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두산함 01.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두산함 02.png|width=100%]]}}}|| || PC-701 백두산 || [목차] [clearfix] == 개요 == '''PC-701 백두산'''은 [[한국전쟁]] 당시 사용된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전투함이다.[* 최초의 군함은 비전투함인 [[서울함]]이다.] [[대한해협 해전]]을 승전으로 이끌어, 교두보인 부산을 지켜냈다. == 제원 == ||<-2> [[파일:external/www.dishmodels.ru/g07134_1210817.jpg|width=100%]] || ||<-2> 백두산함과 동형함인 PC-461급의 모형(후방 3인치 함포 제거 이전)[* 백두산함과 차이점이 몇가지 있다. 제일 대표적인 것이 바로 후방에 탑재된 3인치 함포로, 백두산함은 이 위치의 함포를 제거하고 대신 중기관총을 그곳에 탑재해 운용했다.]. || || 함종 ||[[구잠함]](Submarine Chaser)[* 통상임무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는 [[구축함]]과는 달리 거의 대잠임무에만 특화되다시피한 함종이다. 작은 배수량으로 저렴하게 대량생산해서 광범위한 연안 대잠감시망을 구축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 || 배수량 ||450톤 || || 길이 ||53m || || 폭 ||7m || || 흘수[* 수면 아래 잠기는 부분] ||2m || || 최고속도 ||20.2knot || || 엔진 ||2,880 bhp 디젤 엔진 || || 무장 ||3인치 단장포 X1, 기관총 X2[* 실제 대한해협해전 재현 영상이나 백두산함의 모형을 보면 후방갑판에는 포가 없으며, 대신 그 자리에 중기관총이 위치한다.]|| || 승조원 ||60명 || == 도입 과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dHjn8IhBjk)]}}}|| || {{{-1 정인귀 [[제독]](예비역 [[해군]] [[소장(계급)|소장]], 전 방위산업진흥협회 진흥본부장)[[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714922|#]]의 증언.}}} || >백두산함은 작지 않아. 처음 백두산함을 만났을 때도, [[독도급 대형수송함|독도함]]을 보는 지금도. '''나는 한 순간도 백두산함을 작은 배라고 생각한 적이 없어.''' >---- >백두산함 [[갑판병|갑판]][[부사관|사]] 출신 [[대한해협 해전]] 참전용사(퇴역 갑판 [[준위|일등준위]])[* [[마리얼레트리]] 작가 [[판타지 갤러리/출신작가#오소리|오소리]]의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2948023|참전용사 인터뷰]] 중 나온 명언이다.] [[광복]] 3년 뒤인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대한민국 국군]]이 창설되었으나 해군에는 변변한 함정이 한 척도 없었다. 원래 [[대한제국]] [[해군]] 소속이었던 [[광제호]]와 [[양무호]]는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제국이 멋대로 운영하다가 매각하거나 광복 때 일본으로 가지고 가 버렸고,[* 사실 둘 다 있어봤자 [[대한민국 해군]]이 대한제국군 해군을 이었다는 정통성 측면에나 일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 외에는 큰 의미가 없다. 함령이 엄청난 노후함인데다가, 실질적인 전투력이 전무해 군함이라고 불리주기도 창피할 지경이었다. 