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curbsideclassic.com/Fortune-cover-GM-A-bodies.jpg|width=100%]]}}}|| || 1983년 8월 22일자 "[[포춘]]" 지에 나온 GM의 [[FF(자동차)|전륜구동]] 중형 플랫폼 A-바디를 기반으로 한 [[중형차]]들[* 맨 뒤에서부터 [[쉐보레 셀레브리티]], [[뷰익 센추리]], [[올즈모빌 커틀라스 시에라]], [[폰티악 6000]]. 1980년대 [[제너럴 모터스|GM]]의 전형적 뱃지 엔지니어링의 극단적인 사례이다. [[http://www.curbsideclassic.com/wp-content/uploads/2012/11/Fortune-cover-GM-A-bodies.jpg|출처]]] || [목차] == 개요 == 베지 엔지니어링(Badge Engineering)은 하나의 모델을 여러가지 브랜드로 내놓는 것이며, 리뱃징(Rebadging)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뱃지란, 브랜드의 마크를 뜻하기도 한다. 유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개별 브랜드에 맞게 차종의 특성을 조금씩 다르게 해서 내놓는 경우와 로컬 전용 브랜드로 바꾸는 경우, 그리고 일반 브랜드와 럭셔리 브랜드 간 리뱃징이 있다. == 역사 == 최초의 뱃지 엔지니어링은 1917년에 텍사스의 텍산(Texan) 자동차에서 인디아나의 엘카(Elcar)사 차량을 조립 생산한 것에서 시작했으며, 1926년에는 미국 [[내쉬]](Nash)가 단종된 소형차인 Ajax의 재고 차량을 "내쉬 라이트 식스"로서 엠블럼, 휠캡, 그릴을 손봐 재판매한 사례도 있었다. 후자의 경우는 중고차 가격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도록, 아예 기존의 Ajax 차량 오너들이 정비소에서 내쉬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무상으로 개조 키트를 지원해주기까지 했다. == 유형과 예시 == === 성격을 차별화 === 가장 단적인 예로 과거 [[제너럴 모터스|GM]]을 꼽을 수 있다. 물론 지금도 적용하고 있다.[* [[오펠 안타라]]의 경우는 [[오펠]], [[복스홀]], [[새턴]], [[홀덴]], [[GM대우]], [[GMC]], [[쉐보레]]의 무려 7개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하기도 했다.] 배지 엔지니어링의 전성기었던 1980년대에는 한 차종에 2~3개 브랜드는 기본이었으며, 한번은 무려 4가지([[쉐보레]], [[뷰익]], [[폰티악]], [[올즈모빌]]) 브랜드로 내놓기도 했다. 이때 등장한 차들은 외관상으로 실내 부품 몇 가지와 엠블럼, 그릴, 헤드램프, 범퍼 등만 좀 다른 수준이었다. 특히 1세대 [[쉐보레 카발리에]]의 경우는 [[쉐보레]], [[폰티악]], [[뷰익]], [[올즈모빌]], [[캐딜락]]의 5개 브랜드로 출시된 바가 있었고, 로컬라이징 성격이 포함되는 해외 시장까지 포함하면 [[오펠]]/[[복스홀]], [[홀덴]], [[이스즈 자동차|이스즈]] 등으로도 판매되었다. 하지만 당시 [[제너럴 모터스|GM]]의 경우는 차별화가 매우 미미했기 때문에 회사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데 일조했고, 특히 이 때의 리뱃징 모델이었던 [[캐딜락 시마론]]은 대표적인 병크로 끝났다. 때문에 지금은 배지 엔지니어링의 규모가 예전보다 축소되고, 그 대신에 디자인 변화를 대폭 주는 플랫폼 공유의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GM 이외에도 과거에는 영국의 [[브리티시 모터 코퍼레이션]][* 특히 이쪽은 과거 오스틴과 모리스 휘하 브랜드들을 모두 유지하면서(대중차에 오스틴-모리스, 준프리미엄에 라일리-울즐리, 스포츠카에 오스틴 힐리-MG, 고급차에 반덴플라) 판매망 확보의 역할까지 포함되었다.]과 [[루츠 그룹]][* 대중차 힐만, 준고급 싱어, 스포츠 브랜드 선빔, 고급 브랜드 험버의 4개 브랜드에 1950년대 들어서 공통 베이스의 주력차종을 공급했다. 주력차종인 힐만 밍크스는 모든 브랜드에 걸친 베이스가 되었으며, 엔트리급인 힐만 임프도 싱어와 선빔 버전을 출시했다.]이 총 4~6개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했었고, [[포드(자동차)|포드]]와 [[크라이슬러]]도 1970~2000년대까지 이를 즐겨 쓴 적이 있었다. === 로컬라이징 === 어떤 지역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바꾸는 유형이다. 대표적으로 [[르노]]의 [[한국]] 자회사인 [[르노코리아|르노코리아(舊 르노삼성)]]이 있다. [[대한민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는 [[르노]]의 로고를 부착하지만, [[대한민국]]에서만 [[르노코리아자동차]]로 팔린다. 물론 르노 공장에서 직수입해 오는 [[르노삼성 QM3|QM3]]의 경우는 아예 르노 마크로 바꿔서 다니는 경우가 좀 보이고, [[르노 클리오|클리오]]나 [[르노 트위지|트위지]], [[르노 캡처|캡처]] 등은 아예 르노의 다이아몬드 로고를 그대로 적용하고 출시했다. 현재는 브랜드 투-트랙 전략으로 해외 공장 직수입 모델은 순정 다이아몬드 로고를, 부산공장 생산 모델은 태풍 로고를 부착하는 전략이 잡혔다. 특히 QM3의 경우 1세대는 태풍 로고를 붙이기 위해 그릴과 보닛을 통째로 갈아끼웠지만 2세대는 원래 이름인 '캡처'로 수입되고 있다. 반대로 부산공장에서 생산하는 [[르노삼성 XM3|XM3]]의 수출형은 르노 로고를 적용하고 [[르노 아르카나|뉴 아르카나]]로 만들어진다. [[현대자동차]]는 자사의 소형차인 [[현대 엑센트|엑센트]]를 중남미시장에 [[닷지(자동차)|닷지]] 브랜드로 뱃지만 바꿔서 팔기도 했다.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의 경우는 [[KG 렉스턴/2세대|G4 렉스턴]]과 [[KG 티볼리|티볼리]]를 인도 시장 한정으로 모회사 [[마힌드라 & 마힌드라|마힌드라]]에서 [[마힌드라 앨투라스 G4]]와 [[마힌드라 XUV300|XUV300]][* 단, 소형 SUV는 4,000mm 미만일 경우 [[인도]] 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뒷모습은 다르게 생겼다.]