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상북도|{{{#cfa547 경북}}}]] [[구미시 갑|{{{#cfa547 구미시 갑}}}]])'''}}} || || 제19대[br][[심학봉]][* 의원직 사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보궐선거 미실시.] || → || '''제20대[br]백승주''' || → || 제21대[br][[구자근]] || ----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국방부차관)] ---- }}} || ---- ||<-2> '''{{{#ffffff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br] {{{#ffffff {{{+1 백승주}}} [br] 白承周 | Paik Seung-j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백승주(경북 구미 갑).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1년]] [[3월 20일]] ([age(1961-03-20)]세) || ||[[경상북도]] [[구미시]] || || '''{{{#ffffff 본관}}}''' ||[[수원 백씨]] || || '''{{{#ffffff 학력}}}''' ||[[심인고등학교]] {{{-2 ([[졸업]])}}}[* [[유시민]] 작가, [[김재원(정치인)|김재원]] 전 국회의원의 모교다.][br][[부산대학교]] {{{-2 (정치외교학 / [[학사]])}}}[br][[경북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석사]] · [[박사]])}}}|| || '''{{{#fff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만기전역 || || '''{{{#ffffff 가족}}}''' ||부인 허부영, 슬하 1남 1녀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의원 선수}}}''' ||'''1''' || || '''{{{#ffffff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 || '''{{{#ffffff 현직}}}''' ||[[전쟁기념사업회]] 회장 || || '''{{{#ffffff 약력}}}''' ||국가비상기획위원회 비상근위원[br]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장[br]한국정치학회 부회장[br]국방부 차관[br]한국산업개발연구원 고문[br]제20대 국회의원(경북 구미 갑)[br][[새누리당]] 경북도당 위원장[br][[국민캠프(윤석열)|윤석열 국민캠프]] 안보정책본부장 || || '''{{{#ffffff 링크}}}''' ||[[http://blog.naver.com/gumibsj1778|[[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gumibsj177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band.us/#!/band/59133056|[[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관료, 정치인. 제40대 [[대한민국 국방부차관]]을 역임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23년 현재는 [[전쟁기념사업회]] 회장이다. == 생애 == [[1961년]] [[3월 20일]] [[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 現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에서 태어났다. 구미 오로초등학교, 대구 성광중학교, 대구 [[심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했다. 이후 [[경북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정치학회와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국방연구원 산하의 [[북한]]연구실장과 안보전략연구센터장을 지냈다. [[2013년]] [[3월]]에 국방차관으로 선임되었다. 보통 국방차관은 예비역 [[중장]]이나 드물게 재정 전문가가 보임되는데 비해서 순수하게 안보 연구(북한군사 전문)를 해온 [[민간인]]이 선임된 사례는 처음이라 주목을 받았다. 역대 최연소 차관이며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거의 독점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몇 안 되는 민간인[* 여기서 민간인은 비장성 출신.] 출신이다. 참고로 병역은 [[중위]]로 마쳤다.[* 아무래도 보직이 보직이다 보니 예비역 병장을 그 자리에 앉히기가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직업군인 출신이라는 점이 파격적이다.] 카운터파트가 누구인지로 국방 차관의 위상을 짐작해볼 수 있는데, [[미국]]에 방문했을 때는 국방부장관[* United States Deputy Secretary of Defense. 국방부 장관이 아니라 국방 부장관이다.]인 [[로버트 워크]]와 군수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Acquisition, Technology and Logistics. 언론에서는 획득차관이란 표현을 많이 쓴다.]인 [[프랭크 켄달]]을 만났다. 일본 [[방위성]]과 만날 때는 카운터파트로 사무차관[* [[의원내각제]]라 국회의원이 임명되는 방위대신, 방위부대신, 대신정무관과 달리 방위성 [[승진|내부승진]].] [[니시 마사노리]]를 만난다. 2016년 7월 26일 [[THAAD|사드]] 관련 성주 지역주민과의 간담회에서 성주 사드 배치는 노블리스 오블리주라고 발언하였고, 이에 대해 한 [[성주군]]민이" (백 의원 지역구인) [[구미시]]에 사드를 배치해도 그렇게 말하겠느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변하였다. 2019년 7월 15일 [[유의동]] 바른미래당 의원과 함께 국무위원(국방부장관 [[정경두]]) 해임건의안을 국회 의안과에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71515463228451|제출했다]]. 2020년의 21대 총선에서는 공천을 못받아 국회의원직은 초선으로 끝났다. 이후 국민대 정치대학원에서 석좌교수로 활동했고, 2021년에는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후보 캠프에 합류, 안보정책 본부장을 맡고 있다. [[친박]]임에도 불구하고, 2022년 1월 24일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석방을 촉구하기 위한 전직 국회의원들의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01/24/2022012400084.html|#]] 2023년 4월, 국방부 산하의 [[전쟁기념사업회]] 회장에 [[https://m.yna.co.kr/view/AKR20230417089700504|취임했다.]] == 논란 == === [[2019년 자유한국당 공청회 5.18 망언 논란]] === * 2019년 2월 8일, [[자유한국당|백승주와 같은 정당]] 소속의 국회의원이었던 [[김진태(정치인)|김진태]], [[이종명(1959)|이종명]], [[김순례]], [[이완영]]과 함께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해 문제가 된 극우 인사 [[지만원]]을 초청한 공청회를 주최했는데, 여기서 5.18 광주 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망언으로 논란이 되었다. == 기타 ==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0804&yy=2016|불법이지만 단 1달러도 줄 수 없다!]] 