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배틀필드 시리즈)] ||<-2>
'''{{{#000 '''{{{+1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br]BATTLEFIELD Bad Compan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FBC-cover.jpg|width=100%]]}}} || || {{{#fff '''장르'''}}} ||[[1인칭 슈팅 게임]] || || {{{#fff '''개발'''}}} ||[[EA Digital Illusions CE|DICE]] || || {{{#fff '''유통'''}}} ||[[일렉트로닉 아츠]] || || {{{#fff '''출시'''}}} ||2008년 6월 26일 || || {{{#fff '''엔진'''}}} ||[[프로스트바이트(엔진)|프로스트바이트 1]] || || {{{#fff '''플랫폼'''}}} ||[[PlayStation 3|PS3]], [[Xbox 360|X360]][* 하위호환 구동 지원.] || || {{{#fff '''한국어 지원'''}}} ||미지원[* 컷신 자막조차 제대로 없어 영어에 익숙하지 않으면 플레이가 어렵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Ex12fxhtumk)] ||
<#000000><:><-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50]]]] || ||<#000000> {{{#white '''플랫폼'''}}} ||<#000000> {{{#white '''스코어'''}}} ||<#000000> {{{#white '''유저 평점'''}}} || || [[Xbox 360|[[파일:Xbox 360 로고.svg|height=17]]]]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360/battlefield-bad-company|{{{#white '''83/100'''}}}]]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360/battlefield-bad-company/user-reviews|''' 7.7/10''']] || || [[플레이스테이션 3|[[파일:PlayStation 3 로고.svg|height=21]]]]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3/battlefield-bad-company|{{{#white '''84/100'''}}}]]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3/battlefield-bad-company/user-reviews|''' 8.1/10''']] || [[배틀필드 시리즈]] 중 최초로 [[프로스트바이트 엔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거의 모든 사물을 파괴할 수 있다는 점 덕분에 개발 초기부터 큰 인기를 끌었던 게임이다. 약 90%정도의 사물을 파괴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배틀필드에서는 싱글플레이를 별로 부각하지 않은 반면에 다르게 해당작은 싱글 플레이를 중점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처음부터 오직 콘솔(Xbox360, PS3)로만 발매가 되어 PC판은 출시되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대적으로 PC가 강세인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게된 배틀필드 시리즈.[* 그렇지만 미칠듯한 센스의 [[메탈기어 솔리드 4]] & [[기어즈 오브 워]] & [[레인보우 식스]] 패러디 트레일러로 꽤나 많이 알려지긴 했다.] 미국에서는 나름대로 평가가 좋았으며 2편을 만들게 되는 주요 이유가 되었다. 대체적인 싱글 플레이 스토리는, [[제3차 세계대전|러시아가 미국과 정면대결을 하는 가운데]] (…)[* 설정상 소련이 해체 됨과 동시에 힘이 많이 약해졌지만 금세 국내 오일머니 시장의 부흥으로 힘을 다시 키웠고, 중국과 동맹을 맺어 미국과 대립하게 되었다고 한다. [[대체역사|현실의 러시아 하곤 비슷하면서도 뭔가 많이 다르다]]. 그리고 바로 신 냉전 시대가 시작됨과 동시에 주인공네 미합중국 육군 제 222 대대 배드 컴퍼니가 소속된 미군+서유럽, 북유럽, 동유럽, 남유럽의 [[유럽연합|EU]] 가입국들의 북대서양 조약기구군+대한민국, 캐나다, 호주 등의 기타 미국의 동맹국들의 연합군과 맞서는 제 3차 세계대전 발발 크리.][* 배드 컴퍼니의 캠페인 시작 인트로에서 보면 전에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속한 동유럽 국가들은 나토 진영에 소속되어 있고, 나토군과 러시아군이 대치하는 전선이 러시아 국경지대 라인인 발트~카스피 전선인 것을 알 수 있다.] 각종 부대에서 사고친 놈들만 모아 만든 미군의 형벌부대인 제 222 중대, B-company (a.k.a Bad company)의 이야기이다. 