으로 판매한다. 그 외에도 말레이시아 등에서는 [[기아자동차]]의 [[기아 카렌스|카렌스 2]]와 [[기아 카니발|카니발 2]]. [[기아 모닝|모닝]]이 현지 파트너 업체 나자(Naza)를 통해 "나자 시트라(Naza Citra)"와 "나자 리아(Naza Ria)", "나자 수리아(Naza Suria)"라는 명의로 현지생산 뒤 판매된 경력이 있다. 또한, 현대자동차의 일부 차종은 말레이시아에서 이노콤(Inokom) 브랜드로 팔리기도 했다 성격차별화와 로컬라이징이 결합되어 가장 많이 리뱃징된 차종은 [[SUV]]인 이스즈 트루퍼/빅혼이다. 당시에는 [[이스즈자동차|이스즈]]가 [[제너럴 모터스|GM]]과 제휴한 덕분에 무려 8개(이스즈 빼면 7개(쉐보레, 홀덴, 스바루, 오펠, 복스홀, 아큐라, 쌍용) 브랜드로 리뱃징되었는데, 기본형인 이스즈와 수출형으로 나머지 주요 GM 브랜드인 [[쉐보레]], [[홀덴]], [[오펠]], [[복스홀]]로도 리뱃징되었고, [[일본]] 내수용으로는 [[스바루(자동차)|스바루]],[* 1980년대에 스바루와 제휴하면서 각 회사의 몇몇 차종을 교환 판매했다. 이때 이스즈는 트루퍼를 스바루에 공급했고, 스바루는 레거시 세단과 레오네 왜건을 이스즈에 공급했다.] 그리고 GM과 인연이 없는 [[혼다]]와 그 고급 브랜드인 [[아큐라]][* 1990년대 초에 스바루의 대타로 제휴관계를 시작했다.]로 한국에서는 [[쌍용자동차]] 코란도 훼미리로 리뱃징이 되었다. === 대중차와 프리미엄/럭셔리 브랜드 === 과거 [[일본]]차가 북미 시장에 고급차를 진출시킬 때 써먹던 방식이다. [[토요타]]의 예를 들면, 일본 내수용 토요타 모델 중에서 북미 시장에 팔아도 될 것같은 모델들을 골라 [[렉서스]]라는 브랜드를 탄생시키고 이들 차종의 뱃지만 렉서스로 바꾼 다음 고급 브랜드로 런칭시킨 것이다.[* 예외적으로 [[렉서스 LX|LX]]는 토요타 버전인 [[랜드 크루저]]와 같이 북미에서 판매됐다.] [[닛산자동차|닛산]]과 [[혼다]]도 비슷한 방법을 이용했다. 혼다에서 만든 역작인 [[혼다 NSX|NSX]]는 [[아큐라]]로도 나왔고, 닛산의 상징 중 하나인 [[닛산 GT-R|GT-R]]도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GT-R의 출시 검토까지 간 적이 있었다. 하지만 [[렉서스]]는 [[일본]]에 렉서스를 런칭한 2005년부터 대부분의 모델이 별도의 모델로 돌아서면서 플랫폼 공유 정도로 끝나게 된다. 이 영향으로 인해 [[렉서스 IS|알테자]], [[렉서스 GS|아리스토]], [[렉서스 LS|셀시오]]같은 토요타 버전 모델이 단종되고, 렉서스의 모델로 대체됐다. [[렉서스 RX|RX]]의 원판인 [[토요타 해리어|해리어]]는 아예 모델명만 남아 있을 뿐 완전히 별개의 모델로 바뀌었다.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는 렉서스와 달리 [[닛산자동차|닛산]]의 원판 모델이 남아 있다. 이 경우의 가장 특이한 예로는 토요타 iQ와 [[애스턴 마틴 시그넷]]이 있다. 이쪽은 원래 도요타에서 만든 소형 시티카를 스포츠카 메이커인 [[애스턴 마틴]]이 메이커별로 적용되는 연비규제를 뚫어보려는 꼼수로 배지 엔지니어링으로 판매한 진귀한 사례인데, 애스턴의 의도와는 달리 그냥 망했다. 원판인 iQ는 그럭저럭 성공을 거두었지만. === 개발비 절감 및 판매업소 확대 === [[일본]]의 자동차 회사들이 자주 써먹는 방법이다. [[파일:external/motorchase.com/nissan-dayz-mitsubishi-EK-Wagon-01.jpg]] 예를 들면 [[닛산자동차|닛산]]의 일본전용 경차인 [[닛산 데이즈|데이즈]]는 [[미쓰비시 자동차]]와 공동개발하고,[* 나중엔 아예 합작회사를 세워 그 회사에 개발을 전담시켰다.] 미쓰비시제를 OEM으로 가져와 생산한다. 그러나 이게 [[영 좋지 않은]] 방향으로 가서 미쓰비시의 연비조작이 들켜 미쓰비시 eK 시리즈뿐만 아니라 OEM공급받은 닛산까지 벌금을 때려서 소비자에게 보상하게 되었다. 그 이전에는 닛산과 스즈키, 마쓰다의 3개 업체가 경차를 공유하기도 했다. 다른 예시로는 [[토요타]]의 배지 엔지니어링. [[토요타 프로박스|프로박스]]와 [[토요타 석시드|석시드]]의 예를 들자면 모든 기계적 수치는 같지만 토요타의 딜러 판매방식에 의하여 이름만 다른 채로 팔리고, 자회사인 [[다이하츠]]에 [[토요타 프리우스|프리우스 알파]]를 배지 엔지니어링한... [[파일:external/auto.blog.rs/daihatsu%20mebius%201.jpg|width=600]] ...[[다이하츠 메비우스|메비우스]](Mebius)라는 차를 판매하기도 한다. 반대로 토요타와 다이하츠가 경차 및 소형차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는데, 경차 라인업은 주로 다이하츠가 먼저 출시해 토요타에도 추가되는 식이며, [[토요타 팟소|다이하츠 분/토요타 팟소]]와 [[토요타 bB|bB/쿠]]같은 일부 소형차도 다이하츠가 개발을 주도했다. 토요타 내 딜러점별 뱃지 엔지니어링은 딜러점의 판매 권한을 지역 업체별로 나눠주는 지역별 판매망 확보방식으로 인해 지금까지 유지되었는데, 2019년에 합의를 보면서 딜러점별 뱃지 엔지니어링 라인도 서서히 통합[* 가장 많이 팔린 버전을 중심으로 라인업을 통합한다.]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파일:suzuki_wagon_r.jpg|width=100%]]||[[파일:mazda_flair.jpg|width=100%]]|| || 스즈키 왜건 R || 마쓰다 플레어 || ||[[파일:스즈키 알토3.jpg|width=100%]]||[[파일:캐롤7.jpg|width=100%]]|| || 스즈키 알토 || 마쓰다 캐롤 || [[스즈키(자동차)|스즈키]]는 [[마쓰다]]와 경차 라인업을 공유한다. 다만 이상하게도 스즈키에는 내비게이션 옵션이 없지만 마쯔다에는 내비게이션 옵션이 존재한다. 또한 [[토요타]]와도 제휴하면서 이들이 판매하던 대표 차량인 [[토요타 라브4]]와 [[토요타 코롤라 투어링]]을 [[유럽]] 시장에서 [[스즈키 어크로스]]와 [[스즈키 스웨이스]]로 판매하고 있으며, [[스즈키 에르티가]]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토요타 루미온]]으로, [[인도]] 시장에서는 [[마루티 비타라 브레자]]를 [[토요타 어반 크루저]]로 판매하는 중이다. [[유럽]]에서는 주로 상용차들에 이 방식을 쓴다. [[오펠]]/[[복스홀]], [[닛산|영국 닛산]], [[메르세데스-벤츠]]와 [[르노]]가 [[르노 마스터|같]][[르노 트래픽|은]][[르노 캉구|차]]를 앞모습만 바꿔서 다른 이름으로 판매하는가 하면, [[푸조]]-[[시트로엥]](PSA)의 상용차 라인업은 PSA와 [[피아트]]가 합작해서 만든 [[세벨]](Sevel)에서 차를 생산해서 각자의 브랜드로 판매하고, 2013년부터는 [[토요타]] 브랜드로도, 2018년부터 [[오펠]]/[[복스홀]] 브랜드로도 공급된다. 