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슈퍼 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슈퍼 마리오 시리즈/변신)]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의 변신 아이템)]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리오 시리즈]]의 아이템. 거의 모든 마리오 시리즈의 게임에 등장하며, 마리오 시리즈의 상징이기도 하다. == 슈퍼버섯 == ||<-2> [[파일:159c409a87b6ad9 (2).png|width=2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슈퍼버섯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スーパーキノコ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Super Mushroom || === 상세 === 마리오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슈퍼 마리오 시리즈/아이템#s-2.1|코인 및 1-UP 버섯]], [[플라워(마리오 시리즈)|파이어플라워]], [[스타(마리오 시리즈)#무적 아이템: 슈퍼스타|슈퍼스타]]와 함께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가진 아이템이다. 일반적인 능력은 꼬마리오를 슈퍼마리오로 파워업 시켜주는 것이지만, 게임에 따라서는 다른 능력을 부여하기도 한다. 게임 시스템적으로는 꼬마리오가 기본 형태이지만, 공식 아트웍이나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시리즈 및 슈퍼 마리오 런 이외의 게임들을 보면 이 버섯을 먹고 커진 마리오가 평상시의 마리오인 듯하다. 슈퍼 마리오 런에서 슈퍼버섯을 먹지 않은 상태의 피치, 요시, 키노피코, 데이지는 모두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체격이 작다. 이 아이템의 모티브는 사실 [[환각버섯]] 중 하나인 [[광대버섯]]이다. 의외로 [[검은 닌텐도]]인 부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영감을 얻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https://www.denofgeek.com/games/is-super-marios-most-iconic-power-up-really-based-on-magic-mushrooms/?amp|#]] === [anchor(a)][[슈퍼 마리오 시리즈]] === [include(틀:U 전후 마리오)] ==== 2D 게임 ==== [youtube(6G-k4zxou7Y)] 슈퍼버섯 획득 효과음. 2D 시리즈는 공식적으로 이 효과음이 표준이다. 패미컴판 오리지널 버전은 게임 외에도 각종 방송에서 즐겨쓰는 효과음이다. 원본과 비슷하게 뭔가가 커지거나 파워업될 때 붙인다. 사실 이 효과음은 슈퍼 마리오 1의 코스 클리어 음악을 빠르게 돌린 것이다. 2D 시리즈에선 작은 마리오 상태를 '마리오', 버섯을 먹은 후 키가 큰 상태를 '슈퍼마리오'라고 한다. 마리오 상태에서 특정 물음표 블럭을 치면 슈퍼버섯이 등장하며, 이때 먹으면 특유의 효과음과 함께 슈퍼 마리오가 되어 벽돌을 부수는 게 가능해진다.이 상태에서 대미지를 받으면 그대로 마리오로 되돌아온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더 로스트 레벨즈]]에서는 변종인 독버섯이 등장하는데, 이 독버섯을 먹으면 대미지를 입으며 꼬마리오 상태에서 독버섯을 먹으면 라이프 하나를 잃는다. 슈퍼마리오 상태에서는 키가 커짐에 따라 닿고자 하는 오브젝트에 닿기 쉬워지는 이점과 장애물이나 적의 공격에 피탄면적이 넓어지는 단점을 함께 가진다. 그리고 천장이 낮은 구간에서의 점프가 더 힘들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슈퍼 마리오 월드에서, 최후의 보스전 중에 피치공주가 이 버섯을 가끔 던져준다.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에서는 슈퍼마리오 이상의 파워업 상태에서 코인이 많이 나오는 벽돌에 엉덩이 찍기로 코인을 쭉 뽑아내면 마지막에 슈퍼버섯이 나온다.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2는 골드블록이,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Wii와 뉴 슈퍼마리오브라더스 U는 코인이 나온다. 