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파일:128895_111789_1346.jpg|width=100%]] || [[파일:external/4869c424efa037283823b5a6687e967970ce80e81f4ce28f30bf42db42bf5c34.jpg|width=100%]]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노포동|노포동]]의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인도]] [[델리]]의 밀레니엄 파크 버스터미널 (세계 최대 버스터미널) || ||<-2> [[파일:광천터미널.png|width=100%]] ||| ||<-2> [[광주광역시]]의 [[유스퀘어]](광천터미널)[br]개장 당시에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버스 터미널이었다. || 버스 터미널(Bus Terminal, Bus Station)은 버스의 기종점 역할을 하는 곳으로, 매표소, 대합실, 승하차장, 주차장, 승무원 사무실 (버스회사 영업소)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설명 == 규모에 따라 정류장, 정류소, 주차장 등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법적으로는 버스 터미널이 아니라 버스 정류소인 경우도 포함되어 있다. 유사한 개념으로 [[환승센터]]가 있다. 이쪽은 버스, 철도 등등 여러 대중교통을 한번에 갈아탈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복합 터미널이며 이 외에 [[도심공항터미널]]도 있는데 항공기 탑승수속을 여기서 한 다음 공항으로 가서 바로 비행기에 탈 수 있다. 보통 [[고속버스]]나 [[시외버스]]의 기종점이 터미널이라 불리지만 지역에 따라 [[시내버스]] 터미널이 별도로 있는가 하면 터미널 명칭을 달고 있지만 실제로는 버스 정류장에 매표소 하나 달랑 갖다 놓은 곳도 있다. 반대로 매표소가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화성시 [[조암터미널]]은 대합실, 승하차장은 있지만 매표소를 폐쇄하고 현금/교통카드로만 요금을 받는다. 대부분의 터미널은 개인 또는 회사가 운영하는 사설 터미널이다. [[민자역사]]가 상대적으로 소수라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영터미널이나 크게 성공한 터미널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경우 몹시 후달리는 시설들을 볼 수 있다.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신설을 하지 않은 이상 상당히 시설이 노후된 상태다. 대부분 터미널이라는 말이 통용되지만 경상도(특히 경남)와 북한 황해도 지역에서는 터미널을 주차장[* 사리원의 버스터미널에서 려객뻐스주차장이라는 용어가 쓰이고 있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진주시외버스터미널]]은 시외주차장이나 합동주차장이라고도 부른다. 대구에서는 '정류장'으로 불리며 오히려 [[택시 기사]]에게 '[[서부정류장|서부시외터미널]]'로 가자고 하면 못 알아들을 정도다. 외래어 표기법이 개정되기 전에 설립된 경우는 터미날이라고 법인명에 적어놓는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의 경우, 건물에도 표기해 놨다. 대부분의 터미널은 자체 홈페이지가 없어서 경유지, 시간표(출발 및 도착시간, 배차간격), 요금 등에 대해서는 예매사이트를 참조하거나, 해당 시/군청 홈페이지의 교통정보 섹션에서 조회해보거나[* 시/군청 홈페이지에 바로 나오는 경우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문화관광 홈페이지에 게시된 경우도 있다. 다만, 종종 업데이트가 제대로 안된 경우도 있다.], 터미널에 연락을 하거나 직접 방문해야 한다. 버스 터미널에서는 [[군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한국은 특성상 다른 나라에 비해 [[군복]]을 입은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는 곳이기는 하지만 터미널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사실 가난한 군인 병사들 입장에서는 [[군전세객차]]나 [[무궁화호]]가 아닌 이상은 열차를 타기에는 주머니 사정이 빠듯하다. 또한 강원도 전방 지역은 철도 접근성이 비교적 열악하기 때문이다. 터미널 홈페이지, 예매사이트 외에도 인터넷을 찾아보면 시간표, 요금, 터미널 위치 등을 사진으로 찍어 올린 블로그가 많다. 물론 이 시간표들은 자주 바뀌기 때문에 어디까지만 참조하는 용도로 쓰는 것이 낫다.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의 경우 이것 때문에 곤욕을 많이 치렀는지 아예 시간표에다가 시간표를 촬영해서 인터넷에 올리지 말라고 주의문을 붙여놨다. 대한민국의 버스 승차권에는 출발지와 도착지 터미널명이 약호로 표시되는데, 보통 '고속버스터미널', '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 등의 접미어를 뺀 순수 명칭 부분이 표시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의 '서울경부', [[센트럴시티]]의 '서울호남' 등 터미널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른 문자를 집어넣는 경우도 있으며, [[서부정류장]]과 [[대구북부정류장]]은 명칭에 도시명이 들어가지 않아 '대구서부', '대구북부'처럼 임의로 집어넣었다.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이 모두 있는 도시라고 해도 양쪽에 같은 전산망을 쓰는 노선이 없다면 그냥 똑같이 표시되지만, 같은 전산망을 쓰는 노선이 있다면 구분한다. [[청주고속버스터미널]]의 '청주(고속)'과 [[청주시외버스터미널]]의 '청주(센트럴)'이 그 예로, 원래 둘 다 그냥 '청주'로만 표기가 되었으나 센트럴~청주시외 노선이 KOBUS 전산망에 편입되면서 KOBUS 전산 내에서만 이렇게 구분이 된다. 거기다가 차내 행선판의 경우 괄호조차 빼고 '청주고속'으로 박아넣었다. [[유스퀘어]]의 약호는 원래 '광주'였으나 터미널 브랜드 홍보 및 경기광주와의 확실한 구분을 위해 '광주(유•스퀘어)'가 되었다. 보통 접미어를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표시하지만 북순천정류장의 '순북', 순천역정류장의 '순역'처럼 접미어를 제외한 부분마저 줄여버리는 경우도 있다. 일본은 제대로 된 버스 터미널이 있는 경우가 드물며 보통 지역의 중심 역 근처에 정류장 하나 만들어 놓고 거기서 고속버스를 타는 경우가 많다. [[바스타 신주쿠]]도 실제 터미널로 쓰이는 공간은 매우 아담하고 작다. 프랑스 국철의 고속버스 브랜드인 위버스도 마찬가지다. === 고속터미널? 시외터미널? === 보통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터미널이 따로 있지만 동서울터미널 등 종합버스터미널도 있다. 한국에서는 정류장 수준의 작은 터미널을 제외하고 지역 거점급 터미널은 보통 지역에 따라서 공용버스터미널, 여객터미널 등의 다른 이름이 붙는 곳도 있지만 대체로 '종합버스터미널', '고속버스터미널', '시외버스터미널' 등으로 나뉜다. 고속버스터미널은 고속버스가 서는 터미널, 시외버스가 서는 터미널은 시외터미널, 여러 버스가 서는 터미널은 종합(또는 복합, 공용)버스터미널이다. 그냥 터미널 하나로 쓰면 당연히 편할 것 같은데 고속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이 따로 운영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고속버스 자체가 프리미엄 서비스이기 때문에 여타 시외버스들과는 구분되는 전용시설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즉 고속버스가 없던 시절에는 그냥 버스터미널 하면 당연히 시외버스 터미널이었던 것이, 고속버스라는 게 새롭게 개통되면서 기존 터미널과 차별화되는 고속버스 터미널을 따로 차린 개념이다. 이는 승객들에게 전용시설을 제공해 편의성을 도모한다는 측면도 있지만, 비싼 돈 들여 육성하고 고용한 기사들에게도 다른 시외버스 기사들과 복닥복닥하게 섞이지 않는 전용 휴게시설 등을 제공하고 업체 사무실 공간이나 주차장, 정비시설 등을 확보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게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사례가 과거 서울이나 대구의 업체별 터미널 체제. 물론 고속터미널 따로 굴리는 것은 상당히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고속버스가 그냥 운행되는 것만으로는 안되고 어느 정도 수요와 운행횟수가 받쳐줘야 한다. 철도교통의 발달로 장거리 버스의 빈도 자체가 줄어들고 터미널의 수익성이 중요해지면서 점점 종합터미널로 통합되는 추세이긴 하지만, 아직도 소도시에서는 사업자들 간의 지분 합의 문제로 여전히 터미널 통합이 불발되고 고속-시외의 이원화된 체제가 유지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고속버스 노선이 한두 개뿐인 동네는 이름은 시외버스터미널이지만 고속과 시외버스가 함께 사용한다. 정말 고속버스가 없는 동네에서는 당연히 시외버스터미널. 해당지역 지리를 잘 모르거나 고속-시외간 환승을 하려는 이용객 입장에서야 종합버스터미널이 훨씬 편리하다. 다행히(?)도 고속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이 나란히 붙어서 건물만 따로 쓰는 동네도 있다. 종합터미널만 있는 동네에서 타 지역에 방문하는 사람들은 [[컬쳐쇼크]]를 겪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 전에 이런 지역 주민들은 [[버스 동호인]]이 아닌 이상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차이를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터미널 따로 쓰는 지역도 고속버스=서울가는 버스, 시외버스=기타 다른데 가는 버스로 막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반면에 터미널을 따로 쓰는 동네 사람들이 종합터미널이 있는 동네에 가면, '아 이 동네는 정말 편하겠구나'라고 생각하는 부분. 가끔 고속버스를 타고 종합터미널에 내려서 시외터미널을 찾고 다닌다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헤매고 다니는 사람도 있다. 대도시라면 필연적으로 메인 터미널에 추가로 사방에서 오는 노선들을 수용하는 동부, 서부 터미널 등을 거느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른들의 사정으로 어쩔수 없이 통합을 추진하거나 통합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광주광역시]]는 예외적으로 [[유스퀘어|매우 크고 아름다운 터미널]]을 가지고 있어서, 이 터미널 하나에 광주로 들어오는 모든 버스를 다 쑤셔넣는다. 운행 방면별로 중간 정류소는 몇 곳에 있긴하다. 또한 운행회사별로 터미널을 따로 쓰는 동네도 있다. 그 지역 고속버스 노선이 몇 개 안 되고 그걸 한 회사가 독점하고 있다면 고속터미널은 당연히 독점 터미널이 된다. 대부분의 도시가 고속버스 노선보다 시외버스 노선이 많기 때문에 시외버스 터미널이 더 크고 장사도 잘 되니 투자도 많이 받아서 훨씬 깔끔하고 각종 편의시설을 잘 갖춘 경우가 많다. === 위기 === 터미널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지방(지리)|지방]] 인구 감소 때문에 갈수록 이용객이 줄어든 데다, 2020~2021년에 [[코로나19]]로 인한 [[대봉쇄]]로 직격탄을 맞았다. 거의 대다수의 터미널이 민영인데 이용객이 줄어들면 그대로 적자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2022년에는 인구 백만명에 가까운 대도시인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 적자에 시달리다 못해 폐업해서 충격을 준 바 있다. 자세한 것은 [[https://www.youtube.com/watch?v=Vwuk9li7YmY|연합뉴스의 다큐멘터리]]를 참고하자. 이런 실정인데 인구가 줄고 외국인으로 버티고 있는 지방 중소도시는 말할 것도 없다. 공공 전환 요구가 나오고 있지만 타 국가에서 하는 운영을 벤치마킹해야지 굳이 건물의 유지 보수 비용을 세금으로 써가며 운영해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코로나가 창궐하던 시절 자의반 타의반으로 기사들이 그만두고, 2022~2023년부터 코로나 회복 후 수요가 다시 늘었으나 이미 그만둔 기사가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이 받쳐주지 못하고[[https://www.google.com/am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Amp.html%3fidxno=2069967|#]] 요금을 올려서, 불편함을 느끼는 고객이 이탈하는 일도 벌어졌다.[[https://m.youtube.com/watch?v=KfkGgE6TT6A|#]] 그나마 수요가 눌은 게 불행 중 다행이다. 한편으로는 [[KTX]]가 계속 새로운 노선을 신설하고 복복선화로 열차를 더 많이 투입할 수 있게끔 계속 공사중이라서[* 이에 대한 버스 터미널 입장에서 본 우려는 [[동서울터미널]] 문서의 서술에서 일부 엿보인다. 동서울터미널은 [[스타필드]]가 들어설 예정이긴 하지만 미래가 매우 어둡다. [[인천종합터미널]] 역시 [[인천발 KTX]] 등 철도의 대공세가 오고 있어서 미래가 어둡다.], 가까운 미래에는 웬만한 지자체에서 기차를 탈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낙후되고 느려서 버스에 털리는 기차 노선이 개량해서 빠른 속도로 역관광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https://m.youtube.com/watch?v=sf2TgJZ8K-4|부산 울산간 시외버스 폐지]] 지자체도 기차역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시내 교통을 개편하는 일도 많다. 이렇게 버스의 경쟁자가 계속 경쟁력을 키우고 버스를 위협하고 있는 것도 터미널이 위기를 맞은 또 다른 이유다. 사실 발품 팔면 KTX의 비싼 표값도 어느정도 상쇄된다. 그나마 [[야간열차]]가 전멸한 것이 위안. 야간에 이동하면서 잠도 잘 수 있는 수단은 [[프리미엄 버스]]가 유일. 이렇게 버스의 수요가 타격을 받자, 시외버스 터미널과 고속버스 터미널을 합쳐 살길을 모색하고 있기도 하지만([[https://www.google.com/amp/s/www.news1.kr/amp/articles/%3f4910719|익산의 사례]]), 이권 문제로 그마저도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한편 터미널을 역 옆에 짓고 [[복합환승센터]]를 짓고자 하는 지자체가 많아지고 있긴 하다. 대표적으로 [[안동시]]. [[안동터미널]]과 [[안동역]]을 한 곳에 지었다.[* 여담으로 이것의 반대 사례도 있는데, 바로 [[수원역]]-[[수원버스터미널]]이다. 원래 수원버스터미널은 수원역 앞에 있었으나, [[https://imnews.imbc.com/replay/1992/nwdesk/article/1746742_30556.html|극심한 교통체증을 유발]]하여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안동시같은 사례가 늘어나면 가까운 미래에도 여전히 기차로 갈수 없는 곳을 기차+버스의 빠른 환승으로 보완하고 공생할 수도 있다. 아니면 [[춘천시]]처럼 [[춘천역]]을 경유시키도록 하는곳도 있다. === 미래 === [[남북통일/인프라 문제/교통]]에 나오듯, 북한이 개방을 하든 남북통일을 하든 버스 터미널이 갑자기 급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철도 환경]]이 워낙 좋지가 않아서 다 다시 깔아야 하는 수준인데, 구배나 전차선 등 건설이 까다로운 철도보다는 도로가 개량이 쉽고, 오르막이 심해도 버스는 굴러는 간다. 철도가 깔리는 긴 시간동안 버스가 교통을 책임지느라 호황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가난한 북한 주민들은 KTX, 비행기보다 싼 버스를 더 선호할 듯하다. [[북한/교통]]에 나오듯 이미 그들에게 익숙한 교통수단이다.[* 북한의 고속도로가 평양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탓에 평양-지방간 노선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이외의 지역은 거의 철도에만 의존하고 있다.] 물론 국제 운행도 가능하게 된다. 버스 터미널은 박차장 때문에 부지가 매우 넓어서[* 오래된 터미널은 지상에만 박차장을 두는 경우가 많아서 건물에 비해 부지가 넓다.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의 경우는 박차장을 지하화했어도 부지가 넓은 편이다. 서울 센트럴과 고속터미널도 건물 크기에 비해 박차장 부지가 매우 넓다.] 활용도가 매우 높다. 도심 내에서는 그렇게 넓은 부지를 쉽게 찾기 어렵기 때문에 개발업자들이 터미널 사업에 보이기도 한다. 터미널을 인수한 뒤 터미널 시설을 건물로 덮어 버리거나 지하로 내리고 그 위를 상업시설이나 주거시설로 개발하는 방식이다. 터미널 특성상 그렇게 해도 기능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는데다가, 오히려 실외 시설이 실내로 이전되고 상업 시설이 들어오면서 이용자의 편의성이 늘어난다. [[남부터미널]], [[동서울터미널]]은 노후시설을 재건축하면서 상업시설이나 주거시설로 개발할 예정이다. 버스터미널은 유동인구가 많아서 대형 상업시설을 유치하기에도 좋다. 서울고속터미널 지하상가와 신세계 강남점은 유동인구가 매우 많아서 상권이 활성화되어 있다. == 시설 == * '''매표소''': 승객들이 표를 사는 곳이다. 과거에는 상당히 많았으나 예매 시스템 도입 및 자동발매기 증가로 많이 줄었다. * '''식당가''': 식당들이 모인 곳이다. 터미널 특성상 버스 출발 전에 빨리 먹거나 버스 내에서 먹을 수 있는[* [[2020년대]]부터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상황이 상황인만큼]] 버스 내에서 음식 취식이 금지되었으나 2022년 하반기부터 [[위드 코로나]]와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대한민국|거리두기]]가 조금씩 해제되고 2023년 마스크 착용 제한조차 해제됨에 따라 코로나가 종식되면서 코로나 이전처럼 취식이 가능해졌다.] 음식이 주류다. 다만 상업, 문화 시설이 합쳐진 터미널은 각종 외식업체와 레스토랑까지 들어서기도 한다. * '''승/하차장'''[* 마산시외터미널은 예외적으로 서로 다른 건물에 따로 분리되어 있다.]: 버스에 타고 내리는 곳이다. 국내에서는 아무렇지 않게 들어갈 수 있지만 외국,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총기가 마구 풀려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곳에서 보안검색을 받아야만 승차장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승차장에 들어선 뒤라도 버스에 타기 전에 총기나 흉기가 없는지 2차로 확인하는 절차가 있다. * '''기사 휴게실''': [[버스 기사]]들을 위한 휴게실이다. * '''소화물취급소''': 버스를 이용해 택배를 보낸다면 이곳에서 접수하면 된다. 취급 물품과 노선은 회사마다 다르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일부 대형 터미널은 고속터미널내 상가나 [[센트럴시티]]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천안터미널]], [[유스퀘어]], [[김해여객터미널]]에 붙어있는 [[광주신세계|신세계백화점]], 사상터미널의 애플아울렛, [[수원버스터미널]]의 nc백화점처럼 상가나 마트, 백화점, 아울렛 등 상업시설이 같이 있다. == 터미널 목록 == [include(틀:대한민국의 시외버스 정류장)] === 한국 === * '''전국 대도시의 허브터미널'''은 [[특별시]]/[[광역시]] 소재의 종합터미널로 규모나 크기가 다른 곳에 비해 매우 크다. 승차홈이 평균 36홈 이상이며 하차장도 10홈이상 정도로 그급의 차이가 어마하게 차이가 난다. 각지역의 거점급의 허브 터미널이라 보면 된다. 