dark]]]] || || '''스트리밍''' || || || '''촬영 기간''' ||[[2022년]] [[7월 20일]] ~ [[2022년]] [[11월 10일]] || ||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3년]] [[5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5월 31일]] || || '''화면비'''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theme=light]][[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width=20&theme=dark]]]], [[IMAX|[[파일:IMAX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IMAX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시네마스코프|2.39:1]]) || || '''상영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theme=light]][[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width=20&theme=dark]]]] | [[IMAX|[[파일:IMAX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IMAX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4DX|[[파일:4DX 로고 (3).svg|width=35&theme=light]][[파일:4DX 로고 화이트.svg|width=35&theme=dark]]]] || || '''상영 시간''' ||105분 (1시간 45분 7초) || || '''제작비''' ||135억 원[* 130억 원이었던 [[범죄도시 2|전작]]보다 5억 원이 더 늘어났으며 손익분기점은 180만 명 정도로 예상된다.] || || '''손익분기점''' ||약 180만 명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54,173명''' ^^([[2023년]] [[5월 28일]] [[https://www.kobis.or.kr|기준]])^^||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https://www.kmrb.or.kr/kor/CMS/GradeSearch/movie/ResultView.do?mCode=MN143&rcv_no=2378011&gubun=MV&destinationGubun=M&type=movie&use_title=%EB%B2%94%EC%A3%84%EB%8F%84%EC%8B%9C&vgbn=movie&period_start=&period_end=&aplc_name=&dire_name=&rcv_no_view=&leada_name=&rt_no=&oauth_name=&prodc_natnl_name=&core_harm_rsn=&mv_asso_name=|등급분류 결정내용]]: 주먹으로 강하게 가격하는 장면, 격투 장면, 무기류 및 흉기류로 살상하는 장면 등이 등장하나 유혈묘사 및 소리로 간접적으로 표현되고 있어 폭력성 수위가 다소 높고, 마약 포장, 거래 장면과 복용 후 혼미한 상태로 앉아있는 장면, 시신 유기 장면 등에서 약물 및 모방위험 요소의 유해성도 다소 높은 15세 이상 관람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약물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모방위험_2021.sv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원하게 싹 쓸어버린다!''' 2023년 5월 31일 개봉 예정인 [[한국 영화]]. [[범죄도시 시리즈]]의 3편이다. == 개봉 전 정보 == * 이번 범죄도시3에서는 마동석이 [[권투/기술#s-2|스텝]]을 적극적으로 이용한 액션이나 한방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권투/기술#s-4.8|연타의 공격]]을 하는 발전된 액션을 많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https://youtu.be/4Ux6dlU92mE|#]] 이런 격투 스타일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학창시절 복싱을 배웠다는 설정이 광역수사대 반장을 통해서 언급된다. * 이상용 감독에 의하면 배경은 [[인천광역시]][* 본래 일본이었지만 최종적으로 인천광역시로 결정되었다.]이고, 새로운 근무지는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라고 한다. * 본작의 주적은 [[일본]]에서 건너온 [[야쿠자]]라고 한다. * 2022년 5월부터 촬영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starnewskorea.com/stview.php?no=2022051211040655333|#]] * 2022년 11월, 촬영이 종료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첫 스틸컷이 공개되었다.