예외적으로 [[슈퍼 마리오 런]]은 3D랜드와 월드의 특성을 따른다. ==== 3D 게임 ==== [[슈퍼 마리오 64|64]], [[슈퍼 마리오 64 DS|64 DS]], [[슈퍼 마리오 선샤인|선샤인]],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갤럭시]], [[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갤럭시 2]],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오디세이]]에서는 기본적으로 커다란 마리오 상태로 시작하고 이를 그냥 마리오라고 부른다. 체력 개념이 존재하기에 대미지를 입어 작아진 형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 게임들에는 슈퍼버섯이 매우 적거나 없다. 단, 64 DS에서는 이 아이템이 벽돌 속에 가끔 존재하는데, 먹으면 캐릭터가 거대화되어 대부분의 적을 죽이고 물건을 부술 수 있게 된다. 이때 죽이거나 부순 적/물건의 수가 5개를 넘어가면 하나당 목숨 1개씩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슈퍼버섯과는 다른 개념으로, 차라리 거대버섯/거대마리오에 더 가깝다. 낙사를 제외한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는 코스에 있는 모든 것에 무적이다. 용암이나 퀵샌드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으나, 메탈와리오와 비슷하게 변신 시간이 풀리면 즉시 영향을 받으며, 늪에 빠진 것마냥 살짝 빠지기는 하고 이동속도가 느려지고 점프 높이도 낮아지는 악영향은 있다.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갤럭시]] & [[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갤럭시 2]]에서는 슈퍼버섯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하얀 원 대신에 별무늬가 있는 [[#s-5|체력 UP 버섯]]이 있다. ===== 슈퍼 마리오 3D 랜드/월드 ===== 이 게임들은 [[슈퍼 마리오 런|런]]과 더불어 기본적으로는 [[#a|다른 2D 게임들에서]]와 비슷한 특성을 지니지만, 다른 작에서 슈퍼마리오라고 부르는 커진 상태가 기본 상태이며 이 상태를 마리오라고 칭한다. 작은 마리오는 대미지를 입어서 너프된 것으로 보며 이 상태를 꼬마리오라고 칭한다. 3D랜드와 3D 월드에선 꼬마리오 상태에서 죽더라도 슈퍼마리오 상태에서 부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원래 슈퍼 마리오 런에선 마리오 & 루이지 형제만이 작은 상태에서 버섯을 먹어 큰 상태가 되며 맷집이 생기고, 나머지 인원들은 처음부터 큰 상태인 대신 버섯으로 인한 맷집 상승 효과가 없었으나, 패치를 통해 나머지 캐릭터들도 맷집이 생기게 되었을 뿐 아니라 시작부터 큰 상태로 시작하는데 반해 마리오와 루이지만 아직도 작은 상태에서 시작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D랜드, 3D 월드와 런의 이런 특성은 결과적으로 큰 상태에서는 피격 1번에 죽지 않을 뿐만 아니라 ? 블럭을 두드렸을 때 버섯 대신 다른 파워업 아이템이 나오게 되므로 시리즈 난이도가 제법 낮아지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슈퍼 마리오 메이커 2]]의 3D 월드 테마에서는 이 방식 대신에 [[#s-2.1|다른 슈퍼 마리오 게임들]]의 방식을 사용한다.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 ==== 기본적인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피치공주(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영화)|피치공주]]가 말하길, 이걸 먹으면 [[힘]]도 세지고 점프력도 높아진다고 한다. 다만 [[마리오(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영화)|마리오]]는 버섯을 싫어해서[* 자기 집에서 가족들과 식사할 때 버섯이 든 크림 스파게티에 있는 버섯들을 [[루이지(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영화)|루이지]]에게 줄 정도로 싫어했다.] 피치공주가 먹으라고 하는데 먹으려 하지 않았고 결국 피치가 억지로 먹였다.[* 하지만 훈련하면서 이 버섯을 엄청나게 많이 먹다보니 [[적응|이후엔 싫어하는 기색 없이 먹는다.]]] == 1-UP버섯 == ||<-2>
