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코엔 형제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2>
{{{#fede4d '''{{{+2 번 애프터 리딩}}}''' (2008)[br]''Burn After Read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번 애프터 리딩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fede4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미디]], [[범죄]], [[드라마]], [[스릴러]]}}} || || '''{{{#fede4d 각본/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엔 형제]]}}} || || '''{{{#fede4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지 클루니]] [[프란시스 맥도맨드]] [[브래드 피트]] [[틸다 스윈튼]] [[존 말코비치]] 등}}} || || '''{{{#fede4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엔 형제 팀 베번 에릭 펠너}}} || || '''{{{#fede4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엠마누엘 루베즈키]]}}} || || '''{{{#fede4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엔 형제}}} || || '''{{{#fede4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카터 버웰]]}}} || || '''{{{#fede4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데이빗 스웨이지}}} || || '''{{{#fede4d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메리 조프레즈}}} || || '''{{{#fede4d 제공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포커스 피처스]]}}} || || '''{{{#fede4d 공동 제공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카날+|스튜디오 카날]][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렐러티비티 미디어]]}}} || || '''{{{#fede4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워킹 타이틀|워킹 타이틀 필름스]]}}} || || '''{{{#fede4d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 '''{{{#fede4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포커스 피처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카날+|스튜디오 카날]][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 '''{{{#fede4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베니스 국제 영화제|[[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08년]] [[8월 27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8년]] [[9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9년]] [[3월 26일]]}}} || || '''[[화면비율|{{{#fede4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fede4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6분}}} || || '''{{{#fede4d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3,700만 달러}}} || || '''{{{#fede4d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63,728,902}}} || || '''{{{#fede4d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60,355,347}}} || || '''{{{#fede4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40,604명}}} || || '''{{{#fede4d 국내 다운로드/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wavve|[[파일:wavve 로고.svg|height=16]]]] [[https://www.wavve.com/player/movie.html?movieid=MV_CG01_NU0000011201&utm_source=kinolights&utm_campaign=kinolights&utm_medium=organic&utm_content=title_provider|▶]] [[네이버 시리즈온|[[파일:serieson_favicon_192.png|height=16]]]] [[https://serieson.naver.com/movie/detail.nhn?viewSeq=233532&prodNo=3421925&isWebtoonAgreePopUp=true|▶]]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ede4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초기.svg|width=40]] {{{#000000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Intelligence is relative.''' >'''지능이란 상대적인 것이다.''' >---- > 북미 포스터 태그라인 [[코엔 형제]]의 2008년 코미디, 스릴러 영화. [[조지 클루니]], [[프란시스 맥도맨드]], [[브래드 피트]], [[틸다 스윈튼]], [[존 말코비치]]라는 화려한 출연진을 자랑한다. == 예고편 == ||
[youtube(jksnxStXol0)] || || {{{#fede4d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fede4d 정보국을 뒤흔들 일급비밀(?)이 하필이면 그들 손에 들어갔다}}}''' {{{#fede4d 헬스 클럽 트레이너로 일하며 주변의 모든 일에 관심이 많은 참견쟁이 채드(브래드 피트)와 성형을 해서 멋진 남자를 만나는 것이 지상 최대 목표인 린다(프랜시스 맥도먼드)는 우연히 헬스 클럽에서 정보국의 일급 비밀(?)이 담긴 CD를 발견하고 거액의 협상을 계획한다. 하지만 전 CIA 요원이자 CD의 주인인 오스본(존 말코비치)은 어처구니 없는 조건을 제시하며 협박하는 이들에게 쉽게 응하지 않고 상황은 점점 더 꼬여만 간다. 예상대로 협상이 잘 풀리지 않자 초조해진 린다는 인터넷을 통해 만난 해리(조지 클루니)에게 그만 마음을 뺏기고, 린다를 도와주고 싶은 채드(브래드 피트)는 오스본을 협박하기 위해 그의 집에 숨어들지만 놀랍게도 그 곳에서 해리를 만나게 된다. 바람둥이 연방 경찰 해리는 오스본의 부인인 케이티(틸다 스윈튼)와 내연의 관계였던 것. 얽히고 설킨 이들의 관계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채드와 린다는 난생 처음 해보는 협상에 성공할 것인가?