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이비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03028><-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235_f00_s0.png|width=40]] 0235 [[루브도]] || [[파일:icon0236_f00_s0.png|width=40]] '''0236 {{{#000,#fff 배루키}}}''' || [[파일:icon0237_f00_s0.png|width=40]] 0237 [[카포에라(포켓몬스터)|카포에라]] || ||<#C03028><-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36600><-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2세대#성도도감 목록|{{{#FFFFFF 성도도감}}}]] || || [[파일:괴력몬 도트.png]] 144 [[괴력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36MS.png]] '''145 {{{#000,#fff 배루키}}}''' || [[파일:시라소몬 도트.png]] 146 [[시라소몬]] || ||<#cc3366><-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3세대/비노출 호연도감|{{{#FFFFFF 호연도감(비노출)}}}]]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35MS.png]] 370 [[루브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36MS.png]] '''371 {{{#000,#fff 배루키}}}''' || [[파일:카포에라 도트.png]] 372 [[카포에라(포켓몬스터)|카포에라]] || ||<#663366><-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본토)|본토]] || || [[파일:292스위치아이콘.png]] 106 [[껍질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36MS.png]] '''107 {{{#000,#fff 배루키}}}''' || [[파일:시라소몬 도트.png]] 108 [[시라소몬]] || }}}}}}}}} || }}} ||<#C03028>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236 배루키.png|width=50%]] || || 배루키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C03028> [anchor(앵커-기본 정보)]{{{#FFFFFF 이름}}} ||<#C03028> {{{#FFFFFF 도감 번호}}} ||<#C03028>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236_f00_s0.png|width=40]][br]'''배루키''' [br] バルキー(바루키) [br] Tyrogue || 전국: 0236[br]성도: 145[br]호연: 371[br]가라르: 107^^본토^^ || [include(틀:격투타입)] || [anchor(앵커-특성)] ||<-2><#C03028>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ㄱ#근성|근성]] || 상태이상이 되면 공격이 올라간다. || || [[포켓몬스터/특성/ㅂ#불굴의마음|불굴의마음]] || 풀죽을 때마다 스피드가 올라간다. || || *[[포켓몬스터/특성/ㅇ#의기양양|의기양양]] || 잠듦 상태가 되지 않는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C03028> {{{#FFFFFF 포켓몬}}} ||<#C03028> {{{#FFFFFF 분류}}} ||<#C03028> {{{#FFFFFF 신장}}} ||<#C03028> {{{#FFFFFF 체중}}} ||<#C03028> {{{#FFFFFF 포획률}}} || || 0236 배루키 || 싸움 포켓몬 || 0.7m || 21.0kg || 7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100% || 미발견 || 25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C03028><-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C03028><|3> {{{#FFFFFF 진화}}} ||<|3>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tyrogue.gif]] [br]0236 