대한민국 해군은 손원일 제독의 해사대, 해방병단, 조선해안경비대 얘기만 하지 대한제국 해군 얘기 따위는 일절 하지 않으며 별 관심도 없고 그들의 적통이라는 주장도 하지 않는다.] 그나마 유일하게 전투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는 1947년 2월 2일 건조된 경비정 한 척이 한국이 기획하고 건조한 최초이자 유일한 군함이었다. 이 배는 일본이 패전 후 미완공인 채로 버리고 간 배[* 정확히 말하자면 잡역선, 그 중에서도 어뢰 운반선이었다.]를 [[손원일]] [[제독]]이 [[조선해안경비대]](1946. 6. 15. 해방병단에서 개칭) 기술진을 동원해 [[1946년]] [[7월 17일]] 진수하였고, 경비정으로 완성시켰다. 비록 배수량 287톤, 길이 46.6m, 폭 6.7m, 최고속력 13노트에 불과한 경비정이었지만, 손원일 총사령관은 이듬해 2월 7일 이 경비정을 '[[충무공함|충무공정]]'이라 명명했고, [[태극기]]를 게양, 초대 [[정장(해군)|정장]]에 박홍철 [[중위]], [[부장#s-3]]에 [[함명수]] [[소위]]를 임명했다. 충무공정은 다음 날 손원일 총사령관과 진해기지 장병을 태우고 진해에서 출발, [[통영]]의 충렬사를 참배하고 한산도를 돌아오는 기념적인 첫 항해를 했다. 충무공정은 그 뒤 '[[충무공함]]'으로 개칭되었는데, 해군의 첫 배라는 상징적인 의미여서이다. 이후 [[충무공급 초계정]]은 51년에 한 대 더 건조된 것으로 그쳤다([[http://ktx111.blog.me/63624327|충무공정에 대해]]).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G-313.png|width=100%]]}}}|| || {{{-1 PG-313 충무공정의 모형.}}} || 하지만 이 배로선 기껏해야 해상 영토 넘어온 일본 어선이나 나포하고 밀매선을 단속하는 수준인, 말 그대로 경비정 수준 활약을 하는 정도였다. 창군 직후 [[미 해군]]이 넘겨준 배들도 모두 전투함이 아닌 (본토로 가져가기 귀찮아서 폐기처리하던) [[소해정]]과 상륙정 등 직접적인 해전에 부적합한 함선들이었고, 여기에 [[M3 37mm 대전차포]]를 달아 쓰는 실정이었다. 그나마도 포가 부족해 출동 나가는 배들끼리 포 나사를 풀어 옮겨실어가며 돌려 쓸 정도였다. 이렇게 해군에서 제대로 된 전투함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계속되었지만, 당시 상황으로는 독자적인 군함 건조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미국에 전투함 지원을 요청해보기도 했지만 미국의 대답은 부정적이었다.[* 당시 미국은 강경 반공 성향의 이승만 정부가 미국을 무시하고 북한을 선제공격할 것을 매우 우려하여 국군에 대한 무기 지원을 꺼렸는데, 이게 어느 정도였는가 하면 일본군이 버리고 간 무기들도 소화기 정도를 제외하면 모조리 해체시킬 정도였다. 그래서 6.25 개전 당시 국군은 전차가 한 대도 없고 항공기도 죄다 훈련기를 개조한 전투기와 연락기가 전부였다.] 결국 손 제독은 함정건조 모금운동을 전개하여 재원을 마련하여 직접 구입하는 방안을 생각해내었다. 1949년 6월 1일 손 제독 자신을 위원장으로 하여 '함정건조각출위원회'를 구성하고 해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모금운동을 진행하였다. 장교는 월급의 10%, 병조장은 7%, 하사관과 수병은 5%씩 모았고, 손 제독의 부인인 홍은혜 여사를 중심으로 조직된 '해군부인회'가 바자회를 운영하여 그 수익금을 기금에 보태었다. 나중에는 일반 국민들에게까지 모금운동이 확산되어 넉 달 만에 1만 5천 달러를 마련했다. 이런 기부금을 받은 정부가 예산 4만 5천 달러를 보탰고[* 인터넷에서는 '이승만 대통령의 지원금'과 같은 형태로 표기된 경우가 많지만, 1950년 말 대한민국의 외환보유액이 2680만 달러에 불과하던 시절이었다. 