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방패 용사 성공담)] ||<-2>
{{{#b30000,#b30000 '''{{{+1 방패 용사 성공담}}}''' {{{#044b0b (2019)}}}[br]盾の勇者の成り上がり[br]{{{#a5a5a5 The Rising of}}} the Shield Her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hield_hero.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쿨 비주얼 ▼ [[파일:방패용사성공담_애니2쿨키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이세계 전이물|이세계 전이]], [[판타지]], [[용사소환]] || || '''{{{#ffffff,#ffffff 원작}}}''' ||[[아네코 유사기]]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미나미 세이라(弥南せいら) || || '''{{{#ffffff,#ffffff 감독}}}''' ||[[아보 타카오]]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코야나기 케이고(小柳啓伍)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스와 마사히로(諏訪真弘) || || '''{{{#ffffff,#ffffff 디자인 리더}}}''' ||타카쿠라 타케시(高倉武史) || || '''{{{#ffffff,#ffffff 디자인 어시스턴트}}}''' ||와다 신페이(和田慎平) || || '''{{{#ffffff,#ffffff 몬스터 디자인}}}''' ||모리 사토시(森 賢)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스기무라 아야코(杉村絢子) || || '''{{{#ffffff,#ffffff 액션 설계}}}''' ||[[쿠로다 유카]] || || '''{{{#ffffff,#ffffff 비주얼 어드바이저}}}''' ||마스야마 오사무(増山 修) || || '''{{{#ffffff,#ffffff 미술}}}''' ||키노시타 신스케(木下晋輔)[br]니시구치 사치코(西口早智子)[br]아카시 세이코(明石聖子)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오카마츠 안나(岡松杏奈)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오하라 유키요(尾原幸代) || || '''{{{#ffffff,#ffffff 3D CG 디렉터}}}''' ||코시다 유시(越田祐史) || || '''{{{#ffffff,#ffffff 2D 아티스트}}}''' ||hydekick || || '''{{{#ffffff,#ffffff 모션 그래픽스}}}''' ||우에무라 히데카츠(上村秀勝) || || '''{{{#ffffff,#ffffff 편집}}}''' ||스도 히토미(須藤 瞳)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고 후미유키(郷 文裕貴) || || '''{{{#ffffff,#ffffff 음향 제작}}}''' ||글로비전(グロービジョン) || || '''{{{#ffffff,#ffffff 음악}}}''' ||케빈 펜킨(Kevin Penkin)[* 같은 제작사에서 만든 [[메이드 인 어비스/애니메이션|메이드 인 어비스 시리즈]]의 음악을 담당했다.[[https://mobile.twitter.com/kevinpenkin/status/1027552344714686464|#]]] || || '''{{{#ffffff,#ffffff 프로듀서}}}''' ||타무라 준이치로(田村淳一郎)[br]타치자키 타카시(立崎孝史)[br]쿠로스 노부히코(黒須信彦)[br]토쿠무라 켄이치(德村憲一)[br]타니구치 히로야스(谷口博康)[br]오가타 미츠히로(尾形光広)[br]나카히가시 토요카즈(中東豊和)[br]나카지마 야스히로(中島保裕)[br]카시와기 유타카(柏木 豊)[br]키시다 나오키(岸田直樹)[br]나카다 쇼(中田 翔)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가사와라 무네키(小笠原宗紀) || || '''{{{#ffffff,#ffffff 라인 프로듀서}}}''' ||나오에 마사유키(直江昌之)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키네마 시트러스]] || || '''{{{#ffffff,#ffffff 제작}}}''' ||방패 용사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9년 1월|2019. 01. 09.]] ~ 2019. 06. 26.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수) 22: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금) 00:00 || || '''{{{#ffffff,#ffffff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115|▶]][br][[Laftel]] [[https://laftel.net/item/39081|▶]][br][[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title/81058649|▶]][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356904|▶]]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1화 한정 48분 편성.] || || '''{{{#ffffff,#ffffff 화수}}}''' ||25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hieldhero-anime.jp/1s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hieldhero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네코 유사기]]의 라이트노벨 [[방패 용사 성공담]]을 원작으로 하는 [[방패 용사 성공담/애니메이션|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1기. 감독은 [[아보 타카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9년 1월|2019년 1월]]. 