배루키 || 레벨 20에서 공격이 방어보다 높다 [br]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hitmonlee.gif]] [br] 0106 [[시라소몬]] || || 레벨 20에서 방어가 공격보다 높다 [br]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hitmonchan.gif]] [br] 0107 [[홍수몬]] || || 레벨 20에서 공격과 방어가 같다 [br]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hitmontop.gif]] [br] 0237 [[카포에라(포켓몬스터)|카포에라]] || [anchor(앵커-방어 상성)] ||<-3><#C03028>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악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C03028><-8> [[종족치|{{{#FFFFFF 종족치}}}]] || ||<#C03028> {{{#FFFFFF 포켓몬}}} ||<#C03028> {{{#FFFFFF HP}}} ||<#C03028> {{{#FFFFFF 공격}}} ||<#C03028> {{{#FFFFFF 방어}}} ||<#C03028> {{{#FFFFFF 특수공격}}} ||<#C03028> {{{#FFFFFF 특수방어}}} ||<#C03028> {{{#FFFFFF 스피드}}} ||<#C03028> {{{#FFFFFF 합계}}} || || [[파일:icon0236_f00_s0.png|width=40]][br]배루키 || 35 || 35 || 35 || 35 || 35 || 35 || 21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236_f00_s0.png|width=40]][br]{{{#FFFFFF 배루키}}}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C03028>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C03028> [[파일:icon0236_f00_s0.png|width=40]][br]{{{#FFFFFF 0236 배루키}}} || || 금/HG ||<|4>항상 기운이 넘친다. 강해지기 위해 계속 져도 상대에게 맞선다.|| || 리프그린 || || X || || 소드 || || 은/SS ||<|3>어울리는 상대를 발견하면 바로 공격해오기 때문에 몸집이 작아도 방심은 할 수 없다.|| || 파이어레드 || || 실드 || || 크리스탈 ||<|2>격투 감각을 닦기 위해 모든 상대에게 맞선다. 오기가 굉장히 세다.|| || Y || || RSE/ORAS ||<|2>매일 트레이닝하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쌓이기 때문에 [br]트레이너는 키울 때 스케줄 관리에 여러모로 고민해야 한다.|| || 포켓몬 GO || || DPPt/BDSP ||<|2>툭하면 싸우려 드는 것으로 유명하다.[br]자신보다 큰 상대에게 도전하므로 상처가 끊이지 않는다.|| || BW/BW2 || ||<-2><#C03028>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2세대에 추가된 아기 포켓몬으로, 진화루트가 무려 3가지나 된다. 이는 전체 포켓몬 중에서 공동 2위에 해당하는 숫자다. [* [[과사삭벌레]]의 신규 진화형인 [[과미르]]가 추가되어 동률이 되었다. ][* 1위는 당연히 진화형이 8가지에, 앞으로도 계속 진화형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은 [[이브이]]. 참고로 [[암멍이]]의 진화체인 루가루암은 도감상 하나의 포켓몬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이브이처럼 그 후로도 [[태권도]]나 [[무에타이]] 컨셉의 신규 진화형이 나올 법도 한데 아직도 3마리에서 머물고 있다.[* 이는 아마 공격력과 방어력에 따라 진화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3개로 끝낼 수밖에 없던 것이었을 것이다.] 이름의 유래는 [[벌크]]+[[루키]]이기 때문에 제작사에서 의도한 이름은 '''벌루키''' 혹은 '''벌키''' 정도였을 것이다.[* 50음도 특성상 'ㅐ'와 'ㅓ'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일본 작품 번역시 이따금 벌어지는 문제로 이같은 현상은 옆동네 [[디지몬 시리즈]]에서도 [[태스크몬|동일하게 벌어졌다]]. 