배틀필드 2에 나왔던 MEC(중동연합)도 등장한다. 당시엔 PC판이 나오지 않아서 비판 또한 거셌다. [[일렉트로닉 아츠|EA]]는 PC용 싱글플레이 FPS는 먹히지 않을 것 같아 PC보단 라이트한 콘솔쪽을 노리고 만들었는데, 때문에 멀티에 큰 관심을 쏟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완성된 게임은 PC판에 비해 스케일은 작아졌지만 꽤 재밌는 콘솔용 배틀필드가 되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오히려 싱글은 다소 밋밋한 연출 덕분에 멀티플레이의 덤처럼 여겨졌다. 때문에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후속작]]은 처음부터 멀티플레이를 중심으로 홍보를 하였으며, PC버전 또한 개발했다. 2023년 4월 28일에 디지털 판매가 종료되고, 12월 8일에 온라인 서비스가 종료될 예정이다.[[https://www.ea.com/games/battlefield/legacy-sunset]] == 캠페인 == 스토리는 미국과 러시아가 전쟁중인 가운데 문제아들만 모여 있는 미군의 형벌부대, 제 222대대 B중대(그래서 Bad다)의 분대원들의 이야기이며 [[카스피 해]]의 [[중동]] 전선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분대원들은 하나같이 나사빠진 이들이며 [[유격전|아군의 지원도 제대로 없이 싸운다]]. 작중의 미군과 러시아군의 상태가 뭔가 [[영 좋지 않다|영 좋지 않은데]], 아군이 보이긴 하지만 러시아군의 기습 포격에 험비와 트럭으로 이루어진 호송대가 박살나거나 멀리서 같이 싸워줄 것 같았던 [[AH-64|공격헬기]]가 러시아군의 대공포에 격추당한다던가 ,아니면 [[크로스카운터|사이좋게 [[죽창드립|미사일 한방씩 맞고 떨어진다던가]], 미군의 에이브럼스와 러시아의 T-90이 서로 사이좋게 너도 한방 나도 한방식으로 흡사 월드 오브 탱크마냥 뺑뺑이를 돌면서 맞다이 전차전을 하던가]] 하는 [[블랙 코미디|황당하고 헛웃음 나오는 허무한 장면]]이 많다.~~이게 무슨 소리야~~ 아무튼 배드 컴퍼니 분대원들은 지휘관 마이크 원 줄리엣의 지휘하에 아군의 진격로를 가로막는 러시아 군의 중요 시설에 사보타주를 가하거나, 아군의 전차대를 엄호하는 등 여러 임무에 불려 다닌다. 이후 우연하게도 작중 세계관의 중동의 가상 국가 세르다리스탄[*설정상 위치가 [[카프카스]]와 인접하여 있고 [[체첸]], [[카자흐스탄]] 처럼 슬라브계 이슬람권 국가이다.] 대통령인 자비미르 세다르가 고용한 러시아 계열 [[민간군사기업]]인 리전 에어(Region Air)코퍼레이션(검은 복장과 붉은 삼각형 표식의 적병들이 이들이다)와 그들이 수령해야 할 대금인 금괴와 얽히게 되고, 분대장인 레드포드만이 자제하는 가운데 모두가 금괴에 혹한다. 그런데 전투 중에 세르다리스탄의 국경을 넘었다는 이유[* 아군인 미군 기갑사단과의 연계작전을 성공시켜 아군 전차들을 엄호하며 자보그라드를 점령하는 데에 성공하였고 항구까지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아 아군 전차들 및 병력들의 진격로를 엄호하며 공세에 집중하던 와중 러시아군이 무슨 연유에서인지 항구에서 철수하고, 리전 에어 용병대만이 항구에 남아 있어서 어찌됐건 주인공 분대는 명령에 따라 이들과 전투를 벌여 각개격파하고 항구를 점령하나 리전 에어 용병대의 금괴 수송 트럭이 도망치고, 주인공 분대원들은 이 트럭의 자취를 쫒아 세르다리스탄 국경지대까지 접근하나, 국제적 문제로 번질 위험이 있어 포기하고 원대복귀하려 하나 결국 금괴에 대한 욕망을 버리지 못한 해거드가 그대로 국경을 넘어버리는 대형사고를 치고, 어쩔 수 없이 분대원 모두가 에라 모르겠다 식으로 세르다리스탄으로 넘어가고 만다.] 로 모든 분대원들이 탈영처리 되어버리고, 상부에 극대노한 레드포드는 무전으로 직속상관 마이크 원 줄리엣에게 마구 쌍욕을 퍼부으며 따진다. 유일하게 정상인처럼 보였던 이유는, 곧 지긋지긋하게 오랫동안 말뚝을 박았던 군대를 때려치고 형벌부대인 B 중대에서 후임들을 가르치거나 하는 말년을 보낸 다음 제대할 예정이었기 때문. 그러나 그에게 약속을 했던 미군 상층부는 그를 끝끝내 버림패로 쓰며 배신한 것이다. 결국 미국과 러시아의 전쟁이든 뭐든 알 바 아니라는 식으로 모든 것을 내버리고 무선침묵을 유지한 채로 주인공 분대는 금괴를 좇아 카스피해를 넘어 리전에어 용병대를 쫒아 남쪽으로 가버리며[* 무선침묵을 유지한 이후로 미군에 그대로 잡힐 뻔 하나 미군 상층부는 러시아계열 용병대인 리전에어 용병단과 중립국을 표방한 세르다리스탄의 커넥션을 의심해 그대로 주인공 분대를 세르다리스탄의 대통령을 설득하여 데려오라는 자살에 가까운 고난이도의 임무를 엄중한 처벌 대신 나가 뒤지라는 식으로 떠넘기듯이 안겨준다.] 또한 "금괴 좀 나눠줄까효??" 라는 설득과 명분에 넘어간 직속상관 마이크 원 줄리엣도 결국엔 [[욕망의 항아리]]를 이기지 못하고(...) 이들의 브리핑을 맡는다. 이 과정에서 금괴의 행방을 알려준[* 최종적인 금괴의 위치는 중동연합 영토 어딘가에 위치한 가상 도시인 사디즈. 