[[파일:SM3DW_1-up_Mushroom.png|width=2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1-UP버섯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1UPキノコ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1-Up Mushroom || 노란색 몸체에 초록색 갓으로 이루어진 버섯으로 먹으면 라이프가 1개 늘어난다. 빨리 먹지 않으면 떨어지거나 엄청난 컨트롤을 요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o3Tlv7h9I3Y|1UP 버섯 획득하는 소리]] 역시 방송에서 종종 들을 수 있다. [[https://youtu.be/BKEASV6WIQA|슈퍼 마리오 64 등 일부 3D 슈퍼 마리오에서 사용하는 1UP 사운드]] [[슈퍼 마리오 월드]]에선 특정 위치 네 군데를 순서대로 지나가면 1-UP버섯이 등장하는 숨겨진 기믹이 있다. 등장 위치가 총 14곳으로 한정적이고 평범하게 지나가서는 등장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마구 움직이다 우연히 획득하는 경우가 대다수라 정확한 조건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특정 블록 주변을 둥그렇게 돌거나 특정 위치에서 쭉 달리면 등장하지만, 바닐라 돔의 유령의 집과 방황의 숲 코스 3처럼 세세하게 위치가 지정되어 있어 우연히 발견하기조차 녹록치 않은 부분도 존재한다. 슈퍼 마리오 64 한정으로 '녹색 악마' 밈이 있다. 64(DS)의 특정 1-UP버섯은 마리오에게 유도되는데, 이를 의도적으로 피하면서 스타를 모으는 일종의 챌린지 플레이. 막상 해보면 엄청난 유도성으로 진짜 악마처럼 끈질기게 쫓아오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하다. 따돌리려면 이 버섯과 무조건 일정 거리 이상을 벌리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걸 가지고 레드코인 모으기 미션하면 가장 번거롭다. 처음엔 니코동에서 알음알음 유행하다가 현재는 유튜브에서도 꽤 알려진 편. 64DS에서는 요시, 루이지, 와리오로도 플레이할 수 있는데, 요시는 코스 스타트 시 구출되어있는 캐릭이 있기만 하면 그에 대응하는 모자를 처음부터 쓰고 시작하는 기능이 있는데다 루이지와 마찬가지로 마리오보단 달리는 속도가 느리지만 기동성이 객관적으로 부족한 건 아니라서 나름 버섯 피하기에 쓸만 하다. 하지만 와리오는 버섯을 아예 못 따돌려서 와리오가 필요한 구간에선 절대 1업 버섯을 안 뽑게 하거나 아예 봉인해버린다. == 독버섯 == ||<-2>
[[파일:SMP_Poison_Mushroom.png|width=2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독버섯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毒キノコ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Poison Mushroom || 빨강, 초록이라 화사한 다른 버섯과 다르게 칙칙한 색깔이나 주변 지형과 비슷한 색깔을 하고 있어 구별하기는 쉽다. 슈퍼마리오 상태에서 먹으면 대미지를 받아서 꼬마리오가 되고, 꼬마리오 상태에서 먹으면 죽는다. 무적마리오 상태에서 먹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점수 조차 주지 않는다. == 체력 UP 버섯 == ||<-2>
[[파일:SMG_Life_Shroom_Artwork.png|width=2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체력 UP 버섯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ライフUPキノコ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Life Mushroom || [[슈퍼 마리오 갤럭시]]와 [[슈퍼 마리오 갤럭시 2]]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이템. 보통 [[치코(마리오 시리즈)#s-3.2.2|상점치코]]가 팔고 있거나 흔치는 않지만 스테이지에 그냥 뿌려져 있는 경우도 있다. 성능은 3체력에서 세 칸을 추가해 일시적으로 무려 6체력으로 만들어 준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 세 번 맞아 체력이 세 칸이 되면 추가 분량은 그대로 사라진다. 2편 한정으로 체력이 6일 때 먹으면 1up을 시켜준다. 반면 체력이 1일 때 먹으면 한번에 6까지 최고 충전을 해주는 기능도 있어서 어려운 코스 진입 전이나 보스전 시작 전에 놓인 경우가 많다. == 부패버섯 == ||