경승용차도 예외가 아니라서 푸조-시트로엥의 [[푸조 108]]과 [[시트로엥 C1]], [[토요타 아이고]]가, [[폭스바겐 AG]]의 [[폭스바겐 업!]]과 [[세아트 미]], [[스코다 시티고]]가 같은 바디를 공용한다. 또한 상용차의 해외 시장 판매 전략으로 북미 시장에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2세대가 [[프레이트라이너]] 스프린터와 [[닷지]] 스프린터로 팔리고, 유럽 시장에 원래대로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와 [[폭스바겐]] 크래프터 1세대로 팔렸다가 크래프터 2세대부터 벤츠와 관계없이 폭스바겐 크래프터와 [[MAN TGE]]가 되었다. 미국의 경우는 초반의 "성격의 차별화"와 같이 맞물려져 적용되었으며, 미국의 지형과 미국 업체들의 딜러점 체계[* 과거 크라이슬러의 경우, 중산층 브랜드인 닷지 딜러와 고급 브랜드 크라이슬러의 딜러망이 갈라지자, 저가 라인업을 취급하게 해달라는 크라이슬러 딜러들의 요구로 플리머스를 크라이슬러 딜러에서 같이 취급했다. GM도 딜러점에서 저가 라인업을 요구하자 쉐보레 차량의 뱃지 엔지니어링으로 만든 폰티악 G3, G5를 공급하기도 했다.]가 여기에 영향을 끼쳤다. 말 그대로 판매망 확장용에 가까운 케이스는 1956년식 허드슨-내쉬 램블러와 헨리 J 및 올스테이트, [[닷지 네온|닷지-플리머스 네온]], [[쉐보레 코발트]]-[[폰티악 G5]] 등이 있다. 단, 네온은 연식이 지남에 따라 브랜드별로 전용 패키지나 트림이 조금씩 추가되었다. [[대한민국]]의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현대 마이티]]와 [[기아 파맥스]], [[기아 카니발|그랜드 카니발]]을 뱃지만 바꿔서 북미시장에 판매한 [[현대 앙투라지]]의 사례가 존재한다.[* 참고로 현대-기아차는 마크가 타원형으로 비슷하게 생겨서 크기가 같으면 그냥 바꿔 붙여도 될 것처럼 생겼지만, 가로 세로 비율이 달라서 호환이 되지 않는다. 철판 부위에 엠블렘이 붙는 자리가 오목하게 나 있다면 프레스 금형을 따로 만들어야 된다는 얘기. 그래서 특장 지역 수출 등 만일을 대비해 라디에이터 그릴에 엠블렘을 붙이는 디자인으로 하는 경우가 꽤 있다.] 다만 대한민국은 플랫폼과 파워트레인만 같이 쓰고 디자인은 옆모습까지 전혀 다르게 내놓는, 즉 "플랫폼 공유" 개념을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뱃지 엔지니어링에 해당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현대정공에서 생산해 국내에 기아 브랜드/모델로 판매한 차량도 있다.) === 상호 거래형 === 이는 [[일본]]의 혼다와 이스즈가 [[1990년대]]에 자주 사용한 기법으로 SUV가 부족했던 혼다에서는 이스즈 로데오 차량을 통해 [[혼다 패스포트]]와 [[아큐라 SLX]] 차량을 공급받았으며, 이외에도 [[이스즈 빅혼]]과 [[이스즈 MU]]로 [[혼다 호라이즌]]과 [[혼다 재즈]]를 생산했으며, 그 댓가로 이스즈는 [[혼다 오딧세이]]를 기반으로 한 [[이스즈 오아시스]], [[혼다 어코드]], [[혼다 도마니]]를 기반으로 한 [[이스즈 아스카]]와 [[이스즈 제미니]]를 공급받았다. 혼다는 이스즈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기 전 [[오스틴 로버 그룹]]과 제휴관계에 있던 때에는 [[랜드로버 디스커버리]]를 공급받아 [[혼다 크로스로드]]라는 이름으로 팔기도 했다. [[크라이슬러]]와 [[란치아]] 역시 이에 해당하는데, [[크라이슬러]]에서는 1세대 [[크라이슬러 200|200]] 기반의 [[란치아 플라비아(2011)|란치아 플라비아]], [[크라이슬러 300|300]] 기반의 [[란치아 테마]], [[크라이슬러 그랜드 보이저|그랜드 보이저]] 기반의 [[란치아 보이저]]로 판매했으며, [[란치아]]의 [[란치아 델타|델타]]와 [[란치아 입실론|입실론]]을 [[유럽]] 시장 한정으로 [[크라이슬러]] 브랜드로 판매한 적이 있다. 결국 이것은 화근이 되어 [[크라이슬러]]가 유럽에서 철수하고 [[란치아]] 역시 [[이탈리아]] 내수 시장에서 [[란치아 입실론|입실론]]만 판매하게 된 원인이 된 사례도 있다. 국내에서 [[기아자동차]]의 경우 비슷한데 이는 포드, [[마쓰다]]와 공동 개발한 [[기아 프라이드]]의 생산을 맡고 [[포드 페스티바]]로 판매할 수 있게 한 댓가로 기아차는 [[머큐리 세이블]]의 1,2세대 차량과 [[링컨 타운카]]/[[링컨 컨티넨탈]]을 들여왔고, 그 중 세이블은 수입차 시장 1위[* 이는 최초의 강남 쏘나타로 알려진 차량이다.]를 차지하기도 했다.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 역시 북미 수입 쿼터를 맞추기 위해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엑셀|엑셀]] 3도어 및 5도어 차량을 들여와 [[미쓰비시 프레시스]]라는 이름으로 판매가 이루어졌던 적이 있다. [[오토바이]]의 경우에도 [[스즈키(자동차)|스즈키]]와 [[가와사키 중공업|가와사키]]가 행한적이 있다. 스쿠터인 스즈키 스카이웨이브를 가와사키 입실론으로, 네이키드바이크인 가와사키 바리오스(ZR250)을 스즈키 GSX250FX 서로 OEM으로 거래하여 판매. --다만 폭망했다.-- === 캡티브 임포트 === 다른 국가에서 판매하는 차량을 자신의 국가로 들여온 후 배지만 바꾸어 다른 딜러점을 통해 판매하는 방식이다. 로컬라이징형 배지 엔지니어링의 한 갈래로서 브랜드 현지화와 판매망 확대, 상호거래형의 목적이 동시에 있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대우 르망]]인데, [[패스포트(자동차 제조사)|패스포트]] 브랜드를 통해 [[캐나다]] 시장에서 '옵티마'--그 [[기아 옵티마|옵티마]]가 아니다.--와 후속 브랜드인 [[아스나(자동차 제조사)|아스나]]를 통해 SE와 GT로 판매된 전례가 있다. [[포드 모터 컴퍼니]]에서는 [[포드 시에라|시에라]]와 [[포드 스콜피오|스콜피오]]와 같은 차량들을 북미 시장에서 [[머쿠어]] 브랜드로 바꿔 판매한 바가 있었다. 