원작 5권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공개 정보 == 2017년 애니화가 결정되었으며 7월 2일 새벽 5시 PV가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jezREyZI2U/|PV]] --작가는 기쁨에 빠져 한달 뒤부터 진 창의 용사 재시작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이와타니 나오후미]]의 성우인 [[이시카와 카이토]] 같은 경우는 시청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여 캐릭터에 잘 맞게 아주 좋은 연기를 해서, [[라프타리아]]의 성우인 [[세토 아사미]] 같은 경우는 바로 전 분기에서 맡았던 [[사쿠라지마 마이]] 연기와는 전혀 다른 연기와 톤을 보여줘서 호평을 받고 있다. === PV === ||<-2>
'''PV'''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gP4ZlVB3oEM,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mjezREyZI2U, width=100%)]}}} || || '''선행 PV''' || '''PV'''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uipcsm9IKoQ,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VKYmpq-V3Rs, width=100%)]}}} || || '''PV 제1탄''' || '''PV 제2탄''' || ||<-2>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3n-chI028E, width=100%)]}}} || ||<-2> '''PV 제3탄'''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shield_hero_2nd_2.jpg|width=100%]]}}} || || '''{{{#ffffff,#ffffff 카르밀라 편 비주얼}}}''' || == [[방패 용사 성공담/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패 용사 성공담/등장인물)] == [[방패 용사 성공담/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패 용사 성공담/설정)] == 주제가 == === OP1 === ||<-2>
'''{{{#b30000,#b30000 OP1[br]RI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s85gCoCaBA,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3> MADKID[* [[https://www.youtube.com/watch?v=2VTmMkBmZdA|영판 버전]]도 이들이 불렀다.] || || '''작사''' || || '''작곡''' || || '''편곡''' || MADKID[br]키타우라 마사타카(北浦正尚)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와다 신페이(和田慎平) || || '''연출''' || || '''작화감독''' || 스와 마사히로(諏訪真弘)[br]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br]세라 코타(世良コータ)[br]사키구치 사오리(崎口さおり) || }}}}}}}}} || ||<-2> {{{#!folding 가사 ▼ ||
光 見つけた 空白の時間 히카리 미츠케타 쿠우하쿠노 지칸 빛을 찾은 공백의 시간 迷い込んだ 宙吊りの世界 마요이콘다 츄우즈리노 세카이 헤메어 온 허공에 매달린 세계 信じられる答え 探し求めて 신지라레루 코타에 사가시모토메테 믿을수있는 대답 찾아가서 ただ彷徨ってる 타다 사마욧테루 그저 방황하고 있어 指の隙間 逃げる light 유비노 스키마 니게루 라이트 손가락 틈 도망치는 빛 余所見してる暇も無い 요소미시테루 히마모 나이 한눈팔고 있을 시간도 없어 受けた絆跡さえ糧に 우케타 키즈나아토사에 카테니 받은 인연마저 양식으로 静寂切り裂いてく 세이자쿠 키리사이테쿠 정적하게 찢어져가 誰も彼も Dead or alive 다레모 카레모 데드 오어 얼라이브 누구나 그도 죽느냐 사느냐 守るだけじゃ can’t survive 마모루다케쟈 캔트 서바이브 지키기만하면 살아남을수 없어 I don’t want to lie to myself 아이 돈 원 투 라이 투 마이셀프 내 자신에게 거짓말을 하고싶지 않아 Keep on the fight, get right 킵 온 더 파이트, 겟 라이트 계속 싸워라, 제대로 해 I’ll never lose and cry 아잉 네버 루즈 앤 크라이 나는 절때 지지도 않을꺼고 울지도 않을꺼야 Keep run up day and night 킵 런 업 데이 앤 나이트 밤낮으로 계속달려 Time to rewrite 타임 투 리라이트 다시 쓸 시간 No matter what anyone say 노 매터 왓 애니원 세이 누가 뭐라고 하든 I find my way 아이 파인드 마이 웨이 나는 내길을 찾았어 Never go away 네버 고 어웨이 가지마 Now, Nobody can’t stop me no way 나우, 노바디 캔트 스탑 미 노 웨이 아무도 나를 막을수 없어 忘れてしまう事のないように 와스레테시마우 코토노 나이요우니 잊어버리는 일 없게 失くした物全て 取り戻すため 나쿠시타 모노스베테 토리모도스타메 잃어버린 것들 모두 되찾기 위해 Rise suddenly in this world 라이즈 서든리 인 디스 월드 이 세상에서 갑자기 성공해 (I don’t look back yeah) (아이 돈 룩 백 예) (난 절때 뒤돌아보지 않아) 繰り返す 旅の果て 쿠리카에스 타비노하테 반복하는 여행의 끝에 脳裏に残った失敗なんて 노우리니 노콧타 싯파이난테 뇌리에남은 실패라니 全部取り返せ 今 Turn over 젠부 토리카에세 이마 턴 오버 전부 되찾아라 지금 뒤집어 Rise suddenly in this world 라이즈 서든리 인 디스 월드 이 세상에서 갑자기 성공해 (I don’t look back yeah) (아이 돈 룩 백 예) (나는 뒤돌아보지 않아) Now, I know すべき事 明白だろ 나우, 아이 노 스베키코토 메이하쿠다로 이제 난 알아 해야하는 것들 명백하잖아 バランス失った My world 바란스 우시낫타 마이 월드 