[[파일:SMM2_SMB_Rotten_Mushroom.png|width=150]] || [[파일:SMM2_SMB3_Rotten_Mushroom.png|width=150]] || [[파일:SMM2_SMW_Rotten_Mushroom.png|width=150]] || [[파일:SMM2_NSMBU_Rotten_Mushroom.png|width=150]] ||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테마'''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테마''' || '''[[슈퍼 마리오 월드]] 테마''' ||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U]] 테마''' ||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2> 부패버섯 || ||<-2>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2> くさったキノコ || ||<-2>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2> Rotten Mushroom || [youtube(mrYXJlZseaE)]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더 로스트 레벨즈의 그 독버섯. 지상 밤 모드에서만 배치할 수 있으며 1-UP버섯을 대신한다. 성능은 위 문서의 독버섯과 비슷하지만 '''플레이어를 추적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심지어 마리오를 따라가며 파이어볼로도 죽지 않고 낮은 턱은 점프로 넘기까지 하는 녀석이라 많이 배치해두면 무서운 녀석이다. 처치하는 법은 '''무적마리오 상태'''[* 무적마리오 상태가 되면 부패버섯들이 도망간다.]로 없애거나 '''달'''을 먹어 없앤다. == [[마리오 카트 시리즈]]의 아이템 == === 대시버섯 === ||<-2>
[[파일:159c409a87b6ad9 (2).png|width=2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대시버섯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ダッシュキノコ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Mushroom || [[슈퍼버섯]]과 생긴 게 닮았다. 바나나, 초록 등껍질보다는 낮은 확률로 나온다. 1등에게 나올 확률은 매우 낮으며, 보통 2등 이하부터 등장한다. 일정 시간 부스터 효과를 낸다.[* 슈퍼 마리오 카트에서는 사용하면 순간적으로 가속한다.] 속도가 낮은 카트는 직선 코스를 돌파할때 사용하곤 한다. 지형을 무시하고 속력을 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플레이어들을 반 강제적으로 돌아가게 만드는 진흙 필드 같은 오프로드에서 사용하면 코스를 돌파하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특히 타임어택에선 일부 숏컷으로 진입하려면 오프로드를 지나야 하기에 버섯이 반필수인 구간도 많다. 그리고 자신보다 가벼운 상대를 들이받아 저 멀리 날려버리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또 타이밍을 잘 맞추면 [[가시돌이등껍질]]을 피할 수 있다.'''[* 가시돌이등껍질이 플레이어를 내리찍기 전에 멈추는 찰나의 순간에 대시를 하면 폭발에서 벗어날 수 있다. [[https://youtu.be/wegOnUdtf6g?si=i4RdraXNkqLqrXup|정확한 타이밍은 가이드 영상 참조.]]] 배틀 모드에서는 이걸 사용하면서 상대방에게 몸통박치기를 쓰면 (풍선/코인/샤인을) 뺏어올 수 있다. 가끔 꼴등으로 달리는데 운이 없으면 아이템으로 이 대시버섯 하나만 나올 수도 있다. 물론 플레이어 수에 따라 다르며 12 플레이어일 경우 8위 이하로는 나오지도 않는다. 단 플레이어 수가 3명일 경우 꼴등에서도 대시버섯 하나가 나올 수 있다. === 트리플 대시버섯 === ||<-2>
[[파일:159c409f0716ad9 (2).png|width=2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트리플 대시버섯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トリプルダッシュキノコ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Triple Mushroom || 등껍질과 마찬가지로 64부터는 세 개가 한 번에 나오는 트리플 대시버섯도 등장한다.[* [[마리오 카트 어드밴스|어드밴스]]에서는 타임어택 한정으로만 등장한다.] 타임어택 모드에서는 항상 버섯 3개를 가지고 시작한다.[* 더블 대시는 기본 2개를 가지고 시작한다. DS의 경우도 카트의 '아이템' 능력치에 따라 1~3개로 나뉘어진다. 마리오 카트 투어에서도 항상 2개를 가지고 시작한다.] 대시버섯을 3개를 한 번에 빠르게 사용하는 게 아닌, 텀을 두고 사용해야 부스터 시간을 온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 === 황금대시버섯 === ||<-2>
