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배대웅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1.svg|width=100]][br]'''KBO 리그''' '''{{{우승반지}}}''' || ||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fecd00 1985}}}]]''' ||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주장)]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번}}}''' || || 팀 창단 || {{{+1 →}}} || '''{{{#007fff 배대웅[br](1982~1986)}}}''' || {{{+1 →}}} || [[정윤수]][br](1988)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3번}}}''' || || 결번 || {{{+1 →}}} || '''{{{#008bd2 배대웅[br](1987~1992)}}}''' || {{{+1 →}}} || 장형석[br](1995)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6번}}}''' || || 결번 || {{{+1 →}}} || '''{{{#008bd2 배대웅[br](1993~1994)}}}''' || {{{+1 →}}} || [[박정환(1957)|박정환]][br](1995~2000)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2번}}}''' || || [[조창수]][br](1988~1989) || {{{+1 →}}} || '''{{{#fff 배대웅[br](1997~1998)}}}''' || {{{+1 →}}} || [[김무관]][br](2001~2003) || }}} || ---- ||<-2>
[[파일:/image/410/2012/12/13/20121213_1355356425.JPG_59_20121213094407.jpg|width=100%]] || ||<-2> '''{{{+2 배대웅}}}[br]裵大雄 | Dae-woong Bae''' || ||<|2> '''출생''' ||[[1953년]] [[3월 20일]] ([age(1953-03-20)]세) || ||[[대구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 '''포지션''' ||[[2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멤버 || || '''소속팀''' ||'''기업은행 야구단 (1972~1977)[* 1976~1977년까지 군 복무.]''' [br] [[포스틸 야구단|포항제철 야구단]] (1978~1981) [br] [[삼성 라이온즈]] (1982~1986) || ||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수비·주루코치 (1987~1994) [br] [[삼성 라이온즈]] 1군 수석코치 (1995) [br]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1997) [br] [[롯데 자이언츠]] 1군 작전·주루코치 (1998)[* ~6월 14일] [br]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1998)[* 6월 15일~] [br] [[한화 이글스]] 1군 작전코치 (2001) || || '''해설위원''' ||[[TBC]] 야구 해설위원 (2006) || || '''경력''' ||리틀야구연맹 영남지부장 (2008~2012)[br][[한국야구위원회|KBO]] 육성위원 (2009~2011)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성 라이온즈 시절의 배대웅.png|width=100%]]}}} || 전 야구선수, 야구코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2루수 계보를 잇는 선수 중 하나이며, [[삼성 라이온즈]] 원년멤버이다. == 선수 경력 == 1971년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재학 시절에 [[남우식]], [[천보성]], [[정현발]] 등의 동기, 1년 후배 [[황규봉]], [[이선희(야구)|이선희]] 등과 함께 대통령배, 청룡기, 봉황기, 황금사자기에서 모두 우승했다. 어려웠던 가정형편 때문에 고교 졸업 후 바로 실업팀인 기업은행에 입단했다. 1975년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부터 국가대표 2루수로 자리 잡으며 당시 유격수 [[김재박]]과 1981년까지 7년간 [[키스톤 콤비]]를 이뤘다. 김재박이 화려한 수비를 자랑했다면 배대웅은 안정적인 수비로 내야진을 이끌었다. 배대웅을 기업은행으로 스카우트했던 [[김성근]] 감독은 '포지션은 달랐지만 [[박진만]] 같은 선수였다'고 평가했다.[* 이 때의 인연 때문인지 배대웅은 삼성 라이온즈 창단 당시 코칭스태프 선임 문제가 잘 풀리지 않자 서영무 감독에게 김성근을 대안으로 추천했고, 김성근도 이 마음을 고마워했는지 삼성 감독 시절 배대웅에게 3루 코치와 선발 라인업 교환이라는 중책을 맡겼다.] [[1978년]] [[포항제철 야구단]]으로 팀을 옮기고, 1982년 프로야구가 출범하며 당시 실업야구선수라면 은퇴를 고려했을 만 28세의 나이로 연고팀인 [[삼성 라이온즈|삼성]]에 입단했다. 