반대로 [[머큐리 쿠거]]와 머큐리 카프리를 [[포드 쿠거]] 및 [[포드 카프리]]로 판매한 바 있었다. 과거 [[크라이슬러]]에서 만든 브랜드인 [[이글(자동차 제조사)|이글]] 역시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의 차량을 이런 형태로 판매한 적이 있으며 닷지, 플리머스 등의 보급형 브랜드가 1970년대부터 갤랑, 랜서, 미라쥬 등을 자사 브랜드로 현지화하여 도입했다. === 기타 === ||[[파일:고노우 E-메이.png|width=100%]]||[[파일:GA3S.png|width=100%]]|| || 고노우 E-메이 || 추안치 GA3S || * '''세대교체 및 페이스리프트형''': [[중국]] 외에는 거의 흔하지 않은 경우이나, [[중국]] 광저우기차 산하의 [[추안치]]에서 판매되던 [[추안치 GA3]] 차량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판매되다가 단종되었는데, 이 때 과도기형을 띄는 차량이 또 다른 광저우기차의 산하 브랜드인 [[고노우]]에서 생산한 [[고노우 E-메이]] 차량이 존재했었다. 고노우 E-메이 차량은 이후 [[추안치 GA3S]] 차량으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거쳐 현재까지도 판매되고 있으며, E-메이 차량은 단종되었다. 또한 [[창안자동차]]의 [[창안 에아도 DT|에아도 DT]]나 [[베이징자동차그룹]](BAIC) 산하의 [[세노바]]에서 생산되는 [[세노바 D20|D20]]의 경우도 비슷한 사례로 들 수 있다. 또한 [[뷰익]]에서 판매하던 차량을 [[쉐보레]] 브랜드로 바꿔 판매했던 [[중국]] 공략 차종 중 하나로 [[쉐보레 세일]]이 있었다. 미국 및 유럽에서는 플리머스가 폐지되면서 플리머스에서 크라이슬러로 이관된 [[플리머스 프라울러|프라울러]]와 [[플리머스 보이저|보이저]], [[오스틴 모터 컴퍼니|오스틴]]이 폐지된 후 [[로버]]로 통합된 [[오스틴 메트로|메트로/100 시리즈]] 등의 예시가 있다. [[포드(자동차)|포드]] 역시 [[머큐리 모나치|머큐리 그랜드 모나치 기아]] 사양을 단종시키는 대신 [[링컨 베르사유]]에게 넘겨주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했다. [[제너럴 모터스]]의 경우, [[영국]] 시장에서 [[1990년]]에 [[베드포드]] 브랜드를 폐기하면서 당시 판매되던 라인업인 [[베드포드 라스칼|라스칼]]을 [[복스홀]] 브랜드로 넘겨준 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아시아자동차]] 브랜드 폐지 후 편입된 [[기아 타우너|타우너]], [[기아 그랜버드|그랜버드]]가 있다. 또한, [[한국GM]]의 경우 기존 [[GM대우]] 브랜드로 판매되었던 차량들이, GM대우 브랜드가 폐기되면서, 쉐보레 브랜드로 변경된 사례도 있다. * '''정부의 주도''': ||<-7> '''{{{#ffffff 버튼 플랜 적용 차량}}}''' || ||<-3> '''{{{#fff 원판 차량}}}''' || '''{{{#000 ↔}}}''' ||<-3> '''{{{#000 배지 변경 차량}}}''' || || '''{{{#000 차량명}}}''' || '''{{{#000 차량 사진}}}''' || '''{{{#000 생산 기간}}}''' || '''{{{#000 ↔}}}''' || '''{{{#000 차량명}}}''' || '''{{{#000 차량 사진}}}''' || '''{{{#000 세대}}}''' || ||<-3> '''{{{#fff 홀덴}}}''' || '''{{{#000 ↔}}}''' ||<-3> '''{{{#fff 토요타}}}''' || ||<#ED1B23> '''[[홀덴 코모도어|{{{#fff 코모도어}}}]]''' ||<#ED1B23> [[파일:1988 홀덴 코모도어.jpg|width=100%]] || {{{#000 2세대}}} || {{{#000 ↔}}} ||<#d60123> '''[[토요타 렉센|{{{#fff 렉센}}}]]''' ||<#d60123> [[파일:토요타 렉센.jpg|width=100%]] || [[1989년|{{{#000 1989년}}}]]{{{#000 ~}}}[[1997년|{{{#000 1997년}}}]] || ||<-3> '''{{{#fff 토요타}}}''' || '''{{{#000 ↔}}}''' ||<-3> '''{{{#fff 홀덴}}}''' || ||<#d60123> '''[[토요타 캠리|{{{#fff 캠리}}}]]''' ||<#d60123> [[파일:1989 토요타 캠리.jpg|width=100%]] || {{{#000 2~3세대}}} || {{{#000 ↔}}} ||<#ED1B23> '''[[홀덴 아폴로|{{{#fff 아폴로}}}]]''' ||<#ED1B23> [[파일:홀덴 아폴로 왜건.jpg|width=100%]] || [[1989년|{{{#000 1989년}}}]]{{{#000 ~}}}[[1997년|{{{#000 1997년}}}]] || ||<#d60123> '''[[토요타 코롤라|{{{#fff 코롤라}}}]]''' ||<#d60123> [[파일:1989 호주 토요타 코롤라.jpg|width=100%]] || {{{#000 6~7세대}}} || {{{#000 ↔}}} ||<#ED1B23> '''[[홀덴 노바|{{{#fff 노바}}}]]''' ||<#ED1B23> [[파일:홀덴 노바 1991.png|width=100%]] || [[1989년|{{{#000 1989년}}}]]{{{#000 ~}}}[[1996년|{{{#000 1996년}}}]] || ||<-3> '''{{{#fff 닛산}}}''' || '''{{{#000 ↔}}}''' ||<-3> '''{{{#fff 홀덴}}}''' || ||<#213755> '''[[닛산 펄사|{{{#fff 펄사}}}]]''' ||<#213755> [[파일:닛산 펄사 ET 터보.jpg|width=100%]] || {{{#000 2~3세대}}} || {{{#000 ↔}}} ||<#ED1B23> '''[[홀덴 아스트라|{{{#fff 아스트라}}}]]''' ||<#ED1B23> [[파일:1세대 홀덴 아스트라 후면부.jpg|width=100%]] || [[1984년|{{{#000 1984년}}}]]{{{#000 ~}}}[[1989년|{{{#000 1989년}}}]] || ||<-3> '''{{{#fff 닛산}}}''' || '''{{{#000 ↔}}}''' ||<-3> '''{{{#fff 포드}}}''' || ||<#213755> '''[[닛산 