당연히 수만 달러나 되는 큰 돈은 정부의 예산집행이었지 대통령의 개인적인 지원금이 아니었다. 여담으로 손원일 제독은 백두산함 구매 후에 바로 귀국하지 않고 심지어 한국전쟁 개전 후에도 대통령의 지시로 미국에 남아 군함을 더 구입한 뒤에 돌아왔는데, 그때 들어간 예산 40만 달러의 출처도 당연히 정부의 예산 지출이었다. 다만, 그 당시 민주주의 정권이 들어섰으나 군주제의 잔재가 남아있었음을 감안하면 정부 예산의 큰 부분을 전투함 구매에 쓰도록 배정한것은 당시 대통령이던 이승만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였을테니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라고 한다면 크게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평화선 선언으로 결과적으로 독도를 지켜낼 수 있었던 것도 그 당시의 일인데, 그런 일에 관심이 있었다면 당연히 해군이 함정을 가지는 데도 관심이 있었을 것이다.], 그 돈으로 함정 구매를 위해 미국에 간 손 제독은 장면 주미대사의 도움으로 10월 17일, 대한민국 최초의 전투함인 PC-701 백두산함을 비롯하여 PC-702 금강산함, PC-703 삼각산함, PC-704 지리산함을 구입하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pc-815_1.jpg|width=100%]]}}}|| || {{{-1 PC-815(PC-461급 구잠함).}}} || 그런데 이런 눈물 겨운 고생을 하며 얻어온 함 자체는 미국에서도 그냥 처분하려던 함정이었다. 이 함정 이름은 PC-461급 구잠함으로 [[미 해군]]에서 2차 대전 당시 무려 343척이나 후다다닥 건조했던, 미국 해안 정찰이나 하는 연안초계정에 지나지 않았다. 물론 아예 전투에서 활약하지 않은 건 아니라서 동급인 PC-565는 [[독일 해군(나치 독일)|당시 독일 해군]]소속 [[U보트]] 1척을 격침시켜 52명 가운데 [[함장]]인 [[대위]] 1명을 제외한 모두를 전사하게 만드는 활약을 ~~딱 한 번~~ 한 적이 있다. 이게 대전기간 동안 전투에서 유일하게 활약한 내용. 그 외에는 해안 초계나 하다가 2차 대전이 끝나자 미국은 이 배들을 [[노르웨이]]나 [[그리스]] 같은 여러 동맹국들에게 무상제공하거나 아예 민간에 팔아버렸다. 잘해봐야 해군 후보생들 실습용으로 쓰는 정도였다. 다만 이건 정말로 세계 기준으로도 못 쓸 폐함이라서가 아니라 미국이 너무 부유해서였다. 미국은 [[키티호크급 항공모함|항모]]나 [[네바다급 전함|주력함]]조차도 [[크로스로드 작전|연습용]],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영화촬영용(!)]][[진주만(영화)|으로 격침시켜버리는]] 돈지랄을 해댄 나라다.[* 다만 이는 미국이 돈이 많아서 그냥 돈지랄을 하는 것이라고 하기는 힘들다. 퇴역 함정들이라도 다른 나라로 가면 1선급이라는 것은 미 해군에서도 잘 알고 있는 사실이고, 오히려 그렇기에 함부로 증여나 매각을 하기 힘들다. 섣불리 넘겨줬다가는 해군 함정의 기밀사항이 빠져나갈 수도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차피 전자장비 들어내고 스크랩할 것이라면 차라리 해군 홍보용으로 영화나 찍으라고 던져줬던 것이다. 전자장비를 들어내고 나면 그저 고철에 지나지 않으므로 다른 나라에서도 살 만한 이유가 없어지고, 이 경우 자국 내에서 대량으로 고철이 필요한 산업에 스크랩 처리를 하거나 그마저도 팔리지 않으면 표적함으로 써버린다.] 즉 후진국들 기준에서는 그럭저럭 주력 전투함으로 쓸 만한 함정이었다. 전투에서 활약한 전적이 별로 없는 건 만들어내고 그냥 계속 만들어내는 미 해군 소속인 걸 감안하면 아주 당연한 일이다. 미 해군에게는 이런 작은 배보다 훨씬 좋은 함선들이 넘쳐났고, 세계대전이 끝난 상태에서 더이상 미국 본토 주변에 위협이 될만한 해양세력도 싹다 정리되었기 때문에 구잠함 정도는 정찰/경비용으로 굴리면 족했다. 