[[https://www.instagram.com/p/Ck-Sk39Brjc|#]] 단, 동시에 촬영중이던 [[범죄도시 4]]는 계속 촬영 중이라고 한다. * 2023년 4월 나온 기사에 따르면 빌런은 마약과 관련된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http://www.stoo.com/article.php?aid=86642415396|#]] * 2023년 5월 새 스틸컷들이 공개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commercial_movie/538835|#]] * 2023년 5월 9일, [[마동석]]이 제작보고회를 통해 “3편에는 [[장이수]] 캐릭터가 안 나온다. 장이수를 대신할 강력한 캐릭터가 나오는데 그 부분이 또 재밌을 거다. 영화를 극장에서 끝까지 본다면 화면으로 깜짝 선물이 준비돼있다”고 밝혔다. [[https://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2305091125003|#]]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범죄도시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범죄도시3 런칭 포스터.jpg|width=100%]]}}} || || '''▲ 로고 포스터''' || '''▲ 런칭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범죄도시3_티저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범죄도시3_메인포스터.jpg|width=100%]]}}} || || '''▲ 티저 포스터''' || '''▲ 메인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범죄도시 3_IMAX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범죄도시3 4DX 포스터.jpg|width=100%]]}}} || || '''▲ IMAX 포스터''' || '''▲ 4DX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ebPUYhYKNU)]}}}|| || '''{{{#fecb5f 런칭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sW2FxaFOkI)]}}}|| || '''{{{#fecb5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p7WZmM3Bk8)]}}}|| || '''{{{#fecb5f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대체불가 괴물형사 마석도, 서울 광수대로 발탁!''' > >[[범죄도시 2|베트남 납치 살해범 검거]] 후 [[2015년|7년 뒤]], >‘마석도’([[마동석]])는 새로운 팀원들과 함께 살인사건을 조사한다. >사건 조사 중, ‘마석도’는 신종 마약 사건이 연루되었음을 알게 되고 수사를 확대한다. >한편, 마약 사건의 배후인 '주성철'([[이준혁]])은 계속해서 판을 키워가고 >약을 유통하던 일본 조직과 '리키'([[아오키 무네타카]])까지 한국에 들어오며 >사건의 규모는 점점 더 커져가는데... > >'''나쁜 놈들 잡는 데 이유 없고 제한 없다''' >'''커진 판도 시원하게 싹 쓸어버린다!''' == [[범죄도시 시리즈/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범죄도시 시리즈/등장인물)] * '''주요 인물''' * [[마석도]] - [[마동석]] * [[주성철]] - [[이준혁]] * [[리키(범죄도시 시리즈)|리키]] - [[아오키 무네타카]] *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 * [[장태수(범죄도시 시리즈)|장태수]] - [[이범수]] * [[김만재(범죄도시 시리즈)|김만재]] - [[김민재(1979)|김민재]] * [[양종수(범죄도시 시리즈)|양종수]] - [[이지훈(1979)|이지훈]] * 정다윗 - [[김도건]] * '''인천북부경찰서 마약반''' * 황동구 - [[최동구]] * 공태일 - [[이세호(배우)|이세호]] * '''주성철 일당''' * 김용국 - 한규원 * '''야쿠자'''[* 이치조가 이끄는 야쿠자들이자 리키의 동료들. ] * [[김민(1982)|김민]] * 토모 - [[안세호]] * 마하 - [[홍준영]] * 이치조[* 야쿠자 회장. 분량은 적지만 나름대로 중요한 역할이라고 한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02711475398337|#]]] - [[쿠니무라 준]][*특별출연] * '''인천 시민들''' * 김양호 - [[전석호]] * 초롱이[* 예고편 속에서 바디아머 기능성 상의에 형광색 반바지, 팔다리를 휘감은 문신까지 인터넷에서 밈으로 묘사되는 전형적인 삼류 깡패의 비주얼로 등장한다. 중고차 매매단지에 있는 것으로 보아 중고차 딜러로 보인다. 1,2편의 장이수의 뒤를 이을 코믹한 모습을 보여줄것으로 예상된다.] - [[고규필]] * '''그 외''' * 흉기난동범 - 이진한 * 미미 - [[배누리]] * [[박상남]] * [[강윤(배우)|강윤]] * [[고건한]] * [[이혜지]] * [[연예림]] {{{#!folding [ 쿠키영상 (스포일러 주의) ] * [[장이수]] - [[박지환]]}}}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2015년[* 전작으로부터 7년이 지났다.] 인천의 어느 화물선 안, 일본 야쿠자 이치조 구미의 조직원들이 페인트 통에서 약을 꺼내고 있다. 부하들과 함께 이곳을 찾아온 주성철에게 이치조 구미 한국지부장인 토모가 경찰이 숨어들어와 있었다며 피투성이가 된 채 쇠사살에 묶여있는 사람과 그의 경찰 신분증을 보여주고, 주성철은 옆에 있던 빠루로 잔인하게 그를 구타한 후 납을 달아서 바다에 던지라고 한다. 