균형을 잃은 나의 세계 暗闇の中 探すanswer 쿠라야미노 나카 사가스 앤서 어둠 속에서 찾아낸 정답 誰もが有無言わせず 다레모가 우무 이와세즈 아무도 말을 하지않고 戦ってる 本当の事は見向きもせず 타타캇테루 혼토노 코토와 미무키모세즈 싸우고있어 사실은 거들떠 보지도 않고 短いlife 俺なら何に使おう 미지카이 라이프 오레나라 나니니 츠카오 짧은 인생 나라면 어디에 쓸까 世界変えるため Fight my war 세카이카에루타메 파이트 마이 워 세계를 바꾸기 위해 내 전쟁과 싸워라 Keep on the fight, get right 킵 온 더 파이트, 겟 라이트 계속 싸워라, 제대로 해 I’ll never lose and cry 아일 네버 루스 앤 크라이 나는 절대 지지도 않고 울지도 않을거야 Keep run up day and night 킵 런 업 데이 앤 나이트 밤낮으로 계속 달려라 Time to rewrite 타임 투 리라이트 다시 쓸 시간 No matter what anyone say 노 매터 왓 애니원 세이 누가 뭐라고 하든 I find my way 아이 파인드 마이 웨이 나는 나의길을 찾았어 Never go away 네버 고 어웨이 가지마 Now, Nobody can’t stop me no way 나우, 노바디 캔트 스탑 미 노 웨이 아무도 나를 막을수 없어 自分自身を見失わないように 지분지신오 미우시나와나이요우니 자기자신을 잃어버리지 않게 何もかも全て 解き放って 나니모카모 스베테 토키하낫테 뭐든지간에 모두 풀어놓고 Rise suddenly in this world 라이즈 서든리 인 디스 월드 이 세상에서 갑자기 성공해 (I don’t look back yeah) (아이 돈 룩 백 예) (나는 뒤돌아보지 않아) 立ち上がる 何度だって 타치아가루 난도닷테 올라가 몇번이라도 リスク恐れず光追って 리스크 오소레즈 히카리 옷테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빛나며 目を背けたって 消せない true heart 메오 소무케탓테 케세나이 트루 하트 눈을 떠도 지워지지 않는 진심 Rise suddenly in this world 라이즈 서든리 인 디스 월드 이 세계에서 갑자기 성공해 (I don’t look back yeah) (아이 돈 룩 백 예) (나는 뒤돌아보지 않아) I gotta go 아이 가터 고 나는 가야해 Keep defend everything in myself 킵 디펜드 에브리띵 인 마이셀프 내 안의 모든것을 지켜 I gotta go 아이 가터 고 나는 가야해 Keep defend everything in myself 킵 디펜드 에브리띵 인 마이 셀프 내 안의 모든것을 지켜 Feel so good ya 필 소 굿 야 기분이 너무좋아 幻 惑わされず 마보로시 마도와사레즈 환상에 현혹되지않고 微かな lightを探しだし 카스카나 라이트 오 사가시다시 아련한 빛을 찾아내 形のない大事なもの守れるかは 카타치노나이 다이지나모노 마모레루카와 형태가 없는 소중한 것 지킬 수 있을까는 結局は自分次第 켓쿄쿠와 지분시다이 결국은 자신에게 달려있어 盾の表裏 dilemma 타테노 오모테 딜레머 방패의 뒷면 딜레마 全部 guards して become vanguard 젠부 가아즈 시테 비컴 뱅가드 전부 방어해서 선봉에 서 Stay hungry. Stay foolish. 스테이 헝그리. 스테이 풀리시 배고프다. 어리석다. 何があっても run (esskeetit) 나니가 앗테모 런 (에스키팃) 무슨 일이 있어도 달려 (해보자) (Never go away) (네버 고 어웨이) (가지마) Now, Nobody can’t stop me no way 나우, 노바디 캔 스탑 미 노 웨이 나를 막을수 없어 忘れてしまう事のないように 와스레테시마우 코토노 나이요우니 잊어버리는 일 없기를 失くした物全て 取り戻すため 나쿠시타 모노스베테 토리모도스타메 잃어버린 것들 모두 되찾기 위해 Rise suddenly in this world 라이즈 서든리 인 디스 월드 이 세계에서 성공해 (I don’t look back yeah) (아이 돈 룩 백 예) (나는 뒤돌아보지 않아) 繰り返す 旅の果て 쿠리카에스 타비노 하테 반복하는 여행의 끝에 脳裏に残った失敗なんて 노우리니 노콧타 싯파이난테 뇌리에 남은 실패라니 全部取り返せ 今 Turn over 젠부 토리카에세 이마 턴 오버 전부 되찾아 지금 뒤집어 Rise suddenly in this world 라이즈 서든리 인 디스 월드 이 세계에서 성공해 (I don’t look back yeah) (아이 돈 룩 백 예) (나는 뒤돌아보지 않아)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1 === ||<-2>
'''{{{#b30000,#b30000 ED1[br]きみの名前[br]너의 이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su62xI2x2Q,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후지카와 치아이(藤川千愛) || || '''작사''' || 후지카와 치아이(藤川千愛)[br]타카하시 하나(高橋 花) || || '''작곡''' || 오오하타 타쿠야(大畑拓也) || || '''편곡''' || 후지나가 류타로(藤永龍太郎)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아보 타카오]] || || '''연출''' || || '''작화감독''' || 스와 마사히로(諏訪真弘) || }}}}}}}}} || ||<-2> {{{#!folding 가사 ▼ ||
抜け殻みたいな空に 누케가라 미타이나 소라니 빈 껍데기 같은 하늘에 何を見ていた 나니오 미테이타 무엇을 보고있었나 目覚めた理由ですら 메자메타 리유데스라 눈을 뜬 이유조차 分からなかった 와카라나캇타 알 수 없었다 信じることに 신지루코토니 믿는다는 것에 酷く怯えていた 히도쿠 오비에테이타 너무나 겁 먹고 있었어 だってぜんぶ 닷테 젠부 왜냐면 전부 捨てたんだ 스테탄다 버렸으니까 こんな世界ならもう 콘나 세카이나라모우 이런 세계라면 그냥 消えてしまえと 키에테시마에토 사라져버려 라고 憎んでいたんだ 니쿤테이탄다 미워했다 張り裂けそうだよ 하리사케소우다요 찢어질 것 같아 信じても? 신지테모? 