반면 구축함 정도나 주력으로 굴릴 수밖에 없었던 [[일본 해군]]이 [[유키카제(구축함)|유키카제]]와 [[아오바(중순양함)|아오바]]라는 걸출한 수훈함을 배출한 것이나, [[야마토급 전함|야마토급]] 아끼기용으로 막 굴렸던 [[공고급 순양전함]]들이 연합함대 최고의 수훈함들이었다는 사실들을 보면 전적은 함의 성능보다는 해당 함급이 최전선에 얼마나 자주 나섰냐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손원일 제독은 당시 2300톤급 PF(Patrol Frigate, 초계[[호위함]]. 그 중에서도 여분의 함선이 꽤 있던 [[타코마급 호위함]]) 함정을 사려고 했지만 이 배는 [[미군]]이 직접 관리하면서 판매를 허락하지 않았다.[* 당시 가져간 돈은 6만 달러로, 미 해군에선 거의 쓰질 않고 해안경비대가 쓰거나 공여되었다가 반환되어 놀고 있는 배들도 있는 등 그리 비싼 물건이 아니기에 충분히 사고도 남았다. 대신 PC를 총 4척 구매했으나, 일정 문제로 전쟁 당시에 한국에 도착해 운용 중이던 PC는 백두산함 한 척뿐이었고, 나머지는 인수작업 및 한반도로 항해 중이었다. 여담으로 손원일 제독이 그렇게 원하던 [[타코마급 호위함|PF]]는 한국전쟁 때 미국이 걍 공짜로 5척이나 던져줬다. 이 PF들은 [[소련 해군]]에 [[렌드리스]]로 가 있던 걸 돌려받은 거라서 미국으로 다시 끌고오느라 돈을 쓰느니 한국에 걍 줘버린 것.] 결국 살 수 있었던 배가 바로 이 함종. 백두산함은 1949년 10월에 [[미국상선단사관학교]]에서 학생 실습용으로 쓰다가 폐기하려던 '''화이트헤드(Whitehead) 호'''[* 정식 함명은 USS PC-823. 본 해대 졸업 후 해군 장교로 임관했다 [[진주만 공습]]에서 전사한 어빙 "몬티" 화이트헤드 소위의 이름을 딴 것이다.]였다. 당시 돈이 모두 6만 달러였던 손원일 제독 외 인수단원 15명은 이 배를 1대당 2만 달러로 팔려던 판매자 측과 교섭하여 1만 8천 달러에 구입하였다. 구입한 군함은 [[뉴욕]]의 [[미 해안경비대]]의 부두로 옮겨졌고, [[12월 26일]] 오전 10시, 함미에 [[태극기]]를 게양하고 정식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첫 전투함이 되었다. 배의 이름을 새로 지어야 했는데 손원일 제독이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에서 따와서 '백두산함'이라 손수 명명했다. 공교롭게도 미국에서의 이름도 '화이트헤드', 즉 '백두(白頭)'였으니 기막힌 우연. 정식 인수 후에는 [[함장]]에 [[박옥규]] [[중령]]을 임명하였다. 백두산함은 이렇게 대한민국 함선으로 편입되었으나, 정식 군함 라인에선 퇴역한지 오래된 실습용 배인지라 운용하기 위해선 거쳐야할 과정이 많았다. 배를 수리하는 일은 현지에서 직접 해야 했고, 승조원들은 배에서 먹고 자면서 손수 고쳤다.[* 이 때 수리를 위해 정박 중이던 동안, 미국에서 머무르던 승조원들은 발전된 미국의 모습을 보면서 엄청난 [[문화충격]]을 경험했다고 한다. 특히 그들을 놀라게 한 것은 술집에서 본 [[텔레비전|영화를 보여주는 기계]]였다고.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5672|출처]]] 돈으로 고치면서 돈이 부족하면 중고까지 무작정 에누리하면서 사서 손수 달았다고 한다. 그렇게 함정으로서 정비를 마친 백두산함은 첫 항해를 시작했고, [[1950년]] [[1월 24일]], [[하와이]]에 도착하여 [[교포]]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리고 3월에 백두산함 함수에 3인치 포를 장착하였다. 그리고 3월 20일 한국으로 향했다. [[4월 10일]] [[진해]]에 입항하였을 때 국민들이 감격의 눈물을 흘렸을 만큼 귀중한 첫전투함이었다. 