경찰을 죽여도 되냐고 찜찜해하는 토모에게 이치조 구미에서 마약 재료를 빼돌린 사실을 알게 되면 무사히 넘어갈 수 없을거라며 똑바로 일을 처리하라고 면박을 주고 주성철은 떠나고, 아직 미세하게 숨이 붙어있는 경찰을 비닐에 싸서 납을 달아 바다에 던지는 모습을 뒤로하고 범죄도시 3편의 타이틀이 올라간다. 서울 도심 한복판, 자동차 사고가 벌어진 곳에서 문신을 한 양아치들이 상대방 차량의 운전수를 구타하고 이를 시민들이 둘러싸고 보고 있는 현장에 마석도가 나타난다. 양아치들을 가볍게 처리한[* 1, 2편에 비해 빠른 연타를 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마석도는 뒤늦게 출동한 경찰들이 자신도 연행하려하자 광수대 형사라는 것을 밝히고 현장을 빨리 정리할 것을 지시한다. 광수대로 들어선 마석도에게 반장 장태수는 방금 전에 검거한 놈들이 칼부림 사건의 용의자라면서 1년 동안 도망다닌 놈들을 어떻게 잡았냐고 신기해한다. 경찰은 실적이라는 말을 하며 주변 형사들도 한마디씩 거드는 사이, 호텔에서 젊은 여성이 추락사한 사건이 발생했다는 보고를 듣고 광수대 팀이 출동한다. 피해 여성은 28세로 호텔에서 추락하여 사망하였으며 혈액에서 치사량을 넘는 신종 마약 '''하이퍼'''의 성분이 검출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여성이 죽기 전 클럽에서 재일교포에게서 술에 탄 마약을 마시고 그와 동행하게 되었다는 정보를 알게 된 마석도는 광수대 후배인 김만재와 함께 피해자가 마지막으로 들렀던 클럽인 오렌지로 향한다. 오렌지의 입구에서 강남의 모든 유흥 업소를 대기없이 뚫어줄 수 있다는 자동문[* 당연히 별명이겠지만 김만재는 계속 그를 동문씨라고 부른다.]을 소환하여 오렌지에 들어간 마석도는 경비를 서는 가드를 펀치 한방으로 뚫고 VIP룸이 있는 곳으로 들어간다. VIP 구역 화장실에서 하이퍼를 돌리고 있는 직원과 양아치를 제압한 마석도는 마약과 현행범들을 확보한 후 오렌지의 사장의 방까지 쳐들어가서 그를 체포, 클럽 오렌지에 대한 경찰들의 대대적인 단속과 체포가 이루어지도록 만든다. == 명대사 == == 사운드트랙 == == [[/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범죄도시 3/평가)] == 흥행 == === 월드와이드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023년 5월 31일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5> 개봉 전 || 2023-05-22 (월) || 4,248명 ||<|5> -명 || 6위 || 39,744,000원 ||<|5> -원 || || 2023-05-23 (화) || 2,997명 || 6위 || 26,973,000원 || || 2023-05-24 (수) || 2,068명 || 9위 || 18,612,000원 || || 2023-05-25 (목) || 2,181명 || 8위 || 20,281,000원 || || 2023-05-27 (토) || 142,676명 || 2위 || 1,517,938,551원 || ||<|7> 1주차 ||2023-05-31.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6-01.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6-02.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6-03.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6-04.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6-05.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6-06.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23-06-07.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6-08.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6-09.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6-10.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6-11.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6-12.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6-13.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23-06-14.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6-15.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6-16.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6-17.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6-18.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6-19.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6-20.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23-06-21.