믿어도? ほら キミの声が 호라 키미노 코에가 봐 너의 목소리가 僕を救うよ 보쿠오 스쿠우요 나를 구해 何度も呼び覚ますよ 난도모 요비사마스요 몇번이라도 되뇌일게 キミが教えてくれた想い 키미가 오시에테 쿠레타 오모이 네가 가르쳐 준 마음 そうなんどだって 소우난도닷테 그래 몇번이라도 キミの名前を叫ぶよ 키미노 나마에오 사케부요 너의 이름을 외칠게 強くその手を握って 츠요쿠 소노테오 니깃테 강하게 그 손을 잡고 もう離さない決して 모우 하나사나이 케시테 이제 놓지않아 절대로 どんな未来も 돈나 미라이모 어떤 미래라도 キミとなら逃げない 키미토나라 니게나이 너와 함께라면 도망치지 않아 流れる雲にあの日 나가레루 쿠모니 아노히 흘러가는 구름에게 그 날 重ねていた 카사네테이타 겹쳐있었다 守れなかった約束 마모레나캇타 야쿠소쿠 지키지 못한 약속 噛みしめては 카미시메테와 곱 씹어서는 疑うことで 우타가우 코토데 의심하는 것으로 自分誤魔化してた 지분 고마카시테타 자신을 속였다 涙ももう 나미다모 모오 눈물도 이제 枯れ果てて 카레하테테 전부 말라서 繰り返される悪い 쿠리카에사레루 와루이 반복되는 나쁜 夢に溺れて 유메니 오보레테 꿈에 빠져서 迷い込んだまま 마요이콘다 마마 헤메는 채 見失いそうだよ 미우시나이소우다요 놓칠 것 같아 僕に今 보쿠니 이마 나에게 지금 そうキミの歌が 소우 키미노 우타가 그래 너의 노래가 夜明けのように 요아케노요우니 새벽 같이 じんわり光をくれた 진와리 히카리오 쿠레타 조용히 빛을 주었어 塞ぎこんだ胸の奥に 후사기 콘다 무네노 오쿠니 막힌 가슴 속에 ちっぽけだけれど 칫포케다케레도 작지만 確かな希望 確かな希望 타시카나 키보오 타시카나 키보오 확실한 희망 확실한 희망 僕にくれたから 보쿠니 쿠레타카라 나에게 주었으니깐 もう迷わない 二度と 모오 마요와나이 니도토 이젠 헤메지 않아 두 번 다시 どんな未来も 돈나 미라이모 어떤 미래라도 キミとなら逃げない 키미토나라 니게나이 너와 함께라면 도망치지 않아 どこにいても なんどだって 도코니이테모 난도닷테 어디에 있어도 몇 번이라도 キミの名前を 声が枯れるまで 키미노나마에오 코에가 카레루마데 너의 이름을 목소리가 갈라질때 까지 夜明け前に 虹を見たよ 요아케마에니 니지오 미타요 새벽이 되기 전에 무지개를 봤어 嘘のない世界で きみにもっと[* 2회]愛を 우소노 나이 세카이데 키미니못토 아이오 거짓이 없는 세계에서 너에게 좀더 사랑을 ほらキミの声が 호라 키미노 코에가 봐 너의 목소리가 僕を救うよ 보쿠오 스쿠우요 나를 구해 何度も呼び覚ますよ 난도모 요비사마스요 몇 번이라도 되뇌일게 キミが教えてくれた想い 키미가 오시에테 쿠레타 오모이 네가 알려준 마음 そう なんどだって 소오 난도닷테 그래 몇번이라도 キミの名前を叫ぶよ 키미노 나마에오 사케부요 너의 이름을 외칠게 強くその手を握って 츠요쿠 소노 테오 니깃테 강하게 그 손을 잡고 もう離さない決して 모오 하나사나이 케시테 이제 놓지 않아 절대로 どんな未来も 돈나 미라이모 어떤 미래라도 キミとなら逃げない 키미토나라 니게나이 너와 함께라면 도망치지 않아 || || '''원어 가사 출처: ''' || }}} || === OP2 === ||<-2>
'''{{{#b30000,#b30000 OP2[br]FAIT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0iJkPbU7yA,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3> MADKID || || '''작사''' || || '''작곡''' || || '''편곡''' || MADKID[br]키타우라 마사타카(北浦正尚)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미야모토 타쿠지]] || || '''연출''' || || '''작화감독''' || 스와 마사히로(諏訪真弘)[br]토키에 잇신(時枝一心)[br]세라 코타(世良コータ)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2 === ||<-2>
'''{{{#b30000,#b30000 ED2[br]あたしが隣にいるうちに[br]내가 옆에 있는 동안}}}'''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S2sP8CDLas,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후지카와 치아이(藤川千愛) || || '''작사''' || 후지카와 치아이(藤川千愛)[br]타카하시 하나(高橋 花) || || '''작곡''' ||<|2> 후지나가 류타로(藤永龍太郎)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아보 타카오]][br]오카마츠 안나(岡松杏奈) || || '''연출''' || || '''작화감독''' || 스와 마사히로(諏訪真弘) || }}}}}}}}} || ||<-2> {{{#!folding 가사 ▼ ||
通いなれたいつもの道 카요이나레타이츠모노미치 다니기에 익숙해진 길 見過ごしそうな花が揺れて 미스고시소오나하나가유레테 지나칠 듯이 평범한 꽃이 흔들리며 当たり前と思い込み 아타리마에토오모이코미 당연한 거라 생각하고 どれだけ大切なものに 도레다케타이세츠나모노니 얼마나 소중한 것들을 気付かずにいたんだろう 키즈카즈니이탄다로오 알지 못한 채 있었을까 いつか泡のように 이츠카아와노요오니 언젠가 거품처럼 あたしもあなたも 아타시모아나타모 나도 너도 綺麗に消えてなくなるの 키레이니키에테나쿠나루노 아름답게 사라져 없어져 せめてその日まで 세메테소노히마데 적어도 그 날까지 我儘を聞いて でも言えないや 와가마마오키이테데모이에나이야 고집을 듣고 하지만 말하지 않아 言えそうにないや 嗚呼 이에소오니나이야 아아 말할 수 있을리 없어 아아 あたしが隣にいるうちに 아타시가토나리니이루우치니 내가 곁에 있는 동안에 愛をもっとあたしにください 아이오못토아타시니쿠다사이 사랑을 좀 더 내게 주세요 欲張りでごめんなさい 요쿠바리데고멘나사이 욕심쟁이라 미안합니다 あなたの愛に溺れたい 아나타노아이니오보레타이 당신의 사랑에 빠지고 싶어 あたしが隣にいるうちに 아타시가토나리니이루우치니 내가 곁에 있는 동안에 愛をもっとあたしにください 아이오못토아타시니쿠다사이 사랑을 좀 더 내게 주세요 溢れるような想いで 아후레루요오나오모이데 흘러넘칠 듯한 마음으로 あなたを包み込みたいの 아나타오츠츠미코미타이노 당신을 감싸 안고 싶어 雨に降られ行き場なくし 아메니후라레유키바나쿠시 비에 맞아 갈 곳을 잃어 なんの罰さ?と空を睨む 난노바츠사? 토 소라오니라무 뭔 벌이야? 라며 하늘을 노려봐 ついてないやって そう 츠이테나이얏테 소오 운이 따라주질 않는다며 그래 だれかれ憎んで 다레카레니쿤데 이 사람 저 사람 미워하며 キミに気付かずに情けないな 키미니키즈카즈니나사케나이나 너를 눈치채지 못하고 한심한 걸 妬み憾み辛み 네타미 우치미 츠라미 질투 유감 고통 クソみたいな嘘 쿠소미타이나우소 빌어먹을 거짓말 すべてが消えてなくなりゃいい 스베테가키에테나쿠나랴이이 전부 사라져 없어지면 좋을거야 なにを信じれば? 나니오신지레바? 무엇을 믿어야 해? 