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百獣王 ベヒーモス(23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백수왕 베히모스, 일어판명칭=百獣王(アニマル・キング) ベヒーモス, 영어판명칭=Behemoth the King of All Animals, 속성=땅, 레벨=7, 공격력=2700, 수비력=1500, 종족=야수족, 효과외1=이 카드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방법으로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2000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이 카드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한 몬스터의 수만큼\, 자신 묘지의 야수족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야수족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릴리스를 경감시키는 효과 외 텍스트, 릴리스를 경감하고 어드밴스 소환했을 시 원래 공격력이 2000이 되는 ①의 룰 효과,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할 시 릴리스한 몬스터의 수만큼 묘지에서 야수족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②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효과 자체는 나쁘지 않다. 최대 2장을 릴리스해 소환하면 2장을 패로 돌릴 수 있고 릴리스 경감 효과도 있기 때문에 샐비지 효과로 활용하기 나쁘지는 않은 수준이다. 하지만 한 장 릴리스로는 큰 이득을 보기 힘드며 타점이 2000으로 매우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협 소환이라는 특성을 살려서 스킬 드레인 덱에 투입하려고 해도, 제물 없이 소환하는데 공격력도 더 높은 [[가변기수 간나드래곤]]이나 [[신수왕 바르바로스]]에 밀린다. [[레스큐 캣]]이 에라타를 먹고 풀린 덕분에 고자가 된 몬스터를 재활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이쪽을 노려보자.[* 레스큐 캣으로 야수족 2장을 불러오고, 어드벤스 소환 한 다음 캣과 야수족 1장을 다시 회수하면 충분히 이득이 된다.] 능력치도 좋고 효과도 나쁘지 않은데, 이상하게도 유희왕 내에서 압도적일 정도로 취급이 안 좋다. 물론 야수족의 왕으로서 [[백수 대행진]]에서는 맨 뒤에서 다른 야수족 몬스터들을 감독하는 역할을 하지만 백수왕으로 '''위엄있는 모습'''은 그것 뿐. 다른 카드 일러스트로 등장할 때마다 주로 타 몬스터들에게 쫄리거나 당하는 전투력 측정기 역할을 한다. 자기보다 약한 [[암흑의 만티코어]]의 [[위협하는 포효]]에 쫄아서 움츠러들지를 않나, 자신의 부하뻘밖에 안 되는 몬스터인 [[데스 캥거루]]에게 [[카운터 펀치|크로스 카운터]] 맞고 쓰리강냉이,[* 참고로 '''데스 캥거루의 수비력은 1700밖에 안돼서''' 베히모스가 몇장을 릴리스하고 나왔든 씹어먹어야 정상이다.] [[세트어퍼]]에서는 이리저리 움직이는 [[재빠른 빅햄스터]]에게 한대도 적중시키지 못하고 도리어 자기가 한방을 먹는다. [[저돌맹진]]에서는 돌진 카드의 멧돼지에게 그곳(...)을 직격당하기도. 특히 [[레스큐 래빗]]은 이 카드와 엮이는 내내 이 카드의 천적처럼 그려지며, [[럭키 펀치]]에서 레스큐 레빗에게 맞고 '''강냉이 털리면서 눈물 콧물 다 흘리며 질질 짠 후''' 이것이 트라우마가 되어 [[덕드롭퍼]]들이 보여주는 레스큐 래빗 모양의 표지판만 보고도 겁을 먹게 된다. 이 카드의 문제점이 제대로 드러나는 카드가 바로 위의 백수 대행진의 후속격 카드인 '''[[오합의 행진]]'''. 질서정연하게 야수족만 행진하던 백수 대행진과는 달리, 오합의 행진에선 비행야수족과 야수전사족 몬스터들이 끼어들어 행진이 아수라장이 되었고, 거기에다가 자신에게 한방 크게 먹인 적 있는 몬스터들인 데스 캥거루, 레스큐 래빗, 암흑의 만티코어에게까지 위협당하며 구석에 웅크리면서 엉망이 된 자신의 행진과 체면에 한탄하는 듯 눈물을 흘리는 모습으로 나온다. 현재는 야수족의 왕이라는 지위도 [[수왕 알파]]에게 넘어가고 다른 몬스터들에게 덩치값 못하는 호구로 인식된 듯하다. 참다 못해 [[형세반전]]에서는 만신창이가 된 채 수왕 알파에게 레스큐 레빗을 혼내달라고 이르지만[* 럭키 펀치의 일러스트에선 멀쩡하던 눈이 밤탱이가 된 것을 보아 아마도 럭키 펀치의 일러스트에서 이어지기보단 레스큐 레빗에게 '''또''' 맞은 것이 확실하다. 옆의 재빠른 빅햄스터도 긴장하는 것을 보아 아마 빅햄스터에게'''도''' 맞은 듯.] 고작 쥐꼬리만도 못한 몬스터들에게 맞고 혼내달라는 모습에 수왕 알파는 어리둥절해한다.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유희왕 5D's]]에서 [[팀 유니콘]]의 안드레가 사용하면서 첫 등장. [[재빠른 날다람쥐]], [[시치미떼는 주머니 쥐]]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되어, 효과로 묘지의 재빠른 날다람쥐 2장을 패에 넣었다. 