주인공 분대가 사디즈에 진입하자마자 직속상관 줄리엣은 사디즈에 무슨 볼일이냐며 주인공들에게 의문을 표하고 레드포드가 그동안 숨겨오기도 미안하니 사실대로 말하기로 하여 리전에어 용병단이 가진 금괴를 추적중이라고 털어놓자 중동 파견 아군 병력이 사디즈를 향해 진격중임을 알려주고 만약 금괴를 찾으면 자신에게도 공평하게 나누어줄 것을 부탁하며 어서 리전 에어를 쫒는 것을 서두르라며 미운정 고운정 다 든 주인공 분대를 책임지고 지휘한다. 탈영병 협력죄로 인해 군법에 의해 처벌받을 것을 감수하고 주인공들을 지휘관으로서 책임지고자 하는 줄리엣의 의리를 볼 수 있는 대사이다.] 이 와중 세르다리스탄의 대통령은 카스피해의 섬에 짐짝마냥 무책임하게 버려진다(...) 그 지역에서는 러시아군의 동맹인 중동연합군이 마찬가지로 중동 파견 미군과 전쟁중이었고, 주인공 분대는 줄리엣과 나눠 갖기로 한 금괴를 먼저 얻기 위해 미군 전차대가 넘어오지 못하게 다리를 고의로 폭파하는 등 개막장 짓거리를 하고 용병대장의 헬리콥터를 격추시킨 끝에 마침내 금괴가 가득 쌓인 사막 한가운데의 장소에 도달한다! 그러나 미군 지휘관이 그들의 앞에 나타나고, 모두가 당황하는 가운데 우리의 주인공 말로우만이 '새 임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라고 적절한 임기응변을 하고, 지휘관은 금괴를 '잡철'이라 칭하면서 호송 임무를 맡긴다. 당연하게도 이들은 마이크 원 줄리엣의 몪까지 가득한 금괴가 가득 실린 트럭을 몰고 가다 몰래 호송대에서 슬쩍 빠져나오는 것으로 게임은 엔딩... 이 나나 싶었더니, 추락한 헬리콥터에서 용병대장이 기어나온다. '러시아와의 전쟁' 및 '그리 유리해 보이지 않는 전세'를 제외하면 배드 컴퍼니 2와의 스토리 연결점은 [[그런 거 없다|아예 없다]]. 용병대 설정, 금괴 설정 등은 완전히 배제되어 버렸다. 심지어 1편의 유일한 여성 캐릭터인 마이크 원 줄리엣도 배제되었다. 하다못해 1에서는 그나마 있기는 했던 주인공들의 뒷이야기조차 싹 빠져버린게 2편. 아쉬워하는 팬들도 있었지만 1이 원체 유명하지 않아서... 나사 빠진 괴짜 군인들(+지휘관)이 사리사욕을 위해 우스운 일탈행위를 저지르며 싸운다...는 줄거리는 딱 [[켈리의 영웅들]]의 판박이이며 배경으로 따지면 현대전을 배경으로 한 쓰리킹즈에 더 가깝다. 중간중간 소소한 패러디들도 존재하지만, 그게 다 영어로 나온다... 게다가 자막조차 없다. 배드 컴퍼니 2의 경우엔 자막지원이 되긴하지만 한글화가 되지않아 많은 한국인이 개그를 이해하지 못했다. === 캠페인 등장인물 === * 미합중국 육군 제 222 대대 B 중대 "Bad company" * 새뮤얼 레드포드 병장 * 프레스턴 말로우 이등병 * 조지 고든 해거드 2세 이등병 * 테렌스 스위트워터 이등병 * 미군 * 마이크 1 줄리엣 * 러시아, 세르다리스탄 * 리전 에어 용병대장 * 자비미르 세다르 대통령 == 멀티플레이 == 배틀필드 시리즈의 인기 모드로 완전히 자리잡은 '러쉬'의 도입이 처음 이루어진 것이 본작이다. 정확히는 '골드 러쉬 (Gold Rush)'로 도입되었다. 다만 배드컴퍼니 1과 그 이후의 러쉬 모드는 큰 차이점이 있는데. 배드 컴퍼니 1의 경우 '공격' 진영에서는 금괴가 실린 상자 두개를 폭파시키는, 최근작에서 처럼 거점에 폭탄을 설치하여 일정 시간동안 버티면 진영 정복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그 방식 그대로이지만. '방어' 진영에서는 그냥 거점을 방어만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공격 진영의 영토로 잠입하여 버티면 공격 진영의 H.Q의 내구력이 천천히 떨어짐으로서 승리하는 다소 특이한 방식이었다. 때문에 공격 진영은 공격하랴, 진지를 지키랴, 장비 탈취를 막으랴 아주 치열한 전투가 이루어져야 했다. 더군다나 배드 컴퍼니 1의 맵은 배드 컴퍼니 2는 물론, 배틀필드 3보다 넓은 크기를 자랑했다.[* 때문에 배드 컴퍼니 1을 경험해본 유저들은 배드 컴퍼니 2의 맵과 배틀필드 3의 맵이 상당히 큰 퇴보라며 많이 까곤 한다. 더군다나 전투기 같은 빠른 장비들도 없었기 때문에 더더욱 크게 느껴지는 편.] 때문에 공격 진영 입장에서는 자기들 기지도 방어하고, 적의 침투도 미리 저지 시키고, 가장 최악의 경우는 주요 장비들을 방어 진영에서 탈취하여, 농성하거나 역 관광을 시전한다면 꼼짝 없이 패배하게 되어 공격 팀은 팀워크, 실력은 물론 운까지 따라주지 않는다면 거의 이길수가 없었을 정도. 다만 어느정도 벨런스 조절이 확실하게 이루어진 현재 시리즈들의 러쉬 모드보다 이 때의 긴장감 넘치는 러쉬 모드가 그립다며 아쉬워하는 팬들도 은근히 많이 존재한다. == 장비 == 여기서 나오는 장비 모델링들은 [[SPAS-15]]와 [[오비옉트 640|블랙 이글]], 2T 스토커, [[Ka-52]]를 제외하고 싹 다 후속작인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에서 우려먹힌다. 