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배산역'''}}}[br] || ||<-3> [[부산 도시철도 3호선|[[파일:Busan3.svg|width=30]]]] || || [[수영역|{{{#!html
수영 방면}}}]][[망미역|망 미]][br]← 1.2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html
3호선
(303)
}}}]] || [[대저역|{{{#!html
대저 방면}}}]][[물만골역|물만골]][br]1.1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배산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Baesan || || [[한자]] ||<-2> 盃山 || || [[간체자]] ||<-2> 杯山 || || [[가나(문자)|가나]] ||<-2> [ruby(盃山, ruby=ペサ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부산)|연수로]] 지하229 ([[연산동(부산)|연산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배산관리역 / [[제3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호선}}}]] ||<-2> 2005년 11월 2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8층''' '''(심도: 55.2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배산역 3호선.jpg|width=100%]] || || 대합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03번.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부산)|연수로]] 지하229 ([[연산동(부산)|연산동]]) 소재. 역 이름은 인근에 있는 산인 [[배산]]에서 유래하였다. 3호선 건설당시 가역명은 연산동과 망미동에서 한 글자씩 따서 연미역이었다. 제3운영사업소 산하의 관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망미역]]과 [[물만골역]]을 관리한다. 1번과 2번 출구를 지나가면 바로 [[수영구]] [[망미동]]이다. 한때 3호선 중 LED 전광판을 가진 차량들에게서 Baesan이 아닌 Baesn이 출력되었으나 현재는 고쳐졌다. == 역 정보 == 망미고개 밑에 역이 위치해 있어 심도가 55.2m에 달하며 '''만덕역 다음으로 깊다.'''[* 전국 4위로, 전국 3위인 [[수도권 전철 8호선]]의 [[산성역]]하고의 심도차가 '''20cm'''에 불과하다. 뜻밖에도 [[만덕역|전국 2위]]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본 역하고 같은 노선]]에 있다. 본 역하고의 깊이차는 9.05m. 1위는 2023년 7월 1일 [[김포공항역|갱신되었다.]] ] 층수는 '''지하 8층'''이다.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역 답게 내부는 전체적으로 [[대리석]]으로 마감되어 매우 깨끗하다. [[연수로(부산)|연수로]]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7미터 높이 정도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출입구를 통해 지하 1층으로 내려간다.[* 물론 3~4번 출구에만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1~2, 5~6번 출구는 그냥 계단이다. 대신 엘리베이터가 있다.] * 개찰구에서 요금을 내고 들어간다. * 건물 5층짜리 높이의 [[에스컬레이터]]를 2번 타고 내려가서 중층에서 다시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를 내려가거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아파트 18층짜리 깊이를 내려가면 [[승강장]]에 도착한다. 역사 내의 [[에스컬레이터]]는 실로 경사도 가파른데다 크기도 크다. [[연산동(부산)|연산동]]이나 [[망미동]]에 사시는 어르신들은 이 [[에스컬레이터]]에 '''앉아서''' 오르내리셨다는 소문도 있다. 이러한 사유 때문에 주민들은 이 역을 이용하기보단 [[시내버스]]를 선호하는 편이고 [[엘리베이터]]가 이 역의 단골 이동 수단으로 꼽힌다. 부산에서 순위권에 드는 깊은 역이다 보니 에스컬레이터로만 2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열차 내부 안내 방송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을 권장한다.[* 역사 내부 엘리베이터의 가동속도와 적재용량은 90m/min에 1,150kg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역사내에 설치되는 60m/min에 1,000kg보다 빠르고 더 크다. 심도가 깊은 [[만덕역]], [[망미역]]이 내부 엘리베이터 운행속도와 적재용량을 일반 역사보다 더 빠르고 큰 것으로 설치했다.] 물론 만덕역하고는 달리 9~21시에는 에스컬레이터도 가동하고 비상 시에 사용하는 [[계단]]도 존재하나 말 그대로 비상 시에 사용하는 [[계단]]이라 평상시엔 사용이 불가능하다. 언제부터인가 심야 시간대에 전기 절약을 위해 [[에스컬레이터]]를 꺼둔다. 만약 하차한 승강장에 [[엘리베이터]]가 줄이 길다면 지하 7층 통로에서 옆 승강장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양쪽 끝에 1대씩 있다. 승강장 중앙부분에서 양 옆으로 나있는 계단을 이용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손쉽게 건너갈 수 있다. == 역 주변 정보 == 역세권은 북쪽의 [[배산]], 남쪽의 [[금련산]] 사이에 낀 좁은 시가지이다. 그리 번화한 지역은 아니라 이용객 수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안에서도 많지는 않은 편. 인근에 연미초등학교, 망미중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가 있다. 부산지방병무청은 이웃한 역인 [[망미역]]의 부역명이지만 이 역과 [[망미역]] 가운데 쯤에서 [[망미역]]에 약간 더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이 역의 2번 출구에도 부산지방병무청이 안내되고 있다.--병무청으로 갈땐 여기가 내리막이라 편하다.-- [[배산]]에 [[거칠산국]][* [[원삼국시대]] [[신라]]의 변방에 위치했던 속국.]