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버니 샌더스)] [include(틀:버니 샌더스)] [목차] == 가족관계 == * 샌더스 의원의 부친과 모친은 생애 항목의 어린 시절, 학창 시절 항목 참고 바람. * 제인 샌더스와 1988년 결혼했으며, 제인은 남편의 정치 활동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http://news.joins.com/article/18883349|#]] == 유아~학창 시절 == * 어린 시절 '''[[아돌프 히틀러]]'''의 [[반면교사|영향으로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1932년 선거에서 승리[* 물론 32년에 히틀러가 이끌던 나치가 원내 1당이 되었지만, 정확히는 선거보다 이후 히틀러가 괴뢰지도자급 대통령이던 힌덴부르크를 이용해 총리가 된 뒤 만든 수권법이 치명적이었다. 히틀러는 1934년에 총통이 되었고, 그전 1933년에 총리가 되고 수권법을 통과시킨 이후 친위 쿠데타(장검의 밤)로 모든 반대파를 다 끝내--죽여--버린 이후가 사실상 히틀러 통치시대의 시작이다.]한 히틀러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는 것 때문이라고.[[http://news.joins.com/article/18837073|#]] * 1960년 후반 [[이스라엘]]의 키부츠에서 몇 달간 지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미국, 이스라엘 [[이중국적]]자라는 의혹이 제기된 적도 있는 듯하다. * 그의 부친 엘라이는 [[폴란드]]에서 건너와 페인트 판매상을 하였던 [[유대인]]이다. 불행하게도 폴란드에 남아 있던 아버지의 혈육은 2차 대전 당시 [[홀로코스트]]로 모두 희생당했다. * 그의 모친 도러시는 [[유대계 미국인]]으로, 아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직후인 1959년에 46세의 나이로 숨졌다. * 방 2개 월세 아파트를 못 벗어났다. 샌더스는 “그때 가난이 가족에게 주는 영향, 경제적 계급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고 말한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24/2015082402097.html|#]] * [[하버드 대학교]] 진학을 원했으나 떨어지고 3학년 때 [[시카고 대학교]]로 편입하였다. 시카고 대학교 재학 당시 [[인종차별]]적인 기숙사 배정 시스템에 항의하는 시위를 주도하다가 경찰에 연행된 전적이 있다. * 종교는 [[유대교]]다. 다만 별로 종교적인 인물은 아닌듯하다. * 2016년 기준 상원의원 중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나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에 참여했던 두 사람 중 하나이다. 나머지 하나는 현 공화당 상원 대표인 [[미치 매코널]]. == 정계 입문, 그리고 계속되는 낙선 == * 1972년 [[버몬트]] 주 연방 상원 의원 '특별' 선거에서 '''낙선'''했다, 득표율은 2.2%. * 1972년 버몬트 주 지사 선거에서 '''낙선'''했다. 득표율은 1.1%. * 1974년 버몬트 주 연방 상원 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득표율은 4.1%. * 1976년 버몬트 주 지사 선거에서 '''낙선'''했다. 득표율은 제법 상승한(?) 6.1%. == 버몬트주 벌링턴 시장 == * 1981년 민주당 소속 상대 후보와 고작 '''10표 차'''로 앞서 1972년부터 이어진 4번의 낙선을 딛고 ~~4전 5기~~ 버몬트주 벌링턴 시장에 '''당선'''되었다. 50.06%를 득표했고 상대 후보는 49.94%를 득표했다. 이 당시에 10표 차의 기적이 아니었다면 오늘의 샌더스는 없었을 수도 있다. *[[파일:external/thimg.todayhumor.co.kr/1478776494da62db0a04a143f7ba06f340293c4e0d__mn720062__w1200__h1799__f443827__Ym201611.jpg|width=600]] *'''선거에서 당선된 후 자축하며 벌링턴 시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샌더스.''' * 1983년 버몬트 주 벌링턴 시장 재선에 성공했다. * 1985년 버몬트 주 벌링턴 시장 3선에 성공했다. * 1986년 버몬트 주 지사 선거에서 '''낙선'''했다. 1972년, 1976년 앞서 두 번의 주지사 도전보다는 많은 14.4%를 득표하였다. * 1987년 버몬트 주 벌링턴 시장 4선에 성공했다. == 버몬트주 연방 하원 의원 == * 1988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에 '''낙선'''했다. * 1990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 1992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 재선에 성공했다. * 1994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 3선에 성공했다. * 1996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 4선에 성공했다. * 1998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 5선에 성공했다. * 2000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 6선에 성공했다. * 2002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 7선에 성공했다. * 2004년 