팀 내에서 [[황규봉]] 다음 가는 연봉을 받았으며 다년의 국가대표 경험 덕분에 초대 주장을 맡았다. 프로야구 첫 몰수게임의 원인 제공자였다. [[1982년]] [[8월 26일]] [[대구시민 야구장]]에서 열린 [[MBC 청룡]]전에서 4회말 1사 1,2루 상황에서 [[정현발]]이 유격수 땅볼을 치자 배대웅은 병살타를 막기 위해 MBC 2루수 [[김인식(1953)|김인식]] 쪽으로 거칠게 슬라이딩했다. 김인식은 넘어졌다가 일어나선 배대웅의 얼굴을 쳤다. [* 근데 이게 머리를 툭 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때문에 [[벤치 클리어링]]도 일어났고, 심판은 김인식을 퇴장시켰다. 김인식이 퇴장되자 [[백인천]] MBC 감독이 왜 김인식만 퇴장시키냐며 항의하다가 선수들을 모두 철수시켜 몰수게임이 선언됐다. 그런데 정작 당사자끼리는 잘 해결했다. 김인식은 배대웅의 얼굴을 친 후에 바로 사과했고, 동기인데다 오랜 기간 국가대표를 같이 했던 사이라 배대웅도 [[다혈질]]적인 김인식의 성격을 잘 알고 있어 사과를 받아줬다. 그리고 이 몰수게임이 있었던 다음날에는 같이 술을 마시며 이 일을 두고 얘기하면서 웃었다고 한다. 한국프로야구 사상 첫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의 마지막 타자였다. 팀이 8:3으로.지고 있던 [[1982년 한국시리즈]] 6차전 9회말 2사 후에 타석에 들어서0 땅볼을 쳤고 유격수 [[유지훤]]이 1루 송구로 연결하여 시리즈를 끝냈다. 1983 시즌에는 0.285의 타율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1983 시즌 후 무릎수술을 하는 등 점점 잔부상으로 결장하는 일이 잦아지며 백업으로 밀려났다. 하지만 은퇴하기 전까지도 경기 후반에 대수비로 들어서 안정적인 수비를 자랑했다. 프로 5년간 통산 실책이 20개로, 1년당 4개를 범한 셈. == 은퇴 후 == 1986 시즌 후 은퇴하며 [[천보성]], [[황규봉]]에 이어 삼성 선수 중 세 번째로 코치가 되었다. [[삼성 라이온즈|삼성]], [[롯데 자이언츠|롯데]], [[한화 이글스|한화]] 3팀을 거치며 2001년까지 코치로서 선수들을 지도했다. 이 후 2006년 [[TBC]] 라디오 해설위원[* 해설위원을 그만둔 이후, 현장 복귀로 해설을 그만둔 [[강동우]]를 대신하여 오랜만에 2023년 7월 12일~13일 광주에서 열리는 삼성과 기아와의 2경기에 특별 해설위원으로 나왔다. 이후에 패넌트 레이스의 후반기부터 [[김용국(야구)|김용국]]이 정식 해설위원으로써 바통을 이어받았다.], KBO 육성위원, [[리틀야구]]연맹 영남지부장을 역임했고 현재는 자영업자(식당 운영)로 지내는 중이다. == 기타 == * 이만수의 간증에 따르면 전도하기 어려운데다가 상당히 이만수를 많이 갈군 모양이다. 결과적으로 개신교 신앙을 받아들이면서 크리스천이 되었다. * 김성근은 배대웅을 김재박과 함께 스냅스로가 좋았던 내야수로 평가했다.[[https://v.daum.net/v/20170823060455296?s=print_news|출처]] * 김성근의 대표적 흑역사 중 하나인 91년 7월 해태전 이중 오더 사건 때 이를 실행에 옮겼던 사람이 당시 삼성의 수석코치였던 배대웅이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82 ||<|5> [[삼성 라이온즈|삼성]] || 71 || 235 || .230 || 54 || 9 || 0 || 5 || 27 || 30 || 7 || 25 || .332 || .304 || || 1983 || 78 || 228 || .285 || 65 || 10 || 2 || 2 || 22 || 27 || 6 || 25 || .373 || .353 || || 1984 || 43 || 104 || .240 || 25 || 2 || 0 || 0 || 5 || 5 || 4 || 11 || .260 || .313 || || 1985 || 91 || 161 || .273 || 44 || 8 || 1 || 3 || 18 || 18 || 5 || 9 || .391 || .312 || || 1986 || 72 || 94 || .266 || 25 || 3 || 0 || 1 || 11 || 5 || 2 || 6 || .330 || .310 || ||<-2> '''[[KBO 리그|KBO]] 통산''' [br] (5시즌) || 355 || 822 || .259 || 213 || 32 || 3 || 11 || 83 || 85 || 24 || 76 || .346 || .321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53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해설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포항제철-포스콘-포스틸 야구단/은퇴, 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81 산타클라라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