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분류:2021년 출시된 카트바디]]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버스트 시리즈)] [목차] ||[[파일:버스트 V1 설명.png]]|| || 툴팁 || ||[[파일:버스트 V1 트랜스폼 전면.gif]]|| ||[[파일:버스트 V1 트랜스폼.gif]]|| || 트랜스폼 || [[파일:버스트 V1 시즌패스.jpg]] > '''강력한 가속력의 아이콘, 버스트 V1''' == 개요 == 2021년 5월 20일에 출시된 버스트 시리즈의 V1엔진 버전 카트바디. 개량판 카트바디인 [[썬더 버스트 V1]]도 같이 나온다. 정식적으로 출시되기 이전, 전통적으로 버스트 시리즈는 이른바 '''버레기'''라는 멸칭이 있을만큼 다른 5대 라인업 시리즈에 비해서 성능이 매우 안 좋았던지라, 이번 버스트 V1도 가속력이 좋다는 특징에만 걸맞게 엔진 파츠만 수치상으로 뻥튀기를 시켰을 뿐 감속이나 탄력적인 측면에서는 쓰레기일 것이라는 예상과,[* 이미 작년에도 [[플라즈마 X EXT]]라는 비교적 낮은 성능의 카트바디를 시즌 패스 최종 보상으로 출시한 선례가 존재하기에 말이 안 되는 것도 아니었다.] 반대로 이번 V1엔진에서는 조재윤 리더가 기존의 5대 라인업을 어떻게든 살려보겠다는 발표를 했었고 시즌 패스 프리미엄 보상으로 [[썬더 버스트 V1]]까지 출시한 것도 보면 예전보다는 성능이 좋아질 것이라는 예상으로 나뉘었었다. 중국 카트라이더에서는 동년 5월 20일, 대만은 5월 21일 출시 == 획득 방법 == === 한국 서버 === || '''카트 명칭''' ||버스트 V1 || || '''획득 루트''' ||상점(기간제), 버스트 V1 카드 20장 조합, 카트 컬렉터 상자(무제한) || 시즌 패스의 레벨 보상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상점에서 7일 및 30일 기간제 구매도 가능하다. 또한 프리미엄 패스 15레벨에 가서야 무제한을 획득할 수 있었던 [[코튼 V1]]과는 달리, 레벨 1부터 바로 무제한을 입수할 수 있다. 퀘스트를 제외한 일일 시즌 패스 과제 보상이 하루 160개에서 100개로 줄어들어 불만이 나오자 이를 무마시키기 위한 보상 차원인 듯. 2021년 7월 8일 패치로 카트 패스 등장과 함께 버스트 V1 카드 20장을 조합하면 무제한을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시즌 패스 이외의 루트로 다시 풀리게 되었다. 또한 카트 컬렉터 상자에서 카드뿐 아니라 버스트 V1 자체도 등장하며 확률은 [[비트 V1]]과 동일한 '''0.1%''' 2021년 12월 9일 버스트 V1 패키지[* 구성품은 버스트 V1 무제한, 슬롯 체인저 100개, 아이템 체인저 100개.]가 출시되며 상점에서 무제한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가격은 10900캐시. 현재는 판매가 종료되었다. 2021년 12월 16일 마비노기 테마 패치 때 이 카트바디가 PC방 프리미엄 아이템으로 새로 선정되었다. === 중국 서버 === || '''카트 명칭''' ||爆烈 V1(폭렬 V1) || || '''획득 경로''' ||시즌 패스(무제한), 상점 구매 (기간제) || 2021년 5월 20일 === 대만 서버 === || '''카트 명칭''' ||爆烈 V1(폭렬 V1) || || '''획득 경로''' ||시즌 패스(무제한), 상점 구매 (기간제) || 2021년 5월 21일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925 || || '''가속력''' ||<-3> 1000 || || '''코너링''' ||<-3> 852 || || '''부스터 시간''' ||<-3> 860 || || '''부스터 충전량''' ||<-3> 600 || ||<-4> '''속도 {{{-3 (통합속도)}}}''' || || '''직선 속도''' ||<-3> 208km/h || || '''부스터 속도''' ||<-3> 291km/h[* 팀 부스터 기준] || || '''스타트 부스터''' ||<-3> 305km/h[* 더욱 강력한 출발 부스터 착용시 최대치] || || '''헤어핀 감속''' ||<-3> 125 ~ 131 km/h || ||<-4> '''익시드 시스템 {{{-3 (통합속도)}}}''' || || '''최고 속도''' ||<-3> 222km/h || || '''부스터 속도''' ||<-3> 316km/h[* 팀 부스터 기준, 듀부 끝나는 타이밍과 익시드가 끝나는 타이밍이 같아야 한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리뷰할 때 듀부가 터지는 순간 익시드를 함께 쓰는데, 이 경우에는 듀얼부스터의 가속력을 온전히 받지 못한다.] || || '''지속 시간''' ||<-3> 1 sec (S-type)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중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중 || || '''무게중심''' ||<-3> 중간 || ||<-4> '''발동 조건''' || || '''변신''' ||<-3> 160km/h || || '''익시드''' ||<-3> 30% || 수치 상으로 봤을 때 V1 일반 바퀴 2.5, V1 일반 엔진 10, V1 일반 핸들 5.2, V1 일반 부스터 6의 파츠를 가지고 있는데, [[버스트 X]]에서 899라는 애매한 수치를 가지고 있었던 가속력이 '''X 레어 엔진 10'''에 해당하는 '''1000'''의 수치를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이전의 제작진도 언급한 것처럼 5대 라인업의 성능과 특색을 살리겠다는 취지로 버스트 시리즈의 특징인 가속력을 표현하기 위해 수치가 높은 엔진 파츠가 장착된 것으로 보인다. 차체의 크기는 [[버스트 X|X엔진]]과 비교하면 상당히 작게 출시가 되었고 다른 현역 카트바디들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작은 축에 속한다. 감속은 매빠 기준 130~136km/h로 [[코튼 V1]]과 비슷하거나 근소하게 낮은 준수한 수치로, 나쁘게 찍히면 122km까지도 떨어지던 버스트 X보다는 10km 가까이 빨라진 감속이며 X엔진 평균치 감속인 127~134km보다도 빠르다. 접지력 또한 도검에서나 리오에서나 좋게 측정되며, 고저차가 극심한 구간이라도 차체가 빠르게 가라앉으며 노면에 스무스하게 밀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안정성의 경우는 조금 아쉬운 편. 분명 나쁜 편은 아니지만 코튼 V1에 비하면 다소 뒤뚱거림이 체감된다. 드립감의 경우 이전까지의 버스트와는 달리 다소 가벼우며, 탄력은 조금 부족하지만 정직하게 움직여준다고 평가된다. 이외에도 주목할만한 특징으로는, 익시드가 여태까지의 모델에 비해 가속력과 게이지 소진 속도가 훨씬 빠르다. 이는 [[프로토 V1]] 당시 S타입이라고 소개된 것과 거의 동일한 사양. 버스트의 특징이 높은 가속력인 만큼 이를 살리기 위해 S타입으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짧지만 폭발적인 가속에 특화된 S타입 특성상 직선 주로에서 듀얼부스터와 함께 사용 시 무려 '''330km/h'''[* 팀 부스터 기준, 듀부 끝나는 타이밍과 익시드가 끝나는 타이밍이 같아야 한다.]까지 찍힐 정도로 엄청난 출력을 자랑하기에 빠른 사고 회복이나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구간에서 승부수를 두는 용도 등으로는 강력한 성능을 보일 것으로 추측되나, 반대로 익시드 지속시간이 너무나도 짧고 지나치게 가속도가 강해서 드립각이 틀어질 우려가 있기에 코튼 V1에서 정립된 L타입 익시드의 주 사용처인 '''끌기 가속 극대화''' 용도로는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다. 결국 L타입과는 장단점이 다른 만큼 전혀 다른 운용법이 연구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로써 카트바디별로 익시드의 성능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이 확인되어 나중에는 익시드가 조금 더 강화된 모델이 등장할 수도 있다. 또, 마라톤 시리즈처럼 부스터 지속 시간이 긴 시리즈의 경우 익시드 지속 시간을 L 타입보다도 더 길게 할 수도 있다. 플라즈마 시리즈 또한 익시드 충전 속도나 익시드 가속력에서 차별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렇게 되면 5대 라인업(+플라즈마) 카트바디들은 모두 파츠로 보완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 차별성을 갖게 된다. 드립감과 차체 크기도 괜찮고, 무엇보다 익시드가 S타입이라 익시드의 본래 목적인 '''감속 후 속력 회복'''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좋은 평을 얻고 있다. 이 뿐 아닌 '''급격한 가속을 통한 라인 조정'''으로 복잡한 맵에서 섬세한 라인 조정에도 좋은 모습을 보인다. '''R 시리즈의 순간 부스터처럼''' 폭발적인 가속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이 차의 메리트. V1엔진의 공통된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는 몸싸움이 약한 것을 제외하고는 감속, 차체 크기 등 전체적으로 X엔진 버스트에 비해 많은 점이 좋아졌다는 점에서 드디어 버레기에서 벗어났다는 평가가 많다. == 파생 카트바디 == === [[썬더 버스트 V1]] === 항목 참조. === [[크롬 버스트 V1]] === 항목 참조. === [[버스트 SRX V1]] === 항목 참조. == 여담 == * 상술했듯이 실전성이 꽤 좋은 편이라는 호평을 받았으며, 또한 파생형인 썬더 버스트와 크롬 버스트 역시 V1 엔진의 틈바구니 속에서 꽤 오래 버텼다. 