새로 모델링하기 귀찮았던 듯. === 보병 장비 === ==== 전투병(Assault) ==== * 전용 무기 * [[H&K HK416|M416]]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BFBC2_M416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600RPM[* 싱글에서는 500RPM.] | 장탄수: 50발 | 명중률: 70 미군 진영 기본 무장. 배드 컴퍼니 세계관에선 HK416이 M4를 대체하였다는 설정이라, M416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사실 진짜 이유는 라이센스 문제 때문이다. 라이센스 문제 때문이란 걸 숨기기 위해 그럴듯한 설정을 붙인 것으로 추정된다.] 성능은 그냥저냥 쓸만하다. 어째 싱글플레이에서는 연사력이 500RPM이다. * [[AEK-971|AEK971]]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BFBC2_AEK-971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600RPM | 장탄수: 50발 | 명중률: 70 러시아군 기본 무장. 성능은 M416과 동일. * [[슈타이어 AUG|AUG]]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BFBC2_STG.77_AUG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600RPM | 장탄수: 50발 | 명중률: 70 중동연합군 기본 무장. 성능은 M416과 동일하다. * [[AN-94|AN94]]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BFBC2_AN94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800RPM | 장탄수: 50발 | 명중률: 80 랭크 25에 언락. F2000과 함께 연사속도가 가장 빠르고, 위의 3개 무장보다 명중률도 좋다. 대신 반동이 좀 크다. * [[FN F2000|F2000]]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BFBC2_F2000_ICON.png|width=400]] 데미지: 낮음 | 연사력: 800RPM | 장탄수: 50발 | 명중률: 불명 배틀필드 베테랑 달성 시 언락. 계정에 [[배틀필드 2]]같은 배컴1 이전의 배필을 등록해두면 달성된다. AN94와 함께 연사력이 가장 빠르지만 데미지가 낮은 게 단점. * [[M16 소총|M16]]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BFBC2_M16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500RPM | 장탄수: 50발 | 명중률: 85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연사력이 느리지만 데미지가 높고 명중률이 좋다. 중거리에서 빛을 발하는 무기. * [[H&K XM8|XM8]]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BFBC2_XM8_PROTOTYPE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낮음 | 연사력: 750RPM | 장탄수: 50발 | 명중률: 70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M416에서 연사속도를 올리고 데미지를 약간 낮춘 무장. 성능은 역시 무난하다. * 전용 가젯 * LIFE-2 자기 주사기로, 사용하면 체력이 회복된다. 보급병의 구급상자와는 다르게 자기 자신만 치료 가능하다. ==== 폭파병(Demolition) ==== * 전용 무기 * [[M870 MCS|870MCS]]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870combat.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100RPM | 장탄수: 8발 | 명중률: 35 미군 기본 무장. 샷건답게 근거리에서 절륜한 위력을 자랑한다. * [[Saiga-12|S20K]]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aiga20ksemi.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350RPM | 장탄수: 8발 | 명중률: 35 러시아군 기본 무장. 설정상 20 게이지 탄을 사용한다. 반자동 샷건이고 연사력이 빨라서 기본 무장 3개 중 가장 강력해 보이지만 다른 샷건들에 비해 그렇게까지 강한 건 아니다. * [[https://en.m.wikipedia.org/wiki/TOZ-194|T194]] [[파일:BFBC1_T194.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100RPM | 장탄수: 8발 | 명중률: 35 중동연합군 기본 무장. 성능은 870MCS와 동일하다. * [[SPAS-15|SPAS15]] [[파일:BFBC1_SPAS15.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300RPM | 장탄수: 8발 | 명중률: 25 랭크 25에 언락. S20K보다 연사력과 명중률이 더 낮아서 러시아군으로 플레이한다면 쓸 이유가 없다. 