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2005년|{{{#fff 2005년}}}]] [[노벨생리학·의학상|{{{#fff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2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2004년 ||<|2> → || 2005년 ||<|2> → || 2006년 || || 리처드 액설[br] 린다 벅[* [[후각]]의 기관 연구 및 수용체 발견] || '''배리 마셜'''[br]J.로빈 워런 || 앤드류 Z.파이어[br]크레이그 C.멜로[* [[RNA]]간섭 발견] || ||<-2>
'''{{{+1 배리 마셜}}}'''[br]Barry J. Marsha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배리 마셜.png|width=100%]]}}} || || '''본명''' ||배리 제임스 마셜[br]Barry James Marshall || ||<|2> '''출생''' ||[[1951년]] [[9월 30일]] ([age(1951-09-30)]세) ||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칼굴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 '''가족''' ||배우자 아드리엔 조이스 펠드먼^^(1972년 결혼~현재)^^[br]아들 1명, 딸 3명 || || '''학력''' ||[[서호주 대학교]] {{{-2 (의학 / 석사)}}} || || '''분야''' ||[[미생물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의 [[의사]]이자 [[미생물학|미생물학자]]. 한국에서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0093980?sid=115|배리 마샬]]로도 알려져 있다. [[위나선균]]이 [[위염]]의 원인인 점을 발견한 공로로 2005년 J.로빈 워런과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생애 == [[1951년]], [[호주]]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 태어났다. 과학적 호기심이 많았으며 특히 의학에 관심이 있었던 그는 1974년 [[서호주 대학교|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를 졸업한 후 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계속되는 연구 중 1977년 오스트레일리아의 로열퍼스 병원에 들어가 위장병학 전문의로 지냈으며 1986년에는 로열퍼스 병원을 나온 뒤 동시에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의 의학 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1995년에는 [[래스커상]]을 수상했으며 1년 뒤인 1996년에는 버지니아 대학교의 국제의학부 연구교수로 활동했다. [youtube(yvHVHI_KnMM)] [youtube(iXLA9WXRUG8)] 2005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받기 이전에 그는 2001년 3월 [[대한민국]]에서 당시 [[에치와이|한국 야쿠르트사]] 관계자들이 찾아와 유산균을 이용한 [[위나선균]] 억제와 관련된 임상실험 결과치를 설명하며 광고 제의를 했고, 이를 승낙한 그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0317324?sid=101|2001년 5월]]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대한민국|한국]]에서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0102047|모델]]이 되었으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318064?sid=104|2005년 5월]]까지 광고를 찍은 적이 있다. [youtube(kXbs6SGHbgM)] [youtube(xl3DV_GMwdQ)] 결과적으로 배리 마셜 박사의 주장이 옳았음이 드러나면서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220755?sid=101|대박]]을 치게 되었다. 2005년 5월부터 그가 나오는 CF가 한 동안 중단되었지만 동년 10월 노벨상 발표 이후 ~~재빠르게~~ 광고에는 '''노벨상 수상을 축하합니다'''라는 자막이 추가되었다. 그 후 2003년부터 [[위나선균|헬리코박터균]]을 연구하는 헬리코박터파일로리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부임했다. 2005년 J.로빈 워런과 같이 [[위나선균|헬리코박터균]]과 [[위염]]과의 관계를 증명한 업적으로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때 다른 [[노벨상]] 수상자들과 함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규탄]]했다. [[https://www.nlcampaigns.org/ukraine.html|링크]] 2023년 한국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의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에 [[https://www.yna.co.kr/view/AKR20230824085600005|출연]]했다. == [[위나선균|연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위나선균)] 그가 [[위나선균|헬리코박터균]]을 연구하기 전까지 많은 의사, 생물학자들은 [[위(소화기관)|위]]에는 강산성을 띠는 [[위액]]이 있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 전에도 배리 마셜과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한 J.로빈 워런이 위 속에 세균이 번식하고 있다는 것을 관찰하고 1982년 이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951014?sid=105|학계]]에 알린 바 있지만 그때 당시에도 위에는 세균이 살 수 없다고 인식되었기에 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당시 [[위염]]이나 [[위궤양]]은 스트레스로 인해서 생겨난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배리 마셜은 [[위나선균|이 세균]]에 대해 깊은 관심에 빠지게 되었으며 이후 배양에 성공했다. 그는 이 세균의 이름을 [[위나선균|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로 명명하였으며 [[위염]]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그들의 위에는 공통적으로 이 세균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곧바로 그는 실험에 착수했으며 여러 동물 모델들에게 [[위나선균|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용액을 섭취시킨 뒤 질병을 일으키는 연구를 계속했다. 그러나 동물 모델들은 위 관련 질병에 감염되지 않았으며 점차 그의 연구에 대해 많은 과학자들이 회의를 가지기 시작했다. 결국 그는 동물 실험에서 별 효과가 안나와서 의학계에서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던 1984년 극단적으로 [[인체실험|자신의 몸을 가지고 임상 실험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위궤양]]에 걸림으로써 [[위나선균|헬리코박터균]]이 [[위염]], 위궤양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내게 된다. == 기타 == * [[인체실험|자신의 몸을 임상 실험의 대상]]으로 삼은 일화로 유명하며, [[과학소년]], [[과학동아]]와 같은 어린이 과학잡지에서 소개한 바가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예견했다는 평가를 받은 2011년작 영화 [[컨테이젼]]에서도 언급될 정도.[* 엘리 헥스텔의 아버지가 [[인체실험|위험한 신약의 임상시험을 스스로 했고]] 그걸 밝히자 엘리 헥스텔이 오열하나, 이후 딸의 의도를 깨닫고 [[위나선균]]을 발견한 배리 마셜 박사가 노벨상을 탔다며 엘리도 그렇게 될 거라며 격려해줄 때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852|언급]]되었다.] *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윌]] 모델로 활동하는 것 말고도 2000년대 초중반 대한민국 의학계의 학술모임에도 몇 차례 참석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220654?sid=105|특강]]을 한 적이 있다. [[분류:호주의 생물학자]][[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1951년 출생]][[분류: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출신 인물]][[분류:서호주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