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해남도의 시군)] ||||<:>{{{#white {{{+3 배천군 (황해남도)}}}}}}||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황해남도 배천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白川郡 / Paechŏn County [[황해남도]]의 연백평야 동쪽에 있는 군. 동쪽으로는 [[황해북도]] [[금천군]]과 [[개성시]], 서쪽으로는 [[연안군]], 남쪽으로는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인천광역시]] [[강화군]], 북쪽으로는 황해남도 [[봉천군]]과 접해 있다. 한자 표기는 '''白川'''이지만, [[활음조 현상]]에 의해 '''배천'''으로 읽는다. 옛날 사람들도 헷갈렸는지 전해오는 이야기에 배천 군수로 발령받게 되었다고 집안 어른들께 인사하기 위해 '''백천''' 군수로 간다라고 말했다가 집안 어른에게 "제가 갈 고을 이름도 제대로 못 읽다니!" 라고 혼났다는 이야기도 있고, [[흥선 대원군]]에게 '''배천''' 군수 자리를 청하러 온 이가 이 고을 이름을 '''백천'''이라고 읽었다가 대원군에게 면박을 당한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 이 지역을 본관으로 삼는 성씨로 '배천 조씨'가 있다.~~심지어는 배천 조씨들 본인들중에서도 본인을 '''백천 조씨'''라고 소개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군 면적의 90퍼센트 이상이 연백평야와 구릉지대라 북한의 중요한 쌀 생산지 가운데 하나이다. == 지리 == [[연안군]], [[청단군]]과 함께 [[예성강]] 서쪽 연백평야에 속하는 평야지대이다. 군의 90% 이상이 해발고도 200m 이하의 구릉과 평야로 되어 있다. 중부에는 치악산[* 배천읍내가 치악산 주변에 있다.](360m)과 토미산(250m)이 있고, 북부에는 황의산(478m), 광석산(295m), 동부에는 대산(175m), 남부에는 어라산(221m), 서부에는 용각산(366m)이 있다. 남부의 황해 바닷가에는 간석지가 넓게 발달해 있으며 간석지 개간으로 논이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대표적으로 역구도는 원래 섬이었으나 간척으로 육지가 된 케이스다. 예성강을 비롯하여 그 본류와 지류를 포함한 48개의 크고 작은 강과 하천이 있다. 예의저수지, 호국저수지 등 15개의 크고 작은 저수지가 있다. == 역사 == [[삼국시대]]에는 치양(雉壤)이라는 지명으로 불렸으며 [[치양 전투]]가 벌어진 장소이기도 하다. [[고구려]]의 도랍현(刀臘縣)이었고 혹은 치악성(雉嶽城)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신라]] [[경덕왕]] 때에 이름을 구택(雊澤)이라 고쳤고, 고려시대에 배주(白州)라고 불렸다. 고려시대의 국제 무역항인 [[벽란도]]가 위치해있었다. 배천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것은 [[조선]]시대인 1413년 때부터였다. 그 이후 쭉 배천군으로 행정구역을 유지하다가, 1914년 [[일제강점기]] 때 [[부군면 통폐합|대대적인 행정구역 통폐합]]이 이루어지면서 서쪽의 [[연안군]]과 통합되어 두 군의 앞글자(연안의 연, 배천의 배)를 따 [[연백군|연백]](延白)군이 되었다. [[8.15 광복]] 이후 [[38선]]이 그어지면서 군이 남북으로 분단되었고, [[6.25 전쟁]] 이후 휴전선이 그어지면서 현재의 배천군 전역이 북한에 속하게 되었고 [[남연백군]]을 설치했다. 1952년 12월 북한이 [[군면리 대폐합|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할 때 연백군을 도로 분할하여 연안군과 배천군을 다시 만들었다. 휴전선이 그어진 후 이 지역은 주민들의 출신성분이 복잡하다고 판단하여 신해방지구(특별감시대상지역)으로 지정하였고, 주민들에 대한 통제감시를 강화했다. 현재의 배천군은 대략적으로 광복 당시 연백군의 운산면, 화성면, 금산면, 은천면, 석산면, 도촌면, 유곡면, 온정면, 해월면, 호동면의 일부 지역에 해당된다. == 하위 행정구역 == 1읍 1로동자구 26리를 관할하고있다. * 읍 : 배천읍 * 로동자구 : 봉량로동자구 * 리 : 강호리, 금곡리, 금산리, 금성리, 용동리, 유천리, 문산리, 물길리, 방현리, 봉화리, 석산리, 수복리, 수원리, 신월리, 역구도리, 오봉리, 운산리, 원산리, 일곡리, 정촌리, 창포리, 추정리, 항정리, 홍현리, 화산리, 화양리 == 교통 == 도로는 해주 배천간 2급도로(대한민국 기준으로는 [[50번 국도]])가 동서로 지나간다. 철도는 [[토해선]]이 지나갔으나 북한에 의해 [[배천선]]으로 바뀌었다. [[온정역]]과 [[신월역(배천선)|신월역]], [[홍현역]], [[배천역]], [[은빛역]]이 있다. == 명소 == * 배천온천 - 배천읍 남쪽에 있으며 500년 전부터 널리 알려진 온천이다. 북한 천연기념물 제159호. [[세종(조선)|세종]]이 이곳에 와서 요양하였다고 하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서울의 왕족 및 귀족들도 요양하러 많이 찾았다고 한다.[* 서울에서 배천군까지의 거리는 서울에서 [[춘천시]], [[천안시]]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 * 연안온천 - 이름과는 달리 배천군 관내 금성리에 자리잡고 있다. * 강서사 - 강호리 백마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다.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77호. == 대한민국과 배천군 == [[38선]]이 군의 중앙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38선 이남 지역은 [[6.25 전쟁]] 직전까지는 [[대한민국]]의 실질적 영토였다. 남한 지역인 강화군과 한강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군 교동도 망향대 같은 곳에서는 육안으로도 보인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15&aid=0000675431|기사]] [[분류:황해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