그래도 이 때는 그럭저럭 활약은 했다. 공격을 할 때 온 몸이 체인 애로우로 묶여있어서 볼썽사납게 깔아뭉개기 공격을 하는 게 좀 웃기지만. [[유희왕 ZEXAL]]에서 듀얼 코스터 때 엑스트라가 사용한 카드로 [[라비 드래곤]], [[마스터 오브 OZ]]등과 함께 [[트론(유희왕)|트론]]을 노렸으나, 화면 전환과 함께 빠르게 필드에서 사라지며 탈락했다. '백수왕'이라 쓰고 '애니멀 킹'이라 읽지만 한글판에선 루비 없이 '백수왕'이다. 외형적으로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베히모스(파이널 판타지)|동명의 몬스터]]와 많이 유사하다. ||수록 시리즈 || ||<(> 2004-11-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FET-JP014 | '''[[영원한 화염|FLAMING ETERNIT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5-12-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3-JP134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FET-EN014 | '''[[영원한 화염|FLAMING ETERNIT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6-11-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3-EN134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052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5-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FET-KR014 | '''[[영원한 화염]]'''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8-07-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3-KR134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백수왕 베히모스(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그레비티 베히모스]] === === 백전왕 베히모스 === [[파일:百戦王 ベヒーモ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백전왕 베히모스, 일어판명칭=百戦王(ウォーキング) ベヒーモス, 영어판명칭=Behemoth the King of a Hundred Battles, 속성=땅, 레벨=10, 공격력=2700, 수비력=1500, 종족=야수족, 효과외1=이 카드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700 내린다., 효과2=②: 통상 소환한 이 카드는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3=③.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700 올린다.)] 베히모스의 리메이크 카드. 그동안의 수난을 이겨냈단 것을 보여주듯 뿔 한 쪽이 부러지고 온 몸이 상처투성이이며 생김새도 좀 더 와일드하게 바뀌었다. 백전왕 부분은 워킹(War King)이라고 읽는다. 리메이크 전과 마찬가지로 릴리스 1장으로 타협소환이 가능하며 이전이랑 달리 이렇게 소환해도 공격력은 내려가지 않는다. 대신 ①번 효과로 소환 성공 시 묘지의 야수족./야수전사족/비행야수족을 샐비지하는 효과가 생겼으며 그 효과로 몬스터를 패에 넣으면 공격력이 내려간다. ②번 효과로 통상 소환된 상태에선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데 필드에 큰 영향을 끼치는 효과 몬스터는 대부분 레벨이 높거나 엑덱몹이라서 거의 무조건 특수소환 되는지라 사실상 몬스터 효과에 대해서 거의 완전 내성이라 봐도 좋다. 단, [[후완다리즈]]같은 통상 소환이 주류인 테마나 [[알버스의 낙윤]]같은 통상 소환도 쉬운데 효과도 강력한 경우는 주의해야 한다. ③번 효과는 자신의 엔드 페이즈마다 공격력이 700씩 올라가는데 이 덕에 회수 효과를 쓴 후 내려간 공격력을 바로 복구할 수 있으며 회수 효과를 쓰지 않고 3400 타점에 특수소환 몬스터에 대한 효과 내성이 있는 어태커로 사용해먹을 수 있다. 일반 소환되었을 때만 내성이 적용되기에 전용덱을 짤 필요가 있다. [[네무렐리아]]라면 레벨과 종족이 겹쳐 서치가 가능하며 릴리스 마련도 해주기에 이 카드를 적극적으로 써먹을 수 있으며 묘지의 야수족 네무렐리아 몬스터들을 샐비지 하는 용도로도 써먹을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4-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UNE-JP024 | '''[[듀얼리스트 넥서스|DUELIST NEXU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