이 문서에서는 볼드체로 표시했다. * 폐쇄된 터미널(현금으로 승차하는 단순 경유지로 변경)은 취소선으로 처리. 다만, 건물이 폐쇄되었어도 박차지로써 계속 사용되고 있으면 제외했다. * 아래 목록에는 단순 시외버스 경유지는 제외해주기 바라며, '''__승차홈이 있거나 표를 발권할 수 있을 정도의 정류장__'''까지만 기재하기 바란다. * 명칭은 건물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하나, 여러 명칭이 함께 기재된 곳은 정문에 기재된 명칭을 기준으로 한다. * 시내버스 전용 터미널은 ★표시로 구분. ==== 서울특별시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터미널)] 아래에는 누락되어 있지만,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생기기 전에는 서울 도심 곳곳에 업체별로 터미널이 있었다고 한다. ||<-3> {{{#white 서울특별시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구 || 명칭 || 주소 || || 강남구 || [[한국도심공항 코엑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7길 22 (삼성동) || || 강동구 || --천호터미널--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57길 53 (천호동)[* 현 강동농협 로데오지점 자리.] || || 강북구 || --[[수유터미널]]--[* 2009년 경에 매표소가 폐쇄되었고, 2020년 4월 1일부터 마지막 노선이었던 [[시외버스 3003, 3005]]가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로 단축되면서 폐쇄 절차에 들어갔다.] ||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322 (번동) || || 강서구 || [[김포국제공항]] ||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38 (방화동) || || 광진구 || [[동서울터미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50 (구의동) || ||<|3> 서초구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반포동) || || '''[[센트럴시티]]'''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76 (반포동) || || [[서울남부터미널]]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92 (서초동) || || 노원구 ||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43길 30 (상계동) || || 동대문구 || --[[동마장터미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145 (용두동)[* 현 동대문구청 자리.] || || 마포구 || --[[신촌터미널]]-- ||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 49-64 || || 용산구 || --[[용산시외버스터미널]]--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 42 (한강로3가)[* 현 용산트레이드센터 자리] || || 은평구 || --[[서울서부버스터미널]]--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757 (대조동) || || 중랑구 || [[상봉터미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로 117 (상봉동) || ==== 부산광역시 ====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3>
{{{#white 부산광역시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구/군 || 명칭 || 주소 || || 금정구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238 (노포동) || || 강서구 || [[김해국제공항#s-8]]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 108 (대저2동) || || 동래구 || [[동래시외버스정류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1325번길 24 (온천동) || || 사상구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201 (괘법동) || ||<|2> 사하구 || [[신평시외버스정류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27 (신평동)[* 이 곳 복권판매점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하단시외버스정류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401 (하단동) || || 해운대구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641 (우동) || ||<|3> 기장군 || --[[기장정류소]]--[* 발권이 불가능해 좌천에서 잠시 내려 표를 끊어야 한다. 예매는 좌천 출발로 하면 탑승 가능.]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동로 70 (동부리) ||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s-4.2.5|명례정류소]]--[* 과거엔 슈퍼에서 발권 업무를 하였으나 슈퍼가 문을 닫으면서 현금 승차로 바뀌었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명례리 122-11 || || [[좌천정류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로 76 (좌천리) || ==== 대구광역시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3>
{{{#white 대구광역시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구/군 || 명칭 || 주소 || ||<|7> 동구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복합환승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149 (신천동) || || [[대구국제공항#s-6.1|대구국제공항]] ||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 221 (지저동) || || [[용계역#s-5.1|용계정류소]] || 대구광역시 동구 화랑로 508 (용계동) || || --[[대구고속버스터미널|대구고속(금호, 동양, 천일)]]--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149 (신천동) || || --[[대구고속버스터미널|대구고속(경북, 중앙)]]--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22 (신천동) || || --[[대구고속버스터미널|대구고속(한진)]]--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138 (신천동) || || --[[동부정류장]]-- || 대구광역시 동구 효신로 11 (신천동) || || 남구 || [[서부정류장]] || 대구광역시 남구 월배로 496 (대명동) || || 북구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대구광역시 북구 팔달로 103 (노원동3가) || || 서구 || [[대구북부정류장]] || 대구광역시 동구 서대구로 295 (비산7동) || || 수성구 || --[[남부정류장]]--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599 (만촌동) || ||<|4> 달성군 || --구지정류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 444-3[* TAGO에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 370-4로 되어 있다.] || || 정대리정류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272-3-- ||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현풍중앙로 129-10(성하리) || || [[현풍공영버스정류장]]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476 || ||<|3> 군위군 ||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중앙길 12 || || 우보버스정류장 ||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이화길 135-1[* 우보면보건지소 건물 한쪽에 대합실이 있다.] || || [[효령정류소]]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치산효령로 2385-4 || ==== 인천광역시 ==== [include(틀:인천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3>
{{{#white 인천광역시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구/군 || 명칭 || 주소 || ||<|3> 강화군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 || --외포리버스터미널--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1309-3 || || --[[화도공용버스터미널]]--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가능포로 6-1 || ||<|2> 미추홀구 || --[[용현동 구 터미널]]--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배로 422-1 (용현동) || || '''[[인천종합터미널]]'''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연남로 35 (관교동) || || 부평구 ||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 ||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원대로 1408 (부평동) || || 연수구 || [[U-복합환승센터]]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91 || || 옹진군 || 영흥도버스터미널 ★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영흥로176번길 8 || || 중구 || [[인천공항터미널]]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 271 (운서동)(T1)[br]인천광역시 중구 제2터미널대로 444 (운서동)(T2) || ==== 광주광역시 ====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3>
{{{#white 광주광역시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구 || 명칭 || 주소 || || 서구 || '''[[유스퀘어]]''' ||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04 (광천동) || ||<|2> 광산구 || [[송정역시외버스정류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01 (송정동) || || [[비아정류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 24-23 || ||<|2> 동구 || [[소태역시외버스정류소]] ||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575 (용산동) || || [[학동시외버스정류소]] ||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743 (학동) || || 남구 || [[남부시외버스정류소|진월동시외버스정류소]]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 637 (진월동) || ||<|2> 북구 || [[문화동시외버스정류소]]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120 (두암동) || || [[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 ||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48-1 (운암동) || ==== 대전광역시 ==== [include(틀:대전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3>
{{{#white 대전광역시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구 || 명칭 || 주소 || ||<|2> 동구 ||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광역시 동구 동서대로 1689(서관)[br]대전광역시 동구 동서대로1695번길 30(동관) || || [[신흥동버스정류소]] || 대전광역시 동구 계족로 99 || ||<|4> 서구 || 관저.건양대병원시외버스정류소 ||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북로 14 || || 도마동시외버스매표소[br](서부터미널 간이매표소) || 대전광역시 서구 계백로 1383 || || [[둔산고속버스정류장]]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281 || || [[둔산시외버스정류장]]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 ||<|6> 유성구 || [[대전도룡고속시외버스정류장]]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634 || || [[북대전시외버스정류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942 || || [[유성고속버스터미널]] ||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로 54 || || [[유성복합터미널]][*착공예정] ||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암동 81, 83, 91, 95, 96, 98, 111, 120[* 아직 완공되지 않아 주소가 조정되지 않았다.] || || [[유성시외버스정류소]][*임시 유성복합터미널 개장 전까지 임시로 사용] ||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699 || || 자운대정류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로221번길 98(창조레스텔) || ||<|2> 중구 || [[대전서남부터미널]] || 대전광역시 중구 유등천동로 346 || || [[신흥동버스정류소#s-5|부사동정류소]] || 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287 || ==== 울산광역시 ==== [include(틀:울산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3>
{{{#white 울산광역시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구/군 || 명칭 || 주소 || ||<|8> 남구 || [[울산고속버스터미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88 || || [[울산시외버스터미널]] || 울산광역시 남구 화합로 133 || || [[공업탑시외버스정류소|공업탑시외버스정류장(서부)]] ||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1865 || || [[공업탑시외버스정류소|공업탑시외버스정류장(동부)]] ||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1089-3[* 정류장은 울산대공원동문 시내버스 정류장을 공유하며, 표에는 '공업탑'으로 나온다.] || || [[무거정류소|무거합동정류소]] ||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1014-1 || || [[신복시외버스정류소|신복로터리시외버스정류소]] || 울산광역시 남구 북부순환도로1번길 1-1 || || [[태화시외버스정류소|태화로터리정류장]] ||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1513 || || [[법원정류소|법원정류장]] ||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 627-8[* 옥동중학교앞 시내버스 정류소를 그대로 이용한다.] || || 동구 || [[방어진시외버스정류장]] || 울산광역시 동구 내진길 9 || ||<|4> 북구 || 강동(정자사거리)정류소 || 울산광역시 북구 무룡로 1123 || || [[호계정류소(울산)|호계시외버스정류장]] ||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동 768-6 || || --[[효문정류소|효문시외버스정류장]]--[* 매표소가 폐쇄되었으나, 시외버스는 그대로 정차한다.] || 울산광역시 북구 진장동 620-2 || || --[[울산공항정류소|울산공항시외버스정류장]]--[* 매표소가 폐쇄되었으나, 시외버스는 그대로 정차한다.] || 울산광역시 북구 산업로 1103[* 따로 주소가 표기되지 않아서 울산공항 주소로 대체함] || ||<|7> 울주군 || [[남창정류소|남창시외버스정류장]]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1길 48 || || [[덕하정류소|덕하시외버스정류장]]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덕하로 231 || || [[망양정류소|망양시외버스정류장]]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망양리 445-4 || || --봉계시외버스터미널--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두동로 1842 || || 석남사정류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998-24 ||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남부리 73[* 울주군 언양읍 헌양길 7에 있었으나 이전했다.] || || [[웅촌정류소|웅촌시외버스정류장]]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곡천검단로 1 || ==== 경기도 ==== [include(틀:경기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경기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5> 가평군 || [[가평터미널]]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가화로 51 || || [[목동버스터미널]] || 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산로11번길 5 || || [[설악버스터미널]]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중앙로 136-1 || || [[청평터미널]]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중앙로 54 || || [[현리공용버스터미널]]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창로38번길 4 || || 고양시 || [[고양종합터미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 || 광명시 || [[광명종합터미널]] ||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로 51 || ||<|2> 광주시 || [[경기광주터미널]] || 경기도 광주시 광주대로 30 || || --[[곤지암터미널]]-- ★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로 44 || || 군포시 || [[군포시외버스정류소]] || 경기도 군포시 번영로 179-46 || || 김포시 || [[김포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김포시 중구로 75 || || 동두천시 || [[동두천터미널]] ||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169번길 21 || || 부천시 || [[부천종합터미널]] || 경기도 부천시 송내대로 239 || ||<|2> 성남시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2023년 1월 1일자로 폐업했다. 