핀타라|{{{#fff 핀타라}}}]]''' ||<#213755> [[파일:닛산 핀타라.png|width=100%]] || {{{#000 2세대}}} || {{{#000 ↔}}} ||<#003179> '''[[포드 코세어|{{{#fff 코세어}}}]]''' ||<#003179> [[파일:포드 코세어.jpg|width=100%]] || [[1989년|{{{#000 1989년}}}]]{{{#000 ~}}}[[1992년|{{{#000 1992년}}}]] || ||<#213755> '''[[닛산 패트롤|{{{#fff 패트롤}}}]]''' ||<#213755> [[파일:닛산 패트롤 Y60.jpg|width=100%]] || {{{#000 4세대}}} || {{{#000 ↔}}} ||<#003179> '''[[포드 매버릭|{{{#fff 매버릭}}}]]''' ||<#003179> [[파일:포드 매버릭 호주형.jpg|width=100%]] || [[1988년|{{{#000 1988년}}}]]{{{#000 ~}}}[[1994년|{{{#000 1994년}}}]] || ||<-3> '''{{{#fff 포드}}}''' || '''{{{#000 ↔}}}''' ||<-3> '''{{{#fff 닛산}}}''' || ||<#003179> '''[[포드 팰컨(호주형)|{{{#fff 팰컨 유틸리티}}}]]''' ||<#003179> [[파일:1989 포드 팰컨 유틸리티.jpg|width=100%]] || {{{#000 5세대}}} || {{{#000 ↔}}} ||<#213755> '''[[닛산 유트|{{{#fff 유트}}}]]''' ||<#213755> [[파일:닛산 유트.jpg|width=100%]] || [[1988년|{{{#000 1988년}}}]]{{{#000 ~}}}[[1992년|{{{#000 1992년}}}]] || [[버튼 플랜]] 문서 참고 '''국제 정세 영향''' *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서방 자동차 기업들이 철수하게 되면서 [[러시아]] 내에서 생겨난 [[모스크비치]], 에볼루트의 차량들: 해당 차량들은 [[중국]] 기업의 차량들을 기반으로 만들고 있다. == 플랫폼 공유와의 비교 == 간혹 인터넷상에서 배지 엔지니어링과 플랫폼 공유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둘은 겉으로 보이는 공용화의 범위에서 구분할 수 있다. 배지 엔지니어링은 껍데기에 해당되는 외장 철판까지 완전히 호환되는 수준으로 형제차 간에 공용하는 수위가 높고, 외양상 차별화가 이루어지는 범위는 앞뒤 범퍼와 조명류, 그릴처럼 상대적으로 변경이 쉬운 요소들로 한정된다. 반면, 형제차 간에 비슷하게 생겼더라도 실제로는 앞뒤 도어를 비롯한 외장 철판이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면 플랫폼 공유에 가깝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배지 엔지니어링이라고 하더라도 같은 모노코크 골격을 유지하되 [[사브 9-2X]]처럼 전면부 펜더와 보닛, 트렁크까지는 새로 만드는 경우가 있고, 플랫폼 공유로서 외장 철판을 모두 새로 만들었더라도 [[캐딜락 BLS]]와 [[사브 9-3]]처럼 형제차 간 생김새 자체가 비슷하거나 [[크라이슬러 콩코드]]와 [[닷지 인트레피드]], [[이글 비전]]처럼 앞뒤 도어까지는 공용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이 두 개념을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사례 == 다음의 사례들은 외수 시장에서의 라이선스 현지 생산까지 포함하여 정리했다. === 성공 사례 === 취소선은 상업적으로 실패 사례다. * [[임페리얼(자동차 제조사)|1975년식 임페리얼 레 바론]] - [[크라이슬러 뉴요커|1976년식 크라이슬러 뉴요커 브로엄]][* 캐딜락, 링컨 등과 경쟁하던 임페리얼 브랜드가 폐지되면서 크라이슬러 브랜드로 편입된 모델로, 당시 뷰익, 올즈모빌급의 매스티지 브랜드였던 크라이슬러로 편입됨에 따라 가격도 낮아져 실적이 개선되었다.] * [[크라이슬러 코르도바]] - ~~[[닷지 차저]]~~[* 본래는 플리머스의 중형차인 [[플리머스 새틀라이트|새틀라이트 세브링]]의 후속으로 기획했으나 석유파동으로 인해 계획이 변경, 라인업에 대형차뿐이었던 크라이슬러 브랜드의 소형 라인업으로 제공하기로 결정되었다. 고전적인 스타일링, 크라이슬러 브랜드의 이름값과 함께 차저와 얼마 안 나는 가격차로 석유파동 시절 크라이슬러 브랜드에 수년간 판매량을 수혈해주었다. 동시에 뱃지 엔지니어링판으로 나온 차저가 판매부진에 빠지면서 실패사례도 같이 달성했다.] * [[쉐보레 실버라도]] - [[GMC 시에라]][* 뱃지 엔지니어링에 불구함에도 꾸준한 수익성을 보장하는 브랜드로 GMC가 자리잡게 만든 중요 라인업으로, 쉐보레 버전 대비 고급스러운 실내외 디자인을 취했다. 덕분에 GM 그룹 전체 총합상 포드 다음가는 픽업트럭 판매량을 기록하는 중.[[http://carsalesbase.com/us-car-sales-data/chevrolet/chevrolet-silverado/|#]][[http://carsalesbase.com/us-car-sales-data/gmc/gmc-sierra/|#]]] *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2세대 모델부터 타호 대비 좀 더 차별화된 디자인을 꾀하면서 인기 모델이 되었다. 동시에 뮤지션과 연애인들도 에스컬레이드를 사 가면서 캐딜락의 고객층을 보다 젊고 활동적인 고객까지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 [[쉐보레 타호]]/[[쉐보레 서버번]] - [[GMC 유콘]] * [[플리머스 보이저]] - [[닷지 캐러밴]] - [[크라이슬러 그랜드 보이저|크라이슬러 타운 앤 컨트리]][* 미국에서 승용차 기반 미니밴을 개척한 주요 모델로, 초창기에 나온 닷지와 플리머스 버전이 성공한 건 물론 후반기에 출시한 고급 라인업 크라이슬러 타운 앤 컨트리도 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였다. 세 라인업 모두가 정착한 뒤에는 크라이슬러 코퍼레이션이 미국의 미니밴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 [[플리머스 릴라이언트]] - [[닷지 에어리즈]] - [[크라이슬러 레 바론]][* 1981년에 출시한 릴라이언트와 에어리스가 불황기를 잘 잡아 크라이슬러로서는 괜찮은 신뢰성과 가로배치 전륜구동 컴팩트 플랫폼의 이점을 극대화해 시장에 잘 정착했다. 