진해에 도착한 뒤 최용남 해군 [[중령]]이 백두산함을 인계받고 대기하던 승조원들은 백두산함 운용법과 3인치 포 사용법을 배웠다. 그리고 불빛 신호용으로 12인치 탐조등을, 부무장으로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장비함으로써 전투함으로서 조건이 갖추었다. 소설 백두산함에 의하면 상갑판 좌우현에 20mm 기관포 2문, 중갑판에 대공화기로 40mm 대공포를 장비했다고 한다. 이 즈음 손원일 제독은 나머지 돈으로 백두산함과 동형함을 한 척당 1만 2천 달러에 세척을 더 구입하였으며, 이것이 각각 PC-702 금강산함, PC-703 삼각산함, PC-704 지리산함이었다.[* 이들 이들 중 그러나 지리산함은 원산 앞바다에서 기뢰에 접촉해 격침되었다.] 배는 구했지만 백두산함과 함께 구입한 포탄이 불과 100발에 불과하여 이를 함부로 소모할 수 없었다.[* 돈도 모자랐고, 백두산함급에는 포탄 100발 남짓을 실을 수 있었다고 알려졌다.] 실사격 훈련은 엄두도 못 내었고, 단지 함포를 닦고 조이는 것과 나무로 만든 연습탄으로 조준 및 장전 연습밖에는 할 수 없었다.[* 3인치포 철갑탄 한 발이 40달러를 넘고, 그나마 저렴한 대공탄 한 발의 가격도 30달러 후반으로 외화가 부족한 신생 국가로서는 부담스러운 수준이었고, 여기에 부속 부품을 비롯해서 수리에 필요한 도구들이나 기름, 식수, 추가 함정 구매하기엔 예산이 부족했다.] == 전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두산함 03.png|width=100%]]}}}|| || {{{-1 대한해협 전투 한 달 전인 1950년 5월 20일 진해 제2부두에서 찍은 백두산함 승조원 기념 사진.}}} || [[1950년]] [[6월 25일]] 밤 9시경 부산 앞바다를 통해 침투하려는 [[북한 해군]] [[해군 육전대|육전대]] 600명을 태운 무장 수송선을 포격하여 격침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이 전투를 '''[[대한해협 해전]]'''이라고 칭한다. 참전용사들의 경험담을 참고하면 북한군 무장선박이 워낙 크고 단단해 백두산함의 3인치 포로는 대충 쐈다간 탄약을 모두 소모해도 격침시킬 수 있을 것 같지가 않아서 약점(바이탈 파트)를 정확히 노려 사격할 목적으로 피해를 무릅쓰고 지근거리(약 400미터)까지 배를 갖다 붙였다고 한다. 이에 북한 수송선은 백두산함에 도선하기 위해 상륙정에 육전대를 태워 띄워보내기 시작했고, 상륙정을 막기 위해 백두산함 승조원들이 직접 총을 들고 갑판까지 나와 응전해야 했다. [[소해정]]인 YMS-512 구월산정과 YMS-518 고성정이 달려와 37mm [[대전차포]]를 쏘고[* 육상에서 사용하던 미국제 대전차포를 함정에 올린 것이다.] 적함 마스트가 꺾이는 가운데 백두산함의 3인치 포의 고무 스프링이 녹아 고장났다. 화포를 사격하는 과정에서 과열이 되어서 생긴 고장이고, 예비 부품으로 교체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였으며 이미 예비 부품도 있었다. 그런데 이 대처를 빨리 못한 이유가 좀 서글프다. 앞서 말했듯이 포탄이 너무 부족해서 실탄 사격을 해본 적이 없다 보니 이런 고장을 접해보지 못해 원인을 빨리 알아챌 수 없었던 것. 이를 알아챈 적함이 아군에게 역공을 가해 백두산함 조타실을 뚫고 자이로 컴퍼스를 때려 아군 2명이 죽고 또 한 발이 백두산함 주포 옆을 때려 백두산함에 손상이 갔다. 그래도 접근한 보람이 있었는지 오전 1시 38분 대한민국 해군은 결국 적함을 격침시켰다. 이 전투에서 벌인 성과는 보통 큰 게 아니다. 만약에 이 북한군 함선을 막지 못했더라면 부산에 침투하여 항만 시설을 파괴하고 이를 장기간 점령, UN군의 부산항을 통한 물자 양륙을 지연시켜 [[김일성]]이 큰소리치던 8.15까지 남한을 모두 차지하는 계획이 정말 이뤄졌을지도 모를 상황이었기에 대단히 큰 활약을 한 셈이다. 