버스는 터미널 주변 임시정류장에서 승하차 가능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16 || || [[모란역시외버스정류장]]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1146-2 || ||<|3> 남양주시 || 금곡시외버스정유장[* 간판에 정유장으로 되어 있다.]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1006[* 금곡중.고교 가평 방향 정류장 앞에 있다.] || || --마석창현시외버스정류소--[* 가평 방향은 가판대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쇄되었다. 승차는 현금/카드로 가능하다.]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734 || || 평내시외버스정류장 ||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 211-5[* 평내농협 앞에 있다.] || ||<|7> 수원시 || [[수원버스터미널]]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수대로 270 ||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291 || || [[수원역환승센터]]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96-86 || || 동수원공항리무진버스터미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144-3 || || [[아주대시외버스정류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147-3[* 시외버스 정류장 우측 가판대에서 표를 판다. 현금만 사용 가능.] || || [[영통입구시외버스정류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1054-6 || || [[우만동시외버스정류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210번길 12 || || 시흥시 || [[시흥종합버스터미널]] || 경기도 시흥시 옥구공원로 225 || ||<|2> 안산시 || [[안산종합버스터미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항가울로 410 || || 상록수역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용신로 388[* 수원 방향 정류장(17-222) 오른쪽에 가판대가 있다. 인천 방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11> 안성시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경기도 안성시 비봉로 85 || ||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공도로 51-7 || || 대림동산정류소 ||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양기리 562[* 평택 방향 대림동산 정류장(33-061) 옆에 컨테이너로 된 매표소 건물이 있다.] || || 동아방송대정류소 ||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동아예대길 47 || || 두원공대정류소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관음당길 51 || || 안성시민회관정류소 || 경기도 안성시 장기로 107[* 시민회관 앞에 매표소 건물이 있다.] || || [[일죽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주래본죽로 21 || || 주은풍림정류장 ||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용두리 219-14[* 평택 방향 주은.풍림아파트 정류장(33-018) 앞에 매표소 건물이 있다.] || || [[양성시외버스터미널]] ★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양성로 18 || || 중앙대정류소 ||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신령리 산83-9[* 평택 방향 중앙대.롯데캐슬아파트 정류장(34-151) 뒤에 매표소 건물이 있다.] || || 한경대정류소 || 경기도 안성시 중앙로 327[* 평택 방향 한경대 정류장(33-121)에서 한경대 정문 쪽으로 가는 길목 초입에 매표소 건물이 있다.] || ||<|3> 안양시 || [[안양시외버스정류장]]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343 || || [[안양역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314번길 27 || || [[호계시외버스정류장]]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경수대로 713 || || 양주시 || 양주역시외버스정류장 ||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 919 || ||<|6> 양평군 || [[양평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시민로 91 || || [[용문버스터미널]]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 2-2[* 2019년 3월 4일에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로 341-1에서 용문면 다목적청사 부지로 이전하였다.] || || 용두시외버스터미널[* GBIS에는 용두리터미널로 되어 있다.] ||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용두로139번길 1 || || 갈운리정류소 ||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641-1 || || 광탄정류소 || 경기 양평군 용문면 용문로 817-2 || || 금강고속단월영업소[* GBIS에는 단월 금강고속영업소로 되어 있다.]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재인동길 236 || ||<|5> 여주시 || [[여주종합터미널]] ||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85 || || --대신터미널-- ||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여양로 1480[* 2018년 5월 1일에 상봉 - 여주 시외버스가 폐지되면서 터미널 운영이 중단되었고 매표소가 폐쇄했으나 [[양평 버스 1|양평군 1번대]] 농어촌버스는 그대로 정차한다.] || || 능서정류소 ||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마장로 68 || || 여주대정류소 ||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254-58 || || 태평버스정류소 ||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태평로 56 || ||<|4> 연천군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온골로 49 || || 전곡버스터미널 ★[* 사실상 연천군 농어촌 버스의 거점이다.]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로 165 || ||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 459-11 || || --백학터미널-- ||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백로34번길 8 || || 오산시 || [[오산역환승센터]] || 경기도 오산시 역광장로 59 || ||<|6> 용인시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486 || || [[기흥역시외버스정류소]]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460[* 기흥역 4번출구에 매표기와 승차폼이 있다.] || || [[신갈정류장]]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467-21[* 상미마을.신갈오거리 정류장. 전 노선 용인시 출발.] || || [[신갈정류장|신갈영덕정류장]]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47-6 [* 청현마을.수원신갈IC 정류장. 전 노선 [[수원터미널]] 출발.] || || 백암터미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로 214-2 || || 양지정류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대로 7[* 양지사거리 정류장(29577) 바로 뒤 복권판매점에서 발매 업무를 한다.] || || 의정부시 || [[의정부버스터미널]] ||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 640 || ||<|2> 이천시 || [[이천종합버스터미널]] ||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200 || || [[장호원정류소|장호원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169(KD운송그룹)[br]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샘재로 152(그 외) || ||<|5> 파주시 || 금촌고속버스정류소 || 경기도 파주시 새꽃로 193 || || --[[문산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향로 72 || || [[문산고속버스정류소]]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 17-528 || || 운정고속버스정류소 || 경기도 파주시 와동동 1421[* 운정역 1번 출구 건너편에 있다.] || || --적성버스공용터미널--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마지리 63-51 || ||<|5> 평택시 || [[평택터미널|평택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평택시 평택로 27 || || [[평택터미널|평택고속버스터미널]] || 경기도 평택시 평택로39번길 40 || || 국제대정류소 || 경기도 평택시 장안웃길 56 || || [[송탄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평택시 지산로 29 || || [[안중버스터미널]]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안현로서9길 14-4 || ||<|7> 포천시 || [[포천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포천시 중앙로 126-7 || || [[관인시외버스터미널|관인버스터미널]]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관인로 22 || || --[[도평리시외버스터미널]]--[* 현재는 승차권 발매 없이 현금/카드로 승차 가능하다.]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화동로 2411 || || --[[송우리시외버스터미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솔모루로 98-6 || || [[일동시외버스터미널|일동버스터미널]]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동로1051번길 4-3 || || [[이동시외버스터미널|이동정류소]]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화동로 2103 || || --[[운천시외버스터미널|운천버스터미널]]--[* 2021년 7월 1일에 폐업하였고, 현재는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운천안길 33 || || 하남시 || [[하남시 버스환승 공영차고지]] || 경기도 하남시 창우로 146 || ||<|2> 화성시 || [[조암터미널]] ★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조암남로 3-3 || || [[향남환승터미널]]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향남로 424 || ==== 강원특별자치도 ====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강원특별자치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4> 강릉시 || [[강릉고속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하슬라로 15 || || [[강릉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하슬라로 27 || || 정동진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헌화로 1096[* 이 곳 식당에서 발권이 가능하다.] || || [[주문진버스종합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로 4 || ||<|5> 고성군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간성로 24 || || [[거진종합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길 21-2 || || [[대진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196 || || --장신정류소--[* 현재도 하차는 가능하다.]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진부령로 2009 || || --진부령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진부령로 660 || ||<|2> 동해시 || [[동해종합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5443 ||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5443 || ||<|8> 삼척시 || [[삼척고속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중앙로 192 || || [[삼척종합버스정류장]]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봉황로 9-22 || || [[도계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강원남부로 1342 || || 도계캠퍼스정류장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황조리 209 || || 신기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신기면 강원남부로 2977 || || [[임원버스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삼척로 1216[* 포털 사이트 지도에는 건너편으로 나와 있으나, 실제로는 슈퍼에서 정류소 업무를 병행한다.] || || 하장정류소 || 강원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 171-7[* 예전에는 하장길 114(구 하장소방서 건물)에 있었으나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복지회관을 짓게 되면서 건너편에 있던 건물들을 헐고 박차장과 대기실을 만들었다. 발권 기능은 없이 현금과 카드로 승차한다.] || || [[호산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삼척로 381 || ||<|3> 속초시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988 || || [[속초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장안로 16 || || [[설악산입구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677 || ||<|3> 양구군 || [[양구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중심로 196 || || [[양구정중앙터미널]](구 남면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남면 정중앙로 610 || || --해안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현리 14[* TAGO에는 주소가 여기로 나와 있으나, 현재는 건물이 헐리고 공원이 된 상태다. 시외버스는 하루 한 번 동서울(15:59)에서 출발한 차량이 들어오긴 한다.] || ||<|5> 양양군 || [[양양고속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동해대로 2700 || || [[낙산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087 || || 오색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대청봉길 122 || || 하조대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조준길 4[* 마트가 헐리고 그 자리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업무를 이어받았다.] || || 한계령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설악로 1 || ||<|6> 영월군 || [[영월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중앙1로 23 || || 마차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북면 마차중앙1길 35 || || 문곡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북면 밤재로 2 || || [[상동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 상동시장길 9-1 || || 석항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중동면 영월로 3823 || || [[주천버스정류장]][* 예전에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로 92에 있었으나 지금은 약국과 병원 건물이 들어섰고, 시외버스는 더 위쪽에 있는 삼거리(시내버스 종점)에 정차한다.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승차 가능하나, 발권기는 없으니 참고.]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 1379-4 || ||<|3> 원주시 || [[원주고속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원대로 181 || || [[원주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원대로 171 || || [[문막고속시외버스정류소]][* 2018년 7월 1일에 폐쇄되어 예매 및 카드로만 승차 가능할 예정이었으나, 철회되었다. 원주터미널서 매진 시 탑승 불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여원로 2175 || ||<|9> 인제군 || [[인제터미널]][* 표에는 인제시외버스정류장이라고 되어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비봉로 43 || || 고석평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상남면 아홉사리로 3041--[*A] || || 덕다리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내린천로 3901[* 원래 이 곳에 있던 편의점이 발권업무를 했는데, 편의점이 옆 건물로 이전했다.] || || 백담입구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미시령로 1142 || || 서화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서화면 서화길 3 || || 신남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남면 신남로 23 || || [[원통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원통로147번길 31 || || --용대삼거리정류소--[* 현재도 하차는 가능하다.]