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라이벌)] [include(틀: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리그 우승자)] ||<-5> '''프로필''' || ||<|12> [[파일:attachment/Virgil_official_art.png]] || || '''성별''' ||<-2> [[남성]] || || '''눈 색깔''' ||<-2> [[눈/녹색|녹갈색]] || || '''머리 색깔''' ||<-2> [[머리카락/금색|금색]] || || '''지방''' ||<-2> [[하나지방]] || || '''출신지''' ||<-2> ? || || '''가족''' ||<-2> 제프 (아버지), 데비 (형) || ||<|4> '''성우''' || [[카지 유우키]][* 이후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에서 메인 주인공 중 하나인 [[시트론(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시트론]] 역으로 출연한다. 이쯤되면 제작진이 카지 유우키를 꽤 미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포켓몬스터 주역진 성우들은 오디션으로 합격해 된 것이기에 그만큼 카지 유우키의 실력이 뛰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 || [[김영선(성우)|김영선]]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 || 톰 웨일런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 [목차] == 소개 ==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의 등장인물이자 [[오리지널 캐릭터]]. 미국판 이름은 Virgil, 일본판의 이름은 [[바질|バージル]]. [[케니언]]과 더불어서 한국판 이름과 혼동하기 '''매우''' 쉽지만, 결과적으로 한미일 모두 같은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자경단이라는 뜻의 영단어 [[비질란테]](Vigilante)혹은 허브 [[바질]]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작중 행적 == 시즌 2 18화에 등장하며 위험에 빠진 지우 일행을 구한 것으로 인연을 맺는다.[* 산길을 걷다가 바위가 가로 막았는데 덴트가 돌아서 가야되냐면서 망설이자 지우와 아이리스가 '이런 건 그냥 올라가서 넘으면 됨'라고 말하면서 하다가 떨어졌다. 다행히 버질이 [[에브이]]의 [[사이코키네시스]]를 써서 살았다. 이 분 아니었으면 둘을 포함해 같이 있던 피카츄와 터검니도 위험할 뻔했다.] 지우 일행보다 나이가 많은 청년[* 덴트나 벨이 존칭을 쓰는 것으로 보아 20대 정도로 추정된다.]으로 [[이브이]]를 포함한 진화형 7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 진화형들을 모아 포켓몬 구조대 '''팀 이브이'''를 구성하고 있다. 이브이의 말을 어느 정도 알아듣기도 하며, 지우 일행한테 대하는 태도들을 보면 상냥한 성격을 가졌다. 수행을 떠나러 하나지방을 돌아다니다가 아버지와 형과 함께 구조대를 하고 있지만, 18화 마지막 장면에서 지우의 라이벌로써 하나리그에 출전한다는 게 밝혀졌다. 하나지방을 돌아다닌 건 체육관 배지를 모으러 갔기 때문이다. 결국 철이를 이기고 포켓몬 리그 우승자가 되었다.[* [[포켓몬스터 AG|전작]]의 '''호연지방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로버트'''와 유사하다. 버질은 4강전에서 철이를 이기고, 로버트는 결승전에서 [[최수형|수형]]을 이겼다.] 여러모로 AG의 [[철희]]의 뒤를 이은 캐릭터. 다만 철희와 달리 지우와는 직접적인 대결은 하지 못했다. 이유는 지우가 철이한테 져서 탈락했기 때문이었고 본의 아니게 준결승전에서 자신이 직접 지우의 원수를 갚아주었다. 16기 극장판의 프리퀄인 '뮤츠 -각성으로의 서장-'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정도면 제작진이 꽤 밀어주는 듯하다.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XY]]의 [[알랭(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알랭]]이 이 캐릭터를 모티브로 삼아 만들어진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포켓몬 월드 토너먼트]]에서 다운로드 토너먼트 상대로 등장. 스프라이트는 [[포켓몬 레인저]]이다.~~역시 이브이 레인저~~ 포켓몬을 꺼낼 때는 'XXX(포켓몬 이름), 출동!'을 외친다. 이 구호는 유전인지 형인 '데비'도 같이 외친다.[* 여담으로 형 데비는 [[절각참]]과 [[불비달마]]를 소유하고 있다.] 캐릭터의 인상이 나쁘지 않은 편인지 일본의 포켓몬 팬픽에서는 하나지방 사람들이 지역차별주의자이자 저능아로 나오는 것과 달리 개념인으로 묘사된다. 주로 다른 지방을 존중하지 않는 같은 하나지방 사람들의 태도에 잘못된 행동이라고 지적하는 등 모습을 간간히 비추는 식. 그리고 케니언을 제외하면 베스트위시의 라이벌들이 하나 같이 그저 그런 수준이였는데다 W에서도 하루의 멘토로 재등장 하기를 바랄 정도로 팬층이 어느정도 있는 편이다. 아쉽게도 W에는 종영할때 까지 전혀 등장하지 못했고 하루와 만나지도 못했지만. == 소유 포켓몬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eevee.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umbreon.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espeon.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vaporeon.gif]] || || 이브이 || 블래키 || 에브이 || 샤미드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jolteon.