일부 경상도 지역에 공비가 침투해 후방 전선을 형성한 것으로 보아 해상 침투는 몇 건 더 있었으리라 추정되나, 부산항에 직접 침투했을 이들을 격퇴한 것은 나머지를 놓친 것을 상쇄하고도 남는 승리임에 분명하다.[* 남북 모두 해군 전력이 빈약하여, 양측 모두 전 해상을 감시하기란 불가능했다. 부산으로 향하던 북한 해군 수송선을 발견한 그 자체가 기적이자 전과라 할 만한 것이다.] 또한, 이는 [[춘천-홍천 전투]]와 더불어 인민군이 [[서울]] 점령 후 사흘간 진격을 중지케 해 시간을 벌게 해준 전투로 언급된다.[* 소련 측의 자료는 이와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 [[대한해협 해전]]을 참조.] 그 뒤에도 여수철수작전에서 한국군과 대전에서 후퇴한 미 육군 제24사단 패잔병 2300명을 수습하고 덕적도-영흥도 상륙작전, [[인천상륙작전]], 1951년 2월 10일에 있던 제2차 인천상륙작전에서도 꾸준히 활약을 했다. 상륙작전 당시 포격만 한 것이 아니라 징발한 민간 화물선([[전차상륙함|LST]] 문산호) 선원 20명이 상륙부대에서 활약했다. 애초에 상륙 전체 인원이 200명도 안되었기에 쉽게 성공하여 인천을 탈환했다. == 퇴역 및 해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두산함 돛대.jpg|width=100%]]}}}|| || {{{-1 [[해군사관학교]]에 전시 중인 백두산함의 [[마스트]].}}} || 6.25 전쟁 휴전 이후 미군이 앞서 말한 대로 PF함을 비롯하여 더 좋은 군함을 여러 지원하면서 안 그래도 크게 밀리던 백두산함은 한국 해군에서도 구닥다리로 밀려났고 이후 후방 경계근무로 빠졌다가 1959년 7월 1일 퇴역하고 1960년 8월 21일 해체되었다. 다만 돛대 부분은 보존되어 [[해군사관학교]]에 전시되어 있는데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함체가 온전히 보존되어 후대에 유산으로 전해졌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기는 하지만 미국처럼 오래된 선박을 보존하면서 유지, 보수하기에는 당시 대한민국의 경제력이나 해군의 재정능력이 열악했기 때문에 결국 폐선할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백두산함은 다행히 대한민국 최초의 군함이라는 가치가 인정되어 폐선 과정에서 돛대만이라도 분리하여 보존되기라도 했지, 해군 창설 초기에 들여온 나머지 군함들은 퇴역 후 보존 논의조차 되지 못한 채 고철로 사라지거나 사격훈련 표적으로 전락하는 신세가 되었다.[* 당시 영국같은 강대국도 전후 사정이 너무 나빠 보존 가치가 높던 1800년대 전열함도 유지 비용이 든다면서 죄다 해체시켰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뒤게 트루앙이라는 이름으로 취역했다가 영국에 노획된 HMS 임플라커블.] == 여담 == 나중에 같은 함종으로 3척(PC-702 금강산(PC-799), PC-703 삼각산(PC-802), PC-704 지리산(PC-810))이 전쟁발발 후 도착했는데, [[https://worldoftanks.asia/ko/news/contests/summer-vacation2017-content7|삼각산함은 통영상륙작전의 기함으로 사용될 정도로]] 이 전투함들 모두가 한국 해군의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 안타깝게도 지리산함은 6.25 전쟁 와중인 1951년 12월 소해작업을 진행하다 북한군의 기뢰에 접촉하여 격침당하는 참극을 겪기도 했다.[* 오인사격으로 격침된 함정은 소해정인 JMS-305 두만강함이다.] 하필이면 '4번함'인 지리산함이 격침되어서, 이후 대한민국 해군은 선체번호 끝자리에 숫자 4를 일절 붙이지 않게 됐다. [[4자 금기]] 문제와 겹쳐져 크게 기피하게 된 것. 