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백기흉상어}}}(흰지느러미암초상어)[br]Whitetip reef shar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ㅂㄱㅎㅅㅇ.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Triaenodon obesus'' '''[br]Rüppell, 183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골어강(Chondrichthyes)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아강'''}}}]] ||판새아강(Elasmobranch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흉상어목(Carcharhin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흉상어과(Carcharhi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백기흉상어속(''Triaenodon'')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백기흉상어(''T. obesus'')''' || [[파일:whitetip reef shark.jpg]] [목차] [clearfix] == 개요 == 흉상어목의 흉상어과에 속하는 [[상어]]의 일종. [[인도양|인도]]-[[태평양]]에 걸쳐서 서식한다. 백기흉상어속의 유일종이며 '화이트팁 리프 샤크'라는 명칭답게 제1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상엽 끝에 흰색의 무늬가 있다. == 특징 == 몸길이는 평균 1.5 m 정도로 소형이며, 그 때문에 주로 산호초의 비좁은 구역에서 볼 수 있다.[* 가끔 모래땅이나 초호에서 보이는 경우도 있다.] 원래 살던 서식지에서 크게 벗어나는 일이 없으며 조사 결과 원래 서식지로부터 3 km 이상 벗어난 개체가 거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낮과 밤의 행동 범위도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낮의 행동 범위는 0.05 제곱km로 거의 한자리에서 죽치고 있는 정도로 행동 범위가 매우 좁지만 밤에는 행동 범위가 1 제곱km로 넓어진다. 성질이 난폭한 종이며 좁은 곳에 숨어있는 곰치도 좁은 틈을 파고들어가 잡아먹기도 하고 심지어 동족도 공격한다고 한다. 먹이로는 주로 [[장어]]류나 [[자리돔]]류, 비늘돔류과 같은 [[열대어]], 그리고 [[연체동물]]과 [[갑각류]], [[곰치]] 등을 사냥한다. 특히 행동 범위가 넓어지는 밤 시간대에 사냥 활동이 활발해진다. 난폭한 성질을 지닌 상어지만 사람과 같은 큰 동물은 사냥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을 해친 사례는 거의 없다. 백기흉상어가 사람을 문 사례가 딱 하나 있긴 있는데, 그것도 작살로 백기흉상어가 사냥하던 먹잇감을 가로채면서 생긴 일이다. 때문에 스쿠버 다이버들과 같이 헤엄치는 모습도 많이 보인다. 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시구아테라 식중독을 일으키는 어류 중 하나기 때문에 백기흉상어의 고기를 먹는 것은 좋지 않다. [[흑기흉상어]]처럼 사육이 가능하지만 흑기흉상어하고는 다르게 잘 들어오지 않는 편이다. == 기타 == [[일본]] [[오키나와현]]에서는 백기흉상어의 습성을 이용한 전통 사냥법이 존재하는데, 낮에 산호초 등지에서 잠자고 있는 백기흉상어의 꼬리에다 줄을 묶어 낚아올리는 방식이다. [[헝그리 샤크 월드]]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나온다. [[분류:백기흉상어속]][[분류:독어(어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