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영화의 소재가 된 화산, rd1=백두산)] [include(틀:이해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백두산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1 '''{{{#white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5> {{{#white '''기술상'''}}} || || '''[[제40회 청룡영화상|제40회]][br]([[2019년]])''' || {{{+1 → }}} || '''[[제41회 청룡영화상|제41회]][br]([[2020년]])''' || {{{+1 → }}} || '''[[제42회 청룡영화상|제42회]][br]([[2021년]])''' || || [[엑시트]] || {{{+1 → }}} || '''{{{#ffffff 백두산}}}''' || {{{+1 → }}} || [[승리호]] || ||<-5> || }}} || ||<-2>
{{{#ffffff {{{+2 '''[[파일:백두산(영화) 로고.png|width=25%]]'''}}} (2019)[br]''白頭山, Ashfa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백두산.jpg|width=100%]]}}} || || '''{{{#ffffff 장르}}}''' ||[[재난물|재난]], [[하드보일드]], [[밀리터리 SF]], [[전쟁]], [[드라마]], [[액션]], [[모험물|어드벤처]], [[스릴러]], [[느와르]] || || '''{{{#ffffff 감독}}}''' ||[[이해준]], 김병서 || || '''{{{#ffffff 각본}}}''' ||[[이해준]], 김병서, 곽정덕, 김태윤, 임정형 || || '''{{{#ffffff 제작}}}''' ||[[김용화]], 박지성, [[하정우]] || || '''{{{#ffffff 출연}}}''' ||[[이병헌]], [[하정우]], [[마동석]], [[전혜진(1976)|전혜진]], [[수지(1994)|배수지]] 外 || || '''{{{#ffffff 촬영}}}''' ||[[김지용(촬영감독)|김지용]] || || '''{{{#ffffff 조명}}}''' ||조규영 || || '''{{{#ffffff 미술}}}''' ||김병한 || || '''{{{#ffffff 음악}}}''' ||방준석 || || '''{{{#ffffff 편집}}}''' ||김혜진, 김진오 || || '''{{{#ffffff 촬영 기간}}}''' ||[[2019년]] [[2월 17일]] ~ [[2019년]] [[7월 21일]] || || '''{{{#ffffff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덱스터픽쳐스]], [[파일:퍼펙트스톰필름 로고.png|width=100]], [[CJ엔터테인먼트]] || || '''{{{#ffffff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엔터테인먼트]][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WIN || || '''{{{#ffffff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2월 19일]] / [[2022년]] [[10월 31일]] ([[4DX]] 재개봉)[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2월 20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19년]] [[12월 24일]][br][[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2020년]] [[1월 2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8월 27일]] || || '''{{{#ffffff 화면비}}}''' ||2.39:1 || || '''{{{#ffffff 상영 시간}}}''' ||128분 (2시간 8분) || || '''{{{#ffffff 제작비}}}''' ||[[https://movie.v.daum.net/v/20191108134812379|350억원]][* 순제작비는 260억원.] || || '''{{{#ffffff 손익분기점}}}''' ||730만명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8,253,427명''' (최종 / [[4DX]] 재개봉 포함) || || '''{{{#ffffff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5]]]][* 2022년 12월 29일 공개.]