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 ||<-2> '''{{{#fff 제6대 한국장학재단 이사장}}}[br]{{{+1 배병일}}}[br]裵炳日'''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배병일 이사장.jpg|width=100%]]}}} || ||<|2> '''출생''' ||[[1957년]] [[8월 13일]] || ||[[경상북도]] [[대구시]] || || '''학력'''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br][[영남대학교|영남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cb84fc4c318dba20&keyword=%EB%B0%B0%EB%B3%91%EC%9D%BC|消費者 被害의 民事的救濟]] (1981)]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2ff2f632e27d2ed&keyword=%EB%B0%B0%EB%B3%91%EC%9D%BC|醫療過誤의 民事的責任에 관한 硏究]] (1988)])}}} || || '''현직'''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 || '''경력''' ||[[강릉원주대학교]] 법학과 교수[br][[영남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br]영남대학교 법과대학장[br]한국법학교수회 부회장[br]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br]전국법과대학장협의회 회장[br]통일교육위원 대구지역협의회장[br]법학적성시험 연구사업단장[br]한국법학교수회 회장[br]검찰총장후보 추천위원회 위원[br]대법관후보 추천위원회 위원[br]영남대학교 대외협력처장[br][[영남대학교]] 특임부총장[br]영남대학교 명예교수[br]제6대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인, 공공기관장이다. == 생애 == [[1957년]]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76학번)를 졸업하였다. 영남대 졸업 이후 동 대학 대학원에 진학하여 법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강릉원주대학교]] 법학과 강사로 교편을 처음 잡았다. 이후 강릉원주대에서 조교수를 거쳐 부교수에 올랐으나 모교인 [[영남대학교]] 법과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영남대 교수로 활동하며 법과대학장·법학전문대학원장, 법학교수회 회장, 대외협력처장, 특임부총장을 지내고 2022년 8월 정년퇴임으로 정교수직에서 은퇴하고 명예교수로 임명되었다. 2023년 1월, 전임 [[정대화]] 이사장(前 [[상지대학교]] 총장)의 [[국가교육위원회]] 상임위원 임명으로 공석이 된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윤석열 정부]])으로 임용되었다. [[분류:1957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재직]][[분류:법학자]][[분류:한국장학재단 이사장]][[분류:윤석열 정부/인사]] == 사건 및 논란 == 한국장학재단 배병일 이사장의 임기 중인, 2023년 6월 27일 한국장학재단이 6월 25일~26일 이틀간 해외 IP로부터의 로그인 시도를 통해 해킹 공격을 당한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장학재단은 27일 홈페이지에서 ‘개인정보 유출(의심)에 대한 안내 및 홈페이지 로그인 방식 변경 안내’ 공지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9593&kind=|「한국장학재단, 해킹으로 개인정보 유출 정황... 이름, 주소, 학자금 대출 자료 등 14개 항목」]], 보안뉴스, 2023-06-28] [* [[http://www.kpenews.com/View.aspx?No=2875007|「“내 정보 다 털렸나” 한국장학재단 개인정보 유출 조사 착수]], 한국정경신문, 2023-07-10] [*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07/07/KK6LKEMLSZF6HK4HANVHTZ3GDQ/?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개인정보위, 한국장학재단 개인정보 유출 정황 조사 나서]], 조선비즈, 2023-07-07] [*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30708003300641?input=1825m|「정부, 개인정보 유출 의심 한국장학재단 조사 착수]], 연합뉴스, 2023-07-08] [* [[https://www.news1.kr/articles/5090885|「대학생 개인정보 다 털렸나…한국장학재단 '회원정보 유출' 정황(종합)]], 뉴스1, 2023-06-28] 2023년 9월 10일, 가정의 소득 수준은 큰 변화가 없었음에도 집값 상승으로 국가장학금을 받은 대학생이 1년 만에 7만여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집값 뛰자 소득에 변함없던 대학생들이 한국장학재단의 장학금 대거 탈락된 것으로 알려져, 큰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908_0002443919&cID=10205&pID=10200|「집값 상승에 국가장학금도 요동쳤다…작년 수혜자 7만명 급감」]], 뉴시스, 2023-09-10] [* [[https://www.mk.co.kr/news/society/10826066|「부모 월급 그대론데 이것 올랐다고...국가장학금 7만명 못 받았다]], 매일경제, 2023-09-10]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9100016&t=NN|「집값 뛰자 장학금 탈락…학생 7만명은 무슨 죄]], 한국경제, 2023-09-10] [* [[https://www.yna.co.kr/view/AKR20230908124500530?input=1195m|「작년 국가장학금 받은 학생 7만 줄어…부동산 공시가 상승 여파]], 연합뉴스, 2023-09-10] [* [[https://www.ikbc.co.kr/article/view/kbc202309100016|「집값 상승에 국가장학금 받은 대학생 7만 명 급감]], kbc광주방송, 2023-09-10] [[파일:Screenshot_20230913_120555_NAVER.jpg]][* [[https://www.ikbc.co.kr/article/view/kbc202309100016| kbc광주방송, 집값 상승에 국가장학금 받은 대학생 7만 명 급감]], kbc광주방송, 2023-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