[[파일:159c409f66f6ad9 (2).png|width=2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황금대시버섯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パワフルダッシュキノコ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Golden Mushroom || 하위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아이템. 효과는 '''일정 시간 동안 무한 버섯'''. 지속 시간도 꽤나 길기에 상당히 쓸만하다. 또한 오프로드도 꽤 길게 탈 수 있어 상당한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를 활용해 그랑프리에서 출발을 늦게 해서 하위권인 상태에서 황금 대시버섯을 얻은 후 오프로드 주행으로 2위와의 차이를 엄청나게 벌려놓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다만 150cc 이상에서는 속도가 너무 빨라 컨트롤이 어려워지므로 잘못하면 낙사하거나 벽에 부딫혀 오히려 뒤쳐질 수 있기 때문의 주의. 어드밴스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며, 더블 대시에서는 [[키노피오]]/[[키노피코]]의 스페셜 아이템으로만 등장. 황금대시버섯을 한번 사용한 이후부터는 아끼겠다고 약간씩 아껴서 써도 소용없다. 어차피 '일정 시간' 동안이기 때문에 황금대시버섯은 대시가 끊기지 않을 정도로 최대한 자주 누르는게 효율적이다. 황금버섯을 대시가 끝나지 않는 선에서 느린 간격으로 누르나 빠르게 난타하거나 가속력 자체는 전혀 차이가 없으나, [[부끄부끄]]에게 아이템을 스틸당하는 경우 난타하는 쪽이 유리하므로 혹시 모를 긴빠이를 대비해서 난타하는 것이 좋은 선택. [[https://youtube.com/shorts/0HrnHHsfESA?si=0dOEk2sxkvDstmzH|#]] [[마리오 카트 8 디럭스|8 디럭스]]에 추가된 핸들 어시스트 기능을 켜면 컨트롤에 미숙해도 낙사하지 않으므로, 어시스트를 켜고 황금버섯을 난사하면 마치 무적 없는 킬러가 된 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지개 로드]] 등에서 굉장히 유용하다. 다만 오프로드를 가로지르는 용도로는 부적합하니 참고. 원래 차후작인 [[마리오 카트 어드밴스|어드밴스]]에서도 등장할 예정이었지만[* [[파일:MKSC_Golden_Mushroom.png|width=100]] 심지어 아이템 이미지까지 있었다.] [[더미 데이터]]로 남아 있게 되었다. [[마리오 카트 7|7]]에서는 킬러처럼 속력이 너프되어서, [[마리오 카트 Wii|Wii]]나 [[마리오 카트 8|8]]만큼 빠르지 않게 되었다. [[마리오 카트 투어|투어]]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 [[마리오 카트 64|64]]에서 등장한 이후, [[마리오 카트 어드밴스|어드밴스]]에서 최초로 아이템에서 제외되었고 [[마리오 카트 투어|투어]]에서 두 번째로 아이템에서 제외되었다.] 그 이유인 즉슨, 아마 트리플 대시버섯이 [[키노피코]]와 [[키노피오]]의 스페셜아이템이 되면서, 황금대시버섯을 자른 듯하다. 대신 대시버섯 아이템으로 피버 모드가 되면, 무적이 추가된 것만 빼고 비슷한 느낌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디럭스]]에서는 스타와 함께 나오면 '''밸런스 붕괴 수준의 가속력이 생긴다.''' 나오기 힘든 스타와 황금버섯이 동시에 나와야 하는데다 스타가 먼저 나와야 한다는 극악의 조건이 있지만 운 좋게 걸린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가 따로 없다. 반대 순서로 나왔다면 황금버섯을 다 쓰기 전에는 스타를 쓸 수 없는데 그 시간에 번개에 맞거나 부끄부끄로 스타를 빼앗기면 매우 열받는 상황이 발생한다... == 바리에이션 == * [[마리오 카트 시리즈]], [[마리오 파티 시리즈]]에서는 슈퍼버섯 대신 대시버섯이라는 일종의 니트로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마리오 카트 시리즈의 아이템|마리오 카트 시리즈의 아이템]]' 문단 참고. * 변신 능력이 있는 버섯은 [[슈퍼 마리오 시리즈/변신]] 문서 참고.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슈퍼 마리오 시리즈/아이템, version=150, title2=마리오 카트 시리즈/아이템, version2=1034, paragraph2=2.3, title3=마리오 카트 시리즈/아이템, version3=1034, paragraph3=2.3.1, title4=마리오 카트 시리즈/아이템, version4=1034, paragraph4=3.2)] [[분류:마리오 시리즈/아이템]][[분류:마리오 카트 시리즈/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