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65]]]]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65]]]]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61,354,854''' (최종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1285908/|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 [[12월 19일]] 개봉한 한국 영화. 백두산 폭발을 소재로 하는 [[이병헌]], [[하정우]] 주연의 재난영화이다. 영문 제목은 화산재 등 화산 폭발로 발생하는 퇴적물을 뜻하는 단어인 Ashfall이다. == 개봉 전 정보 == * [[김용화]]가 제작을 맡았으며, 김용화가 대표로 있던 [[덱스터 스튜디오]]가 [[VFX]]를 맡았고 CJ와 공동 제작, 공동 배급을 한다. * [[이해준]]과 김병서의 공동 연출 작품이다. 이해준은 [[김씨표류기]], [[천하장사 마돈나]], [[나의 독재자]] 등을 연출했으며, 김병서는 [[감시자들]]을 [[조의석]] 감독과 공동 연출한 경력이 있으며 [[김씨표류기]], [[신과함께(영화)|신과함께 시리즈]]의 촬영 감독이기도 했다. == 예고편 == ||
[youtube(Evu7gHNqhT4)] || || {{{#ffffff '''티저 예고편'''}}} || || [youtube(FKAbTcss1ow)] || || {{{#ffffff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대한민국 관측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백두산 폭발 발생. >갑작스러운 재난에 한반도는 순식간에 아비규환이 되고, >남과 북 모두를 집어삼킬 추가 폭발이 예측된다. > >사상 초유의 재난을 막기 위해 ‘전유경’(전혜진)은 >백두산 폭발을 연구해 온 지질학 교수 ‘강봉래’(마동석)의 이론에 따른 작전을 계획하고, >전역을 앞둔 특전사 EOD 대위 ‘조인창’(하정우)이 남과 북의 운명이 걸린 비밀 작전에 투입된다. >작전의 키를 쥔 북한 무력부 소속 일급 자원 ‘리준평’(이병헌)과 접선에 성공한 ‘인창’. >하지만 ‘준평’은 속을 알 수 없는 행동으로 ‘인창’을 곤란하게 만든다. >한편, ‘인창’이 북한에서 펼쳐지는 작전에 투입된 사실도 모른 채 >서울에 홀로 남은 ‘최지영’(배수지)은 재난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그 사이, 백두산 마지막 폭발까지의 시간은 점점 가까워 가는데…! == 등장인물 == * '''리준평''' ([[이병헌]] 扮) - [[베이징]] 주재 [[북한]] 서기관이지만 사실 무력부 1급 자원으로 남한에 포섭된 [[스파이]]였다. 그러나 스파이라는 것을 들켜[* 극 중반 아내가 그를 밀고해서 잡힌 것임이 드러난다.] 현재는 황해도 지역의 수용소에 갇혀있었고, 한국 측은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ICBM의 위치를 아는 그를 구출하기로 한다. 부인과 딸이 있는데 아내는 [[마약]]에 심하게 중독되어 곧 목숨을 잃을 처지이며, 딸은 제대로 키워보지도 못하고 백두산 인근 [[보천군]]의 외삼촌 집으로 보내졌다고 한다.[* 리준평의 함흥 집 아파트에서 보면 탁자에 세 가족 사진이 있긴 하다. 따라서 선술한 대로 딸의 얼굴을 아예 보지 못한 정도는 아니겠지만 작중 자신이 자식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할까 봐 겁난다는 대사가 있는 만큼 딸이 어린 시절 몇 번을 제외하고는 거의 보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어]], [[러시아어]]도 구사할 줄 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3&aid=0009564307|#]] 일본어 더빙은 [[사카구치 슈헤이]] * '''조인창''' ([[하정우]] 扮) - 전역을 앞둔 [[대한민국 육군]]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EOD]] 말년대위로, 백두산이 폭발해 임무에 들어간 날이 바로 전역일이었다.[* 단, 보통 전역일엔 실무를 하는 경우는 드물고, 복무 연차에 따라 전역식이 마지막 일과거나 직업보도교육 등을 받고 있어야지, 대위 정도의 장교가 전역일에 폭탄 만지고 있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그냥 극중 조인창의 드라마틱한 인생사를 강조하기 위한 것인듯.][* 이날 조인창의 퇴근 길에 1차 폭발이 일어났으며 다음날인 백두산 작전에 투입된 실제 임무 수행이 전역일이다. 전역 전날 큰일이 터져 어쩔 수 없이 전역이 미뤄졌다고 생각하면 아귀가 맞다.] 나중에 나 원래 지금 민간인이었어야 한다고 리준평에게 온갖 짜증과 생색을 내는 모습이 백미다. 