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번개족]]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TheImmortalofThunder-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번개 신선'''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雷, ruby=かみなり)][ruby(仙人, ruby=せんにん)]'''|| || 영어판 명칭 ||<-4>'''The Immortal of Thund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번개마족 || 번개족 || 1500 || 1300 || ||<-5>너무나 다정해보이지만 그냥 번개 아저씨. 아무한테나 번개를 떨어뜨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attachment/번개 신선/card10000708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리버스=, 효과=, 한글판명칭=번개 신선, 일어판명칭=(かみなり)仙人(せんにん), 영어판명칭=The Immortal of Thunder, 레벨=4, 속성=빛, 종족=번개족, 공격력=1500, 수비력=1300, 효과1=리버스: 3000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5000 라이프 포인트를 상실한다.)] 리버스했을 경우 LP를 회복하는 [[유발효과]], 그 후 묘지로 보내졌을 때 LP를 '''상실하는''' 임의의 [[유발효과]]를 가진 하급 [[리버스(유희왕)|리버스]] 몬스터. 1기 시절 등장한 고대 카드 중에서도 아주 괴랄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 리버스하는 즉시 3000이라는 엄청난 양의 라이프를 회복시켜주지만 그 대신 무덤으로 갈 때 더 큰 대가를 요구한다. 이 라이프 '상실'은 데미지를 받는 것과는 다른 처리로, [[지옥문 저편의 총]] 등으로 회피할 수 없다. 빛 속성이므로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로 지원해줄 수는 있지만, 차라리 회복량은 동일하고 반동은 3000 데미지인 함정카드 [[여신의 가호]]를 쓰는 게 훨씬 낫다는 것이 중론.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강철의 습격자]] || MRD-K09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2]] || BP2-KR059 || [[노멀]] || 한국 || || || [[볼륨(유희왕)|Vol.7]] || 없음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강철의 습격자|강철의 습격자 -METAL RAIDERS-]] || ME-39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 4 || DL4-033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4기)]] || BE2-JP059 || [[노멀]] || 일본 || 절판 ||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 MRD-09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 DB2-EN059 || [[노멀]] || 미국 || || ==== 실제 듀얼에서 활용 가능한가? ==== 요점은 라이프 회복만 취한 다음 핸드로 되돌리거나 제외, 혹은 엑시즈 소환에 활용하는 등 어떻게든 묘지로 보내지 않는 방법으로 디메리트를 회피하면 된다. 이 카드는 능력치가 좋지 못해 전투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게다가 라이프 상실 효과는 방법을 불문하고 '''필드 위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일어나므로, 이미 무덤에 와 있는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할 수 없는 [[스킬 드레인]]은 장식으로 전락하고 컨트롤을 상대에게 넘겨도 내 무덤으로 돌아와 효과가 발동하므로 소용없다. 세트된 이 카드를 [[강제전이|상대 필드 위로 보내고]] 조종권이 넘어간 상태에서 파괴시키면 상대방에게 3000 라이프를 선물해주고 난 5000 라이프를 잃는 변태적인 플레이가 된다. [[A·제넥스]]와 적어도 효과 발동을 여러 번 해 볼 수는 있다. 이 카드를 패로 되돌릴 수 있는 [[A·제넥스 버드맨]]이 있고, 빛 속성을 소재로 한 A·제넥스 트라이포스의 효과로 묘지로 간 이 카드를 다시 세트해 놓을 수 있다. '번개 신선'을 어떻게든 리버스 - 3000 회복 - 패로 돌리고 버드맨 특수소환 - 번개 신선 앞면 표시로 재소환 - 버드맨+'번개 신선'을 트라이포스로 싱크로(리버스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라이프 상실 없음) - 트라이포스의 효과로 묘지에 있던 번개 신선을 다시 세트'라는 콤보가 가능하다. 일단 라이프 3000을 회복하고 싱크로 하나를 뽑았고, 다시 세트해놓은 번개 신선이 맞아죽어 묘지로 가더라도 라이프 3000을 더 회복하고 5000을 깎으니 결과적으로는 1000 라이프 이득을 보게 되므로 의미가 없진 않다. [[차원의 틈]], [[매크로 코스모스]]를 사용한다면 리버스시 라이프 3000을 회복시켜주는 고마운 녀석이 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시모치 번 덱]]에서 듀링에 없는 [[기프트 카드(유희왕)|기프트 카드]] 대용으로 넣어볼 만하다. [[죽음의 매직 박스]] 같은 걸로 상대에게 넘겨줘야 하니 번거롭지만 듀링은 초기 LP가 4000이라 5000 LP 상실 디메리트를 받기 전에 상대를 끝장낼 수 있다. 물론 끝내지 못하면 자신이 5000 까이고 패배다. 파츠 자체는 듀링 초기 때부터 있고 초기에는 마함 견제 수단이 매우 희소하여 어느 정도 짜볼만 했으나 파워밸런스가 미칠 듯이 올라간 현 환경에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성공하는 저 콤보는 발동하기 힘들게 됐다. ==== 여담 ==== '''라이프 포인트를 상실한다'''라는 텍스트의 원조격이 되는 카드. 이후 이런 텍스트는 이 카드와 [[지뢰거미]] 딸랑 2개에만 있다가, 무려 10년여가 지난 [[럭키 펀치]]에서야 나타난다. 