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6-22.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6-23.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6-24.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6-25.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6-26.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6-27.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154,170명, 누적매출액 1,623,548,551원'''[* ~ 2023/05/27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손익분기점은 약 180만 명 정도로 예상된다. ==== 개봉 전 ==== * 2022년 10월의 〈[[올빼미(영화)|올빼미]]〉 이후 개봉한 한국 영화가 모두 부진한 흥행[* 모든 영화가 손익분기점에 미치지 못하는 관객 수를 기록했으며, 그나마 가장 손익분기점에 근접한 기록을 세운〈[[영웅(2022)|영웅]]〉 정도가 최고 흥행작인 상황이다.]을 보이며 비수기 한국 영화 최후의 보루였던 〈[[드림(영화)|드림]]〉까지 무너진 가운데, 2022년 최고 흥행작 〈[[범죄도시 2]]〉의 속편인 〈범죄도시 3〉가 첫 번째 여름 성수기 영화로 극장에 나서게 된다. 일단 2020년의 코로나19 사태로 유발된 극장가의 침체를 뚫고 [[천만 관객 돌파 영화]]에 이름을 올린 〈[[범죄도시 2]]〉 의 속편인 만큼 일정 수준의 흥행은 확정적으로 보고 있고, 약 550만 명에 달하는 관객 수로 기존 2023년 한국 개봉작 관객 수 1위에 있는 〈[[스즈메의 문단속]]〉을 넘을 수 있을지, 더 나아가 천만 관객 돌파 영화에 이름을 올릴 수 있을지 큰 기대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만약 〈범죄도시 3〉마저 기대에 부진한 기록을 세운다면 차기 한국 영화 작품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 〈[[범죄도시 2]]〉 개봉 당시와 비교했을 때 흥행에 긍정적인 요소로는 전작의 대흥행으로 시리즈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높아진 점, 그리고 IMAX와 4DX를 1주일 동안 독차지한다는 점이 있다.[* 전작은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와 IMAX를 교차 상영했지만, 이번에는 6월 5일까지 IMAX를 독차지함과 더불어 시리즈 최초로 4DX로도 상영한다.] 반면 부정적인 요소도 적지 않은데, 가장 큰 우려 사항은 〈범죄도시 2〉의 흥행 구조에 팬데믹 종료라는 특수성이 크게 개입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팬데믹 종료 이후 1년간 한국 영화 시장의 관객 수는 2019년 및 팬데믹 종료 직후인 2022년 5~6월과 비교해 명백하게 감소했고, 반대로 해외 영화 시장은 이전의 추이를 거의 회복한 덕에 6월 경쟁작의 이름값만 비교해 보아도 차원이 다른 수준이다.[* 2022년 6월에 개봉한 대규모 상업 영화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브로커(영화)|브로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버즈 라이트이어(영화)|버즈 라이트이어]]〉, 〈[[탑건: 매버릭]]〉, 〈[[헤어질 결심]]〉이 있었다. 개봉 전 기대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을 제외하면 오히려 본작보다도 낮았던 작품들이다. 반면 2023년 6월은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플래시(영화)|플래시]]〉,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인디아나 존스와 운명의 다이얼]]〉 등 매 주마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최소 한 편 이상 개봉하는 박 터지는 싸움이 예고되어 있다.] 이러한 경쟁작들이 개봉하면 6일 동안 독점했던 특별관을 바로 다음주부터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에게 모두 넘겨 줄 가능성이 높다. * 평가를 보고 관람을 결정하는 추이가 강해진 상황에서 천만 돌파를 노리려면 대부분의 6월 경쟁작들을 누르고 최소 6월 2~3주차까지는 1위를 유지해야 하는데,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만약 성공했을 경우 한국 영화 시장의 성수기인 7~8월 개봉 한국 영화들에게 상당한 부가 효과가 되어 줄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범죄도시 3〉의 흥행 기록은 2023년 여름방학 한국 영화들의 테스트베드나 다름없는 상황이 되었다. <범죄도시 3> 마저 실패한다면 속칭 ‘믿고 거르는 한국 영화’라는 풍조가 더 강해져 이후 작품들은 실제 영화 수준과 관계 없이 저조한 관객 수 성적을 받을 확률이 크다. * 개봉일의 2주 전 자정을 기준으로 해당 주에 개봉하는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2주 전에 개봉하여 일일 관객 수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에 이어 12%의 예매율로 예매율 3위를 기록하였다. 