이번 작전에 필요한 ICBM을 해체하기 위해 투입되었다. 그러나 북한을 향해 날아가던 중 의도치 않게 실전부대가 탄 비행기가 추락해 인창의 EOD팀이 실제 작전을 수행하게 되었고 북한땅에서 첫 실전에 들어간다. 수용소에서 작전팀과 함께 리준평을 구출하고 같이 활약하게 된다. 일본어 더빙은 [[우치다 유야(성우)|우치다 유야]] * '''강봉래''' ([[마동석]] 扮) - [[지질학과]] [[교수]]로 3년 전부터 백두산 폭발 가능성 위험에 경고해왔지만, 지속적으로 무시당했던 인물. 관련 이론을 줄창 주장하다 결국 한국 대학에서 계약 연장이 안 되어 퇴임해 짐을 싸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한국계 미국인]][* 배우 [[마동석]] 역시 한국계 미국인이다.]으로 영어 이름은 로버트 화산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자신의 해결 방안이 성공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끝까지 노력하는 인물이다. 일본어 더빙은 [[코야마 리키야]] * '''전유경''' ([[전혜진(1976)|전혜진]] 扮) -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강봉래 교수의 협조를 얻기 위해 소속 대학의 총장의 정부 지원금 [[횡령]] 사건을 언급하며 [[사정(생물)|사정]] 라인의 실권자임을 드러낸다.] 낮은 확률이어도 국가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강 교수의 이론을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하며, 끝내는 [[사직서]]까지 제출한다. 시나리오 상 맹점인데 민정수석은 법무담당 참모라 영화와 같이 군사, 안보, 과학, 외교적 역할을 맡을 수가 없다. 극중 비중이 적지 않은 만큼 역설적으로 시나리오의 수준을 보여주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결국 정치색을 억지로 넣기 위해서 민정수석이라는 직함을 넣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일본어 더빙은 [[후카미 리카]]. * '''최지영''' ([[수지(1994)|배수지]] 扮) - 조인창의 아내로 곧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다. 조인창의 작전 수행에 대한 대가로 미국인들의 탈출편 이용 권한을 얻어 우선 탈출 대상이 되지만 [[인천항]][* 정황상 미국 본토까지 바로 가지는 않고 남한 내 안전지대인 [[제주도]] 혹은 미국의 [[속령]]인 [[괌]], [[사이판]]으로 피신시키려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으로 향하던 중 차에 갇히고 팔당댐이 붕괴되면서 흘러나온 물에 휩쓸리는 등 온갖 고생을 하다 겨우겨우 탈출한다. 이후 어렵게 인천항에 도착하지만 배를 타지 못한다.[* 승선이 일단 거부된 이유는 '''미국 시민권자 우선'''의 원칙 때문이다. 미국인이 모두 탑승 후에야 탑승 가능했던 듯.] 일본어 더빙은 [[오오제키 에리]] * '''최[[장군]]''' ([[이경영(1960)|이경영]] 扮) - [[대한민국 육군]] [[대장(계급)|대장]]. 직책이 무엇인지 언급되지 않으나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부대표지를 다는 대장 계급의 육군 [[장교]]는 [[육군참모총장]] 뿐이다. 기술팀이라 실전을 겪은 적 없는 조 대위에게 계속 무전으로 직접 작전지시를 하다, 상황실을 접수한 북한에 [[제75레인저연대]]를 투입시킨 [[미합중국 육군]]과 [[주한미군]]들이 퇴거를 요구한 이후론 등장이 없다. * '''리순옥''' ([[김시아]] 扮) - 준평의 딸. 본래 함흥에서 어머니와 같이 살다가 백두산 앞동네인 [[보천군|보천]]의 친척집으로 보내졌다. 그 후 백두산이 폭발해 재난의 현장 속에서 충격을 받아 [[실어증]]에 걸린 상태로 준평과 짧게 재회한다. * '''박태식 중사''' ([[이상원]][* [[히트맨(2020년 영화)|히트맨]]에서 '성태' 역으로 우정출연, 그 외 [[PMC: 더 벙커]], [[클로젯]] 등 여러 작품들에서 단역으로 출연한 배우.] 扮) - 육군 중사로, 특전사 EOD 팀 멤버. 다혈질로 작전 초반부터 준평과 함께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거부하고 그것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으며, 사사건건 대립한다. * '''민 중사'''[* 이름은 '민자연' 중사. 처음에 폭탄 해체 현장에서 김 상사와 함께 있는 장면을 자세히 보면 명찰에 '민자연'이라고 적혀 있다. 성만 바꾸고 이름은 배우 이름인 [[옥자연]]에서 따온 것이다. 