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황태길 384 || || [[현리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내린천로 4024 || ||<|5> 정선군 || [[정선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정선로 1226 || ||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지장천로 856 || || 여량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서동로 2910-1 || || 임계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임계면 서동로 4558 || || 북평(나전)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북평면 북평중앙로 56 || ||<|6> 철원군 || [[동송시외버스공용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금학로 215 || || --문혜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갈말읍 두루미로 96 || || [[신철원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갈말읍 명성로 154 || || 와수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서면 와수로173번길 21 || || --육단리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근남면 육단1길 5 || || 신수리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서면 자등로 577-1 || ||<|3> 춘천시 || [[춘천고속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터미널길14번길 15 ||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경춘로 2341 || || 지촌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사북면 영서로 4828 || || 태백시 || [[태백버스정류장]]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광장로 6 || ||<|6> 평창군 || [[평창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백오1길 3 || || 대화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대화3길 10 || || 미탄합동영업소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미탄중앙로 24 || || [[장평버스정류장]]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금송길 6 || || [[진부공용버스정류장]][* 표에는 진부공용터미널이라고 되어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청송로 110 || || [[횡계시외버스터미널]][* 예전에는 횡계시외버스공용정류장이었으나, 평창올림픽을 대비해 건물을 리모델링하면서 간판과 명칭을 바꾸었다.]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대관령로 78 || ||<|8> 홍천군 || [[홍천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홍천로 301 || || 금강고속양덕원영업소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 양덕원로 82 || || 내면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 1573-12 || || --내촌영업소--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도관리 458-3 || || 두촌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두촌면 자은로 366--[* 화장실은 신축했으나, 터미널은 그대로인 것으로 보아 폐쇄된 듯하다.] || || --모곡정류소--[*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들이 모두 폐선되면서 더 이상 터미널 기능을 하지 않는다.]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한서로 643 || || --서석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구룡령로 2517[* 예전에는 건너편이었고 박차지도 있었으나, 사유지로 바뀌면서 건너편에 쉘터를 만들었다. 안에는 대합실만 있으며, 발매기는 없다.] || || --화상대영업소--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아홉사리로 709 || ||<|6> 화천군 || [[화천공영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상승로 38-5 || || 화천시내버스터미널 ★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중앙로 24 || || 다목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상서면 수피령로 1297 || || [[사창리버스터미널]](사내공용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사내로 10-13 || || 산양리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상서면 영서로 7713 || || --오음리정류소--[* 현재는 현금으로 승차한다.]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간동면 오음리 588-9 || ||<|5> 횡성군 || [[횡성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횡성로 377 || || [[둔내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경강로둔방10길 12 || || 새말정류소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한우로 1393[* 이 곳 마트에서 발권 업무를 병행한다.] || || [[안흥시외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안흥면 안흥로 36-1[* 이 곳 찐빵집에서 발권 업무를 병행한다.] || || [[횡성휴게소]]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안흥면 영동고속도로 153(인천방향), 154-1(강릉방향) || ==== 충청북도 ==== [include(틀:충청북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충청북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6> 괴산군 || [[괴산시외버스공용터미널]]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읍내로 286 || || 목도공동정류소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목도로 45 || || 송면정류소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문장로 3104--[*A] || || --연풍직행정류소-- ||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89 || || 이평공동정류소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문장로 2929 || || 청천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괴산로 1333-1 || ||<|7> 단양군 ||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 표에는 단양공영터미널이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수변로 111 || || [[구인사정류소]] || 충북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길 60 || || 대강정류소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장림리--[*A] || || 매포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단양로 1908 || || 상진리정류소 ||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삼봉로 121-1--[*A][* 예전에는 우측 건물 슈퍼(삼봉로 123)에 있었으나 2018년 전후로 이 곳이 문을 닫으면서 옆 건물 가게가 대신하게 되었고, 현재는 불명.] || || 영춘공동정류소 ||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온달평강로 36 || || 장회정류소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월악로 3807 || ||<|7> 보은군 || [[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장]]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삼산남로 8 || || 상판정류소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A] || || [[속리산터미널]]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202 || || 원남공동정류소 ||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원남로 29 || || 장안정류소 ||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보청대로 1066 || || --적암정류소-- ||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보청대로 86 || || 창리공동정류장 || 충청북도 보은군 내북면 남부로 6255 || ||<|5> 영동군 || 영동정류소 ||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33-1[* 원래 터미널(영동시외버스공용터미널)은 읍내(계산로 47)에 있었다가, 2004년에 외곽(회동로 226)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2021년 1월 1일에 폐쇄되었다. 이전 후에도 읍내 구터미널에서는 계속 시외버스가 섰다가 외곽 터미널 폐쇄와 함께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 영동중앙시장정류소 ||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리 912[* 시장입구 왼쪽(영동새마을금고 건너편)에 있다.] || || 추풍령버스정류소[* 표에는 추풍령공용버스정류장이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로 470 || || 황간임시정류장[* 2021년 중 건물이 철거되었고 임시 대합실이 설치되었다.] ||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영동황간로 1714 || || 황간정류장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소계리 237-12(서울 방향), 348-1(부산 방향)[* 경부고속도로에 있다. 소계삼거리(민주지산로와 소계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아래쪽으로 가면 경부고속도로가 있는데 여기에 정류장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서울경부 - 황간 - 구미 노선이 정차한다. 단순 경유지지만 황간매표소에서 발권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기재.] || ||<|4> 옥천군 || [[옥천시외버스공영정류소]] ||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양로 26 || || --안내공용버스정류장-- ||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현리3길 15 || || --이원정류장-- ||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묘목로 133-3 || || 청산버스공용정류소 ★ ||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지전길 36-11[* 대전 행 시외버스가 2018년 12월 1일에 폐선되면서, 이 곳을 경유하는 시외버스가 모두 사라졌다.] || ||<|10> 음성군 || [[음성공용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수정로 31 || || [[감곡공용정류장]][* 음성군 '여객자동차 터미널 운영 현황'에는 '감곡공용버스터미널'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장감로 193 || || 꽃동네정류장 || 충북 음성군 맹동면 꽃동네길 12-4 || || 대소버스터미널[* 음성군 '여객자동차 터미널 운영 현황'에는 '대소공동정류소'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산내로 308 || || 맹동정류소[* 음성군 '여객자동차 터미널 운영 현황'에는 '맹동공동정류소'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대동로 4-6--[*A] || || 금왕임시정류소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74-4[* 금석로 77에 있던 기존 터미널(무극공용버스터미널)은 적자로 인해 2018년 12월 27일에 폐업할 예정이었으나, 이후 어찌저찌 유지되다가 2019년 12월 16일에 지금의 임시 정류소로 이전했다. [[http://www.usjachi.com/detail.php?number=20568&thread=27|#]] 그리고 이후 음성군이 터미널 사업면허를 취소하였다. [[https://www.eumseong.go.kr/www/selectBbsNttView.do?key=2448&bbsNo=225&nttNo=129964|#]]] || || 삼성버스터미널[* 음성군 '여객자동차 터미널 운영 현황'에는 '삼성공동정류소'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로 76-5 || || 생극터미널(생극공동정류장)[* 음성군 '여객자동차 터미널 운영 현황'에는 '생극공동정류소'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음성로 1679-1[* 바로 앞 편의점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보천공동정류소[* 음성군 '여객자동차 터미널 운영 현황'에는 '원남공동정류소'라고 되어 있으며, 주소가 음성군 원남면 보천로 76로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로 69 || || [[충북혁신도시버스터미널]][* 음성군 '여객자동차 터미널 운영 현황'에는 '충북혁신도시공용버스터미널'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63 || ||<|10> 제천시 || [[제천고속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제천시 칠성로10길 12 || || [[제천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제천시 칠성로10길 21 || || 제천남부터미널 || 충청북도 제천시 동명로 21 || || 하소동정류소 || 충청북도 제천시 용두대로11길 3 || || 덕산버스정류소 ||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약초로3길 3 || || 덕주사정류소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미륵송계로 1358-2[* 정류소 앞 식당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백운정류장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천등박달로 1339 || || 세명대정류소 ||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 || || 수산공동정유소[*B 현재도 정유소 명칭을 사용 중이다.] ||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월악로22길 96-19 || || 월악산정류소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미륵송계로 1605[* 이 곳 식당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증평군 || [[증평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광장로 89 || ||<|4> 진천군 || [[진천종합터미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중앙북1길 3 || || 광혜원터미널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진광로 1557[* 예전에는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장기길 99에 있었고, 명칭도 '광혜원버스공동정류소 → 광혜원시외버스터미널'이었으나 2019년 5월 1일에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1974|#]]] || || 덕산정류소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덕금로 799[* 포털 사이트 지도 등에서는 다른 곳으로 나와 있으나, 사거리 앞 전파사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진천이월터미널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진광로 793[* 마트가 헐리고 그 자리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업무를 이어받았다.] || ||<|11> 청주시 || [[청주고속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2순환로 1229 || || [[청주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6 || || [[청주북부터미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오창공원로 133 || || [[청주북부정류장]]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직지대로 874-2 || || [[청주남부정류장]]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1012 || || [[청주남부정류장#s-3|사창정류장]]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686 || || 미원정류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단재로 2395[* 마트가 헐리고 그 자리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업무를 이어받았다.] || || [[오송역#s-6.1|오송역버스환승센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리 149-20 || || ~~[[오창시외버스정류장]]~~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중심상업로 7~~ || || [[청주국제공항]]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오창대로 980 || || 