버스트 시리즈가 실질적으로 버레기라는 멸칭이 붙은 것은 [[뉴 버스트]] 부터지만, 사실 애초에 C1 ~ X 엔진 통틀어서 버스트는 애초에 주류가 아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스펙터 시리즈와 더불어 V1 엔진에서 최고 전성기를 맞이한 가장 큰 수혜자''' 시리즈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V1버전의 버스트 시리즈는 모두 S타입 익시드라서 불호하는 의견도 나오는데, 엄밀히 따지면 버스트가 버레기 타이틀을 벗어던지고 메타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S타입이었던 점이 큰 몫을 했다고 봐야 한다. 아무리 카트바디 자체 스펙이 나빠도 S타입의 폭발적인 순간 가속을 통한 활용으로 어느 정도까지는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스펙터 V1]], [[흑기사 V1]] 등이 나온 뒤에도 준수하게 메타에서 살아남은 [[그믐 산군 V1]]과도 같은 맥락이다.[* 반대로 말하면, S타입은 스펙빨을 정말 못받는 익시드이기도 하다. 괴물같은 가속력과 조루같은 지속시간은 어떤 S타입 카트바디를 타든 똑같기 때문.] * [[코튼 V1]]이 SR 시절의 외관을 그대로 계승해서 나왔듯 버스트도 SR 시절의 외관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였으며, 전면부 범퍼의 도색은 버스트 SR-Z의 패턴을 반영하였다. 특유의 굴곡지고 육중한 디자인과 다연장 로켓을 연상시키는 부스터 노즐 등 버스트 시리즈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디자인 철학을 많은 부분 반영하였으면서도 그 정도가 과하여 육덕지다, 헬창(...)이다 등의 악평을 들었던 [[버스트 9]]과는 달리 적정선을 지킨 완성도 높은 디자인이라 평가가 좋다. 바퀴벌레 소리를 들을 정도로 악평이 많았던 전작 [[버스트 X]]의 디자인으로 인해 우려가 많았던 것과 달리 나름 근본 있게 잘 뽑아줬다는 평. 한편, 전면부 범퍼에는 SR 시절에는 없었던 2개의 거대한 흡기구가 생겼는데, 이 부분과 SR-Z의 도색이 반영되어 흰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많아진 것 때문인지, 어떤 사람은 전면부가 코튼 시리즈를 닮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사실 디자인의 베이스가 된 버스트 SR의 전면부가 코튼 SR의 전면부를 닮았다.] * 부스터 이펙트 및 테일램프의 색상은 버스트의 퍼스널 컬러와 동일한 밝은옥색. [[Taycan 4S]]의 이펙트와 비슷한 색상으로 이쁘다는 평이 많다. 문제는 팀부스터 색상이 조금 짙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파란색이라서 팀부스터 구분이 다소 어렵다. * [[DJMAX RESPECT V]]와의 콜라보가 공개되었는데 트레일러에서 '[[BlackCat|페일(FAIL, 검은 안대)]]'이라는 캐릭터가 탑승하고 있다.[[https://youtu.be/-CXFLVM-Xu8?t=18|#]][* 반대로 '[[glory day|클리어(CLEAR, 노란 머리)]]'라는 캐릭터는 [[코튼 V1]]을 탑승하고 있다.] UI 스킨에서도 나온다. * 툴팁의 설명란은 [[이세돌]]의 대사 "자신이 없다, 질 자신이"를 패러디했다. * 전작인 버스트 X는 커다란 차체와 좋은 안정성 때문에 [[막자]] 유저들이 애용했는데, 버스트 V1은 차체 크기는 평범하게 돌아왔음에도 폭발적인 순간 가속 때문인지 여전히 막자들이 자주 애용한다. * [[카트 패스]] [[켈베로스 V1|챕터 2 시즌 4]]부터 프리미엄 패스 최종보상에 해당하는 카트와 매주 대결하는 퀘스트에서 플레이어가 운전하는 카트가 되었다.[* V1엔진에서 새롭게 추가된 익시드 시스템 때문에, 이전 엔진인 X엔진으로는 익시드를 활용한 주행이 불가능하여 부득이하게 버스트 V1을 투입한 것으로 보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카트라이더 시즌패스 일반 보상)] == 관련 문서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 [[버스트 X]] * [[썬더 버스트 V1]] * [[크롬 버스트 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