참고로 김 상사도 배우인 한수현의 이름만 따서 극 중 이름이 '김수현'이다. --[[김수현(배우)|이 분]]이 아니다.--] ([[옥자연]] 扮) - 특전사 EOD 팀 멤버. 박태식을 잘 구스를 수 있는 성격을 지녔다. 멤버들 중 운전을 잘하는 편인지 운전을 도맡아 하고 있다.[* 여담으로 [[클로저스]]의 npc [[송은이(클로저스)|송은이]] 경정과 닮은 꼴이 있다. 짦은 머리에 특전사 출신 등등.] * '''대령''' ([[조한철]] 扮) - 조인창 대위에게 작전에 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러 온 육군 장교. 합참의장과 마찬가지로 [[미합중국 육군]]들이 퇴거를 요구한 이후론 등장이 없다. * '''대통령''' ([[최광일]] 扮[* 그의 형 [[최민식]]도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 '''[[김대중|나중에 대통령이 되는 인물]]'''을 연기했다.][* 영화 개봉 1년 후 [[경이로운 소문(드라마)]]에서 [[신명휘]] 배역을 맡게 된다. 공교롭게도 신명휘는 대통령이 되기를 원하는 중진시의 시장이다.--했었으면서 왜 또 할려고--]) - 전유경 민정수석을 매우 신임하나 얽혀있는 국제 관계와 힘없는 우리나라 사정상 대통령 권한으로 ICBM으로 화산 분출을 막아보려는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다. 다만 퇴임한 전유경의 경호를 보낸 것으로 그녀를 우회적으로 응원해준다. 극중 1% 지지율을 이야기하는 정황상 [[노무현]]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한 듯. * '''선화(리준평의 아내)''' ([[전도연]] 扮[* 특별출연]) : 리준평이 베이징에서 일하는 동안 딸을 홀로 키우다가 준평이 수용소에 들어간 뒤 방탕한 생활을 했고 마약에 중독되어 딸을 돌볼 수 없게 되자 친척집으로 보냈다. 준평을 밀고해서 수용소로 보낸 장본인. * '''간호사''' ([[남상지]] 扮) == [[백두산(영화)/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백두산(영화)/줄거리)] == [[/평가|평가]] == 평론가, 관객, 네티즌 모두 범작에 못 미친다는 평가를 내렸다. 범작 기준이 90%인 CGV 에그지수가 89%에 그치고, 네이버 평점이 '''5.74'''로 혹평에 가깝다. 2시간을 꽉채운 뻔한 스토리와 유치한 유머, 어색한 캐릭터, 비현실적 개연성, 혼잡한 구성으로 흥행에 상당히 성공했음에도 성적에 비해서 타이틀이 급히 잊혀졌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백두산(영화)/평가)]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shfall, tomato=73, popcorn=74)]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285908, user=6.5)]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shfall, user=3.1)]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없음, spectateurs=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22769, user=6.1)]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59272, user=6.3)]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200087, user=6.5)]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X2Mlz,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1196, light=34.41, star=2.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7940, expert=5.67, audience=7.54, user=5.74)]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33855, expert=없음, user=6.3)] [include(틀:평가/CGV, code=82747, egg=89)] == 흥행 == === [[대한민국]]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50주차 ||<|2> → || '''2019년 51주차''' ||<|2> → || 2019년 52주차 || || [[겨울왕국 2]] || {{{#ffffff '''백두산'''}}} || 백두산 || || 2019년 51주차 ||<|2> → || '''2019년 52주차''' ||<|2> → || 2020년 1주차 || || 백두산 || {{{#ffffff '''백두산'''}}} || 백두산 || || 2019년 52주차 ||<|2> → || '''2020년 1주차''' ||<|2> → || 2020년 2주차 || || 백두산 || {{{#ffffff '''백두산'''}}} || [[닥터 두리틀(2020)|닥터 두리틀]]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8,099명 || 8,099명 || 미집계 || 72,998,000원 || 72,998,000원 || ||<|7> {{{#ffffff 1주차}}} ||2019-12-19. 