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개그콘서트]]의 역대 엔딩 코너''' || || [[2012년]] [[6월 24일]] || → || '''[[2013년]] [[7월 7일]]''' || → || [[2013년]] [[9월 8일]] || || [[2013년]] [[6월 30일]]([[2013년]] [[1월 27일]])[* 엔딩이 유동적으로 바뀌기 이전.] || → || '''[[2013년]] [[8월 25일]]''' || → || [[2014년]] [[5월 25일]] || || [[네가지(개그콘서트)|네가지]] → (유동적)[* [[2013년]] [[2월 3일]]부터는 엔딩 코너가 자주 바뀌였다. 이 시기의 엔딩 코너는 [[네가지(개그콘서트)|네가지]] 문서 참조.] || → || '''[[버티고(개그콘서트)|버티고]]'''[* [[2013년]] [[7월 14일]], [[2013년]] [[7월 21일]]에는 [[불편한 진실(개그콘서트)|불편한 진실]], [[9월 1일]]에는 [[전국구(개그콘서트)|전국구]]가 엔딩 코너였다.] || → || [[뿜 엔터테인먼트]] || ||
<-2> [[파일:개콘 버티고.jpg|width=100%]] || || '''코너명''' || 버티고 || || '''시작''' || [[2013년]] [[3월 10일]] || || '''종료''' || [[2013년]] [[8월 25일]] || || '''출연자''' || [[권재관]], [[허안나]], [[이성동]], [[김장군]], [[류정남]], [[김지호(코미디언)|김지호]], [[김준호(코미디언)|김준호]] || || '''특이사항''' || [[2013년]] 1월 통편집 후[br][[개그콘서트/당신이 한 번도 보지 못한 개그콘서트|당신이 한 번도 보지 못한 개그콘서트]]로 부활 || || '''유행어''' || 이거 원래 대본 받은 사람이 OOO인데 대본을 받자 마자 OOOO 했어 (권재관)[*예시 : 이거 원래 대본 받은 사람이 [[송중기]]인데 대본을 받자마자 이름을 [[송준근]]으로 바꿨어.] 자, 카메라 스탠바이! (김현기) 레디, 액션! (권재관) 감독님, 못 하겠어요!(김장군, 류정남, 김지호) ~~해쓰 (김준호)[* ~~하겠쓰도 있다.] || || '''BGM''' || [[배치기(가수)|배치기]] - 눈물샤워{feat [[에일리]]}[* 예외로 [[2013년]] [[6월 9일]] 700회 특집에선 [[왕의 남자#s-1|왕의 남자]] [[OST]] - '꿈꾸는 광대들'이 BGM으로 사용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sjdUcaw8rrQ)] [[2013년]] 1월에 녹화를 했다가 편집되었지만, [[개그콘서트/명절특집|당신이 한 번도 보지 못한 개그콘서트]]를 통해 부활했다. [[2013년]] [[3월 10일]]부터 [[2013년]] [[8월 25일]]까지 방송한 [[개그콘서트]]의 전 코너. == 패턴 == 권재관이 --막장 영화-- 감독이고 허안나가 여배우로 나오는데 마침 상대역인 남자 배우가 급한 사정으로 불참해서[* 언제부터인가는 그 급한 사정이 점차 부자연스러워지기 시작하면서 그냥 대본 읽어보고 맞는게 무서워서 안온거라는게 확 티가 난다...] 4~5명의 대타 배우들을 투입하여 [[드라마]] 혹은 [[영화]] 촬영을 강행한다.[* 언젠가부터는 영화만 찍는다.] 대타가 1명이면 충분할 텐데 굳이 4~5명씩이나 불러온 이유는, 하필 허안나의 연기가 '''상대 남자 배우를 진짜로 때리는 것'''. 게다가 [[허안나]]는 안 그래도 키가 170cm라서 여자치고는 체격이 좋은 데다가 운동을 꽤 해서 개그우먼 중에서도 몸이 튼튼한 편이다. 그래서 나머지 배우들은 그것을 못 버티고 도망가거나 구급차로 실려가고 마지막으로 남은 김지호→김준호가 다른 배우들의 갑절을 맞고 KO하는 내용. 말 그대로 버티는 연기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코너. 