대신 기본 무장이 펌프액션 샷건인 미군과 중동연합군은 쓸 가치가 있다. * [[USAS-12|USAS12]]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FBC2_USAS12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낮음 | 연사력: 불명 | 장탄수: 8발 | 명중률: 불명 배컴1 공식 웹사이트에서 누군가의 스탯을 볼 시 언락. '''완전자동 샷건'''. 하지만 데미지와 연사력이 낮아 사기 무장은 아니다. 그냥 S20K를 완전자동으로 만든 듯한 성능. * [[SPAS-12|SPAS12]]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pas12combat.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100RPM | 장탄수: 8발 | 명중률: 25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굳이 쓸 이유가 없는 무장. 870MCS보다 명중률이 낮은 주제에 다른 게 동일하다. 가끔 근거리에서도 적이 안맞는다... * [[Neostead 2000|NS2000]]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Neostead2000combat.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100RPM | 장탄수: 8발 | 명중률: 45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샷건 중에서 명중률이 가장 높으면서 데미지도 그대로다. 잘만 하면 중거리 교전도 가능하다.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후속작]]의 악명과는 다르게 본작에서는 슬러그가 없어서 그렇게까지 사기 무장은 아니다. * 전용 가젯 * [[대전차지뢰|ATM-00]]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C2_ATMINE_ICON.png|width=250]] 대전차지뢰. 꽤나 쓰기 힘든 물건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이걸 차량에 붙여서 지뢰카를 만들고 [[카미카제|적 차량에 돌격하는 것]](...). * [[AT4|M136]]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M136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장탄수: 1발 | 명중률: 불명 미군 기본 무장. 전차 잡는 데 쓰라고 만든 거지만 고수들은 여타 시리즈에서 그렇듯 보병이고 탑승 장비고 다 잡고 다닌다(...). * [[RPG-7]]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RPG7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장탄수: 1발 | 명중률: 불명 ~~알라의 요술봉~~ 러시아군 기본 무장. 성능은 M136과 동일. *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칼 구스타프 M2|M2C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FBC2_GUSTAV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장탄수: 1발 | 명중률: 불명 중동연합군 기본 무장. 성능은 M136과 동일.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후속작]]의 악명과는 다르게 여기선 평범하다. ==== 특작병(Specialist) ==== * 전용 무기 * [[FN SCAR|SCAR]]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FBC2_SCAR-L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900RPM | 장탄수: 60발 | 명중률: 불명 미군 기본 무장. 어째 모델링이 현용 모델이 아닌 초기형 1세대 모델이다. 성능은 모난 데 없이 쓸만하다. * [[AKS-74U|AKS74u]]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AKS-74u_Krinkov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900RPM | 장탄수: 60발 | 명중률: 50 러시아군 기본 무장. 성능은 SCAR과 동일하다. * [[9A-91|9A91]]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FBC2_9A-91_Avtomat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낮음 | 연사력: 900RPM | 장탄수: 60발 | 명중률: 50 중동연합군 기본 무장. 