충북보건과학대정류소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풍정리 || ||<|9> 충주시 || [[충주공용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충주시 봉계1길 49 || || 건국대정류소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305-11 || || 목계정류소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구룡로 463[* 이 곳 가게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산척공동정류소 ||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천등박달로 140[* 이 곳 가게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 표에는 수안보버스터미널이라고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중앙길 25[* 이 곳 가게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엄정정류소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내창로 182 || || 용원정류소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775[* 마트가 헐리고 그 자리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업무를 이어받았다.] || || 용포버스정류장 ||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가곡로 1033 || || 주덕버스터미널 ||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신양로 125 || ==== 충청남도 ==== [include(틀:충청남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충청남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2> 계룡시 || [[계룡시#s-4.3|금암동정류소]] || 충청남도 계룡시 금암동 166 || || [[계룡시#s-4.3|양정직행버스정류소]] ||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양정향한길 7[* 이 곳 슈퍼에서 발권 업무를 병행한다.] || ||<|16> 공주시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로 74[* 예전에는 바로 옆 건물인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608에 '공주시외버스터미널'이 있었고, 현재 터미널 자리에 고속버스터미널이 있었으나 하나로 합쳤다.] || || [[공주산성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미나리1길 6-8 || || [[공주시내버스터미널]] ★ ||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시장5길 42-21 || || 공주고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85 || || --공암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송곡로 55-4 || || 공암합동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반포초교길 17 || || 광정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정안중앙길 190 || || 계룡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영규대사로 485-1 || || --모란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화봉리 84-5 || || 신풍정유소[*B] ||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신풍길 72-1 || || [[유구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유구마곡사로 9 || || 이인합동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검바위로 223 || || --인풍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차령로 3952-2 || || [[정안알밤휴게소]]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논산천안고속도로 57(순천 방향)[br]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논산천안고속도로 58(천안 방향) || || 탄천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통산로 182-1[* 본래는 건너편 약국 건물에 매표소가 있었고 명칭도 '탄천정유소'였으나, 폐쇄되면서 건너편 식당이 매표 업무를 이어받았으며 명칭도 바뀌었다.] || || 하마루정류소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영규대사로 88 || ||<|5> 금산군 || [[금산종합버스터미널]][* 터미널 건물에는 '금산터미널'로, 터미널 입구에는 '금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로 되어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후곤천길 77 || || 금산시내버스터미널 ★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금산로 1535 || || 마전시내버스터미널 ★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대학로 32-9 || || 새말합동정류소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금산로 1741 || || [[금산인삼랜드휴게소]]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어필각로 300(통영 방향)[br]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대암길 34-30(하남 방향) || ||<|9> 논산시 || [[논산고속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논산시 계백로 973 || || [[논산시외버스터미널]][* 터미널 건물에는 '논산버스터미널'로 되어 있다.] || 충청남도 논산시 계백로 1000 || || [[덕성여객|논산시내버스터미널]] ★ || 충청남도 논산시 해월로249번길 10 || || [[강경시외버스터미널|강경버스정류소]]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139번길 4 || || 노성합동정류소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노성로 580[* 슈퍼에서 팔았으나, 현재도 파는지는 불명.] || || --상월정류소--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백일현로 1046 || || --양촌정류소--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황산벌로 450[* 이 곳에 있던 만두가게에서 표를 팔았으나, 현재는 매표소와 만두가게 모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 [[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안심로 143 || || [[연무시외버스정류소]]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동산리 880-10[* 본래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안심로 162-1에 건물과 박차장이 있었다. 현재도 쓰지 않는 건물로 남아 있다.] || ||<|5> 당진시 || [[당진공영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당진시 밤절로 149 || || 기지시정유소[*B]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반촌로 98-2 || || --매산정유소--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샛터로 355 || || [[삽교천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삽교천길 103 || || [[합덕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면천로 1724 || ||<|5> 보령시 || [[보령공영종합터미널|보령종합터미널]] || 충청남도 보령시 터미널길 8 || || 대천해수욕장시외버스정류장[* 피서철에만 운영.] ||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 2279번지 || || 웅천터미널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방축길 65 || || 청라정류소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원모루길 229 || || 청소정류소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청소큰길 177 || ||<|7> 부여군 || [[부여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사비로 83 || || 구룡정류소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명 흥수로 172 || || --내산정류소--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성충로 1018-1 || || --논티정류소--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구룡로 390 || || 옥산정류소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신안로 332[* 이 곳 마트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임천정류소--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 109[* 현재는 택배회사가 들어서 있다.] || || 홍산정류소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토로 36[* 예전에는 건너편 건물(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산로 72)에 영업소와 박차지가 있었으나, 현재는 이 곳 슈퍼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8> 서산시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서산시 안견로 190 || || 고북정류소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고북1로 298-1 || || [[대산버스터미널]] ★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정자동4로 8 || || --성연정류소-- ★ ||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 성연로 208 || || 운산정류소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운암로 1049[* CU 맞은편 건물 슈퍼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음암정류소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운암로 389[* 이 곳 CU 편의점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한서대학교|한서대정류소]]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한서1로 5[* 이 곳 편의점에서 발권/예매업무를 병행한다.] || || 해미정류소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남문5로 9 || ||<|8> 서천군 || [[서천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로 29 || || 계동정류소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서로 715-1 || || --신장정류소--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한마로 439 || || 문산정유소[*B]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신농길 12-1 || || 장항버스공용정류장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서로 78 || || 판교정류소 || 충남 서천군 판교면 대백제로 1912 || || 한산공용터미널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한산모시길 30 || || 화양정유소[*B]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길 8-2 || ||<|6> 아산시 || [[아산고속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아산시 번영로 223 || || [[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아산시 번영로 225 || || [[봉강교정류소]][* '호서웨딩홀'이나 '구.서부휴게소' 등으로도 불린다. 시외버스모바일에는 '봉강교'로, 코버스에는 '아산서부'로 등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온천대로 2230[* 주유소 안 편의점에서 고속·시외버스 발권이 가능하다.] || || 송악면환승센터 ★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로 1030-14 || || 신창정류소(읍내리)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대로 837 || || 신창정류소(면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서부북로 636-1[* 버스타고 상으로는 여기가 주소로 나오나 실제 주소와는 약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7> 예산군 || [[예산종합터미널]]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금오대로 35-14 || || 광시정유소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예당로 155-1[* 광시파출소 옆 마트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내포신도시고속시외버스정류소]]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목리 767 || || 덕산온천(스플라스리솜)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온천단지3로 45-7[* 테마동에 무인발권기가 있다. 승차장은 플렉스타워 주차장 앞에 있다.] || || --마교정류소--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한천로 355-1 || || 신례원정류소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신례원리 253-6 || || 신양정류소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청신로 383(?) || ||<|5> 천안시 || '''[[천안종합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 43 || || [[남서울대학교|남서울대정류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 18-9 || || [[병천정류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절로 1757[*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절로 1736에 있었으나 이전했다.] || || [[성환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2로 104 || || 쌍용동정류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쌍용대로 51 || ||<|3> 청양군 || [[청양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중앙로 142 || || --운곡정류소--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309-20 || || [[정산정류소]] ||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칠갑산로 1912 || ||<|6> 태안군 || [[태안공영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동백로 304 || || 남면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남면로 100 || || 만리포시외버스정유소[*B]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서해로 24 || || [[안면공용정류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장터로 126-1 || || 영목정류소 ||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안면대로 4551-1 || || 창기정유소[*B] || 충남 태안군 안면읍 안면대로 2119 || ||<|2> 홍성군 || [[홍성종합터미널]]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조양로247번길 9 || || [[광천버스터미널]] ||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광천로273번길 11 || ==== 전라북도 ==== [include(틀:전라북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전라북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5> 고창군 || [[고창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중앙로 191 || || 대산공용정류장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대성로 234 || || 무장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242 || || 해리공용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해리중앙로 39 || || 흥덕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선운대로 3722 || ||<|3> 군산시 || [[군산고속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로 30 || || [[군산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로 18 || || [[대야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번영로 891 || ||<|3> 김제시 || [[김제종합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김제시 동서로 241 || || [[원평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로 35 || || --만경터미널--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로 813 || ||<|4> 남원시 || --[[남원고속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남원시 춘향로 78 || || [[문화터미널남원]] || 전라북도 남원시 용성로 109 || ||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북2길 18 || || [[뱀사골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지리산로 841 || ||<|6> 무주군 || [[무주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한풍루로 351 || || --구천동정류소--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1로 77 || || --무풍정류장--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로 213[* 현재는 건물이 시장(대덕산장터)으로 리모델링되었다.] || || 설천버스정류소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무설로 1571 || || [[안성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시장윗길 6-3 || || --적상정류소--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328-3[* 현재는 건물 자체가 철거되었다.] || ||<|4> 부안군 || [[부안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석정로 210 || || [[격포터미널]]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항길 2 || || [[줄포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줄포6길 10 || || 곰소(진서)직행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청자로 959 || ||<|4> 순창군 || [[순창공용버스정류장]]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장류로 355 || || 금과합동정류소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담순로 611 || || 적성합동정류소 ||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적성로 126 || || 동계정류소 ||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현포리 610-2 || ||<|9> 완주군 || [[삼례공용터미널]]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동학로 28 || || 고산여객자동차터미널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고산로 91 || || [[대둔산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공원길 11 || || --봉동터미널--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로 150 || || [[우석대정류소]]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 || || --운주정류소--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운주로 118 || || 익산IC정류장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로 886[* 이설되기 전 익산나들목 대전 방향 바로 옆에 있었다.] || || 장신대정류소 || 전북 완주군 상관면 신리 694-1 || || 전주혁신도시간이정류소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갈산리 681[* 도로가 전주시와 완주군의 경계에 있으나 매표소가 완주군 쪽에 있다.] || ||<|5> 익산시 || [[익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 2022년 12월 31일, 고속버스터미널 폐쇄 후 시외버스터미널과 통합.]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56 || || 익산원광대터미널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460 || || 금마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1길 35 || || 왕궁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농공단지길 7-7[* 정류장은 큰길에 있으나, 매표소는 주소에 있는 왕궁농공단지 관리사무소에 있다.] || || [[익산역시외버스정류장]]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 || ||<|7> 임실군 || [[임실공용터미널]] ||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운수로 20 || || [[강진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호국로 10 || || [[관촌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사선로 32 || || 오수공용버스정류장 ||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로 173 || || 삼계공용정류소 ||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충효로 1282--[*A] || || 성수공용정류장 || 전라북도 임실군 성수면 임진로 200 || || [[청웅터미널]] || 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청웅로 152 || ||<|6> 장수군 || [[장수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천로 175 || || 계남정류소 ||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장수로 3070[* 이 곳 마트에서 발권 업무를 병행한다.] || || 번암정류소 ||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장수로 489 || || 산서정류소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비행로 6 || || 장계시외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한들로 90-1 || || 천천정류소 ||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송탄4길 1 || ||<|11> 전주시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전주천동로 469 || ||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가리내로 30 || || 노송동정류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177[* 예전에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123에 있었으나, 2018년 1월 17일에 홈플러스 맞은편에 가판대를 새로 만들고 이 곳으로 이전했다.] || || 덕진정류장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광장로 3 || || 서부시외버스간이정류소(효자동)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1326-6[* 미르피아병원 앞에 정류장이 있다. [[https://blog.naver.com/1717bh/220934034146|#]]] || || 완산공용정류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281 || || 인후정류소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안덕원로 240 || || 전동터미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팔달로 103 || || 전주대정류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 || || 호남제일문간이정류소(시외버스)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여의동 1227-1 || || 호남제일문정류소(고속버스)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여의동 1241-3 || ||<|7> 정읍시 || [[정읍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정읍시 연지동 312-12 || || [[정읍공용버스터미널|정읍고속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정읍시 중앙로 32 || || [[내장산공용터미널]] || 전라북도 정읍시 추령로 2207 || || [[산외터미널]]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산외로 433 || || [[신태인터미널]] ||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서태길 29 || || [[칠보터미널]]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2길 3 || || [[태인터미널]]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인로 18-23 || ||<|6> 진안군 || [[진안시외버스공용정류장]]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120 || || 백운정유소[*B]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임진로 1328 || || --성수터미널--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관진로 805 || || 안천버스정류소 ||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진무로 2980 || || 우화정류소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079-1 || || 주천정류소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동산주천로 2221--[*A] || ==== 전라남도 ==== [include(틀:전라남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전라남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3> 강진군 || [[강진버스여객터미널]]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영랑로 35 || || 마량버스여객터미널 ||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 마량4길 11 || || 성전터미널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별뫼로 379 || ||<|7> 고흥군 || [[고흥공용정류장]] ||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터미널길 25 || || [[과역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무궁화길 5 || || [[나로도공용터미널]] ||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축정1길 25 || || [[녹동버스공용정류장]]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천마로 57 || || [[도화공용터미널]]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중심길 9 || || 동강합동정류소 ||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고흥로 4261 || || 점암정류소 ||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모룡길 71[* 이 곳 슈퍼에서 발권이 가능하다.] || ||<|3> 곡성군 || [[곡성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군청로 6 || || [[옥과터미널]] ||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대학로 156-1 || || [[석곡공용터미널]] ||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석곡로 55-4 || ||<|5> 광양시 || [[광양터미널]]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순광로 688 || || [[중마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광양시 공영로 91 || || [[섬진강휴게소]] ||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신답길 24-14(순천 방향)[br]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섬진강매화로 141(부산 방향) || || 용지정류소 ||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1로 149 || || 진상버스정류소 ||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학연로 12 || || 구례군 || [[구례공영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중앙로 8 || ||<|6> 나주시 || [[나주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로 191 || || 동강정류소 ||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동강로 597 || || 동창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동창로 142 || || 다시터미널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영산로 4526 || ||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승차홈은 따로 없으나 내부에서 표 발권이 가능해 기재한다.] || 전라남도 나주시 문화로 204 || || [[영산포공용터미널]] || 전라남도 나주시 예향로 3803 || ||<|2> 담양군 || [[담양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중앙로 24-1 || || 동광고속정류소(금성정류소) ||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담순로 143 || || 목포시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525 || ||<|7> 무안군 || [[무안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무안로 497-1 || || 남악시외정류소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 1462 || || 망운정류소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운해로 1409-1 || || 신월버스정류장 ★ ||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신월로 558-23[* 이 곳 슈퍼에서 발권이 가능하다.] || || 청계시외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영산로 1688 || || 해제여객터미널 ||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양간로 17 || || 현경정류소 ||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현해로 83[* 바로 앞 편의점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7> 보성군 || [[보성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현충로 20 || || 문덕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장운길 61 || || [[벌교버스공용터미널]]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조정래길 2-8 || || 복내정류소 || 전라남도 보성군 복내면 송재로 1827 || || 북문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송재로 176 || || 예당정류소 ||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예당길 166 || || [[율포버스정류소]] || 전남 보성군 회천면 우암길 4 || ||<|5> 순천시 || [[순천종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3길 13 || || 북부정류소 ||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148 || || [[송광사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77 || || 순천역시외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순천시 조곡동 150[* 순천역 건너편에 발매기와 쉘터가 있다. 다만 안에 시간표가 없으니 참조. 반대 방향은 횡단보도 건너편에서 내려주며 승차는 불가.] || || [[주암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동주로 2040-1[* 이 곳 마트에서 발권 업무를 병행한다.] || ||<|3> 신안군 || 압해정류장 ★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학교리 617-7 || || 지도서부정류소 ||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해제지도로 1310-3 || || [[지도여객자동차터미널]] ||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해제지도로 1240 || ||<|3> 여수시 || [[여수종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여수시 좌수영로 268 || || 덕양시외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덕양로 462-1 || || [[여천시외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여수시 무선로 200 || ||<|3> 영광군 || [[영광종합터미널]] ||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신남로 180 || || 법성포터미널 ||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포로 83 || || 홍농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상하길 28 || ||<|5> 영암군 ||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동문로 8 || || 독천터미널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영산로 6 || || 삼호종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호중앙로 246 || || 시종공용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마한로 1281-1 || || 신북터미널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예향로 2542-1 || ||<|4> 완도군 || [[완도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130번길 20 || || 고금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고금동로2번길 27 || || 당목정류소 ||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 당목길 140[* 예전에는 144였으나 근방 건물들의 도로명주소가 바뀌면서 140으로 변경되었다.][* 슈퍼에서 발권 업무를 병행하였으나 편의점으로 바뀐 뒤에도 하는지는 불명.] || || 원동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서로 2184[* 이 곳 마트에서 발권 업무를 병행한다.] || ||<|3> 장성군 || [[장성공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영천로 125 || || 백양사정류소 ||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59-1 || || 장성사거리버스여객터미널 ★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양로 3 || ||<|6> 장흥군 || [[장흥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중앙로1길 8 || || 관산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관산로 121-12 || || 대덕공용버스터미널[* 터미널 입구에는 '대덕버스정류장'으로 되어 있다.] ||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읍 거정4길 22[* 예전에는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읍 대대로 954에 있었으나, 대덕읍종합복지회관과 합쳐졌다.] || || 배산정류소 ||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흥성로 1562 || || 장평협동정류소 || 전라남도 장흥군 장평면 장평중앙길 60 || || 회진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회진로 425 || ||<|2> 진도군 || [[진도공용터미널]]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남문길 5 || || 녹진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진도대로 8456 || ||<|3> 함평군 || [[함평공영터미널]]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중앙길 46 || || 문장공영터미널 ||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해삼로 364-6 || || 함사거리정류장(구.