이후 고급 라인업으로 출시된 레 바론이 이전 세대의 후광을 적절히 업어가고 순정 컨버터블 라인업을 출시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이끄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이 컨버터블 라인업이 석유파동 이후 미국에서 사라진 미국제 순정 컨버터블 시장을 되살리는데 기여하고, 2000년대까지 중형급 컨버터블을 크라이슬러 브랜드의 장기로 만들었다.] * [[로버 200 시리즈|1세대 로버 200 시리즈]] - [[혼다 시빅|3세대 혼다 시빅]] / [[혼다 발라드|2세대 발라드]][* 혼다 시빅의 뱃지 엔지니어링 모델인 [[트라이엄프 어클레임]]의 후속. 어클레임처럼 고품질의 신뢰성 높은 컴팩트 세단으로 판매하되 어클레임보다 고급화를 꾀하는 전략이 성공적이라, 오스틴 로버 그룹이 판매하던 기존의 승용차 라인업인 [[오스틴 마에스트로]]와 [[오스틴 몬테고|몬테고]]의 수요를 빼앗아 갈 정도었다.] * ~~[[로버 200 시리즈|로버 25]]~~ - [[MG ZR]][* 라인업이 빈약하고 신차를 개발할 돈조차 없었던 MG로버 그룹이 기존의 로버 승용차 3종을 MG로 컨버전한 MG Z 시리즈의 막내격. 로버 25를 토대로 스포티한 드레스업과 차량 세팅을 더하여 저렴한 가격 및 보험료, 눈에 띄는 디자인, 스포티한 운전역학 덕분에 젊은층 수요를 유치하며 MG로버 그룹의 몇 안되는 상업적인 성공작으로 남았다.] * [[프로톤 사가|1세대 프로톤 사가]] - [[미쓰비시 랜서|미쓰비시 랜서 피오레]][* 말레이시아 정부의 국민차 프로젝트에 힘입어 말레이시아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 [[페로두아 마이비|1~2세대 페로두아 마이비]] - [[다이하츠 분]] - [[토요타 팟소]][* 2004년에 출시된 후, 독자개발을 시도하다가 품질불량으로 고전하고 있던 [[프로톤]]을 밀어내고 말레이시아 최고 베스트셀러 자리에 올랐다. 나아가 3세대부터는 2000년대 [[프로톤]]이 시도했던 것처럼 다이하츠/토요타 기반의 고유모델로 전환했다.] * 마루티 800 - [[스즈키 알토]] 2세대 * [[대우 티코]] - [[스즈키 알토]] 3세대 * [[기아 프라이드]][* 처음부터 기아-포드-마쓰다가 합작해 각자 브랜드로 팔기로 하고 개발한 차량이다.] - [[마쓰다 121]] - [[포드 페스티바]] * [[포드 레이저|포드 레이저/미티어]] - [[마쓰다 패밀리아]][* 1981년에 아시아-태평양 시장 공략형으로 도입된 포드의 준중형차 라인업. 호주에서는 원본 모델이자 일본 직수입으로 들어온 [[마쓰다 패밀리아]]와 병행판매되었으나 당시 호주의 수입차 대상 관세 및 수입대수 제한을 넘기 위해 국산화율 50%를 달성하는 등으로 현지생산을 고려한 현지화를 단행했고, 판매량은 연 2만대를 예상했음에도 최대 연간 5만대에 호주 자동차시장 판매량 4위권을 꾸준히 유지하는 실적을 거두며 호주 포드가 점유율에서 홀덴을 넘어서는 데 기여했다. 나아가 호주의 자동차산업 개편 정책인 버튼 플랜의 참고모델이 되었다는 견해가 나오고, 2세대 포드 레이저가 북미시장용 [[머큐리 트레이서]]의 베이스 모델이 되었을 정도로 호주 자동차산업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https://www.carsguide.com.au/car-news/ford-laser-at-40-how-australias-first-hot-hatch-whet-our-appetite-for-the-2022-focus-st|#]][[https://www.shannons.com.au/club/news/classic-garage/ford-kakb-laser-redefining-small-car-orthodoxy-in-australia/|#]][[https://www.uniquecarsandparts.com.au/car_info_ford_laser_ka|#]]] * [[토요타 캠리]] - [[다이하츠 알티스]] * [[르노삼성 QM5]]/[[르노코리아 QM6]] - [[르노 콜레오스]] * [[쉐보레 아스트로]] - [[GMC 사파리]][* 목표 시장인 플리머스 보이저/닷지 캐러밴의 미니밴 시장을 따라잡는 데는 실패했으나, 전통적인 풀사이즈 밴의 패키징을 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현한 특성상 꾸준한 틈새 시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 * [[지오 스톰]] - ~~[[이스즈 제미니]] 쿠페/[[이스즈 피아자|피아자]]/[[이스즈 PA 네로|PA 네로]]~~[* 미국의 수입산 보급형 쿠페 시장에서 스톰이 한 동안 경쟁차들 대비 판매량에서 우위를 차지한 바 있다. 짧은 판매기간 동안 [[토요타 파세오]], [[현대 스쿠프]], [[혼다 CR-X]]같은 경쟁차들은 판매량에서 스톰과 비비지 못했을 정도. 반대로 이스즈 자체 브랜드로 낸 가지치기 모델들은 이스즈의 비SUV 승용차 부문을 건져내는 데 실패하여 실패사례도 같이 남겼다.] * [[닛산 티아나|1세대 닛산 티아나]] - [[르노삼성 SM5#s-2.2|르노삼성 SM5 2세대]], [[르노삼성 SM7#s-2.1|르노삼성 SM7 1세대]] * A32 [[닛산 세피로]] / [[닛산 맥시마|맥시마]] - [[인피니티 I]] - [[르노삼성 SM5#s-2.1|르노삼성 SM5 1세대]] * [[미쓰비시 파제로|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 [[현대 갤로퍼|현대 갤로퍼 초기형]] * --[[미쓰비시 데보네어|미쓰비시 데보네어 2세대]]-- - [[현대 그랜저#s-2.1|그랜저 1세대]] * --[[미쓰비시 데보네어|미쓰비시 데보네어 3세대]]-- - [[현대 그랜저#s-2.2|그랜저 2세대]] * --[[미쓰비시 프라우디아]]-- - [[현대 에쿠스|현대 에쿠스 1세대]] * [[스즈키 캐리|스즈키 캐리 8세대]] - [[한국GM 라보|대우 라보 초기형]] * [[스즈키 에브리|스즈키 에브리 2세대]] - [[한국GM 다마스|대우 다마스 초기형]] * [[스즈키 컬투스]] - [[지오 메트로]] - ~~[[쉐보레 스프린트]]~~ - ~~폰티악 파이어플라이~~ * [[미쓰비시 미라쥬|미쓰비시 미라쥬 4세대]] - [[프로톤 위라]] * [[오펠 카데트|오펠 카데트 E]] - [[대우 르망]] * [[미쓰비시 샤리오]] - [[현대 싼타모]] * [[미쓰비시 이클립스]] - [[이글 탈론]]/~~[[플리머스 레이저]]~~[* 미쓰비시 이클립스가 1990년대 미쓰비시의 황금기를 상징했듯이, 이글 탈론도 1990년대에 들어 퍼포먼스 브랜드로 포지셔닝을 서서히 옮겨가고 4륜구동 터보 라인업이 도입되는 등으로 일정부분 후광을 입어 이글 브랜드에서 그나마 의미 있는 실적을 거두었다. 