성능이 어중간하다. SCAR과 연사력은 동일하나 데미지가 약간 낮고 반동이 좀 크다. * [[H&K XM8|XM8C]]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XM8_Compact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700RPM | 장탄수: 60발 | 명중률: 60 랭크 25에 언락. 단축형 XM8로, 원본보다 연사력이 약간 깎였다. 그래서 어썰트와 서포트의 XM8만큼 좋지는 않다. 그래도 다른 SMG보다 명중률이 높아서 채용 가치는 있다. * [[UZI]]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UZI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낮음 | 연사력: 900RPM | 장탄수: 60발 | 명중률: 불명 체험판에서 랭크 4를 달성해서 언락(...). 그냥 9A91 쓰듯이 쓰면 된다. * [[H&K UMP|UMP45]]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FBC2_UMP45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높음 | 연사력: 500RPM | 장탄수: 60발 | 명중률: 불명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연사력이 낮은 대신 데미지가 높다. 중거리 교전에서 쓸만하다. * [[PP-2000|PP2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FBC2_PP-2000_Avtomat_ICON.png|width=400]] 데미지: 낮음 | 연사력: '''1000RPM''' | 장탄수: 60발 | 명중률: 40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위 UMP45와는 상반되는 무장으로, 데미지가 낮고 연사력과 반동이 높다. 사실상 총알분무기. * 전용 가젯 * [[C4|DTN-4]] [[파일:BFBC2_C4.png|width=150]] C4. 차량 파괴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걸로 C4카 지하드가 가능하다(...). * TRCR-357 [[파일:BFBC2_Tracer_Dart.png|width=300]] 예광탄 발사기로, 데미지가 아예 없다. 차량에 발사해서 맞으면 그 차량에 로켓발사기 유도가 된다. ==== 보급병(Support) ==== * 전용 무기 * [[M249]]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M249_SAW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600RPM | 장탄수: 150발 | 명중률: 55 미군 기본 무장. 그냥저냥 쓸만한 편. *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M]]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FBC2_PKM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600RPM | 장탄수: 150발 | 명중률: 55 러시아군 기본 무장. 성능은 M249와 동일하다. * [[QJY-88|QJY88]]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FBC2_Type_88_LMG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600RPM | 장탄수: 150발 | 명중률: 55 중동연합군 기본 무장. 성능은 M249와 동일하다. * [[MG3]]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FBC2_MG3_ICON.png|width=400]] 데미지: 낮음 | 연사력: '''1000RPM''' | 장탄수: 200발 | 명중률: 50 랭크 25에 언락. "히틀러의 전기톱" [[MG42]]의 후손답게 연사력이 매우 빠르고, 위의 M249보다 장탄량도 50발 많다. 대신 반동이 큰 편. 5점사를 하면 중거리의 적도 잘 맞는다. * [[M60 기관총|M60]]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M60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550RPM | 장탄수: 150발 | 명중률: 불명 배틀필드 뉴스레터를 구독해서 언락. 데미지 높아지고 연사력 낮아진 M249라고 생각하자. 명중률이 높은 건 아니지만 장거리 교전에서 강한 편. * [[H&K XM8|XM8 LM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XM8_LMG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750RPM | 장탄수: 150발 | 명중률: 50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XM8의 경기관총 버전. 