何も信じない 나니모신자나이 무엇도 믿지않아 もう信じられるものなんてないよ 모오신지라레루 모노난테나니요 이제 믿을 수 있는 것 따위 없어 あなたが隣にいるうちに 아나타가토나리니이루우치니 당신이 곁에 있는 동안에 愛をもっと教えてください 아이오못토오시에테쿠다사이 사랑을 좀 더 가르쳐주세요 欲張りでごめんなさい 요쿠바리데고멘나사이 욕심쟁이라 미안합니다 あなたの愛に溺れたい 아나타노아이니오보레타이 당신의 사랑에 빠지고 싶어 あなたが隣にいるうちに 아나타가토나리니이루우치니 당신이 곁에 있는 동안에 愛をもっと教えてください 아이오못토오시에테쿠다사이 사랑을 좀 더 가르쳐 주세요 溢れるような想いで 아후레루요오나오모이데 흘러넘칠 듯한 마음으로 あなたを包み込みたいの 아나타오츠츠미코미타이노 당신을 감싸안고 싶어 あなたが笑う 笑う 아나타가와라우 와라우 당신이 웃어 웃어 あなたが笑ってる 아나타가와랏테루 당신이 웃고 있어 その理由が 소노리유우가 그 이유가 あたしだったらいいのにな 아타시닷타라이이노니나 나라면 좋을텐데 말야 あなたが流す 流す 아나타가나가스 나가스 당신이 흘려 흘려 その涙のわけも ぜんぶ 소노나미다노와케모 젠부 그 눈물의 이유도 전부 あたしが理由だったら 아타시가리유우닷타라 내가 이유였다면 いいのにな 嗚呼 이이노니나 아아 좋을텐데 아아 あたしが隣にいるうちに 아타시가토나리니이루우치니 내가 곁에 있는 동안에 愛をもっとあたしにください 아이오못토아타시니쿠다사이 사랑을 좀 더 내게 주세요 欲張りでごめんなさい 요쿠바리데고멘나사이 욕심쟁이라 미안합니다 あなたの愛に溺れたい 아나타노아이니오보레타이 당신의 사랑에 빠지고 싶어 あたしが隣にいるうちに 아타시가토나리니이루우치니 내가 곁에 있는 동안에 愛をもっとあたしにください 아이오못토아타시니쿠다사이 사랑을 좀 더 내게 주세요 溢れるような想いで 아후레루요오나오모이데 흘러넘칠 듯한 마음으로 あなたを包み込みたいの 아나타오츠츠미코미타이노 당신을 감싸 안고 싶어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01[br][* 45분 분량으로 방영.]}}} || {{{-3 盾の勇者[br]방패 용사}}} || {{{-3 코야나기 케이고[br](小柳啓伍)}}} || {{{-3 [[아보 타카오]]}}} || {{{-3 [[하가 히토시]]}}} || {{{-3 세라 코타[br](世良コータ)[br]야마무라 토시유키[br](山村俊了)[br]야마모토 젠야[br](山本善哉)[br]오오타카 유타[br](大髙雄太)[br]타니구치 요시아키[br](谷口義明)[br]아와이 시게노리[br](粟井重紀)[br][[이카이 카즈유키]]}}} ||<|18> {{{-3 스와 마사히로[br](諏訪真弘)}}} || {{{-3 日: 2019.01.02.(선행)[br]日: 2019.01.09.(정규)[br]韓: 2019.01.11.[br][[https://youtu.be/-020Nxhksas|하이라이트]]}}} || || {{{-3 02}}} || {{{-3 奴隷の少女[br]노예 소녀}}} ||<|3> {{{-3 에자키 오히네[br](江嵜大兄)}}} ||<-2> {{{-3 손승희[br](孫承希)}}} || {{{-3 히구치 카오리[br](樋口香里)[br]이케즈 히사에[br](池津寿恵)[br]오오타카 유타}}} || {{{-3 日: 2019.01.16.[br]韓: 2019.01.18.[br][[https://youtu.be/WxdUMv6ipBQ|하이라이트]]}}} || || {{{-3 03}}} || {{{-3 災厄の波[br]재앙의 파도}}} ||<-2> {{{-3 모리 사토시[br](森 賢)}}} || {{{-3 모리 사토시[br]타다 야스코[br](多田靖子)}}} || {{{-3 日: 2019.01.23.[br]韓: 2019.01.25.[br][[https://youtu.be/eIoX0MZ0Lws|하이라이트]]}}} || || {{{-3 04}}} || {{{-3 暁の子守唄[br]새벽녘의 자장가}}} || {{{-3 아보 타카오[br][[쿠로다 유카]]}}} || {{{-3 손승희}}} || {{{-3 야마무라 토시유키[br]야마모토 젠야[br]오오타카 유타[br]시가 미치노리[br](志賀道徳)[br]이케즈 히사에[br]히구치 카오리[br]쿠로다 유카[br][*액션]}}} || {{{-3 日: 2019.01.30.[br]韓: 2019.02.01.[br][[https://youtu.be/0QsFfJZQk0g|하이라이트]]}}} || || {{{-3 05}}} || {{{-3 フィーロ[br]필로}}} ||<|4> {{{-3 타자와 다이스케[br](田沢大典)}}} || {{{-3 하가 히토시}}} || {{{-3 쿠도 토시하루[br](工藤利春)}}} || {{{-3 사키구치 사오리[br](崎口さおり)[br]히구치 카오리}}} || {{{-3 日: 2019.02.06.[br]韓: 2019.02.09.[br][[https://youtu.be/aciNecRBxR0|하이라이트]]}}}[* 방송사의 사정으로 인해 1일 연기되었다.[[http://www.aniplustv.com/#/customer/view.asp?gCode=CU&sCode=001&board_id=4&idx=51746&rePage=1|#]]] || || {{{-3 06}}} || {{{-3 新しい仲間[br]새로운 동료}}} || {{{-3 나무라 히데토시[br](名村英俊)}}} || {{{-3 아와이 시게노리}}} || {{{-3 에비스 요키[br](胡 陽樹)[br]소라모토 칸[br](そらもとかん)[br]핫토리 마스미[br](服部益実)[br]히다카 마유미[br](日高真由美)}}} || {{{-3 日: 2019.02.13.[br]韓: 2019.02.15.[br][[https://youtu.be/IyyB6h5Y8Uo|하이라이트]]}}} || || {{{-3 07}}} || {{{-3 神島の聖人[br]신조의 성인}}} || {{{-3 손승희[br]쿠로다 유카}}} || {{{-3 토쿠노 유지[br](徳野雄士)}}} || {{{-3 야마무라 토시유키[br]코지마 에미[br](小島絵美)[br]카와시마 나오[br](川島 尚)[br]이치노세 유리[br](一ノ瀬結梨)[br]아오키 마리코[br](青木真理子)[br]오오타카 유타[br]사토 코노미[br](佐藤このみ)[br]야마모토 타카노리[br](山本貴則)}}} || {{{-3 日: 2019.02.20.[br]韓: 2019.02.22.[br][[https://youtu.be/WHeXUSmTGho|하이라이트]]}}} || || {{{-3 08}}} || {{{-3 呪いの盾[br]저주의 방패}}} ||<-2> {{{-3 하가 히토시}}} || {{{-3 모리 사토시[br]타다 야스코}}} || {{{-3 日: 2019.02.27.