1일차(목) || 450,209명 ||<|7> 4,176,033명 || '''1위''' || 3,549,422,870원 ||<|7> 35,725,258,220원 || ||2019-12-20. 2일차(금) || 424,620명 || '''1위''' || 3,654,829,520원 || ||2019-12-21. 3일차(토) || 798,699명 || '''1위''' || 7,069,584,890원 || ||2019-12-22. 4일차(일) || 778,139명 || '''1위''' || 6,866,105,850원 || ||2019-12-23. 5일차(월) || 283,595명 || '''1위''' || 2,274,503,480원 || ||2019-12-24. 6일차(화) || 498,347명 || '''1위''' || 4,058,863,580원 || ||2019-12-25. 7일차(수) || 936,428명 || '''1위''' || 8,199,380,750원 || ||<|7> {{{#ffffff 2주차}}} ||2019-12-26. 8일차(목) || 364,142명 ||<|7> 2,611,757명 || '''1위''' || 2,245,324,140원 ||<|7> -원 || ||2019-12-27. 9일차(금) || 248,888명 || '''1위''' || 2,163,577,670원 || ||2019-12-28. 10일차(토) || 479,588명 || '''1위''' || 4,234,572,100원 || ||2019-12-29. 11일차(일) || 472,674명 || '''1위''' || 4,155,174,350원 || ||2019-12-30. 12일차(월) || 231,663명 || '''1위''' || 1,838,100,400원 || ||2019-12-31. 13일차(화) || 316,205명 || '''1위''' || 2,530,192,970원 || ||2020-01-01. 14일차(수) || 498,817명 || '''1위''' || 4,431,116,920원 || ||<|7> {{{#ffffff 3주차}}} ||2020-01-02. 15일차(목) || 125,013명 ||<|7> 890,394명 || '''1위''' || 997,483,800원 ||<|7> -원 || ||2020-01-03. 16일차(금) || 118,710명 || '''1위''' || 1,035,848,260원 || ||2020-01-04. 17일차(토) || 241,077명 || '''1위''' || 2,129,101,980원 || ||2020-01-05. 18일차(일) || 205,323명 || '''1위''' || 1,810,012,240원 || ||2020-01-06. 19일차(월) || 71,679명 || '''1위''' || 576,211,280원 || ||2020-01-07. 20일차(화) || 71,955명 || '''1위''' || 573,053,270원 || ||2020-01-08. 21일차(수) || 56,628명 || 3위 || 455,483,800원 || ||<|7> {{{#ffffff 4주차}}} ||2020-01-09. 22일차(목) || 51,441명 ||<|7> -명 || 2위 || 411,456,030원 ||<|7> -원 || ||2020-01-10. 23일차(금) || 52,935명 || 2위 || 467,797,180원 || ||2020-01-11. 24일차(토) || 113,154명 || 3위 || 1,009,727,790원 || ||2020-01-12. 25일차(일) || 99,296명 || 2위 || 885,695,930원 || ||2020-01-13. 26일차(월) || 34,217명 || 2위 || 276,814,260원 || ||2020-01-14. 27일차(화) || 32,512명 || 2위 || 260,282,090원 || ||2020-01-15. 28일차(수) || 21,031명 || 4위 || 167,200,060원 || || '''{{{#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8,252,909명, 누적매출액 69,826,806,300원'''[* ~ 2021/11/05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개봉 첫날 45만 명을 모으며 '''12월 관객수 오프닝 기록을 경신'''하였고 개봉 2일차에 42만 명을 기록했다. 