이름의 유래를 배틀+루키로 보는 시각도 있으며 일본어로 배틀은 '바토루'라고 하기에 어느 언어로도 아귀가 맞게되지만 일본어로 벌크는 '바루쿠'라고 하기 때문에 이쪽이 루키와 라임을 맞으므로 벌크 쪽이 어원일 가능성이 더 높다.] 진화체들이 하나같이 타격기를 모티브로 삼고있음에도 정작 본인은 표준 일러스트에서는 [[레슬링]] 자세를 취하고 있다. 2세대 데뷔 당시 스프라이트는 마치 [[가라테]]같은 자세를 취하고있었기 때문에 무술을 딱히 특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진화방법이 상당히 특이한 것으로 유명하다. 레벨 20때 공격과 방어수치에 따라 진화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진화시키기 가장 힘든 타입. 진화하는 형태에 따라 배우는 컨셉의 무술 또한 다르다.[* [[킥복싱]]의 시라소몬, [[복싱]]의 홍수몬, 카포에라는 이름 그대로 [[카포에라]].] 그중에서도 공격/방어를 완전히 일치시켜야 하는 카포에라가 가장 어렵다. 마음먹고 진화시키고자 한다면 교배시에 성격 보정으로 처음부터 시라소몬, 홍수몬, 카포에라의 꿈나무들을 뽑아두는 게 좋으며, 공격 방어 수치는 개체값이 아닌 실수치로 따지기 때문에 그냥 도핑약으로 숫자를 맞추는 게 가장 편하다. 카포에라의 경우 19렙에서 잘 맞추고 진화시켜놔도 개체값에 따라 가끔 어긋날 때가 있으니 진화 전에 꼭 저장을 해두자. 6세대에선 슈퍼트레이닝이 추가되어 쉬워지기는 했다. 공격/방어에 따라 해당 기초 포인트를 올려주면 공격/방어 수치도 달라지게 된다. 수치가 1씩 올라가니 틈틈이 체크해두자. 역대 포켓몬 중 [[켄타로스]]와 마찬가지로 얼마없는 수컷 고정 포켓몬이다.[* 암컷 고정이 수컷 고정보다 많다.] 또 수컷 고정 포켓몬 중 교배기가 있는 몇 안 되는 포켓몬인데, 메타몽과만 교배해야 배루키가 태어나는 만큼 진화체들의 기술만 교배기에 있다. 언뜻 보면 의미가 없는 것 같지만, 한 진화체는 못 배우지만 다른 진화체가 배울 수 있는 기술이 있을 경우 원래 못 배웠던 진화체로 진화해 그 기술을 쓸 수 있다.[* 예들 들자면, 홍수몬과 카포에라는 카운터를 배우는 반면 시라소몬은 배우지 못한다. 하지만 카운터를 유전시킨 배루키를 시라소몬으로 진화시키면 시라소몬도 카운터를 쓸 수 있다. 카운터 외에도 배루키의 교배기에는 유용한 기술들이 많으므로 모든 진화체가 평등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큰 메리트다.] == 스토리 및 포획 == 2세대 금은과 4세대 리메이크 판에서는 [[절구산]] 안쪽 깊숙한 곳에 태권왕[* 원문은 당연히 가라테왕. 설정상으로 노랑시티의 원래 체육관 관장이었고 격투타입 전문이었으나 에스퍼 트레이너였던 초련에게 호되게 당하면서 콩라인으로 격하되고 이후 수련을 위해 성도의 절구산으로 떠났다. 주요 포켓몬은 시라소몬과 홍수몬으로 1세대 때와 엔트리는 동일하지만 레벨이 너프된 케이스.] 노현[* BW2에서 일베 논란을 빚은 사람과는 동명이인이다. 다만 일판에서도 이름이 노부히코로 서로 동일.]이 있는데 승부에서 이기면 배루키를 준다. 2세대 금은에서는 엔트리에 포켓몬이 꽉 차있을 경우 습득이 불가능하니 유의. 4세대에 DPPT에서는 엔딩 이후 얻을 수 있는 포켓트레를 천관산 근처 도로에서 이용하면 나온다. 5세대에서는 BW에서만 10번도로 대량발생으로만 등장한다. 6세대에서는 XY에서는 프렌드사파리에서만 등장하기 때문에 ORAS에서만 112번도로 도감서치로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다. 7세대에서는 전부 등장하지 않으므로 전 세대에서 끌어와야만 한다. 8세대에서는 소드실드에서 [[와일드에리어]] 중 하나인 화창한 초원에서 등장한다. 2세대 이후 20년 만에 다른 지역도감에 추가됐으며, 역대 시리즈 중 처음으로 초반부에 야생으로 등장한다. 배루키는 플레이어를 보면 쫓아와서 싸움을 건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구조대 기준 배루키, 홍수몬, 시라소몬, 카포에라 넷 다 던전에서 만나볼 수 있으나 미진화체인 배루키만 동료로 만들 수 있다.[* 탐험대에서는 홍수몬과 카포에라도 던전에서 동료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시라소몬은 여전히 배루키를 진화시키거나 의뢰인 시라소몬의 동료 신청을 수락해야 한다. 홍수몬은 수행의 산, 카포에라는 미개척 황야에서 등장하니 참고.][* 구조대 DX에서는 배루키와 진화계통 모두 동료로 만들 수 있다.] 강철산, 소망 동굴, 행복의 탑에서 출현하는데, 진화시켜서 도감 채우는 용도로 쓴다면 강철산이 제일 빠르고 낫다. 