여담으로 해당 단어인 Vertigo는 '어지러움, 현기증'이란 뜻이 있으며, 영화의 거장 [[알프레드 히치콕]] 의 대표작이기도 하다. == 상세 == [[2013년]] [[3월 31일]]부터 [[2013년]] [[4월 7일]]까지 2주 간은 엔딩 코너였었다가 [[2013년]] [[6월 16일]]에는 다시 엔딩 코너가 됐다. 700회 특집에서 [[감수성(개그콘서트)|감수성]]의 왕으로 분장한 [[김준호(코미디언)|김준호]], [[어르신(개그콘서트)|어르신]]의 ~~소고기 사 먹으면 뭐하겠노~~ [[김대희]], [[애니뭘]]의 ~~화가 난다!~~ 앵그리버드로 분장한 박성호가 나왔다. 코너 초반에 [[본인]]들(?) 은근히 [[디스]]를 했다.[* 김준호는 짬밥 먹는다고 [[먹튀|후배들 코너 짜는데 숟가락만 올린다 하고]], 박성호는 개그맨이 말로 웃겨야지 왜 분장으로 웃기냐고 했다.(…)] 이들 셋이 700회 특집에 우리 뭐하냐며 [[권재관]]한테 물으니 권재관은 새 코너 ''''버티세요''''를 준비했다 한다. ~~[[도찐개찐|그게 그거]]잖아?!~~ 김준호는 [[허안나]], [[김대희]]는 [[대화가 필요해(개그콘서트)|대화가 필요해]]의 아내 역이었던 [[신봉선]], [[박성호(1973)|박성호]]는 [[김혜선(코미디언)|김혜선]](!) 이 나와 때렸다. 앞에 맞은 김준호, 김대희를 보면서 좀 약한 아이로 나오게 해달라 했는데 나와 보니(...) 거기다 김혜선은 나오면서 수박을 맨손으로 깼다. 박성호는 화가 나서 뒤에 서 있던 토끼 인형옷과 곰 인형 옷을 입은 두 사람한테 화풀이하는데 토끼는 한참 후배인 25기인 이성동이 나왔고, [[전유성|곰]]은… ~~1년 전 [[감수성(개그콘서트)|감수성]]에서도 비슷한 기믹으로 나온 것 같은데?~~ 대사가 '난 아직 65세야! 65세! 나이들어도 웃길 때까지 버텨!' 이에 박성호를 포함한 후배들은 얼른 알았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리고 코너의 스토리상 [[만악의 근원]]인 감독 권재관은 한 대도 안 맞았다~~ 2013년 6월 30일부터 7월 21일까지는 납량특집으로, 2013년 7월 28일은 여름특집으로 꾸며졌다. [[2013년]] [[8월 4일]]에는 [[주상욱]]이 [[게스트]]로 나왔다. 김준호와의 친분으로 나온 듯[* 실제로, 둘은 [[남자의 자격]]을 함께 했었던 적이 있다.]. [[미남]] 게스트인데다가 허안나에게 예쁘다고 말까지 했음에도 안 봐줬다.(...) 한번 살짝 툭 치는걸로 끝내는 줄 알았는데, 그 직후 따귀를 날렸다. [[2013년]] [[8월 25일]] 방영분을 마지막으로 종영되었다. 최종 화에서 김준호는 유종의 ~~매~~ 미로 허안나로부터 평소보다 훨씬 강한 파워의 따귀[* 맞는 소리가 장난 아니게 찰지다.]를 맞았다.(...)~~결국 코너 종영될 때까지 감독은 한 대도 안 맞았다.~~ == 출연진 == 각 배우들이 허안나와 연기하며 취하는 행동은 다음과 같다. * [[이성동]]: 아무런 대책 없이 한 번 맞고 '못 하겠습니다'며 도망. 이후 [[3월 17일]] 방송분부터 허안나와 함께 연기하는 보조 출연자로 역할이 바뀌었다. ~~살았다!!~~ 가끔씩 허안나와 가세하여 김준호를 갑절로 패기도 한다! * [[김장군]]: 초반에는 허안나한테 처음으로 맞다가 다시 찍을 때 뺨에 힘을 준다(...) 이후 '~~적성에 안 맞아서~~ 못 하겠습니다!'며 도망친다. 그러다가 뺨에 힘을 주는 패턴은 없어지고 두 번 맞고 바로 도망친다. * [[류정남]]: 맞는 것이 무서워서 허안나의 첫 마디에 하면 덜덜 떤다. 그리고 쌔게 나가는 액션은 살살한다.[* 예를 들면 물따귀 때리는 부분에선 그냥 물을 버린다던지(...)] [[4월 14일]] 방송분부터는 허안나가 때리려고 하면 말을 더듬으면서 떤다. [[4월 28일]] 이후 김지호의 방어하는 패턴을 물려받는다.[* 대신 김지호는 무통증 패턴을 받았다.] 그래도 이성동이나 김장군보다는 진도가 좀 더 나가다 세 번째 맞은 후에는 '못 하겠어요!'며 도망친다. 