학교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영로 503 || ||<|10> 해남군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남로 8 || || 남리정류소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418 || || 남창정류소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달량진길 50 || || 땅끝정류소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길 70-14 || || 문내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영길 22 || || 산정정류소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1길 74 || || 송호리정류소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땅끝해안로 1807 || || 월송자동차여객터미널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시등리길 27 || || 좌일시외버스터미널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만월길 3 || || 화원터미널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청용길 44-1 || ||<|4> 화순군 || [[화순시외버스공용정류장]]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시장길 7 || || 화순군내버스정류장 ★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자치샘로 26 || || 능주버스정류장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죽수길 93 || || 동복합동정류장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오지호로 279 || ==== 경상북도 ==== [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경상북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5> 경산시 || [[경산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 196 || || 갈지리정류소 ||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설총로 301--[*A] || || 영남대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 || 자인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설총로 896-4 || || [[하양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로 42[* 예전에는 하양로 34에 있었으나, 현재는 마트 옆 가판대에서 표를 판매한다. 박차지는 사설 주차장으로 바뀌었다.] || ||<|11> 경주시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경주시 태종로685번길 2 ||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경주시 강변로 184 || || --경주역시외버스역전매표소--[* 교통혼잡 및 통합전산망 구축에 대한 부담을 이유로 2016년 6월 13일에 폐쇄되었다. [[https://blog.naver.com/gbdaily2015/220720935904|관련 게시물]]] || 경상북도 경주시 원화로 296 || || 감포공용버스주차장 || 경북 경주시 감포읍 동해안로 2215 || || 감포버스정류장 || 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로 115[* 예전에는 터미널 건물이 따로 있었으나, 현재는 감포항 정류장 바로 뒤에 가판대가 있다.] || || 건천공용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경주시 내서로 1074[* 마트가 헐리고 그 자리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업무를 이어받았다.] || || 불국사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 3029 || || 아화터미널 ||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내서로 432[* 마트가 헐리고 그 자리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업무를 이어받았다.] || || 안강동부정류장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안현로 1548 || || 안강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안강중앙로 142 || || 입실정류장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입실로 89[* 이 곳 가게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고령군 || [[고령터미널]]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중앙로 29 || ||<|10> 구미시 || [[구미종합터미널]] || 경상북도 구미시 송원동로 72 || || --고아버스공용정류장--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대로 961 || || 공단매표소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00 || || [[낙동강구미휴게소]]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용산3길 122-65 || || 도개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도안로 94 || || [[선산터미널]]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선산대로 1408 || || [[선산휴게소]]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중부내륙고속도로 128(양평 방향), 129(마산 방향) || || 장천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강동로 203 || || 주공매표소 ||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179 || || --해평공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강동로 1616 || ||<|3> 김천시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표에는 김천시외버스정류장이라고 되어 있다.] || 경상북도 김천시 자산로 152-8 || || 김천고속버스정류장[* 공항버스 등 일부 노선은 터미널 대신 이 곳에만 정차한다.] || 경상북도 김천시 송설로 32[* 원래 송설로 168에 위치한 버스정류장에서 승차했으나 2023년 5월 1일부로 재운행에 들어갔을때 현 위치로 정류장을 옮겼다.] || || 상부정류소 ||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남김천대로 1731-3 || ||<|5> 문경시 || [[문경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458 || || 가은아자개장터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대야로 2475 || || 농암정류소 || 경상북도 문경시 농암면 농암길 45 || || [[점촌시외버스터미널]](점촌남부) ||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로 54 || || 점촌시내버스터미널 ★ || 경상북도 문경시 흥덕로 16 || ||<|4> 봉화군 || [[봉화공용정류장]]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봉화로 1153 || || 대현정류소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청옥로 1907-1 || || [[춘양버스정류장|춘양공영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의양로5길 3 || || 현동정류소 ||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소천로 1267--[*A] || ||<|10> 상주시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상주시 삼백로 71 || || 경대매표소[br](경북대 상주캠퍼스) ||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2555[* 정문 바로 왼쪽에 컨테이너 박스로 된 매표소가 있다.] || || 낙서정류소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1길 69 || || 낙동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영남제일로 87 || || --모서공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중화로 893-1 || || --모동공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용호리 57-1 || || 용포정류장 || 경상북도 상주시 선상서로 1596 || || --은척정류장--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봉중1길 7 || || 함창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중앙로 99 || || 화령공용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화령남5길 9 || ||<|2> 성주군 || [[성주버스정류장]][* 표에는 성주시외버스공용정류장이라고 되어 있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길 15-4 || || 가천정류소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2길 6 || ||<|8> 안동시 || [[안동터미널]]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0 || || 안동역시외버스정류장 || 경북 안동시 천리동 215-9[* 안동초교 정류장(안동역 방향) 옆 가판대에서 표를 판매한다.] || ||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1682 || || 길안정류장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천지길 36 || || 온혜정류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2605 || || 옹천정류소[* 표에는 옹천합동정류장이라고 되어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북평로 891 || || 용상시외버스정류소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908 || || 풍산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풍산중앙길 158-1--[* 현재는 다른 곳에서 발권 업무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 ||<|4> 예천군 || [[예천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충효로 165 || || 감천버스정류소[* 표에는 감천공용버스정류소라고 되어 있다.] ||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충효로 1388 || || 용궁버스정류소 ||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용궁로 152[* 이곳 가게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풍양정류장|풍양버스정류소]]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낙상2길 13 || ||<|6> 영덕군 || [[영덕터미널]]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군청길 58 || || [[강구시외버스터미널|강구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영덕대게로 6-1 || || 신기정류소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영해로 11[* 이곳 가게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영해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예주시장길 5 || || 도곡정류장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615-3 || || [[장사]]정류소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진불1길 4-5 || ||<|2> 영양군 || [[영양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시장길 1-10 || || 입암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조기리길 22 || ||<|4> 영주시 || [[영주종합터미널]] || 경상북도 영주시 대학로 352 || || --꽃동산시외버스정류소--[* 영주터미널이 시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동시에 폐쇄되었다. 다만, 이 곳에서 하차가 가능했던 일부 노선들은 여전히 하차 가능.] || 경상북도 영주시 지천로 159 || || 풍기시외버스정류소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풍기로 1 || || [[풍기IC 터미널]]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소백로 1645 || ||<|6> 영천시 || [[영천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영천시 강변로 44 || || 고경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호국로 1080 || || --금호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금호로 72 || || 삼창정류소 || 경상북도 영천시 천문로 1626 || || [[신녕버스터미널|신녕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영천시 장수로 1670-1 || || 북안공용버스터미널(구.임포공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운북로 2032-1 || ||<|10> 울진군 || [[울진종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울진중앙로 18 || || 금강송면정류장(구.삼근정류소)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불영계곡로 1682 || || 기성공용정류장 ||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기성로 659 || || 덕구온천정류소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덕구리 || || --매화정류장--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원남로 468-1 || || 부구터미널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울진북로 2098 || || 온정종합터미널 ||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백암온천로 1298-4 || || 죽변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중앙로 74 || || 평해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로 55 || || 후포터미널 ||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상밤터1길 5 || ||<|2> 울릉군 || 도동정류소 ★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130-3 || || 천부정류장 ★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3140 || ||<|11> 의성군 || [[의성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문소3길 109 || || 가음시외버스공용정류장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리1길 7 || || [[낙동강의성휴게소]]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도안로 757-67 || || 낙정정류소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도안로 825 || || [[다인정류장]]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부로 2750 || || 단촌터미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신기길 45 || ||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리원1길 38 || || 비안정류소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강변길 45 || || [[안계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4길 18 || || 춘산정류소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성현서로 1526 || || [[탑리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2길 7 || ||<|6> 청도군 || [[청도공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청화로 197 || || 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청려로 4721 || || 동곡공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동곡5길 33 || || 동창정류소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청려로 3716-1[* 이 곳 가게에서 발권업무를 병행한다.] || || 운문사공용정류장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114 || || 풍각버스정류장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봉기로 156 || ||<|9> 청송군 || [[청송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184 || || 부남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대전로 152 || || 주산지공용정류장(구.