이후로도 점차 예매율이 오르며 개봉 11일 전인 5월 20일에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를 누르고 약 25%의 예매율로 예매율 2위를 달성하였으며, 다음날에는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까지 누르고 예매율 1위를 기록한 것에 더하여 무려 50%에 육박하는 예매율을 기록하였다. 개봉이 일주일 이상 남았는데도 이러한 예매율을 기록하는 것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중에서도 상당히 이례적이며, 한국 영화로는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 이후 개봉일 1주 전을 기준으로 20만 명의 예매 관객 수 및 50%의 예매율을 돌파하였다. 이는 〈스즈메의 문단속〉의 개봉 1주 전 예매 관객 수와 예매율을 뛰어넘은 기록으로, 추이로 보아 〈스즈메의 문단속〉을 넘어 2023년 최고 흥행작에 등극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개봉 5일 전인 5월 26일에 예매 관객 수 30만 명을 돌파하였다. * 개봉 4일 전인 5월 27일에 사전 개봉하여 약 1천여 명이라는 매우 근소한 차이로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에 이은 일일 관객 수 2위를 차지하였다.[* 사전 개봉이라 190여 개의 적은 상영관에서 일부 회차에만 상영했는데, 범죄도시 시리즈에 대한 기대감으로 엄청난 좌석 판매율을 보이며 정상적으로 상영 중인 영화를 모두 제치기 직전까지 갔다.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가 조금만 부진했다면 정식 개봉도 하지 않은 영화가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는 전례 없는 상황이 발생할 뻔했다.] === [[북미]] === === [[일본]] === === [[중국]] === === [[대만]] === === [[홍콩]] === === 기타 국가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범죄도시 3/흥행, version=12)] == 기타 == * 본래 해당 영화의 배급은 ABO엔터테인먼트에서 단독으로 맡기로 했으나, [[범죄도시|1]],[[범죄도시 2|2편]]과 마찬가지로 [[플러스엠]]과 공동으로 배급한다. * 1, 2편에서 마석도의 동료 경찰이었던 [[전일만]] 반장, [[오동균]] 형사, [[강홍석(범죄도시 시리즈)|강홍석]] 형사, 김상훈 형사 등은 하차하여 3편 부터는 출연하지 않고, [[장태수(범죄도시 시리즈)|장태수]] 반장, [[김만재(범죄도시 시리즈)|김만재]] 형사, [[양종수(범죄도시 시리즈)|양종수]] 형사가 새로 투입되어 출연한다. 이상용 감독의 말에 따르면 마석도가 금천경찰서에서 광역수사대로 발령되어 자리를 옮기면서 팀이 모두 새로 바뀐다고 한다.[[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2206130100087130005547&servicedate=20220613|#]] * 배경년도는 [[범죄도시 2]] 이후로 7년 뒤인 [[2015년]]으로 결정되었다. * [[주성철]] 역을 맡은 [[이준혁]]의 평소 이미지 탓에 무력보다는 지력으로 마석도를 상대하는 빌런이라는 추측이 있었으나, 이준혁이 벌크업한 사진이 공개되고 '''마석도와 정면으로 싸우려고 작정하고 그를 되려 압박하고서 이기려고 하는, 근성이 강하고 엄청 질긴 빌런'''이라는 언급이 더해져 전작의 장첸과 강해상과 마찬가지로 힘으로 전투에 임하는 캐릭터로 확정되었다. 동시에 짐승같은 두 메인빌런들과는 다르게 본능보다는 전략을 앞세워 전투하는 빌런이라고 한다. * [[마동석]], [[김민재(1979)|김민재]]는 영화 〈[[성난황소]]〉이후 약 5년, 〈[[그라운드 제로]]〉 이후 약 2년 만에 재회한다. * 초롱이 역을 맡은 [[고규필]]은 [[마동석]]과는 영화 〈[[베테랑(영화)|베테랑]]〉과 〈[[원더풀 고스트]]〉, 드라마 〈[[38사기동대]]〉에 함께 출연했고, [[이준혁]]과는 드라마 〈[[파랑새의 집]]〉에 함께 출연했다. * [[장이수]] 역의 [[박지환]]은 본편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나 후술할 쿠키 영상에 짤막하게 등장했다. 이후 4편에서는 주연으로 등장할 예정이다. * [[쿠키 영상]] 1개가 있다. * 시리즈 최초로 [[4DX]]로 상영한다. 한국영화로는 [[유령(2023)|유령]] 이후 오랜만이다. * 전편과 동일하게 공식 개봉일보다 앞서 상영하는 프리미어 상영을 실시한다. 석가탄신일 대체 휴무 특수효과를 받으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 [[CJ]] [[CGV]] 씨네드쉐프와 주류업체 디아지오와의 콜라보를 통해 [[싱글톤]] 애플 [[하이볼]]과 한정판 싱글톤 콜린스 인센스굿 타임 에디션을 받을 수 있는 '특별 상영회'도 열린다. [[https://www.news1.kr/articles/?5056638|상세 사항]] [[분류:범죄도시 시리즈]][[분류:2023년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IMAX로 상영한 한국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