[br]韓: 2019.03.01.[br][[https://youtu.be/5wA4uQRzCPs|하이라이트]]}}} || || {{{-3 09}}} || {{{-3 メルティ[br]메르티}}} ||<|2> {{{-3 에자키 오히네}}} || {{{-3 쿠도 토시하루[br]후루쿠와 코지[br](古桑孝治)}}} || {{{-3 쿠도 토시하루}}} || {{{-3 사키구치 사오리[br]타케모토 다이스케[br](武本大介)[br]히구치 카오리}}} || {{{-3 日: 2019.03.06.[br]韓: 2019.03.08.[br][[https://youtu.be/bij-ytNabDQ|하이라이트]]}}} || || {{{-3 10}}} || {{{-3 混迷の中で[br]혼란 속에서}}} || {{{-3 아보 타카오}}} || {{{-3 타카하시 준[br](髙橋 順)}}} || {{{-3 시미즈 카이토[br](清水海都)[br]오오타카 유타[br]야마무라 토시유키}}} || {{{-3 日: 2019.03.13.[br]韓: 2019.03.15.[br][[https://youtu.be/24K389pmm4Y|하이라이트]]}}} || || {{{-3 11}}} || {{{-3 災厄、再び[br]재앙의 재림}}} ||<|2> {{{-3 타자와 다이스케}}} || {{{-3 [[카와바타 에루킨]]}}} || {{{-3 쿠라모토 호다카[br](藏本穂高)}}} || {{{-3 모리 사토시[br]타카자와 미카[br](高澤美佳)}}} || {{{-3 日: 2019.03.20.[br]韓: 2019.03.22.[br][[https://youtu.be/RUVXhK9V4k0|하이라이트]]}}} || || {{{-3 12}}} || {{{-3 漆黒の異邦者[br]칠흑의 이방인}}} || {{{-3 [[이리에 야스히로]]}}} || {{{-3 아와이 시게노리}}} || {{{-3 사키구치 사오리[br]히구치 카오리[br]타카하시 미즈키[br](髙橋瑞紀)[br]오오시타 큐마[br](大下久馬)}}} || {{{-3 日: 2019.03.27.[br]韓: 2019.03.29.[br][[https://youtu.be/ESFywxAlRvw|하이라이트]]}}} || || {{{-3 13}}} || {{{-3 盾の悪魔[br]방패 악마}}} ||<|3> {{{-3 에자키 오히네}}} ||<-2> {{{-3 하가 히토시}}} || {{{-3 세라 코타[br]카마타 아케미[br](蒲田明美)[br]시미즈 카이토[br]카와모토 레오[br](河本零王)[br]나카모토 나오[br](中本 尚)}}} || {{{-3 日: 2019.04.03.[br]韓: 2019.04.05.[br][[https://youtu.be/AInmfAOFhJk|하이라이트]]}}} || || {{{-3 14}}} || {{{-3 消せない記憶[br]지울 수 없는 기억}}} || {{{-3 나무라 히데토시}}} || {{{-3 무라타 나오키[br](村田尚樹)}}} || {{{-3 소노세 모토이[br](園瀬 基)[br]마츠오 아키코[br](松尾亜希子)[br]카와바타 에루킨[br]와다 신이치[br](和田伸一)[br]미사와 세이야[br](三沢聖也)[br]시미즈 카이토}}} || {{{-3 日: 2019.04.10.[br]韓: 2019.04.12.[br][[https://youtu.be/4D3P5g5qxlo|하이라이트]]}}} || || {{{-3 15}}} || {{{-3 ラフタリア[br]라프타리아}}} || {{{-3 아보 타카오}}} || {{{-3 쿠도 토시하루}}} || {{{-3 모리 사토시[br]오오타카 유타[br]코마츠 사나[br](小松沙奈)[br]시미즈 카이토}}} || {{{-3 日: 2019.04.17.[br]韓: 2019.04.19.[br][[https://youtu.be/MylENXvrAn8|하이라이트]]}}} || || {{{-3 16}}} || {{{-3 フィロリアルの女王[br]필로리알의 여왕}}} ||<-3> {{{-3 [[나카야마 류]]}}} || {{{-3 후츠자와 토키에몬[br](普津澤時ヱ門)[br]이시게 리에[br](石毛理恵)[br]스와 마사히로}}} || {{{-3 日: 2019.04.24.[br]韓: 2019.04.26.[br][[https://youtu.be/UKIrsUyvhtk|하이라이트]]}}} || || {{{-3 17}}} || {{{-3 紡がれる約束[br]이어진 약속}}} || {{{-3 八ツ繁克治[br]코야나기 케이고}}} || {{{-3 코마츠 타츠히코[br](小松達彦)}}} || {{{-3 쿠라모토 호다카[br](藏本穂高)}}} || {{{-3 오오시타 큐마[br]사키구치 사오리[br]히구치 카오리}}} || {{{-3 日: 2019.05.01.[br]韓: 2019.05.03.[br][[https://youtu.be/NiCZ-8LJ6JU|하이라이트]]}}} || || {{{-3 18}}} || {{{-3 連なる陰謀[br]계속되는 음모}}} ||<|3> {{{-3 타자와 다이스케}}} || {{{-3 하가 히토시[br]코마츠 타츠히코}}} || {{{-3 무라타 나오키}}} || {{{-3 스와 마사히로[br]세라 코타[br]소노세 모토이[br]오오시타 큐마[br]야마무라 토시유키[br]모리 사토시[br]최경석}}} || {{{-3 日: 2019.05.08.[br]韓: 2019.05.10.[br][[https://youtu.be/jodus9mLHeE|하이라이트]]}}} || || {{{-3 19}}} || {{{-3 四聖勇者[br]사성 용사}}} ||<-2> {{{-3 하가 히토시}}} || {{{-3 히구치 카오리[br]시미즈 카이토[br]사이토 다이스케[br]사키구치 사오리[br]모리 사토시}}} || {{{-3 스와 마사히로[br]세라 코타}}} || {{{-3 日: 2019.05.15.[br]韓: 2019.05.17.[br][[https://youtu.be/C0xceAP1q1I|하이라이트]]}}} || || {{{-3 20}}} || {{{-3 聖邪決戦[br]성사 결전}}} || {{{-3 아보 타카오[br]쿠로다 유카}}} || {{{-3 스즈키 타쿠마[br](鈴木拓磨)}}} || {{{-3 오오시타 큐마[br]코마츠 사나[br]시미즈 카이토[br]소노세 모토이[br]히구치 카오리[br]야마무라 토시유키[br]모리 사토시}}} ||<|6> {{{-3 스와 마사히로}}} || {{{-3 日: 2019.05.22.[br]韓: 2019.05.24.