}}}|| == 등장인물 == * [[조지 클루니]] - 해리 파러 역 * [[프란시스 맥도맨드]] - 린다 리츠키 역 * [[브래드 피트]] - 채드 펠드하이머 역 * [[틸다 스윈튼]] - 케이티 콕스 역 * [[존 말코비치]] - 오스본 콕스 역 * [[리처드 젠킨스]] - 테드 트리폰 역 * 엘리자베스 마벨 - 샌디 파러 역 * 데이비드 라쉐 - CIA 간부 역 * [[J.K. 시몬스]] - CIA 상관 역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burn-after-reading, critic=63, user=6.6)]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burn_after_reading, tomato=78, popcorn=65)] [include(틀:평가/IMDb, code=tt0887883, user=7.0)]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burn-after-reading,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22744, presse=3.7, spectateurs=3.3)]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309423, user=6.837)]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31863, user=2.8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56474, user=7.2)]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054933, user=7.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zwKPO,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2113, light=92.19)]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66750, expert=7.58, audience=없음, user=6.4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4493, expert=7.3, user=6.2)] [include(틀:평가/CGV, code=38602,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burn-after-reading-m100008518, critic=70, user=없음)]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없음)] > With Burn After Reading, the Coen Brothers have crafted another clever comedy/thriller with an outlandish plot and memorable characters. >---- > '''<번 애프터 리딩>을 통해, 코엔 형제는 또 하나의 영리한 코미디/스릴러 영화를 만들어냈다. 기이한 플롯과 기억에 남는 캐릭터가 담긴 영화를.''' > - [[로튼 토마토]] 총평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인생이 맥거핀!'''[br][br]속고 속이며 살아가는 인생, 매듭과 고리를 다 풀어도 남는 건 ‘개털’.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결국 '새'되는 이야기. 그게 조지 클루니와 브래드 피트라는데 남다른 재미가 있을 밖에. 첩보물을 인용한 코엔표 농담. >---- > - 이형석 '''(★★★★)''' > '''세계의 뒷통수를 후려치는 재치'''[br][br]배우 망가뜨리는데 일가견 있는 코엔들이 결국 또 일쳤다. 브래드 피트를 그렇게 우스꽝스럽게 만든걸 보면 따로 설명이 필요없다. 그래도 덧붙이면 이건 아주 코믹한 첩보물이지만 코언의 첩보물이고 그래서 결국 아이러니한 세계의 일면을 담은 씁쓸한 첩보물이다. 역시 코엔이다. >---- > - 이화정 '''(★★★★☆)''' > '''앙증맞고도 매운 조소의 부메랑'''[br][br]첩보물을 비틀고 유린하는 코언 형제의 반짝이는 유머 감각과 기라성 같은 배우들의 익살스러운 변신이 합작한 유쾌한 시너지. 모든 등장인물들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멍청함’인데 그게 남의 일 같지 않으니 그 앙증맞은 조소의 부메랑이 제법 맵다. >---- > - [[최광희(평론가)|최광희]] '''(★★★★☆)''' > '''일단 보고 잊자'''[br][br]할리우드 초특급 배우들의 연기 격돌, 코엔 형제 특유의 기상천외한 추격전을 기대했다면 고개를 갸우뚱할 듯. 탄탄한 짜임새와 끊임없는 긴장감 여기에 유머까지 잊지 않는 그들의 영화라 하기엔 영화의 흡인력이 아쉽다. 전작이 너무 훌륭한 탓이기도. >---- > - 박혜은 '''(★★★)''' > '''아무것도 아닌 걸로 흥미진진하게 말할 수 있는 달변''' >---- > - [[이동진]] '''(★★★☆)''' > '''메스를 놓고 바늘을 든 코언 형제''' >---- > - [[박평식]] '''(★★★)''' > '''업그레이드된 <[[블러드 심플|분노의 저격자]]>. 이것이 블랙코미디다''' >----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 '''복잡한 연산 끝에 0이 나오는 요술 같은 게임''' >---- >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 '''속고 속이는 세상, 모든 것은 사소한 법''' >---- > - 김봉석 '''(★★★☆)'''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163,728,902'''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60,355,347'''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61회 미국 작가 조합상 각본상 후보 * 제62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각본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후보 (브래드 피트, 틸다 스윈튼) * 제66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여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작품상-뮤지컬코미디 후보 (프란시스 맥도맨드) * 제18회 MTV 영화 & TV 어워즈 최고의 코믹연기상 후보 (브래드 피트) * 제56회 산세바스티안국제영화제 관객상 수상, 발테기 부문 후보 * 제33회 토론토국제영화제 갈라스 부문 후보 * 제65회 베니스국제영화제 비경쟁부문 초청 == 기타 == * [[브래드 피트]]의 [[https://www.youtube.com/watch?v=q6zi7XGjQQw|촐싹거리는 춤]] 장면으로도 유명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udJktqHNRSc|유튜브]] - [[유희열의 라디오천국]] 342화 [[이동진]]의 언제나 영화처럼[* 번 애프터 리딩 외에 [[도쿄 소나타]]도 다루었다.] [[분류:미국 영화]][[분류:영국 영화]][[분류:프랑스 영화]][[분류:2008년 영화]][[분류:코미디 영화]][[분류:범죄 영화]][[분류:드라마 영화]][[분류:스릴러 영화]][[분류:포커스 피처스]][[분류:피카레스크]][[분류:인터넷 밈/영화 및 드라마]][[분류:코엔 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