탈론이 2세대까지 만들어진 반면, 1세대 이클립스의 리뱃징 라인업이었던 플리머스 레이저는 단 1세대만에 단종되었다.] * [[쌍용 이스타나|메르세데스-벤츠 MB100]] - [[쌍용 이스타나]] * [[토요타 아반자]] - [[다이하츠 제니아]] * [[다이하츠 미라|다이하츠 미라 3세대]] - [[페로두아 칸찔]] * [[토요타 팟소 셋테]] - [[페로두아 엘자]] * [[다이하츠 미라|다이하츠 미라 5세대]] - [[페로두아 켈리사]] * [[다이하츠 미라|다이하츠 미라 6세대]] - [[페로두아 비바]] * [[미쓰비시 델리카|미쓰비시 델리카 2세대]] - [[현대 포터]] * [[미쓰비시 델리카|미쓰비시 델리카 3세대]] - [[현대 그레이스]] * [[미쓰비시 후소 F 시리즈]] - [[현대 대형트럭]] (90A) * [[미쓰비시 후소 더 그레이트]] - [[현대 대형트럭]] (91A) *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버스]] - [[현대 에어로버스]] * [[미쓰비시 eK]] - [[닛산 데이즈]][* 이 차량들은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 연비 조작으로 적발된 흑역사가 있다. 하지만 그후에도 일본 경차 판매 탑3에 꾸준히 드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 [[마쓰다 봉고]] - [[기아 봉고]]/[[기아 베스타]] * [[마쓰다 타이탄]] - [[기아 타이탄]] * --[[마쓰다 복서]]-- - [[기아 복사]] * [[마쓰다 파밀리아]] - [[기아 브리사]] * [[마쓰다 카펠라]] - [[기아 콩코드]]/[[기아 캐피탈]] * [[마쓰다 루체]] - [[기아 포텐샤]] * [[히노 블루리본]] - [[기아 AM버스]] * [[히노 슈퍼돌핀]]/[[히노 프로피아]] - [[기아 AM트럭]]/[[기아 그랜토]] * [[히노 레인저]] - [[기아 라이노]] *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 - [[링컨 타운카]] -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 [[르노 마스터]] - [[오펠 모바노|오펠/복스홀 모바노]] - [[닛산 NV400]] [* 르노 LCV 라인업] * [[르노 트래픽]] - [[오펠 비바로|오펠/복스홀 비바로]] (2001-2018) - 피아트 탈렌토 (2016~) - [[닛산 NV300]] (2016~) - 미쓰비시 익스프레스 (호주/뉴질랜드 시장) [* 르노 중형 밴 라인업] * [[르노 캉구]] - 닛산 NV250 (2019~) - [[메르세데스-벤츠 시탄]] (2012~) [* 르노 준중형 상용차 라인업] * [[닛산 나바라]] - [[르노 알래스칸]] (2016~) - --[[메르세데스-벤츠 X클래스]] (2017-20)-- [* 르노 중형 픽업 라인업] * [[피아트 두카토]] - 푸조 복서 - 시트로엥 점퍼 - [[램 프로마스터]] (2014년부터, 북미 시장) [* 피아트/PSA LCV 라인업] * [[푸조 트래블러]] - 푸조 엑스퍼트 (상용 사양) - [[시트로엥 스페이스투어러]] - 시트로엥 점피/디스패치 (상용 사양) - 토요타 프로에이스 베르소 - 토요타 프로에이스 (상용 사양) - [[오펠 자피라 라이프]] (2019~) - [[오펠 자피라 라이프|복스홀 비바로 라이프]] (2019~) - [[오펠 비바로|오펠/복스홀 비바로]] (2019~) [* PSA/토요타 중형 밴 라인업] * [[푸조 파트너]] - [[시트로엥 베를링고]] - [[오펠 콤보|오펠/복스홀 콤보]] - [[토요타 프로에이스 시티]] [* PSA/토요타 준중형 상용차 라인업] * [[푸조 비퍼]] (2008-17) - [[시트로엥 네모]] (2008-17) - [[피아트 피오리노]] (2007~20) [* PSA/피아트 소형 상용차 라인업] *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1세대) - 폭스바겐 LT (2세대) *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2세대) - 프라이트라이너 스프린터 - 닷지 스프린터 - 폭스바겐 크래프터 (1세대) * [[폭스바겐 크래프터]] (2세대) - [[MAN TGE]] * [[KG 티볼리|쌍용 티볼리]] - [[마힌드라 XUV300]] : 마힌드라가 티볼리를 인도 시장 세제 혜택 기준에 맞춰 크기만 조정하여 판매하고 있다. 마힌드라가 쌍용자동차를 매각한다고 발표했음에도 계속 판매하고 있다.[* 마힌드라가 XUV300의 전동화 버전까지 이미 만들어 놓았음에도 정작 원판인 티볼리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아 먹튀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 실패 사례 === 배지 엔지니어링이 늘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현지화 실패, 차별화 부족 등의 이유로 실패한 사례들이 은근히 적지 않게 있다. 취소선은 판매 면에서는 성공한 차량들이다. * 1957~1958년식 [[팩커드]] - 1957~1958년식 [[스튜드베이커]][* 팩커드 전용의 바디를 개발할 돈이 없어 대중차 브랜드인 스튜드베이커에서 베이스를 구해 임시방편으로 팔았으나 신차 개발비도 건지지 못하고 1958년식을 마지막으로 브랜드까지 사라졌다. 때문에 붙은 이 시기 팩커드 차들의 별칭이 바로 "팩커드베이커."] * [[기아 파맥스]] - --[[현대 마이티]]-- * --[[기아 카니발]] 2세대-- - [[현대 앙투라지]][* 현대 로고 빼고는 차이점이 전무했기 때문에 미국에서의 안전성 점수도 높아서 안전한 차로 어필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망했다. 