[br][[https://youtu.be/-YAkPa2-Nwk|하이라이트]]}}} || || {{{-3 21}}} || {{{-3 尚文の凱旋[br]나오후미의 승전}}} || {{{-3 코야나기 케이고}}} ||<-2> {{{-3 아보 타카오}}} || {{{-3 사이토 다이스케[br]시미즈 카이토[br]세라 코타[br]하네다 코지[br](羽田浩二)[br]모리 사토시[br]이치노세 유리[br]오오시타 큐마[br]오오타카 유타[br]카타오카 히데유키[br](片岡英之)[br]코마츠 사나[br]혼다 소이치[br](本田創一)[br]야마무라 토시유키[br][[코이데 타쿠시]][br]타니 시오리[br](谷 紫織)[br]최경석}}} || {{{-3 日: 2019.05.29.[br]韓: 2019.05.31.[br][[https://youtu.be/WAlSxEkdqPc|하이라이트]]}}} || || {{{-3 22}}} || {{{-3 勇者会議[br]용사 회의}}} || {{{-3 에자키 오히네}}} ||<-2> {{{-3 후루쿠와 코지}}} || {{{-3 오오시타 큐마[br]오오타카 유타[br]사토 코노미[br]세라 코타[br]하야카와 겐키[br](早川元貴)[br]히구치 카오리[br]히다카 마유미[br]혼다 소이치[br](本田総一)[br]모리 사토시[br]코이데 타쿠시[br]최경석[br]시미즈 카이토[br]타니 시오리}}} || {{{-3 日: 2019.06.05.[br]韓: 2019.06.07.[br][[https://youtu.be/-Tkb8AmF36M|하이라이트]]}}} || || {{{-3 23}}} || {{{-3 カルミラ島[br]카르밀라섬}}} ||<|2> {{{-3 타자와 다이스케}}} ||<-2> {{{-3 쿠도 토시하루}}} || {{{-3 모리 사토시[br]코마츠 사나[br]카와모토 레오[br]시미즈 카이토[br]오오시타 큐마[br]세라 코타[br]오오타카 유타[br]히구치 카오리}}} || {{{-3 日: 2019.06.12.[br]韓: 2019.06.14.[br][[https://youtu.be/LIHVrpJyFSI|하이라이트]]}}} || || {{{-3 24}}} || {{{-3 異世界の守護者[br]이세계의 수호자}}} || {{{-3 쿠로다 유카[br]나무라 히데토시}}} || {{{-3 야마모토 타카노리[br]스즈키 타쿠마}}} || {{{-3 야마무라 토시유키[br]사이토 다이스케[br]세라 코타[br]시미즈 카이토[br]코마츠 사나[br]히구치 카오리[br]오오시타 큐마[br]혼다 소이치[br]야마모토 타카노리[br]쿠니요시 아즈미[br](国吉杏美)[br]타카자와 미카[br]모리 사토시}}} || {{{-3 日: 2019.06.19.[br]韓: 2019.06.21.[br][[https://youtu.be/UmdXC1wCY9A|하이라이트]]}}} || || {{{-3 25}}} || {{{-3 盾の勇者の成り上がり[br]방패 용사 성공담}}} || {{{-3 코야나기 케이고}}} || {{{-3 아보 타카오}}} || {{{-3 와다 신페이[br](和田慎平)[br]후루쿠와 코지[br]아보 타카오}}} || {{{-3 시미즈 카이토[br]오오시타 큐마[br]세라 코타[br]히구치 카오리[br]모치즈키 슌페이[br](望月俊平)[br]야마무라 토시유키[br]군소[br]코마츠 사나[br]사토 코노미[br]카타오카 히데유키[br]야마모토 타카노리[br]오오타카 유타[br]이치노세 유리[br]쿠니요시 아즈미[br]후지오카 사토시[br](藤岡 智)[br]하야카와 겐키[br]모리 사토시[br]코이데 타쿠시[br]타니 시오리[br]츠카모토 아카네[br](塚本あかね)[br]스와 마사히로}}} || {{{-3 日: 2019.06.26.[br]韓: 2019.06.28.[br][[https://youtu.be/aBFn6RmtheE|하이라이트]]}}} || == 해외 공개 == === 대한민국 ===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동시방영작으로 들여와 자막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행하였다. === 기타 국가 === 북미에서는 [[크런치롤]]에 의해 방영. 한국과는 달리 [[일본 애니메이션/영어 녹음이 제작된 작품|영어더빙 되어]] 방영되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The_Rising_of_the_Shield_Hero|#]] 더빙 업체는 [[Bang Zoom! 엔터테인먼트]]이며, 성우 감독은 [[줄리 매덜리나]]와 [[스티브 스테일리]]가 맡았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9529546, user=8.1)]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35052, user=7.545)]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7080653, user=7.5)] [include(틀:평가/왓챠, code=tlLrZOd, user=4.0)]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39081, user=4.9)] 원작 소설의 표현력이나 문체가 저평가되었던 것과 상반되게, 애니메이션은 괜찮은 작화와 성우의 열연으로 스토리와 어우러져 좋은 평가를 받았다. [[미투 운동]]과의 연관성에 의해 서양권에서는 꽤 화제가 되고 있는데, 작품으로서보다는 논란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듯 하다. [[고블린 슬레이어(애니메이션 1기)|고블린 슬레이어]]의 뒤를 잇는 [[뜨거운 감자]]로 주목받는 중. 다만 2쿨에 들어서면서 4권 분량을 8화에 걸쳐 전개 하면서 원작에선 나올 수 없는 등장인물들의 심리묘사나 행동이 묘사되는 것과 1기에 비해 1화 분량의 내용을 너무 질질 끌게 배분해놓은 것 때문에 점차 평이 나빠졌다. 특히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 전개 방식이나 발암성은 초등학생 수준이나 흥미있어 할 만한 전개로써, 간단하게 해결 가능한 오해조차도 질질 끌어댄다. 특히 과장된 대화와 억측, 상대 말을 듣지않는 등장인물들의 행동은 90년대 애니에서나 보이던 장치로써, 지금은 어린이 애니메이션에나 쓰이는 연출이다. 성인들 입장에서는 유치하다 못해 보는 사람이 부끄러울 정도. 특히 4권의 마지막 부분인 재판 장면에 대한 각색은 혹평이 많다. 왕과 빗치를 처벌할 수 있게 되자 나오후미는 사형시키라고 소리치는 것으로 지금까지 울분을 토해내다가 여왕의 제안을 받아들여 죽고 싶을 정도로 살게 하는 쪽이 더 괴롭겠다는 생각에 개명으로 타협한 것인데 애니는 사형 선고를 여왕이 하고 나오후미가 실은 남편과 딸을 죽이고 싶지 않은 그녀를 위해 개명시키자고 제안하는 걸로 변경됐다. 