하지만 [[7월 7일]] 방송분부터는 바로 도망친다. 마지막 방송분에는 나오지 않았다. [[2013년]] [[6월 30일]]부터는 류정남과 김지호의 촬영 순서가 바뀌었다. 언젠가부터는 편집과 무편집을 반복하다가 막방엔 아예 안 나왔다. * [[김지호(코미디언)|김지호]]: 잘린 편에서는 원래 맞아야 하는 분량의 2배 정도를 맞고 버티며 OK. 이후 김준호가 추가되고 나서는 류정남보다 좀 더 진도 나간 후에 몇 대 더 맞고 도망친다. 정식 방영부터 허안나한테 안 맞으려고 방어하다가 결국 맞다가 결국 포기해버린다. [[4월 7일]] 방영분 이후로는 류정남보다 먼저 맞았었다. [[4월 28일]] 이후로는 무통증이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안 맞으려고 방어하는 패턴은 [[류정남]]한테 넘어갔다.] 그러다가 [[7월 7일]] 방송분부터 원래 패턴으로 돌아갔다. 그 700회 특집에선 허안나와 비슷한 복장으로 변장하고 나왔는데 이 때 김준호가 "[[오랑캐(감수성)|오랑캐]] 씨?"라고 말하자 김지호 曰 "[[감수성(개그콘서트)|아니 어떻게 알았지]]?!" [[2013년]] [[6월 23일]]부터는 김지호의 무통증이 없어졌으며, [[2013년]] [[6월 30일]]부터는 류정남과 김지호의 촬영 순서도 바뀌었다. * [[김준호(코미디언)|김준호]]: 김지호가 도망친 이후 자기가 해당 남 배우와 친분이 있어서 친히 나섰다는 설정인데[* 작중 등장명은 '만수 형님'. 말투와 특유의 [[허세]]로 봐선 아마도 모델은 [[최민수]]인 듯하다.] 마음에 안 들었던 허안나가 [[애드리브]]까지 자아내면서[* 예를 들면 [[3월 10일]] 방송에서는 전화를 걸어서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내용을 추가했다던가...] 완전히 떡이 되도록 흠씬 두들겨 팬다... 김준호가 이에 당황해서 '''"애드리브 하지 마! 대본대로 해!"'''라고 사정해도 전혀 들어주지를 않는다. 초창기에는 그냥 이유 없이 갑절로 얻어맞았지만 [[4월 7일]] 방영분부터는 등장할 적에 허안나의 속을 긁는 말을 해 허안나가 갑절로 때리는 데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맞지 않기 위해 대본을 마음대로 수정하지만[* 예를 들면 A라고 말해야 하는데 그 정반대인 B라고 말한다거나...] 역시나 헛짓,[* 오히려 허안나가 이 상황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갑절로 맞는 것을 피하지 못한다. 700회 특집에서는 가장 먼저 나와서 허안나에게 두들겨 맞았다. 이 광경을 본 김대희가 허안나를 일시적으로 퇴출시킨다. * [[김대희]]: 700회 특집 한정. [[어르신(개그콘서트)|어르신]]에 나온 [[쇠고기]] 유행어로 나오다 나타난 [[신봉선]]에게 두들겨 맞았다. 이 때 신봉선이 하는 말이 [[압권]]으로, "[[대화가 필요해(개그콘서트)|소고기 한번도 안 사줬잖아]]?!" 결국 (김대희가) "다시는 소고기 사 주나 봐라!"며 도망친다. * [[박성호(1973)|박성호]]: 역시 700회 특집 한정. [[애니뭘|앵그리성호]]로 등장. 당시 개콘 현역 최고참이라 꼰대로 등장한다. 그러나 이성동은 제외하고, 후배들보다 더욱 무시무시한 상대들을 만났으니.... 무시무시한 상대들이란 바로바로 '''[[최종병기 그녀(개그콘서트)|최종병기 그녀]]의 [[김혜선(코미디언)|김혜선]](!)'''[* 이 때 박성호 왈, "같이 놀자, '''저승사자야 같이 놀자(...).'''"] '''과 개그콘서트의 사실상 창조자인 대선배 [[전유성]].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초반에는 [[이수지]]가, 중후반에는 [[박은영(개그우먼)|박은영]]이 허안나의 매니저 역으로 출연하는데, 당시는 신인인지라 허안나의 옷매무새를 다듬어주는 외에 비중은 거의 없다. == 편집의 아픔, 그리고 부활 == 첫 등장은 [[2013년]] 설 특집으로 방영한 '당신이 한 번도 보지 못한 개그콘서트'였다. 