의 유적으로 추정되는 배산성지가 있으며 이 지역이 [[망미설화|거칠산국의 중심지로 추정된다.]] 만약 맞다면 [[부산광역시|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중심지인 셈. 또한 [[고려가요]]의 하나인 [[정과정]]곡이 배산 인근에서 지어진 시라고 한다. 그 흔적으로 배산 옆으로 지나가는 [[과정로]]가 있다.[* 고등학교 2학년 문학 시간에 이 시를 꼭 한 번쯤은 접하게 된다. 실제 예전에 수능에서도 나왔던 적이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배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3호선|[[파일:Busan3.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5년 || 6,093명 || [*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11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6년 || 7,458명 || || || 2007년 || 7,336명 || || || 2008년 || 7,766명 || || || 2009년 || 8,105명 || || || 2010년 || 8,450명 || || || 2011년 || 8,939명 || || || 2012년 || 9,089명 || || || 2013년 || 9,276명 || || || 2014년 || 9,406명 || || || 2015년 || 9,257명 || || || 2016년 || 9,361명 || || || 2017년 || 9,363명 || || || 2018년 || 9,213명 || || || 2019년 || {{{#bb8c00 9,438명}}} || || || 2020년 || 7,369명 || || || 2021년 || 7,754명 || || || 2022년 || 8,252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금련산]]과 [[배산]] 사이의 [[연수로(부산)|연수로]] 상의 고개 밑에 역이 있어서 심도가 매우 깊기 때문에 승객을 끌어모으는 데에 제약이 있지만 하루 평균 이용객은 9,438명(2019년 기준)으로 이웃 물만골역보다 승객 숫자가 더 많다. 뿐만 아니라 [[경부선]] 열차를 탈 수 있는 [[구포역(도시철도)|구포역]]보다도 수요가 많다. [[연수로(부산)|연수로]]가 [[배산]]과 [[금련산]] 사이에 있어 역세권의 범위가 좁고, 온통 경사진 길이라 역을 오가는 것이 평지의 역들보다 더 힘들다는 핸디캡이 있다는 점, 역 바로 앞쪽에 버스 정류장이 있는 덕분에[* 특히 연제6번을 타고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방면으로 올라가려는 사람들과 [[망미동]] 안쪽을 거쳐 연산LG아파트로 가려는 승객들로 인하여 장사진을 이룬다.] 환승이 편리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선방하는 셈이다. == 승강장 == ||[[파일:배산역1.jpg|width=100%]]||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 당시 4호선 개통이전이었다. 2010년 이전으로 추정됨] || ||[[파일:303.gif|width=100%]]|| || 역 안내도 || ||<-4> [[망미역|망미]]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물만골역|물만골]] || || {{{#ffffff 1상}}} ||<|2> [[파일:Busan3.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망미역|망미]]·[[수영역|수영]] 방면|| || {{{#ffffff 하}}} ||[[연산역(부산)|연산]]·[[미남역|미남]]·[[덕천역|덕천]]·[[대저역|대저]]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부산진역|부산진]]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두실역|두 실]]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장산역|장 산]] || ◁ || [[수영역|수영]]·[[서면역|서면]] || ▷ || [[냉정역|냉 정]]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수영역|수 영]] || ◁ || {{{#c0c0c0 배 산}}} || ▷ || [[남산정역|남산정]]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2> || [[미남역|미 남]] || ▷ ||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 연계 교통 == * 배산역(정류장 번호: 13-091) * [[부산 버스 5-1]] - 회동동행 * [[부산 버스 63]]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41]][*심야 심야포함] - 해운대(송정)행 * 배산역(정류장 번호: 13-094) * [[부산 버스 20]] - 용호동행 * [[부산 버스 51]][*심야] - 동천초등학교행 * [[부산 버스 57]] - 사직동행 * [[부산 버스 62]] - 민락동행 * [[부산 버스 131]] - 오륙도 SK View 아파트행 * 배산역(정류장 번호: 13-093) * [[부산 버스 5-1]]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20]] - 서면행 * [[부산 버스 51]][*심야]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57]]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62]]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63]] - 부산진구청행 * [[부산 버스 131]]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41]][*심야] - 당감동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연제6]] * [[부산 버스 연제7]] == 사고 == 2021년 8월경 합선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승객이 대피하는 소동이 있었다.[[https://news.v.daum.net/v/20211213192512903|#]]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3호선]][[분류:연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