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애니매트로닉스]]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 주소1= DarkRealFunnySkin, 합의사항1=표제어를 벌룬보이로 하기)]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애니매트로닉스)] ||<-2>
{{{#ffffff,#FF0000 '''{{{+5 벌룬보이}}}'''[br]Balloon Boy}}}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FNAF2BB.webp|width=100%]]}}} || ||<-2> {{{#ffffff,#FF0000 '''[[FNaF 2]]에서 묘사된 모습'''}}} || || {{{#fff,#234794 '''별칭'''}}} ||BB|| || {{{#fff,#ff0000 '''성별'''}}} ||[[남성]]|| || {{{#fff,#0000ff '''종족'''}}} ||[[애니매트로닉스]]^^(토이)^^|| || {{{#fff,#ff0000 '''깃든[br]영혼'''}}} ||없음 혹은 '''불명'''|| || {{{#fff,#0000ff '''소속'''}}}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타임라인#s-1.6|85년도의 피자가게]] ^^([[FNaF 2]] 이전 시점)^^[br][[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타임라인#s-1.7|87년도의 피자가게]] ^^([[FNaF 2]] 시점)^^|||| [목차] [clearfix] == 개요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에 등장하는 풍선을 들고있는 인간형 애니매트로닉스. == 작중행적 == === FNaF 2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BB_Icon.png|width=150]] [[파일:FNAF2BB.webp|width=300% height=200%]] ||이동경로: 게임 구역 → 왼쪽 환풍구 → 사무실|| 2편의 새로운 캐릭터. 벌룬보이(Balloon Boy) 또는 BB[* '''B'''alloon '''B'''oy의 줄임말이다.] 라고도 부른다. 보통 때는 '게임 구역'에서 대기하고 있으며, 행동을 개시하면 어린아이의 목소리로 "Hello" 혹은 "Hi"라고 말하거나 웃음소리를 내며 플레이어를 향해 다가온다. 남자아이 목소리가 들려오면 십중팔구 이 녀석이 들어오려 하는 것이니 조심해야 한다.[* 총 4번 웃음소리를 내면 사무실 환풍구 앞에 와있다.] 진입로는 왼쪽 환기구이며, 인게임의 모든 애니매트로닉스를 통틀어서 '''가장 짧은 이동 경로를 가진다.''' 직접적으로 공격을 하진 않지만 게임에서 가장 성가신 애니매트로닉스 중 하나인데, 사무실 안으로 들어오면[* 이 녀석도 맹글과 마찬가지로 '''사무실에 들어오면 나가지 않는다.''' 맹글은 대처법이라도 있어서 들어오더라도 본인의 실력이 좋다면 클리어가 가능하지만, 이 녀석이 사무실에 들어오면 6시가 되지 않는 한 그 판은 망한 것이다. 사무실에 들어왔을 때 가면을 썼다면 그건 이미 늦은 것에 불과하다. ] '''손전등이 작동하지 않는다.''' 게다가 주로 불러 들이는 애니매트로닉스가 손전등 없이 대처가 불가능한 '''구형 폭시'''다.[* 애니매트로닉스들은 조용한 곳에 있으면 잘못된 곳에 있는 걸로 알고 사람들이 어디에 있는지 찾으러 간다. 거기다 원래 애니매트로닉스들은 어린이들을 위해 만든 로봇이다.][* 3편에서 폰가이가 말하길 애니매트로닉스는 아이의 목소리가 들리는 곳으로 간다고 한다.] BB가 사무실에 들어오면 사무실에 가장 빨리 들어올 수 있는 애니매트로닉스를 불러들이며, 폭시만 부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고난이도라면 6시가 다 되어가지 않는 이상 이 녀석이 들어오면 사실상 이미 게임오버 된거나 마찬가지다. 불빛이 없어 구형 폭시를 막을 수 없기에 게임오버를 이끌뿐만 아니라 플레이어들을 성가시게 만드는 주범. 게다가 경비실에 들어오면 허구한 날 '''핳핳핳!'''대서 짜증도 덩달아 난다. 굉장히 성가신 애니매트로닉스지만, 대처법은 아주 간단하다. 안에 들어오기 전에 왼쪽 환풍구에 얼굴을 드러낼 때 인형탈을 쓰면 물러간다. 