버몬트 주 연방 하원 의원 8선에 성공했다. == 버몬트주 연방 상원 의원 == * 2006년 [[버몬트]] 주 연방 상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 2011년 예산안 심의 당시 부자 감세 법안의 통과를 비판하며 70세에 가까운 고령임에도 8시간 30분 동안 근성의 [[필리버스터]]를 보여주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LNKNq9soLE|전체 영상]] * 2012년 버몬트 주 연방 상원 의원 재선에 성공했으며 무려 '''72%'''의 압도적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2018년 미국 중간선거|2018년 중간선거]]에서 버몬트 주 연방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며 역시 당선되었다. 득표율은 67.3%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버니 샌더스,version=847)]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808080> {{{#ffffff '''연도'''}}} ||<#808080> {{{#ffffff '''선거 종류'''}}} ||<#808080> {{{#ffffff '''소속 정당'''}}} ||<#808080> {{{#ffffff '''득표수 (득표율)'''}}} ||<#808080> {{{#ffffff '''당선 여부'''}}} ||<#808080> {{{#ffffff '''비고'''}}} || || 1972 || 미국 상원의원 보궐선거(버몬트) || [[자유연합당]] || 1,571 (2.2%) || 낙선 (3위) || || || 1972 || 미국 주지사 선거(버몬트) || [[자유연합당]] || 2,175 (1.1%) || 낙선 (4위) || || || 1974 || 미국 상원의원 선거(버몬트) || [[자유연합당]] || 5,901 (4.1%) || 낙선 (3위) || || || 1976 || 미국 주지사 선거(버몬트) || [[자유연합당]] || 11,317 (6.1%) || 낙선 (3위) || || || 1981 || 미국 버몬트 주 벌링턴 시장 선거 || [[무소속]] || '''4,330 (43.4%)''' || '''당선 (1위)''' || '''초선''' || || 1983 || 미국 버몬트 주 벌링턴 시장 선거 || [[무소속]] || '''6,942 (52.1%)''' || '''당선 (1위)''' || '''재선''' || || 1985 || 미국 버몬트 주 벌링턴 시장 선거 || [[무소속]] || '''5,760 (56.1%)''' || '''당선 (1위)''' || '''3선''' || || 1986 || 미국 주지사 선거(버몬트) || [[무소속]] || 28,418 (14.4%) || 낙선 (3위) || || || 1987 || 미국 버몬트 주 벌링턴 시장 선거 || [[무소속]] || '''6,759 (55.9%)''' || '''당선 (1위)''' || '''4선''' || || 1988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90,026 (37.5%) || 낙선 (2위) || || || 1990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117,522 (56.0%)''' || '''당선 (1위)''' || '''초선''' || || 1992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162,724 (57.8%)''' || '''당선 (1위)''' || '''재선''' || || 1994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105,502 (49.9%)''' || '''당선 (1위)''' || '''3선'''[* 민주당 경선에서 승리, 단일화] || || 1996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140,678 (55.2%)''' || '''당선 (1위)''' || '''4선''' || || 1998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136,403 (63.4%)''' || '''당선 (1위)''' || '''5선'''[* 민주당 경선에서 승리, 단일화] || || 2000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196,118 (69.2%)''' || '''당선 (1위)''' || '''6선''' || || 2002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144,880 (64.2%)''' || '''당선 (1위)''' || '''7선''' || || 2004 || 미국 하원의원 선거(버몬트 광역구) || [[무소속]] || '''205,774 (67.4%)''' || '''당선 (1위)''' || '''8선'''[* 진보당 경선에서 승리, 단일화] || || 2006 || 미국 상원의원 선거(버몬트) || [[무소속]] || '''171,638 (65.4%)''' || '''당선 (1위)''' || '''초선'''[* 민주당 경선에서 승리, 단일화] || || 2012 || 미국 상원의원 선거(버몬트) || [[무소속]] || '''207,848 (71.1%)''' || '''당선 (1위)''' || '''재선'''[* 민주당 경선에서 승리, 단일화] || || 2018 || 미국 상원의원 선거(버몬트) || [[무소속]] || '''183,529 (67.3%)''' || '''당선 (1위)''' || '''3선'''[* 민주당 경선에서 승리, 단일화] || [[분류:버니 샌더스]][[분류:인물별/생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