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PeaksofBaekdu.jpg|width=100%]]||[[파일:attachment/SinPeaksofBaekdu.jpg|width=100%]]|| || 오리지널 버전 || 新버전 || Map Size: 96×128 Tile Set: Jungle World Players: 2 [목차] == 개요 == 구버전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A 스타리그에서는 스폰서 이름이 붙어 시즌 1에서는 '신한 백두대간', 시즌 2에서는 '신한 신 백두대간'으로 사용됐다.],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신버전은 [[프링글스 MSL 시즌2]],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A],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SKY 프로리그 2006 통합 챔피언전|통합 챔피언전]]/[[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에서 사용되었다. [[Scmdraft]]를 이용한 확장언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맵으로 언덕을 누가 빠르게 자리잡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는지가 승패의 갈림길이었다. 다만 밸런스는 전형적인 상성맵에 토스가 저그에게 약간 밀리는 수준. 그런데 1.0버전과 신버전은 아예 센터 지형을 제외한 모든 지형이 달라서 다른 맵으로 보인다. 그리고 구버전은 앞마당 노가스 맵이었으나, 신 버전은 앞마당에 2000짜리 가스를 주며 전 맵이 가스멀티화됐다. 1.0버전은 [[테란맵]]이었다. 일단 본진 미네랄 뒤에 접근이 용이한 언덕이 있어서 거기에 벙커만 지어도 손을 못 쓴다. 그래서 당시에는 저그 vs 테란전에서 [[9드론]] 스포닝풀, 원해처리 러커 등이 쓰였다. 신버전은 상당한 개념맵으로 통하다가 [[우주모함|캐리어]]의 재발견 후 [[테프전]] 밸런스가 붕괴되었다. 대표적인 경기가 신한은행 온게임넷 스타리그 시즌2 4강 4경기 [[오영종]] VS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전[[https://www.youtube.com/watch?v=D5xOHl4y_XE|(영상)]]과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서기수]] VS [[최연성]] 전. 그럼에도 2006년 [[스갤 어워드]] 올해의 맵으로 선정되었다.[* 사실 최종 밸런스만 놓고보면 [[아카디아(스타크래프트)|아카디아]]가 더 잘 맞지만, [[이재호(프로게이머)|dlwogh]]가 [[원배럭 더블]]을 최적화 시키기 전까지는 테저전 밸런스가 개판이었기에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 == 상세 == [[브루드 워]] 통산, 신 백두대간에서의 역대 최다승은 [[이제동]], [[송병구]], --[[마재윤]]--이 거둔 20승이다. 이 중 이제동만이 최소 패인 5패를 하여, 80%의 승률을 기록하였다.[* 송병구, --마재윤--은 6패] 참고로 [[마재윤|마주작]]과 [[강민]]의 [[성전(스타크래프트)|성전]]이 2번 벌어진 곳이다. [[프링글스 MSL 시즌2]] 4강전에서 [[http://blog.naver.com/nrj2375/220450897963|엘리전]]을 통해 강민이 이겼는데, 주목할 점은 몇 분 동안 [[마재윤|마주작]]의 [[울트라리스크]] 4마리가 좁은 통로에 갇혀 움직이지 못한 것. 그 사이에 마주작의 본진 구석에 몰래 파일런을 짓고 마주작을 엘리시키며 1승을 따냈지만, 나머지 2~4경기를 모두 내주며 1:3으로 패배했다. 이듬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서도 성전이 벌어졌는데, 강민은 앞마당에 파일런 건설이 불가능한 점을 역이용, [[마재윤|마주작]]의 본진이 있는 언덕 한구석에 파일런을 짓고 미네랄 뒤의 공간에 캐논을 지어서 [[타워 러시|캐논러쉬]]를 시도했다. 이를 알아챈 [[마재윤|마주작]]은 바로 저글링을 보냈지만 프로브가 재빨리 파일런으로 길을 막았고, 이후 여유롭게 앞마당을 먹은 강민은 질럿을 줄줄이 보내면서 [[마재윤|마주작]]에게 GG를 받아냈다. [[블리자드]]도 맵의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는지 [[스타크래프트 2]]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맵 중 하나인 [[십자포화]]를 신 백두대간과 거의 동일하게 디자인했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들에겐 디자인과는 별개로 지역상의 유불리 때문에 썩 환영받는 맵은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1시와 5시의 채취율 문제 때문인데, 해설위원들의 말에 따르면 채취 속도가 가장 느린 종족 순서대로[* 테란-프로토스-저그] 선수들이 싫어한다고 한다. 동족전에서 이러한 양상은 더 심화되어, 가스 확보가 승리공식이 되는 테테전이나 저저전과는 다르게 초반의 미네랄 수급이 성패를 가르는 토스전의 경우 5시에 걸리면 [[날빌]]을 시도하려 맘먹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고 한다. [[2007년]] [[WCG]] [[스타크래프트]] 결승에서 [[송병구]]가 [[중국]]의 [[샤쥔춘]]을 꺾고 우승한 맵이다. 맵이름인 백두대간과 당시 논란이 되고있던 [[동북공정]]까지 얽혀 엄재경은 '''"[[장백산|장백]]대간이 아니라 [[백두대간]]이거든요!"'''와 같은 울분의 드립을 토했다. [[스베누 스타리그]] 공식 맵으로 다시 사용 했었다. [[무 프로리그]]에서 밸런스 붕괴로 말이 많았던 [[몽환(스타크래프트)|몽환]]을 퇴출시키고 4강전부터 이 맵을 투입했다. 총 3경기가 벌어졌는데, [[삼성전자 칸]]과 [[이영한]]의 맵이었다. 4강에서는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를 잡아내고 결승 진출을 이루어냈고, 결승전에서도 [[김성대]]를 제압했다. 몽환을 대신하여 투입되어 호평을 받은 만큼 [[신한금융투자 무 프로리그 시즌2|차기 시즌]]에도 재투입되었다. 그리고 [[장윤철]]의 '''4로보틱스 폭탄드랍''' 경기가 나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두대간, version=22)]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