그 다음부터는 [[BIG Win!?]]이나, [[소울 차지]],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스타터|스프라이트 스타터]] 등에 이따금씩 나와주고 있다. 주로 큰 메리트에 대한 '''불가항력적인 디메리트'''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 같지만, 카드의 효과가 각기 다른 만큼 효용성도 가지각색이다. 라이프 상실도 리버스 효과에 포함된다는 재정인지라 반전 소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묘지로 갔을 때는 아무 일도 안 일어나지만, 그렇게 되면 이 카드를 덱에 넣은 의미 자체란 게 사라질 것이다. 워낙 괴상한 카드여서 그런지 일본에서 [[비기너즈 팩]] 2가 7기 사양으로 리뉴얼될 때 이 카드는 잘려서 절판 카드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그나마 강철의 습격자가 한번 복각되어서 조금 낫다. 이 카드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카드로 [[그라나도라]]가 있다. 회복량에서 차이가 많이 나긴 하나, 범용성 면에선 이 쪽이 더 나으며, 사용을 망설이게 만들 정도의 큰 디메리트가 존재하진 않으므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관련 카드 == === 번개 선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176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번개 선신, 일어판 명칭=(かみなり)仙神(せんじん), 영어판 명칭=The Ascended of Thunder, 레벨=7, 속성=빛, 종족=번개족, 공격력=2700, 수비력=2400, 효과1=①: 이 카드는 3000 LP를 지불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5000 LP 회복한다.)] 번개 신선의 리메이크 몬스터. 레벨이 3 오르고 공격력 / 수비력은 그럭저럭 상급에 어울리게 증가했는데, 효과는 아예 정반대로 그냥 특수 소환 가능한대신 3000을 지불해야하지만 어떻게든 상대가 파괴하면 5000을 도로 회복하는 효과로 변했다. ①의 효과는 3000 LP를 지불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소환 룰 효과. LP 코스트가 무겁긴 하지만, 레벨 7의 몬스터를 전제 조건 거의 없이 특수 소환할 수 있으니 각종 소재[* 7축 엑시즈나 싱크로, 링크 소재가 대표적]로 써먹기 쉽다. 또한 공격력도 최상급 몬스터로서는 합격점이니 소재로 쓰지 않더라도 LP만 충분하다면 패에 남아돌 일은 없을 것이다. 그 경우 상대가 파괴만 해준다면 ②의 효과로 LP를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유용하다. 다만 특수 소환이 무효화되었을 경우엔 ②의 효과를 쓰지 못하니 주의할 것. ②의 효과는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된 상태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5000 LP를 회복하는 [[유발효과]]. 회복량은 매우 높지만, ①의 효과로 3000 LP를 지불한 상태니 실질적으로는 2000 밖에 안 된다. 발동 조건은 상대에 의존하는 것이라 다소 불안정하며, 확실히 발동하려면 차라리 다른 회복 효과를 사용하는 편이 낫다. 상대가 LP 회복을 경계하여 파괴를 꺼리게 된다면 간접적인 파괴 내성이 될 가능성도 있긴 하지만, 어쨌든 파괴 이외의 방법으로 제거해버리면 말짱꽝이다. 발동하고 싶다면 자폭으로 들이받아 파괴하는 편이 가장 빠르겠지만, 그 경우 어정쩡하게 높은 공격력이 도리어 발목을 잡는데다 반사 데미지가 있으니 효과적으로 쓰고 싶다면 다른 카드와 조합해야 한다. 상대 필드에 [[파괴수(유희왕)|괴분파괴수 가다라]]를 특수 소환해 동귀어진하면 해당 카드를 처리하며 LP를 얻을 수는 있다. 양쪽 효과 모두 '1턴에 1번만'이라는 제약도 없으므로, [[다리 따위는 장식입니다|LP 따위 장식]]인 현 듀얼 환경에서는 쿨하게 3000 혹은 그 이상을 째고 특수 소환-랭크 7 엑시즈 소환이나 고레벨 싱크로 소환에 써먹고 ②의 효과는 그냥 덤이 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쓰는 덱은 [[크샤트리라]]를 주축으로 하는 7레벨 [[굿 스터프]] 덱으로, 크샤트리라의 메인 카드 중 하나인 '크샤트리라 버스'를 통한 일소까지 가능한 덕분에 패에서 노는 일이 매우 적고, 각종 전개용 파츠는 물론, 자체적인 타점도 준수해 크샤트리라 굿스터프 덱에선 1장 이상은 무조건 채용되는 카드이다.[* 다만 크샤 자체가 OCG는 가동이 힘들 정도로 금제를 하도 때려먹어 제대로 굴리기 힘들기 때문에, 금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더 가치가 높은 카드이다.] 이외엔 번개족 덱에서 과거 [[인스턴트 퓨전]] or [[레토르트 퓨전]]을 통해 소환하던 [[번개신의 분노]]를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LP 지불 값은 번개신의 분노가 낮으나, 이쪽은 엑덱을 먹지 않는데다 카드 1장만으로 효과 발동이 쉽고, 특수소환이 효과 발동이 아닌 깡소환이라 증G 체인이 안된다는 점과, 범용 패 트랩 카드인 [[하루 우라라]] 일소를 통해 [[플뢰르 드 바로네스]]와 같은 뛰어난 10축 싱크로 몬스터로 전환하기 쉽다는 점을 차별점으로 두고 있다. [[시모치의 부작용]]은 이 카드의 치명적인 천적이라 할 수 있다. 5000 LP 회복 효과가 그대로 번 데미지가 되어버리니 자칫하면 [[원 턴 킬]]로 자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 다만 이 카드는 꺼내는 즉시 소재로 삼는 용도가 메인이 되니 프리 체인 제거 수단이라도 맞지 않는 이상 시모치 번 덱에서 저격이 들어올 가능성은 높지 않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JP03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 COTD-KR03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3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