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시경제학)] [include(틀:주식투자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Dividend Discount Model. [[주식]]의 가치를 결정하는 [[경제학]] 모형 중 하나. 주어진 [[주식]]의 가치는 미래에 받게 될 모든 [[배당]]의 가치의 합과 같다고 생각하여, 이 전제를 바탕으로 주식의 값어치를 계산하는 모형이다. == 상세 == 구체적으로는 미래의 현금흐름인 배당을 현금할인법에 따라 현재가격으로 환산하는 것인데 그 식은 다음과 같다.[* 고든의 고정성장 배당할인모형] D=다음번에 받을 배당[* 당기나 전기의 배당금만 주어진다면 배당금*(1+g)] r=할인율(회사에서 요구하는 최소 수익률, cost of equity capital) g=배당의 성장률 P=적정주식가격 P=D/(r-g) 수식은 매우 간단하지만, 그만큼 현실과 배치되는 가정이 많이 들어 있다. '미래'의 배당금을 지금 알 수 있다는 가정, 모든 회사가 배당을 준다는 가정, 회사에서 요구하는 최소 수익률(할인율) 및 배당금의 성장률이 고정된 상수라는 가정 등이 있다. 배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모디글리아니-밀러 정리]]를 응용하여 배당 대신 [[EPS]]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해당 정리가 통용되지 않는 정도에 비례하여 오차가 생길 것이다. 또한 할인률/배당금 성장률이 변동하는 경우 단계적 배당할인모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의 배당금이 500원인데 추후 2년간은 할인률이 8%이고 성장률이 10%이며, 그 이후에는 할인율 5%에 성장률 3%라고 하자. 그러면 해당 주식의 적정가격 P = 500*(1+0.10)/(1+0.08) + 500*((1+0.10)^2)/((1+0.08)^2) + (500*(1+0.10)^2)/(0.05-0.03) = 31277.9492455원이 된다. 배당할인모형의 큰 약점은 산출되는 적정주식가격이 (r-g) 값에 지나치게 민감하고, 또 해당 수치(r 그리고 g)를 정확하게 예상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분류:경제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