국방부 차관 재직당시인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우리나라 국방부와 합참, 육·해·공군이 MS 소프트웨어를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불법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사용료 지급을 요구했다. 윈도 서버 접근 권한인 '사용자 서버 접속 허가'(CAL·Client Access License) 구매 숫자를 훨씬 초과해 윈도 서버에 접속해 손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MS사는 피해 액수가 무려 연 2011억원에 이른다고 주장했으나, 백승주는 '''라이선스 등록 안하고 접속하는 곳 만큼 등록해놓고 접속 안 하는 곳도 많다! 라이선스 관리를 미숙하게해서 그렇지 플러스 마이너스 따져보면 우린 정당하게(?) 돈 내고 쓰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단 1달러도 못 준다! => 우리가 자체 조사해보니 불법 사용자도 없더라![* 말이 자체 조사지, 군부대와 군시설에 공문 보내서 혹시 불법으로 쓰는 곳 있으면 자백해라 정도였을 것이다.] => 못 믿겠으면 니네가 니네 비용으로 전수조사해서 증명해라! => 대신 군사기밀을 건드려서는 안되고 당연히 우리는 조사에 협조도 못해준다!!!'''라는 식의 주장을 강력하게 펼쳤다. 당연히 MS는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계속해서 항의했으나, 국방부는 배째란 듯이 아예 MS불매 운동에 시동을 걸었고 MS는 국방부와 MOU를 체결하며 이에 대해선 그냥 묻지 않는 것으로 끝을 내버렸다. * 한국국방연구원 소속 연구자인 동시에 국방부 차관을 역임하였기에 차관 임기를 마친 후에는 곧바로 조기퇴직과 함께 국회의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주변인들에게 밝혔다고 한다. 전(前) 국방부 차관은 예비역 중장에 준하는 대우를 해줘야하는데, 한국국방연구원장도 예비역 중장이기에 모양새가 이상해져서 그냥 국회의원을 하기로 했다고. * 신문사에 연재하던 아동용 만화를 엮어 만화책을 낸 적이 있다. 물론 학습만화이며 글만 쓴 것. * [[태영호]] 의원의 저서에 따르면 2007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당시 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이었던 백승주를 만났다고 밝혔다. 회의 후 [[북한]]대표단이 호텔로비에서 쉬고있는데 백승주가 술이나 같이 마시자며 다가왔다고... 북한 대표단은 국정원 요원인줄 알고 긴장했으나 사실은 당시 한국 대표단중 백승주만 국방연구원 소속이고 나머지는 외교부 소속이라 자기 빼고 외교부끼리 술마시러 간 것에 빡쳐서 ''''에라 모르겠다 북한사람이랑 마시자''''(...)라며 다가갔던거라고 한다. 헤어질 때 국방연구원 로고가 새겨진 손톱깍기세트를 선물로 주고 왔는데 품질에 감동한 [[태영호]] 의원은 로고만 지우고 [[망명]]하기 직전까지 사용했다고 한다. 둘은 2017년 자유한국당 의원과의 만찬자리에서 재회했다. * 국방연구원 출신이 사석에서 밝힌 카더라에 따르면, 백승주가 처음 국방연구원에 입사했을 당시 관상을 좀 본다던 임원급 연구원이 백승주를 보고는 '상당한 또라이상'이라 평하며 '옳은 길로 걷거든 최소 국회의원, 잘하면 차관은 찍고 내려올 것'이라 말했다고 한다. * 정부의 반대에 불구하고, 관련 예산을 따 오는 데 성공하여 [[대한법률구조공단]]이 구미지소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http://www.nspna.com/news/?mode=view&newsid=343789|#]]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구미시 갑|구미 갑]]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0,292 (61.9%)''' || '''당선 (1위)''' || '''초선'''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3월 13일 공천되었다. 출마 지역구는 본인의 고향인 구미 갑 지역. 여당 텃밭인 경북, 그것도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으로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높은 구미에서 출마하는 만큼, 무난히 국회에 입성할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정작 현지의 표심이 마냥 우호적이지만은 않다고 한다. 백승주가 국방차관 재직 시절에 구미가 국방신뢰성센터 유치에 나섰지만, 결국 대전에 패배하면서 "고향에 무관심하다"는 비판을 받았다는 것이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4702&yy=2015|#]] 게다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당시 막말을 일삼았던 것 때문에 지역민심이 매우 험악했다고 한다. 사실 무난하다고 생각은 했지만 2위 후보자였던 [[남수정]] 후보가[* 그것도 옛 [[통합진보당]] 인사들이 창당한 원외 진보정당인 [[민중연합당]]의 후보였다.] 38.1%를 받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구미시에서도 친박이라는 브랜드가 그리 잘 먹히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사실 구미시 자체가 경북에서는 [[율곡동]] 다음으로 외지인이 많은 동네다. 그런데, 더 큰 이변이 2년 후에 치러진 [[7회 지방선거]]에서 '''[[장세용|일어났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자유한국당의 계파 분류)]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미래통합당)]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승주, version=81)] [[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자유한국당 국회의원]][[분류:미래한국당 국회의원]][[분류:미래통합당 국회의원]][[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수원 백씨]][[분류:1961년 출생]][[분류:국방부 차관]][[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경북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부산대학교 출신]][[분류:심인고등학교 출신]][[분류:장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분류:박정희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