여기서도 특이한 진화방식은 그대로이며, 여기서는 처음부터 공격이 더 높고, 진화시에도 공격이 방어보다 더 높게 상승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시라소몬이 된다. 홍수몬이나 카포에라를 만들고 싶다면, 무작위 능력치를 1 올려주는 구미로 노가다를 하던지 서쪽 동굴에서 얻을 수 있는 도핑약인 사포닌을 먹여서 능력치를 맞춰야 한다. 참고로 사포닌은 방어 능력치 3을 올려주고, 구미는 1을 올려준다. 방어스카프 등의 장비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도 원래 방어력이 공격력보다 높거나 같지 않다면 시라소몬으로 진화하니 주의해야 한다.[* 선술했듯 탐험대에서는 시라소몬 빼고 나머지 진화체를 동료로 입수할 수 있어서 오히려 시라소몬으로 진화시키는 것이 가치가 높다.] == [[포켓몬 GO]] == [[포켓몬 GO]]에서는 2세대 업데이트로 인해 등장했으며, 포켓몬 알에서 부화시키는 형태로만 얻을 수 있는 포켓몬 중 하나이다. 5km 알에서 일정 확률로 부화하며, 그마저도 시즌에 따라서 안 나올수도 있다. 진화 조건은 본편과 비슷하며, 진화시키려는 배루키의 공격력이 높으면 [[시라소몬]], 방어력이 높으면 [[홍수몬]], HP가 높으면 [[카포에라(포켓몬스터)|카포에라]]로 진화하게 된다. 만약 셋 중에 두개의 스탯이 같다면 그에 해당하는 포켓몬 중에 하나로 진화하며,[* 예를 들어 공격력과 방어력이 같은 경우 [[시라소몬]]이나 [[홍수몬]] 둘 중에 하나로 랜덤 진화한다.] 셋이 전부 일치하는 경우 그 배루키는 완전히 랜덤으로 진화하게 된다. 2022년 2월 26일 성도 투어로 색이 다른 모습이 해금되었다. == 애니메이션 == 무인편 235화에 절구산에 사는 주인에게 버려진 배루키가 등장.[* 이를 나타내듯 푸른색의 낡은 스카프를 목에 두르고 있다.] 망키와 성원숭을 부하로 두고 있으며 이들과 주변 사람들에서 깽판을 치고 있었다. 단, 피해는 사람에게만 주고 포켓몬들에겐 먹을 것을 나눠주기도 하고 악당인 로켓단의 스카웃도 걷어차는 등 마냥 나쁜 녀석은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에게 민폐라서[* 마을에서 기르는 켄타로스를 타고 난동부리기는 물론, 먹을 것을 훔쳐가는 것도 심심치않게 일어난다.] 마을에선 여경을 불러 처리하려고 했지만, 그 주변에서 수행 중이던 진청체육관 관장 사도의 제자 노현(일어판은 노부히코)이 자신이 해결하겠다며 사람들을 진정시킨다. 그렇게 찾아온 노현과 시합을 하게 되는데 괜히 두목이 아닌지 노현의 시라소몬, 홍수몬을 간단히 쓰러트리는 굉장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런 배루키를 상대하기 위해 노현 자신이 직접 나서서 대결에 임해[* 포켓몬스터라는 작품의 특성상 흔치않은 인간 vs 포켓몬이다.] 배루키의 모든 공격을 노련하게 대처해 시합해서 승리한다. 패배한 배루키는 노현의 강함을 인정, 자신의 부하들과 함께 노현의 포켓몬이 되기로 하면서 이야기가 끝난다. == 기타 == [[포켓몬스터 금은 골든보이]]에서 나오는 모습을 정리하자면 그야말로 [[근성]]. 주인공 골드가 이벤트성 대회의 상품으로 이 배루키를 얻었다. 대회 측에서 제공하는 포켓몬 중 원하는 포켓몬 3마리를 골라 토너먼트를 펼치고 최종 우승자는 그 포켓몬 3마리 중 원하는 포켓몬 1마리를 상품으로 받는 대회였는데 골드가 힘으로 이기겠답시고 [[카포에라(포켓몬스터)|카포에라]], [[홍수몬]], [[시라소몬]]의 격투 포켓몬 3인방으로 팀을 짰다가 결승전에서 [[후딘]]을 사용한 라이벌 블랙에 의해 리타이어당했다. 이 때 블랙이 보여준 잔인한 태도 때문에 관중들이 비난했으나 쿨하게 씹고(...) 우승상품으로 [[포푸니]]를 데리고 사라진다. 이를 본 키우미집 부부가 불리한 타입을 상대로도 포기하지 않은 근성을 높이 사 특별상으로 배루키를 준 것. 이후 진청시티에서 골드가 관장 대리를 할 때[* 교통사고를 당한 사도 대신 진청 체육관의 일을 맡는 조건으로 사도가 가지고 있는 비전의 약을 받기로 했다.] 블랙이 꺼낸 네이티오의 상대로 출전한다. 상성의 불리함과 그림자분신으로 인해 진짜 네이티오를 알 수 없는 상태로 [[쪼기]]에 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불굴의 힘으로 버티고 발소리가 들리는 쪽을 정확히 가격, 네이티오를 리타이어시킨다. == 삽화 == || '''{{{#fff 금·은·크리스탈}}}''' || || [[파일:236Tyrogue_GS.png|width=180]] || || '''배루키''' || [[분류:2세대 포켓몬]][[분류:두 종류 이상 진화하는 포켓몬]][[분류:격투타입 포켓몬]][[분류:교배가 불가능한 포켓몬]][[분류:단성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