참고로 소리를 낼 때마다 조금씩 움직이므로 만약 감시 카메라로 환풍구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소리가 났다면 바로 경비실 내부의 환풍구(왼쪽)을 확인하자. 확인할 상황이 못 된다면 왼쪽 환풍구에 웃음소리가 2번 들리며 환풍구에서 이동하는 소리가 날 때 바로 인형탈을 쓰는 방법도 있다.[* BB는 이동하기 전에 반드시 한 번 웃는다.] 게다가 출몰하는 위치가 한정돼 있어서 감시하기도 쉬운 편. 하지만 정작 골든 프레디 모드에선 보기가 힘든데, 별 것 없고 애니매트로닉스들이 쉴 틈 없이 몰려들어서 인형탈을 심심하면 입어대다보니 정작 기습은 안하는 BB의 경우 볼 일 자체가 없다. 모바일에선 좀 더 빡칠 수 있는데 컴퓨터에선 5초 정도 사무실에서 스테잉 하다가 가는데 모바일에선 7초 동안 사무실에 머무르다가 간다. 다행히도 [[FNaF 2]]가 리마스터 되면서 PC 버전과 똑같아졌으므로 BB 역시 5초 정도 머물렀다가 돌아간다. 자세히 보면 BB의 입 안에 눈알 같은 것이 보인다. === FNaF 3 === 다른 토이 애니매트로닉스들과 함께 공포의 집 장식으로 등장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3/애니매트로닉스, 문단=3.4)] === FNaF 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4/애니매트로닉스, 문단=2.7.1)] == 다른 매체에서 == === [[프레디의 피자가게(영화)|실사 영화]] === [[파일:BBFilmFigure.webp]] [[https://www.imdb.com/name/nm2024412/|딜런 회르너]]가 목소리를 맡는다고 한다. 다만 현재는 IMDb 사이트에서 내려간 상태이다. 실제로 실사 영화에 등장하는지는 불명. 이후 [[https://www.imdb.com/name/nm7360171/?ref_=ttfc_fc_cr203|빅터 길버트]]가 성우로 다시 등재되었다. 다만 계속해서 사이트가 수정된 만큼, 정확한 정보인지는 불명확하다. 작중에서는 작은 피규어가 하나 등장하며, 원작의 귀여운 생김새와는 달리 [[불쾌한 골짜기|어딘가 기괴해]]보이는 피규어[* 원작과 비교해보면 옷이 더 진한 색이고 입이 지나치게 크다.]인지라 폭시와 함께 본작의 갑툭튀 담당[* 갑툭튀겸 쿠키영상에서는 개그역할이다.]이다. 1편의 행동 패턴대로 행동해서 그나마 예측이 가능한 폭시와는 달리 뜬금없이 튀어나와서 아예 예측 불능이다. 쿠키영상에서 애비를 피자가게로 데려가줬던 택시운전사 옆 조수석에서 갑툭튀 하며 등장 끝. == 기타 == * 어째서인지 펀타임 애니매트로닉스들과 애프튼 로보틱스에서 동일한 시간대에서 만들어졌다는 추측이 한국 한정으로 정설 취급받고 있는데,[* 해외에서도 소수나마 있다.] The Freddy Files: Five Nights at Freddy's에서 '펀타임 애니매트로닉스'''처럼 보인다''''는 서술이[* 원문: A sound sensitive animatronic that '''appears to''' be a spider in the same family as the Funtime animatronics.] 있는 뮤직맨과 달리 '''그 어떤 공식 서적에서도 벌룬보이가 펀타임 에니메트로닉스와 관련되었다는 언급은 없다.''' * 토이 애니매트로닉스들에도 영혼이 깃들었을 수도 있다는 추측이 있기 때문에,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타임라인#s-2.1.1|벌룬보이 또한 영혼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다른 토이 애니매트로닉스들과는 달리 맹글과 함께 3편에서 환각으로 등장하고 4편에서 또한 등장한 것 역시 의미심장한 부분. * 벌룬보이의 웃음 소리와 "Hello", "Hi"는 유튜브 영상에서 효과음으로 종종 쓰이기도 한다. * 여러모로 웃는 얼굴과 웃음 소리가 플레이어를 비웃는 것처럼 들려서 열 받게 하는지[* 특히 사무실에 들어와서 손전등을 꺼버린 후 키려고 하면 웃는 것.] 이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고, 귀여운 생김새와 VR에서 귀엽게 통통통 뛰어가는 모습 등으로 인해 은근히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2차 창작에서 그려질 때는 주로 초등학생 정도의 소년의 모습으로 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