첫날 기록은 [[신과함께-죄와 벌]]을 넘었으나 금요일 기록은 넘지 못했다. 개봉 3일차에는 [[http://osen.mt.co.kr/article/G1111281288|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4일차에 [[https://www.yna.co.kr/view/AKR20191222029651005?input=1195m|200만]] 관객을 넘어섰으며 동시에 [[겨울왕국 2]]의 4주 연속 주말 1위를 마감시키고 1위가 바뀌었다. 개봉 6일차에 [[http://osen.mt.co.kr/article/G1111282486|3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7일차에 크리스마스 버프에 힘입어 '''93만 명'''이나 기록하면서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225/98960015/1|4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10일차에 4DX 포맷이 개봉했으며 동시에 '''[[http://www.c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38|5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13일차에 '''[[https://www.hankyung.com/entertainment/article/201912312977I|6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16일차에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010414128055864|700만]] 관객'''을 돌파했다.개봉 18일차에 손익분기점인 730만을 넘겼다. 1월 13일, 8,030,817명을 기록하며 800만을 돌파했다. 2022년 10월 31일 [[스크린 쿼터제]]를 위한 [[4DX]] 재개봉이 이루어졌다. === [[일본]] === 일본에서는 TWIN[* [[부산행]], [[남한산성(영화)|남한산성]], [[1987(영화)|1987]], [[신과함께(영화)|신과함께 시리즈]], [[PMC: 더 벙커]]를 수입한 배급사.]이 수입, 2021년 8월 27일 개봉 예정에 있으며, 전체 관람가(G)를 받았다. 일본판 타이틀은 [[https://youtu.be/V6Tx1xcDv8o|백두산대분화(白頭山大噴火). 부채까지 나온다고 한다]]. === [[대만]] === ||<-5>
{{{#ffffff '''중화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52주차 ||<|2> → || '''2020년 1주차''' ||<|2> → || 2020년 2주차 || || 엽문 4 || {{{#ffffff '''백두산'''}}} || 백두산 || || 2020년 1주차 ||<|2> → || '''2020년 2주차''' ||<|2> → || 2020년 3주차 || || 백두산 || {{{#ffffff '''백두산'''}}} || [[나쁜 녀석들: 포에버]] || ||<-5> [[http://tw.dorama.info/drama/d_box_idx.php|대만 박스오피스]] || === [[홍콩]] === ||<-5>
{{{#ffffff '''홍콩 흥행 1위 영화''' }}} || || 2019년 52주차 ||<|2> → || '''2020년 1주차''' ||<|2> → || 2020년 2주차 || || 엽문 4 || {{{#de2408 '''백두산''' }}} || [[1917(영화)|1917]]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hongkong/|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홍콩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기타 == * 실제 역사 기록을 보면 [[1597년]] 10월 6일에 [[양강도|함경도]] [[삼수군]][* 현재는 양강도 소속에 있다.]에서 지진이 있었는데, 그해에 백두산이 분화했다. 이 지진은 백두산의 활동으로 인한 화산성 지진으로 추측되며, 추정규모는 무려 '''M7.7-M8.0, 또는 그 이상'''(중국지진관리국 리유체의 추정)에 달한다. * [[이병헌]]과 [[하정우]]가 처음 호흡을 맞춘 작품으로, 아이러니하게도 두 배우의 호흡이 절정에 달했던 장갑차 회화씬은 각자 따로 애드립으로 연기한 것이다. 정확하게는 이병헌이 혼자 적당히 애드립을 친 뒤에, 하정우가 촬영 완료된 씬을 받아서 역시 애드립으로 회화의 빈 공간을 메꾸는 식으로 조합한 것이라고. * [[하정우]]는 원래도 무릎이 좋지 않긴 했는데 이 작품 [[크랭크업]]한 지 이틀만에 수술에 들어갔다. [[반월상 연골판]]이 양쪽 다 찢어져 3일 입원해야 했다. 