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flareon.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leafeon.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glaceon.gif]] || || 쥬피썬더 || 부스터 || 리피아 || 글레이시아 || * [[이브이]] * 성우: [[니시무라 치나미]]/[[김현지(성우)|김현지]] 버질을 매우 잘 따르며 성격은 어리광쟁이라 한다. 등장 당시에는 견습생이라고 하며, 이브이 구조대중 [[홍일점]]이다.[* 이브이의 말을 해석한 버질이 '아타시(あたし)'라고 설명했다. 아타시는 일본 여자들이 자신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래서인지 특별편에서 엑스트라로 등장한 소녀에게 질투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버질을 도우면서 활약한 덕분에 견습생을 졸업하고 당당히 팀 이브이에 소속하게 된다. 사용 기술은 [[도우미]]/[[방어(포켓몬스터)|방어]]/[[구멍파기]]. 하나리그에서는 [[아이언테일]]과 [[마지막수단]]도 배워서 이걸로 [[크리만]]을 박살내고 결승전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게임 BW2에서는 [[PWT]]에서 버질을 NPC 캐릭터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데, 이렇게 받는 버질이 맨 처음 꺼낸다. 원작대로 암컷으로 나오고 기술배치는 하나리그 결승전 당시의 것에 가까운 [[구멍파기]]/[[아이언테일]]/[[마지막수단]]/[[은혜갚기]]. 애니메이션이니까 활약했던 거지 실제 게임에서 이브이 상태로 나오면 상당히 후달리는지라 그걸 보완하기 위해 [[진화의휘석]]을 끼고 있다. 참고로 이 이브이와 다른 팀 이브이 멤버들을 합쳐서 보면 암수의 성비가 1:7인데, 이는 실제 게임에서의 이브이의 성비이기도 하다. 6세대에서 새로 이브이 진화체 [[님피아]]가 추가되어 후에 W에서 재등장하면 혹시 님피아로 진화하는 것 아닌가 추측이 있었지만. 결국 끝까지 등장하지 못했다. * [[블래키]] * 성우: [[아라이 소타]] 버질이 지우 또래 나이 때, 숲에 길을 잃었을 때 같이 있던 이브이가 블래키로 진화한 덕분에 숲을 무사히 빠져나왔다고 한다. 그 블래키가 이 블래키인지는 언급은 안되었다.[* 하지만 이브이가 8대 이브이라고 한 것을 언급한 것을 보면 이 블래키가 버질의 첫 포켓몬일 가능성이 있다.] 기술배치는 [[사이코키네시스]]/[[플래시(포켓몬스터)|플래시]]/[[섀도볼]]. 게임판 BW2의 PWT에서도 꺼내는데 그나마 여기서는 [[보복]]/[[이상한빛]]/[[저주(포켓몬스터)|저주]]/[[달빛(포켓몬스터)|달빛]]으로 정상적인 기술배치가 되어 있다. 선발로 이브이를 쓰는 판인데 블래키까지 원작 그대로 그모양이면 버질은 답이 없다... * [[에브이]] * 성우: [[이가라시 히로미]] 위험에 빠진 지우와 아이리스(+ 피카츄, 터검니)를 구해줬다. 기술은 [[사이코키네시스]]. 모습은 제대로 안 나왔으나 하나리그 준결승에서도 활약했으며 [[루카리오]]가 나오자 부스터와 교대했다. 게임판 BW2에서는 PWT 마지막 멤버. 애니에 나오지 않은 나머지 기술들은 [[섀도볼]]/[[명상(포켓몬스터)|명상]]/[[아침햇살]]로 채웠다. * [[샤미드]] * 성우: [[아사리 료타]] '''거품''' 포켓몬이라서 그런지 [[거품광선]]을 배우고 있다. [* 게임에서도 썬문 기준으로 1세대 버추얼 콘솔 연동으로 거품광선을 배운 샤미드를 썬문으로 데려올 수 있다. 1세대에서는 거품광선이 기술머신으로 존재했었다.] 버질이 64강 진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기술배치는 [[거품광선]]/[[섀도볼]]/[[하이드로펌프]]/[[오로라빔]] * [[쥬피썬더]] * 성우: [[사사키 히로오]]. 기술은 [[10만볼트]]. * [[부스터(포켓몬스터)|부스터]] * 성우: [[하야시 유우키]] 하나리그 준결승전에서 [[철이(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철이]]의 [[루카리오]]를 쓰러뜨려 결승 진출시키는 활약을 보였다. 기술은 [[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불대문자]]/[[그림자분신]]. * [[리피아]] 현재까지 이브이 시리즈에서 한번도 활약한 적이 없다. 성우도 공개된 적이 없다. 하나리그에 출전했긴 했으나 무슨 기술을 썼는지 끝까지 보이지 않았다. 이들중 제일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대신 극장판에서 기술을 쓰는 장면이 나왔다. 기술은 [[모래뿌리기]]. * [[글레이시아]] * 성우: [[오오하라 모모코]] 버질이 4강에 진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기술은 [[얼어붙은바람]]/[[냉동빔]]/[[눈보라(포켓몬스터)|눈보라]]. == 기타 포켓몬 == * 기어르, 기기어르, [[기기기어르]] BW 시즌2 특별편에서 버질의 비행기 동력원 역할을 했다. 버질의 소유인지는 불명. == 기타 == 지우의 라이벌 중에서 유일하게 지우와 대결하지 못한 데다가, 하나지방 지우의 라이벌들 중 제일 비중이 낮았다. 그래도 특별편에서 주인공으로 재등장하면서 어느 정도 입지는 확보했다. 커플링으로는 [[벨(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벨]]이랑 주로 엮이는 듯하다. 여담으로 한참 후에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신작인 스칼렛·바이올렛에서 멤버로 이브이즈를 사용하는 모란이 등장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버질, version=87, paragraph=10)] [[분류: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