한국 해군으로선 이 보잘 것 없는 연안 초계정이 예상 외로 맹활약을 하자 나중에 5척(PC-705 한라산(PC-485), PC-706 묘향산(PC-600), PC-707 오대산(PC-1145), PC-708 금정산(PC-1546),[* 외국 자료에서는 금정산함 명칭을 Kun Chang Sun(군창선)으로 오기하고 있다.] PC-709 설악산(PC-564))을 추가로 사서 배치하기도 했다. 더불어 손원일 제독이 처음 구입하려고 했던 PF함은 [[한국전쟁]] 발발 4개월 만에 미군이 거저로 '''두 척이나'''[* PF-61 두만(PF-49 USS Muskogee), PF-62 압록(PF-48 USS Rockford)] 한국 해군에게 제공했다. 이후에도 PF함 3척[* PF-63 대동(PF-3 USS Tacoma), PF-65 낙동(PF-5 USS Hoquiam), PF-66 임진(PF-4 USS Sausalito)]을 추가로 들여오고 1952년 1월에는 고속[[어뢰정]] PT함 4척까지 미군에게 인수받아 한국전쟁 당시 한국 해군의 전력은 의외로 나쁘지 않은 편이었다.[* 반면 한국전쟁 당시 북한(조선인민군) 해군의 전력은 정말 참담하게 그지 없었다. 전력은 소련제 포정 2척과 [[G-5급 어뢰정]] 5척, 수송함 소수가 전부였고, 그마저도 [[주문진항 해전]]에서 다수의 수송함들과 G-5급 4척을 한꺼번에 날려먹는 바람에 이후 전쟁 내내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숨어만 있었다.] 다만 이 PF함들은 완전한 공짜는 아닌 대여 형식이라서 한국 해군은 전후에 이 함선들을 정식으로 구입했다. 이 PF함들은 해군이 더욱 유용하게 쓰다가 1970년 퇴역하였다. 동형의 구잠함들이 세계 곳곳에 대여되었지만, 형태가 온전하게 보존된 것은 1척 밖에 없다. 대부분이 방치되어 녹슬어가고 있거나 부두에서 방치되어 있다가 반쯤 침몰된 상태다.[[https://www.youtube.com/watch?v=WgmTRu8hj_w&ab_channel=jmantime|#]][* 유일하게 온전한 상태로 남아서 전시된 선박은 PC-1640밖에 없다.] [[파일:백두산급경항공모함.jpg|width=550&align=center]] 2020년대 들어 한국의 [[CVX|경항공모함 도입 계획]]이 논의되면서, 첫 경항모 이름으로 이 백두산함의 이름을 계승해서 부활시키는 것이 어떤가 하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최초의 군함이라는 역사성도 충분하고 [[대한해협 해전]]에서의 활약도 있으며 국내외 사례에서도 함명을 이어받는 전통이 많은지라 대한민국 해군이 1순위로 꼽고 있는 함명 중 하나다. 백두산함의 복원을 추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https://m.ytn.co.kr/news_view.php?s_mcd=0101&key=202208261140256984&pos=#return|#]] 애초에 대한민국이 자체 건조한 함이 아니라서 설계도가 없는 관계로, 미국에 남아있는 자료를 토대로 만들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위에서 서술했듯이 PC급 구잠함 자체가 워낙 대량으로 건조된 함급이라 자료는 어느정도 있을 가능성이 크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해군]] * [[초계함]] * [[한국 해군 퇴역 초계함 목록]] * [[대한해협 해전]] * [[손원일]] * [[조선인민군 해군]] * [[해상 병기]] * [[해군력]] [[분류:초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1946년 공개]][[분류:1947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