양쪽 모두 연골판을 40%씩 잘라내 이 작품 이후로 일상 생활에서 뛰는 데 문제가 생겼다고 한다. * [[하정우]]와 [[이경영(1960)|이경영]], [[전혜진(1976)|전혜진]]은 [[더 테러 라이브]]에 이어 다시 한번 비슷한 구도를 묘사했다. 사건의 중심에 있는 [[하정우]]와 그의 상사인 [[이경영(1960)|이경영]][* 단, 더 테러 라이브 때와는 달리 여기서는 악역으로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후반부에 합류하여 주인공을 조력하는 [[전혜진(1976)|전혜진]].[* 역시 더 테러 라이브 때와는 달리 주인공을 배신하지 않고 끝까지 협력한다.] * 특유의 터질듯한 [[근육]]으로 인해 주로 육체파 인물 배역을 맡아왔던 배우인 마동석이 [[해외파]] 지질학 교수라는 [[인텔리]] 배역을 맡았다는 것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마동석의 외모만 보면 다른 주역 배우들인 이병헌과 하정우에게 힘으로 전혀 밀려보이지 않는 탓에 이러한 화젯거리는 영화 외적으로도 홍보에 알음알음 쓰이는 중인데, [[https://extmovie.com/movietalk/51579192|영화 캐릭터 설명용 홍보 이미지]]에서는 마동석이 맡은 캐릭터인 강봉래의 스탯표에 문제 해결력과 지적 능력을 별5개, 근력을 별 1개로 표시하면서 <근육량 대비 아쉬운(?) 근력>이라는 문구를 적어놓아서 대놓고 힘캐 드립을 쳤을 정도다. 공교롭게도 해당 이미지의 근력 표기가 <★☆☆☆☆>인 탓에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해당 스탯표의 별 1개 표시가 별이 5개에서 오버플로우되어서 1개가 된 것이고 실질적으로는 근력 6성이라는 드립이 나올 정도로 말이 많았다. 그리고 노리고 캐스팅한 것은 아닌 것 같으나, 배우 마동석 본인 역시 작중 캐릭터와 동일하게 한국 국적이 없는 [[미국 시민권]]자다. * CJ 배급이니만큼 이번에도 전국 CGV에서 대량독점이 시작되었다. [[겨울왕국 2]]를 과독점이라고 상영 기간 내내 비난하던 평론가, 영화인들이 왜 이번엔 조용한지 모르겠다며 CJ에게 밉보이고 싶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견이 있는데, [[군함도(영화)|군함도]] 때 일반 관객들뿐만 아니라 여러 영화인들도 스크린 독점을 비판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신빙성은 높지 않다. [[https://extmovie.com/movietalk/52420627|역대 영화 상영관 점유율 비교]]를 보면 사실 겨울왕국 2에 비하면 백두산은 의외로 낮은 편이다. 실제로 외화가 한국 영화에 비해 스크린 점유율이 훨씬 높은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선입견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긴 하나 저 통계도 어느 정도 걸러서 봐야 하는 게, 실제로 예매하러 가면 상영 횟수가 심할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 사실이다. 영화관에 가면 사람이 바글바글할 낮 시간대에는 백두산을 몰아넣고 정작 사람들이 오기 힘든 일요일 저녁, 밤 시간대에 겨울왕국 같은 경쟁작들 관을 줘버리는 뭣 같은 관 배치가 흔하다. 하지만 겨울왕국은 이미 개봉이 한 달이 지난 시점이고 예매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백두산과 비슷하게 관을 주지 않는다고 일부 백두산을 욕하는 겨울왕국팬들의 생각은 지나친 욕심이다. 또 2주차가 지나가는 시점까지 독과점을 하지 말라며 여론몰이를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천문과 미드웨이의 네이버 평점에 영화 내용이 아닌 백두산 독과점을 하지 말라는 것이 최상위권에 위치해 있다.) 2주차에 30퍼센트대의 좌석점유율을 기록 중이고 예매량이 1위인 CJ 배급의 영화 치고 절대 높은 수치가 아니다. 더군다나 독과점에 있어서 크게 밀리지 않는 롯데의 연말 대작인 천문이 개봉했는데 독과점을 하고 싶어도 불가능한 상황. 그런데 무려 롯데 배급인 천문은 독과점에 피해를 입은 약자이고 백두산은 가해자라는 프레임은 매우 억지인 논리이다. 하지만 관 크기를 무시하고 단순 상영 횟수로만 치는 것도 있고, 무엇보다 논IMAX영화를 IMAX 관에서 강제로 상영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단, IMAX 상영은 CGV만 탓할 순 없는 게, IMAX도 스크린쿼터를 지켜야한다. 어차피 1년 중 한국영화를 꼭 상영해야만 한다면, 그나마 백두산 같은 영화를 선택할 수밖에 없긴 하다.