부동공용정류장))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부동로 1013 || || 안덕정류소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안덕로 69-13 || || 월정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청송로 333 || || 주왕산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299 || || [[진보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보로 110-11 || || [[화목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구산북로 71-1[* 예전에는 73에 있었는데, 건물을 새로 지으면서 이전했다.] || || 현동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도평5길 3 || ||<|3> 칠곡군 || [[왜관남부정류장]]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 158 || || [[왜관북부정류장]]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 248-1 || || [[약목정류장|약목정류소]]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약목로 94-2(?) || ||<|5> 포항시 || [[포항고속버스터미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중앙로 166 || || [[포항터미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중흥로 85 || || 나루끝정류장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우현동 553번지 || || 송라정류장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동해대로 2935 || || 죽장정류장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3 [* 현재 운행 노선은 대구행, 영천행 뿐이다. 2016년 2월까지 안동~울산 노선이 정차했으나 2016년 3월 울산행 폐지 후 안동~포항 노선으로 변경되었다가 2020년 코로나 확산 이후 현재까지 안동~포항 노선도 더이상 정차하지 않는다.] || ==== 경상남도 ==== [include(틀: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 ||<-3>
{{{#white 경상남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군 || 명칭 || 주소 || ||<|2> 거제시 || [[고현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천로 10 || || [[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남도 거제시 장승로 98 || ||<|4> 거창군 || [[거창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 236 || || 서흥여객버스터미널 ★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밭들길 33 || || --신원정류소-- ||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신차로 3062 || || 위천정류소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원학길 351 || ||<|2> 고성군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고분로 339 ||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회진로 11 || ||<|4> 김해시 || [[김해여객터미널]] ||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232 (외동) || || 장유고속버스환승정류장 || 경상남도 김해시 금관대로 587 (무계동)[* 대동황토방1단지 남쪽에 매표소와 쉘터가 있다.] || || 장유시외버스임시정류소 || 경상남도 김해시 금관대로599번길 17 (무계동)[* 대통황토방1단지 상가 북쪽에 매표소와 쉘터가 있다.] || || [[진영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215 (여래리) || || 남해군 || [[남해공용터미널]] ||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남해대로 2835 || ||<|6> 밀양시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밀양시 북성로 7 || || 구기정류소 ||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청도로 111-1 || || 수산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수산중앙로 12 || || 얼음골정류소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얼음골로 197 || || 유천버스정류장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상동로 593 || || 표충사정류소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시전2길 9-15 || ||<|3> 사천시 || [[사천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옥산로 120 || || 곤양공용터미널 ||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성내로 2 || ||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사천시 중앙로 158 || ||<|6> 산청군 || [[산청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덕계로 16 || || 대원사정류소 ||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원사길 241--[*A] || || 대포정류소 ||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덕산대포로 260--[*A] || || 생초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산수로 1050 || || 원지버스정류소 ||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원지로 16 || || [[중산리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519 || ||<|2> 양산시 || [[양산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역1길 7 (중부동) || ||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30 (순지리) || ||<|3> 의령군 || [[의령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6길 13 || || 대의정류소 ||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대의로 55 || || 신반임시정류소 ||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 565-19 || ||<|6> 진주시 || [[진주고속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16 || || [[진주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712 || || [[진주여객자동차터미널]] || 경상남도 진주시 호탄동 896 || || 개양오거리 ||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길74번길 10-1 || || 경남과학기술대정류소 ||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33 || || 반성터미널 ||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동부로 1946 || ||<|4> 창녕군 || [[창녕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창녕대로 11 ||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동포옛길 25 || || 부곡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원앙로 199 || || 영산정류소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연지길 7 || ||<|11> 창원시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 371 (팔용동) ||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포로 290 (양덕동) ||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3.15대로 756 (합성동) ||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서로 10 (해운동) || || [[남산시외버스정류소]]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1024 (남산동) || || [[내서고속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유통단지로 35 (중리) || || 용원시외버스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로 114 (용원동) || || 진동시외버스정류장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삼진의거대로 621 (진동리) ||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태평로34번길 17 (인의동) || || 창원역시외고속버스정류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의창대로 67 (동정동) || || 창원역시외정류장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의창대로 68 (팔용동) || || 통영시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죽림4로 24 || ||<|5> 하동군 || [[하동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너뱅이길 35 (비파리) || || 옥종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옥종중앙길 47 || || 전도정류소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섬진강대로 983 || || [[진교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진교중앙길 14-8 || || 화개터미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화개로 18-2 || ||<|3> 함안군 || [[함안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함마대로 1636-16 || || --군북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함마대로 772 || || 대산정류소 ||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대산중앙로 205 || ||<|7> 함양군 || [[함양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한들로 159 || || 마천정류소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175 || || 백무동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백무동로 313 || || 서상터미널 ||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서상로 272 || || 수동정류소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수동길 4[* 이 곳 마트에서 발권이 가능하다.] || || 안의버스공용터미널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강변로 295 || || 추성정류소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344-2--[*A] || ||<|5> 합천군 || [[합천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대야로 880-3 || || 가야합동버스정류장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시장로 73 || || --삼가정류소-- ||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삼가1로 78 || || 적교정류소 ||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의합대로 2930 || || 해인사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808 || ==== 제주특별자치도 ==== ||<-3>
{{{#white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터미널 목록}}} || ||<-3>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시 || 명칭 || 주소 || || 제주시 || [[제주버스터미널]]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광로 174 || || 서귀포시 || [[서귀포버스터미널]]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9217 || ==== 세종특별자치시 ==== ||<-2>
{{{#white 세종특별자치시 버스 터미널 목록}}} || ||<-2> (지역명 기준 가나다순 배치) || || 명칭 || 주소 ||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269-19 || ||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조치원로 54 || || [[정부세종청사북측 정류장#s-4.1|정부세종청사정류장]] ||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56 || || --감성합동정류소--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감성리 126-1 || || --전의시외버스정류장--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운주산로 1200-1[* 간판은 현재도 남아 있다.] || === 아시아 === ==== 중국 ==== * [[빠왕펀 버스 터미널]] * [[익스체인지 스퀘어 버스 터미널]] ([[홍콩]]) ==== 일본 ==== * [[바스타 신주쿠]] (도쿄) * 사이타마신토신 버스터미널 (사이타마) * [[http://ocat.co.jp/|OCAT]] (오사카) * [[니시테츠 텐진고속버스터미널]] (후쿠오카) * [[하카타 버스터미널]] (후쿠오카) * [[HEARTS 버스스테이션 하카타]] (후쿠오카) * 스나츠 버스센터 (키타큐슈) * 사가역 버스센터 (사가) * [[구마모토 사쿠라마치 버스터미널]] (구마모토) * [[나가사키 현영버스터미널]] (나가사키) * 나가사키 신치버스터미널 * 미야코시티 버스센터 (미야자키) ===== 그 외 ===== 정식 버스 터미널은 아니지만 고속버스 승하차으로 쓰이는 곳이 있다. * 도쿄 * [[도쿄역]] 동쪽(야에스)출구 - JR버스를 여기서 탈 수 있다. * 도쿄역 야에스출구 카지야바시 주차장(八重洲口鍛冶橋駐車場) - JR버스 이외의 고속버스는 여기서 승하차한다. * [[이케부쿠로]] 선샤인60 - 승하차 둘 다 가능 * 이케부쿠로 서쪽출구 * 아이치 * [[나고야역]] 서쪽출구 근처 - 승차 전용. * ささしまライブ(사사시마라이브) - 하차 전용이다. 나고야역까지는 5분정도 걸어야한다. * [[카나야마역(아이치)|카나야마역]] 근처 * 교토 * [[교토역]] 하치죠 출구 * 오사카 * 오사카 우메다플라자 모터플 - 오사카(우메다)역 북쪽에 있고 승하차 둘 다 가능. * 효고 * [[산노미야역]] 근처 : 승하차 둘 다 가능. * 오이타 * [[오이타역]] 앞 * [[벳푸역]] 앞 * 가고시마 * [[가고시마츄오역]] 앞 ==== 북한 ==== [include(틀:북한의 버스터미널)] === 아메리카 === 터미널이 없는 경우가 많다. 뉴욕이나 토론토 같은 대도시에나 터미널이 있고 그냥 노상에서 바로 타고 내려주는 경우가 더 많다. 그래서 정류장 위치를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 뉴욕의 PABT 같이 경찰이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터미널을 제외하고는 노숙자들의 천국인 경우가 많고 전반적으로 치안이 안좋은 경우도 많아 조심하는 게 좋다. 어느 정도냐면 일부 지역은 터미널 안에 [[경찰서]]가 있다.[* 한국에서 비슷한 예를 찾자면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앞에 경찰서가 있다. 하지만 미국의 터미널 경찰서는 그런 느낌의 경찰서가 아니라 진짜 우범지대에 설치되는 경찰서 같은 느낌이다.] ==== 미국 ==== * [[포트 오소리티 버스 터미널]] ==== 캐나다 ==== * [[유니언역(토론토)|토론토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 최신식으로 지어서 매우 깔끔하다. 다만 유니언역에서 터미널 내부로 연결되는 통로가 생각보다는 복잡한 편이라서[* 거의 전부 [[캐나다]] 은행인 몬트리올 뱅크에서 임대한 시설이다.] 익숙하지 않은 여행객이라면 버스시간보다 넉넉하게 도착하는 게 좋다. ==== 멕시코 ==== * [[멕시코시티 남부종합버스터미널]] * [[멕시코시티 북부종합버스터미널]] * [[프리메라 플루스 멕시코시티 비야 코아파 지점]] * [[FYPSA 멕시코시티 발부에나 지점]] === 유럽 === ==== 영국 ==== * [[빅토리아 코치 스테이션]] === 오세아니아 === === 아프리카 === == 기타 == *승/하차장 뒤편의 버스들이 드나드는 터미널 내 도로 공간과 박차장은 '''일반인 출입금지 지역'''이다. 가끔 승/하차 홈을 [[지름길|숏컷]]으로 가로질러 가기 위해 터미널 내 도로로 나가거나, 터미널에 늦게 도착해서 막 출발하려는 버스를 잡기 위해 도로로 내려가 헐래벌떡 뛰어가는 [[손놈]]들이 종종 보이는데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기본적으로 터미널 내 도로는 사람이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이 있을 것이라 예상을 하지 않는데다 대형버스는 [[사각지대]]가 넓은 편이라, 출발하려고 승차장에서 후진하는 버스가 '사람이 있으면 알아서 멈추겠지'라고 안일하게 생각하며 버스로 뛰어오는 탑승객을 그대로 역과(歷過)하는 사고가 잊을만하면 일어나는 위험지역이다.[* 특히 주변 시야가 잘 보이지 않는 야간이면 위험성은 배로 높아진다.] 아무리 급하다 해도 터미널 내 도로로는 절대 다니면 안 된다. [[http://www.newstheone.com/news/articleView.html?idxno=84595|2021년 9월 25일 세종터미널 사망사고]] [[https://www.yna.co.kr/view/AKR20230130164500061|2023년 1월 30일 수원터미널 사망사고]] 두 사고 모두 탑승객이 터미널 내 도로로 내려와 이동하다가 버스에 역과 당한 사고이다. [[분류:버스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