데미지와 연사력 모두 무난하다. 그냥 명중률 낮은 XM8처럼 운용하면 된다. * [[H&K G36#s-4.1.4|MG36]]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FBC2_MG36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750RPM | 장탄수: 150발 | 명중률: 70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성능은 XM8에서 명중률을 올린 수준. 그만큼 근중거리 교전에서 강하다. 전용 조준경이 장착된 게 특징. * 전용 가젯 * [[구급상자|MDK-132]] [[파일:BFBC2_Medkit.png|width=250]] [[구급상자]]. 팀원에게 던져주면 알아서 체력이 회복된다. * PWR-200 [[파일:BFBC2_Repair_Tool.png|width=250]] 수리도구. 모델링은 평범한 드릴이다. 전차에 여러 명이 붙어서 수리하면 전차가 안 터지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MRTR-5 박격포이다. GPS 기기를 이용해서 박격포 포격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이다. ==== 정찰병(Recon) ==== * 전용 무기 * [[M24 SWS|M24]]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FBC2_M24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50RPM | 장탄수: 5발 | 명중률: 100 미군 기본 무장. 상체 1샷킬이 가능하다. 성능이 무난해서 처음부터 계속 이것만 써도 된다. * [[SV-98|SV98]]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FBC2_SV-98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50RPM | 장탄수: 5발 | 명중률: 100 러시아군 기본 무장. 성능은 M24와 동일. * [[GOL 저격소총|GOL]]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GOL_Sniper_Magnum_ICON.png|width=40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50RPM | 장탄수: 5발 | 명중률: 100 중동연합군 기본 무장. 성능은 M24와 동일. * [[VSS 빈토레즈|VSS]]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VSS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400RPM | 장탄수: 12발 | 명중률: 80 랭크 25에 언락. '''완전자동 저격소총'''으로, SVU보다 장탄수가 약간 많고 연사력이 더 빠르다. 그만큼 좀 더 근거리에서 교전이 가능하다. 대신 명중률이 약간 낮아서 장거리 교전에는 어려움이 있다. * [[QBU-88|QBU88]]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FBC2_Type_88_Sniper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 | 연사력: 300RPM | 장탄수: 10발 | 명중률: 90 예약 구매 특전. 아래의 SVU와 성능은 동일하나 소음기가 없는데다 예약구매 특전 무기라 쓰는 사람이 매우 적다.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SVU]]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FBC2_SVU_Snaiperskaya_Short_ICON.png|width=400]] 데미지: 중간-높음 | 연사력: 300RPM | 장탄수: 10발 | 명중률: 90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소음 저격소총. VSS보다 높은 안정성과 명중률을 원한다면 이걸 쓰자. * [[바렛 M90/M95|M95]]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FBC2_M95_ICON.png|width=400]] 데미지: '''매우 높음''' | 연사력: 50RPM | 장탄수: 5발 | 명중률: 100 1 언락 포인트로 언락. [[50구경]]이라는 구경빨로 경차량과 헬기에 데미지를 주는 게 가능하다. 다만 보병 상대로는 약간 다른데, M24 등도 원샷원킬은 가능하고, 다른 저격총보다 몸샷 데미지가 약간 더 높은 거 말곤 장점이 없다... 그래도 경차량과 헬기에 데미지를 준다는 점은 충분한 이점이라 채용 가치는 있다. * 권총[* 배드 컴퍼니 1은 다른 시리즈와는 달리 권총이 리콘 전용 부무장이다.] * [[베레타 M9|M9]]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FBC2_M9_ICON.png|width=250]] 데미지: 낮음 | 연사력: 400RPM | 장탄수: 12발 | 명중률: 불명 미군 기본 무장. 