디테일링 몇몇을 제외하면 차이가 없었고 현대와 기아 모두 당시에는 비슷한 격의 브랜드였기에 사실상 딜러점 확보형 뱃지 엔지니어링의 사례로도 볼 수 있다.] * [[다이하츠 테리오스|다이하츠 테리오스 2세대]] - [[페로두아 노티카]] * ~~[[대우 르망]]~~ - [[패스포트 옵티마]] - [[아스나 SE/GT]][* 이쪽은 안 그래도 바닥을 기던 판매량에 더해 당시의 여러 상황과 맞물려 1년도 채 판매하지 못하고 단종되었을 정도로 처참하게 실패하였으며, 구글에 검색해 봐도 제대로 된 사진조차 손에 꼽을 정도이다.] * [[GM대우 스테이츠맨]]과 [[GM대우 베리타스]] - ~~[[홀덴 카프리스]]~~ * [[알파 로메오 아르나]] - --[[닛산 체리]]-- * [[로버 시티로버]] - ~~[[타타 인디카]]~~[* 현지화와 마케팅에서 실패한 사례. 시승차도 제공하지 않을 정도의 소극적인 마케팅과 비싼 가격정책, 그리고 [[로버]]라는 왕년 고급 브랜드를 염가차에 적용하는 실책이 결합되어 판매가 지지부진했다. 게다가 [[탑기어]]의 [[제임스 메이]]가 시승한 후 혹평을 쏟아내자 영국 전체의 웃음거리로 전락, 결국 돈이 없어 신차를 제대로 개발하지 못하던 [[MG로버 그룹]]의 상태를 악화시켜버렸다.] * [[미쓰비시 ASX]] - [[푸조 4008]] - [[시트로엥 C4 에어크로스]] * ~~[[미쓰비시 아웃랜더]]~~ - [[푸조 4007]] - [[시트로엥 C-크로서]] * 미쓰비시 타운 박스 - [[프로톤 주아라]] * 버튼 플랜 하의 뱃지 엔지니어링 라인업들[* 토요타와 홀덴의 경우, 코모도어의 토요타 버전인 렉센은 원판을 제공하던 홀덴에서도 베이스를 잘 안 대주고 리콜 및 보증수리 횟수도 다른 토요타 차들 대비 5배 넘게 많았다. 코롤라와 캠리의 홀덴 버전인 [[홀덴 노바]]와 [[홀덴 아폴로]] 역시 토요타 버전의 7분의 1 수준밖에 못 팔았다.] * [[사브 9-2X]] - ~~[[스바루 임프레자]]~~ * [[쉐보레 업랜더]] - [[폰티악 몬타나]] - [[뷰익 테라자]] - [[새턴 릴레이]] * ~~[[쉐보레 콜로라도]]~~ - 이스즈 i-시리즈 * ~~[[스바루 포레스터]]~~ - 쉐보레 포레스터 * ~~[[시트로엥 AX]]~~ - [[프로톤 티아라]] * [[애스턴 마틴 시그넷]] - [[토요타 iQ]] * [[오토라티나]]에서 생산한 차량들 * ~~[[오펠 오메가|오펠 오메가 B]]~~ - [[캐딜락 카테라]] * [[우링 홍광]] - 쉐보레 엔조이 * [[홀덴 카프리스|이스즈 스테이츠맨 드 빌]] - [[마쓰다 로드 페이서 AP]] - ~~[[홀덴 스테이츠맨]]~~ * --[[이스즈 패스터]]-- - [[혼다 투어마스터]] * --[[이스즈 피아자]]-- - [[아스나 선파이어]] * --[[스즈키 에스쿠도]]-- - [[아스나 선러너]] * [[지오 프리즘]] - ~~[[토요타 코롤라]]~~[* 스프린터] * [[캐딜락 시마론]] - [[홀덴 카미라]] - [[올즈모빌 피렌자]] - ~~[[쉐보레 카발리에]] - [[폰티악 선버드]] - [[오펠 아스코나]] - [[복스홀 카발리에]]~~[* 제너럴 모터스의 J-바디 제 1세대 라인업의 일부. 그 외에도 미국 내수에서는 폰티악 선버드, 뷰익 스카이호크, 올즈모빌 피렌자가 있었고 국제시장까지 포함하면 이스즈 아스카, 오펠 아스코나, 복스홀 카발리에, 홀덴 카미나 등의 자매차들이 존재했다. 개중 쉐보레 카발리에와 폰티악 선버드는 상대적으로 성과가 있었고 오펠 아스코나와 복스홀 카발리에도 적절한 시기에 잘 출시한 믿음직한 중형차로 평가받았으나, 피렌자와 시마론은 상업적으로 의미있는 실적을 거두지 못한데다가 시마론으로 최악의 배지 엔지니어링 실패사례를 만들고 말았다. 또한 호주 버전인 홀덴 카미라도 초창기의 품질 문제 때문에 호주에서 외면받았다.] * [[크라이슬러]] 기반의 란치아 차종들[* 크라이슬러 200 기반의 [[란치아 플라비아(2011)|란치아 플라비아]], 크라이슬러 300 기반의 [[란치아 테마]], 크라이슬러 그랜드 보이저 기반의 [[란치아 보이저]].], 란치아 기반의 크라이슬러 차종들[* 크라이슬러 델타와 크라이슬러 입실론.] * ~~[[토요타 아발론]]~~ - [[토요타 프로나드]] * --[[토요타 하이럭스]] 5세대-- - 폭스바겐 타로 * ~~[[포드 F-150]]~~ - [[링컨 블랙우드]]/[[링컨 마크 LT]] * ~~[[포드 익스플로러|포드 익스플로러 1세대]]~~ - [[마쓰다 나바호]] * --[[포드 익스플로러]]-- - [[머큐리 마운티니어]] - [[링컨 에비에이터]] * --[[포드 몬데오]]-- - [[포드 컨투어]] - [[머큐리 미스틱]] * --[[포드 토러스]] 6세대-- - [[머큐리 세이블]] 5세대 * [[폭스바겐 루탄]] - ~~[[크라이슬러 그랜드 보이저]] - [[닷지 그랜드 캐러밴]]~~[* 크라이슬러의 자체 가지치기인 그랜드 보이저/타운 앤 컨트리와 그랜드 캐러밴은 판매고가 높았지만 폭스바겐 루탄의 판매량이 부진했다.] * [[폰티악 바이브]] - [[토요타 볼츠]] * --[[현대 마이티]], [[현대 메가트럭]], [[현대 뉴파워트럭]]-- - [[베링 트럭]]의 생산차량들[* 이쪽은 엄밀히 말하면 구동계를 제외한 껍데기만 현대차의 것을 썼고 엔진은 [[디트로이트 디젤]], [[캐터필러(기업)|캐터필러]], [[커민스]]의 것을 썼기 때문에 완전한 리뱃징이라고 보기에는 힘들다.] * [[스털링 트럭]]의 라인업들 * ~~[[미쓰비시 후소 캔터]]~~ - [[스털링 360]] * ~~[[닷지 램]]~~ - [[스털링 불릿]] * [[토요타 스파키]] - [[다이하츠 아트레이 7]] - [[다이하츠 하이젯 그란카고]] * 6세대 --[[미쓰비시 갤랑]]-- - [[이글 2000GTX|닷지/이글 2000GTX]] * --[[포드 스콜피오]]-- - [[머쿠어 스콜피오]] * [[마쓰다 센티아]] - [[기아 엔터프라이즈]] * --[[혼다 레전드]] 2세대-- - [[대우 아카디아]][* 판매량으로만 보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차를 타 본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 자체는 굉장히 좋았다. 너무 비싼 가격이 문제였을 뿐.] * --[[마쓰다 타이탄]]-- - [[포드 LCF]] - [[인터내셔널 시티스타]] * --[[KG 렉스턴/2세대|쌍용 렉스턴 G4]]-- - [[마힌드라 앨투라스 G4]] : [[마힌드라 XUV300]]와는 다르게 인도 시장에서 실패했다. 이유는 간단하게 소형차 시장이 대세인 인도에서 비싼 대형 SUV가 잘 팔릴 리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속에 XUV300와는 다르게 21년 12월에 단종 처리 되었다. * --[[르노 21]]-- - [[이글 메달리온|르노/이글 메달리온]] == 관련 문서 == * [[자동차/제조사]] [[분류:자동차]][[분류: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