[* [[천문: 하늘에 묻는다]]와 [[시동(영화)|시동]] 등의 다른 영화들도 있는데, 백두산에 비해 정적인 영화들인 시동과 천문보다는 스펙타클한 액션들이 많은 백두산이 IMAX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기는 하다.] 다만, 독과점 논란이 있긴 했지만 개봉 후 일주일도 되기 전 대--망--작 캣츠의 개봉으로 좌석점유율이 40퍼대로 내려왔고, 롯데 배급의 연말 대작인 천문의 개봉으로 또 30퍼대로 빠르게 내려와 올해 독과점 논란이 일어난 CJ 영화들 중에서는 가장 논란이 덜 되었다. * 실제 백두산이 폭발하면 백두산 인근 지역인 중국 일부와 북한 일부 도시에서는 [[천지(백두산)|천지]]의 물 때문에 엄청난 [[홍수]]가 난다. 그냥 물 아래에서 뻥 터져서 주변으로 넘치는 수준 따위가 아니라 엄청난 수분이 일시에 증발하면서 증발한 물이 다시 비가 되어 내리는데 이게 예상 수치로 '''시간당 800mm'''의 무시무시한 폭우가 되어 쏟아진다. 어마어마한 [[화산쇄설류]]가 생성되어 주변을 싹 뒤엎어버리는 건 덤. 다만 영화상에서는 여기와 관련된 묘사가 전혀 없고, 천지가 나오는 장면이라곤 시작할 때 스쳐 지나가는 백두산 사진뿐이다. 후반부에 분화중인 백두산이 등장하긴 하지만 사방에 떨어지는 화산탄 정도만 위협적으로 나오고 별 거 없으며 심지어 문제의 광산은 큰 지진이 수차례나 코앞에서 덮쳤는데도 무너지지 않았다. * 하정우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요원들이 북으로 갈때 타는 수송기는 형상은 [[C-130]]이나 엔진은 [[C-17]]과 같이 프로펠러가 아닌 제트엔진이다. 또한 작중에서 흑복,블랙 멀티캠을 입고 있는 특전사 요원들을 제외한 다수가 입는 군복은 실제 3군 통합 군복과는 차이가 있는 필리핀 육군의 디지털 군복과 유사한 모습이며, 이는 영화 [[신과함께(영화)|신과함께]]에 등장한 것과 같은 소품으로 보인다. 작중 연도가 [[2021년]]이므로 워리어플랫폼 사업에 따라 위장무늬가 변경된 것을 상정했을 수도 있다. * 영화 시작 후 1차폭발 뉴스소식 때 [[4번국도]] 구간 중 경주 양남면부 근에서 도로가 비정상적으로 부푼 걸 이용하기도 하였다. * 작중 내 [[북한]]의 모습은 백두산 폭발로 국가기능이 완전히 붕괴되어 무정부상태가 된 것으로 보여진다. * 초반 미국 [[항공모함]]에 [[F-22]]와 [[A-10]], 그리고 [[유로파이터]]가 있는데, 셋 다 항공모함에서는 운용 못하는 기종들이며, 이 중에서도 유로파이터는 미국이 아닌 유럽에서 만든 전투기이다. * 이런 작품성이나 스토리, 고증이랑 별개로 이 영화의 특이한 점은 ''''12세 이상 관람가''''라는 것이다. '15세 이상 관람가'라면 대부분의 재난 영화들과 형사/군인들이 서로 부딪치는 액션영화들의 등급 수준 대부분 15세 관람가라 그렇다 쳐도, 이 영화도 북한군과 남한군, 그리고 미군의 총싸움이 일어나는 장면들이 많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12세 관람가이다. 이 때문인지 몇몇 네티즌들은 "12세 등급에 어울리지 않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도 [[해운대(영화)|해운대]]처럼 관람객 층을 가족단위로 넓히기 위해서 12~14세의 연령 층까지 이 영화를 볼 수 있도록 억지로 영화 등급 낮춘거 아니냐."라는 비판도 있다.[* 사실 저연령층을 못보게 원천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청불밖에 없긴 하다.] * 2021년 설날 당일인 2월 11일에 tvN에서 TV 최초로 방영했다.[* 다만 이 편성을 위해 [[윤스테이]]를 결방시키는 바람에 tvN은 많은 비난을 받았다.] * 민 중사 역 [[옥자연]]과 대통령 역 [[최광일]]은 이후 [[경이로운 소문(드라마)|경이로운 소문]]에서 [[백향희|악]][[신명휘|귀 역]]을 맡게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19년)]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0년)] [[분류:2019년 영화]][[분류:백두산]][[분류:한국 재난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한국의 전쟁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모험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한국의 버디 무비]][[분류:북한 배경 영화]][[분류:하드보일드 영화]][[분류:밀리터리 SF 영화]][[분류:가치봄]][[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분류:이해준]][[분류:김용화]][[분류:하정우]][[분류:4DX로 상영한 한국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