성능은 권총답게 보조무장으로는 쓸만하다. * [[MP-443|MP443]]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p443grach.png|width=25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400RPM | 장탄수: 12발 | 명중률: 불명 러시아군 기본 무장. 성능은 M9와 동일. * [[MP-412 REX|MP412]]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p412rex.png|width=250]] 데미지: 높음 | 연사력: 불명 | 장탄수: 6발 | 명중률: 불명 중동연합군 기본 무장. 장탄수가 다른 권총들의 절반이지만 데미지가 높다. * 전용 가젯 * MTN-55 [[파일:BFBC2_MTN-55.png|width=150]] 동작 감지기. 3개까지 들고 다닐 수 있다. 던지면 반경 내의 모든 적군이 미니맵에 표시된다. * LZ-537 [[파일:BFBC2_Binocs.png|width=200]] 레이저 표적 지시기. 위치를 지정하면 순항 미사일이 날아온다. ==== 공용 무장 ==== * 가젯 * [[수류탄|HG-2]] 세열수류탄이다. 모델링은 [[F1 수류탄]]인 것 같은데, 약간 다르다. 살상용보다는 주로 견제용으로 사용한다. * [[나이프|KNIV-1]] 컴뱃 나이프. 근데 나이프를 사용할 만한 영거리의 적도 보통은 총으로 쏴서 죽이므로 존재감이 적은 무장이다. 이걸로 얇은 나무를 벨 수 있다... === 탑승 장비 === ==== 미군 ==== * [[M1 에이브람스|M1A2 에이브람스]] * [[M3 브래들리|M3A3 브래들리]] * [[험비]] - 게임 개발 시기에 미 육군의 차기 [[기관총#중기관총|중기관총]]으로 도입이 추진된 [[XM312 ACSW|XM312]]가 거치되었다. * [[AH-64|AH-64 아파치]] ==== 러시아군 ==== * [[T-90]] * [[BMD-3]] * [[GAZ 보드닉]] * [[Mi-28|Mi-28 하복]] ==== 중동연합군 ==== * [[오비옉트 640|블랙 이글]] * [[https://en.wikipedia.org/wiki/2T_Stalker|2T 스토커]][* [[벨라루스]]제 위력 정찰형 강행 [[정찰 장갑차]]로, [[BMP-2]]와 같은 소련제 주요 기갑장비에 쓰이는 [[https://en.wikipedia.org/wiki/Shipunov_2A42|30mm 슈프노프 2A42 기관포]]와 [[9K114 슈투름]] 대전차 미사일(나토 코드: AT-6 Spiral), [[이글라 지대공미사일|9K38 이글라]] 대공미사일로 무장한 차량이다. 대강 [[브래들리 장갑차]] 가운데 정찰형 바리에이션인 [[브래들리 장갑차#s-5.1|M3 CFV]] 정도 성격의 차량으로 보인다. IDEX 2003에서도 공개된 바 있으나 2022년까지 현재 채용한 국가는 없는 상태이며, 벨라루스 자국 지상군에서도 아직 도입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애초에 북한도 아니고 [[폭풍호|대공 차량도 아닌 주력 기갑 전투차량에 대공미사일마저 다는 게 비정상적인 설계이긴 하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사이트 내 2T 스토커 소개글: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175656|#]] ] * [[코브라(동음이의어)#s-19|오토카르 코브라]] * [[Ka-52]] ==== 공용 탑승 장비 ==== * PBL[* 미군의 고속정.] * 골프 카트(...) == 기타 == * '세르다리스탄(Serdaristan)'이라는 [[가공의 국가]]가 등장하는데 세르다리스탄은 [[미러스 엣지]]의 엘리베이터 뉴스에서도 언급된다. 타스비키스탄(Tasbikistan)이라는 가공의 국가와 전쟁을 치루고 있다는 내용. 미러스 엣지 모두 같은 EA DICE 사의 작품이라서 이스터에그로 등장한 걸 수도 있지만, 미러스 엣지와 배드 컴퍼니가 같은 세계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다만 [[미러스 엣지 카탈리스트]]와 같이 대륙만 같고 세계관만 다른 것이 아닌 대륙 자체가 다른 지형이면 얘기가 달라진다. * 본작에서 등장한 스마일 고리가 달린 수류탄은 이후 배틀필드 시리즈가 계속 되면서 배드 컴퍼니 시리즈에 애착을 가진 배틀필드 팬들에게 배드 컴퍼니의 상징이 되었으며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 2021년, 배틀필드 2042의 게임 모드인 포탈 소개 트레일러에서 아주 잠깐 등장하며 배드 컴퍼니 컨텐츠의 복귀를 알렸다. 다른 전작들의 요소들보다 현저히 적은 노출 시간임에도 특유의 스마일 고리가 강렬했기 때문에 배드 컴퍼니의 존재를 알고 있기만 하다면 누구든지 알아챌 수 있는 것. [[분류:배틀필드 시리즈]][[분류:2008년 PS3·X360 게임]][[분류:Xbox One의 하위 호환 지원 게임]][[분류:EA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