이 날은 당시 재미가 없어서 편집 당했던 코너들만 모아 내보내고 MC들의 평을 들었는데 다른 코너들이 편집될만 했다며 혹평을 들은 반면 이 코너만큼은 MC들로부터 가장 호평을 받았다. 심지어 [[김기열]]은 "이게 왜 잘려?"며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을 보였다. 당시 패널로 출연하였던 [[장항준]] 감독은 "개콘에서 [[로버트 로드리게스]] 감독의 폭력의 미학을 발견했다(...)"라며 이 코너를 극찬했다. 당시 자리에 나왔던 허안나가 그 '때리는 기술'을 실제로 보여준답시고 MC였던 [[박영진]]을 대상으로 시범을 보여줬는데 그 박영진도 멍할 정도로 아팠다고 한다. 단순 소리가 나는 정도가 아니라 __붉게 부어오를 수준__이었던 것. 그 때문에 [[서수민]] PD와 작가 역시 아이디어는 좋은데 가학성 문제로 자를 수 밖에 없었다고... 방송이 나간 이후 [[2월 12일]]부터 [[2월 18일]]까지 투표를 진행하여 1등으로 선정되어 다시 나타날 수 있었고, 서수민 PD의 우려와는 달리 관중 반응 뿐만 아니라 시청자의 반응도 좋았던 편. 다만 코너 자체가 너무 원패턴이고 질리기 쉬운 구조라는 단점은 있다. 3~4명이 돌아가면서 똑같은 장면을 재현하기 때문에... --한마디로 가학성 빼면 시체.-- ~~가끔씩 감독도 싸대기맞는 패턴이있엇으면 [[권선징악]] 때문에 후련해서 좀 재밌었을텐데(...)~~ 지금 생각하면 타이밍이 좋았던 코너인 듯하다. [[막장 드라마]]에 허구한 날 따귀 장면 나오는 것도 가학성 때문에 까이는 판에 죄 없는 남배우들이 여배우한테 따귀 얻어 맞는게 주 소재였던 이 코너는 요즘 나왔으면 백프로 가학성 논란으로 씹혔을 듯. [[여존남비]] 논란은 덤이고... == 패러디한 작품 == || '''{{{#906090 방영일자}}}''' || '''{{{#906090 영화 제목}}}''' || || 2013년 3월 10일 || [[야왕(드라마)|야왕]] || || 2013년 3월 17일 || 2번가의 기적 || || 2013년 3월 24일 || [[타워(영화)|타워]] || || 2013년 3월 31일 || [[그 겨울, 바람이 분다]] || || 2013년 4월 7일 || [[레지던트 이블(영화)|레지던트 이블]] || || 2013년 4월 14일 ||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 || || 2013년 4월 21일 || [[남극일기]] || || 2013년 4월 28일 || [[늑대소년]] || || 2013년 5월 5일 || [[직장의 신]] || || 2013년 5월 12일 || [[전차남#s-1.3.1|전차남]] || || 2013년 5월 19일 || 방가? 방가! || || 2013년 5월 26일 || [[다크 나이트]] || || 2013년 6월 9일 || [[개그콘서트]] 그 자체 || || 2013년 6월 16일 || 록키 63 || || 2013년 6월 23일 || [[엽기적인 그녀]][* 이 날 방영분에서는 엽기적인 그녀 3로 나왔다.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를 엽기적인 그녀 2편으로 가정한 듯.] || || 2013년 6월 30일 || [[주온#s-2|주온]] || || 2013년 7월 7일 || 구미호 || || 2013년 7월 21일 || 링 || || 2013년 7월 28일 || 해변의 여인 || || 2013년 8월 4일 || [[굿 닥터]] || || 2013년 8월 11일 || [[각시탈(드라마)|각시탈]] || || 2013년 8월 18일 || [[헐크]] || || 2013년 8월 25일 || [[커피프린스 1호점]] || [[분류:2013년 종영/개그콘서트 코너]][[분류:개그콘서트 엔딩 코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