요약하자면 왕과 빗치의 처벌을 원작에서는 나오후미 '''자신의 울분을 위해서''' 내렸던 반면, 애니는 '''남을 위해서 양보하는 성향'''이 강조됐다. 지금까지의 변경과 달리 대놓고 나오후미를 대인배로 띄워주기 위한 각색이라 불호가 많은 것. 원작을 보지 않은 사람에겐 사이다 전개인 건 맞으니 문제가 없으나, 원작을 본 사람에겐 김 빠진 사이다 전개가 되어버렸다. 정리하자면 가볍게 즐기며 볼만한 작품이지만, 전체적으로 고구마적 요소가 많아서 피곤한 순간들이 많기도 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작화도 큰 변화폭 없이 평균 이상은 유지되는 편이지만, 때때로 액션의 질이 낮아지는 점이 눈에 띄기도 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나름의 재미는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아주 잘 만든 애니라고 보기엔 힘들고 같은 분기에 경쟁작이 많아서 일본에서는 흥행에 실패했지만 그렇다고 아주 못 만든 작품은 아니라서 서양에서는 여러 논란과 입소문을 타면서 의외의 인기작이 되었고 중국 [[빌리빌리]]에서도 2억 조회수를 넘기는 히트를 했다.[* 다만 빌리빌리 평점은 낮은데 [[페미니스트]] 성향의 시청자들이 평점 테러를 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3기까지 애니화가 결정되었다. 이후 2기가 1기보다도 못한 졸작으로 만들어지면서 1기는 방영 당시보다 평가가 좋아지게 되었다. == 원작과의 차이점 == [include(틀:스포일러)] 인물과 사건 양쪽 모두 소설과 애니메이션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 인물의 성격 변화 * [[이와타니 나오후미]] 츤데레적인 모습과 합리주의자의 면모는 잘려나가고, 성숙한 용사로서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소설에서는 빗치와 왕, 메르로마르크와 이세계 자체에 대한 깊은 분노가 적나라하게 묘사되는 반면, 애니메이션에서는 묵묵히 영웅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고 ~~다소 귀찮아하는 건 여전하지만~~ 깊이 따지지 않고 곤경에 처한 사람을 도우며 세상을 구하려는 면모를 보인다. 노예인 [[라프타리아]]에 대한 대우도 원작에서의 합리주의에 기반한 보살핌이 아니라 보호자라도 되는 마냥 정성을 다해 챙기는 등 인간상이 상당히 밝아졌다. 성격이 차분해진 점도 있는데, 필로의 변신 장면을 비교하면 두드러진다.[* 원작에서는 호들갑을 떨고 노예상에게 달려가지만, 애니에서는 건조한 반응을 보인다.] 특히 성격적인 츤데레가 인기있었는데도 잘린 것에 대해서는 "아쉽지만 이건 이거대로 나쁘지 않다"는 평이 있다. 대신 나오후미 시점으로 전개되는 원작에서는 보여주지 않았던 나오후미의 심리적 갈등이나 뒤틀린 부분의 묘사가 추가되었다. * [[라프타리아]] 원작 삽화나 코믹스에서는 라프타리아의 외견이 10세 → 18세로 급격하게 변화했다면 애니메이션에서는 10세(2화) → 15세(3화) → 18세(4화)로 중간중간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다. * [[필로]] 필로의 인간화씬은 소설에서 나오후미가 덩치가 커진 필로에게 놀라서 노예상한테 알아보라고 했다가 겁을 먹은 필로가 인간으로 변신하게 되는데 반해,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오후미가 잠든 와중에 "너무해"[* 잠든 나오후미가 필로리알 모습의 필로가 불편해서 밀쳤다]하며 변해버렸다. * [[키타무라 모토야스]] 정말로 몰라서 갸우뚱거리는 장면[* 대표적인 장면이 결투장면. "그런거야?" 라는 반문을 봤을 때, 모토야스는 정말로 마인이 뒤에서 마법이 사용된 것을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이 많은 원작에 비해 본인이 직접 시비를 걸어오는 장면이 추가되는 둥 기존보다 훨씬 더 재수없고 짜증나는 캐릭터로 그려졌다. 이는 애니메이션이 만화판을 참고해서 그려졌기 때문. 원작에서는 일일히 시비를 걸어오는 재수없는 느낌보다는, 필로가 먼저 공격해서 화를 내거나, 잘못된 정보를 듣고 나오후미의 행실에 대해 따지는 느낌에 가까운 편. 정확히 말하자면, '''타인(특히 여자. 그 중에서도 마인)의 의견과 대중(소문)의 의견을 우선시해서 본인의 주체성이 없는 모습에 더 가깝다.[* 이렇게 타인, 특히 여자에게 유독 약하고, 자존감이 낮은 성격을 가지게 된 자세한 이유는 [[키타무라 모토야스]]의 항목 참조]''' 즉, 주변 환경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는 캐릭터.[* 창의 용사에 관한 예언문에도 믿을 만한 사람을 믿어야만 행복해진다고 명시되어 있다.] 원작 소설에서는 용사들 중에서 제일 정직하고 솔직한 편.[* 나오후미 시점으로 나와서 그렇지, 대화와 행동을 보면 마인이 의도적으로 모토야스에게 들어올 정확한 정보들을 차단하고 조작했던 것으로 묘사된다. 아마 제대로 된 정보를 접했다면 나오후미에게 순순히 사과하는 둥 전혀 다른 모습을 보였을 확률이 높다.] 경주에서 지자, 우리가 졌다고 순순히 인정하는 장면도 있고, 자신의 사정을 설명하며 미안하다고 리시아를 대신 부탁하는 모습도 보인다. * [[올트크레이 메르로마르크 32세]] 원작에서 나오후미를 박해하며 즐거워하는 모습과 달리, 12화에서는 나름 이유가 있는 인물처럼 표현되었다.[* "저놈을 내버려두면 또 가족이..." 라며 중얼거린다.][* 나중에 왕이 방패 용사를 박해한 이유가 드러나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이 때문에 원작을 본 사람들은 이 인간이 말하는게 무슨뜻인지 알고있기에 떡밥이나 2기를 예고한 것으로 여긴다.] * [[리시아 아이비레드|리시아]] 박복녀 모습으로 등장하는 건은 유지되었으나 분량이 줄어 24화까지 단역 수준을 넘지 못했다. [[리시아 아이비레드]] 문서 참조. * 사건 전개의 변화 및 장면 생략과 추가 * [[키타무라 모토야스|모토야스]]와의 결투 장면 4화에서 전투과정과 나오후미를 설득하고 격려하는 라프타리아의 모습이 원작 소설/코믹스와 상이하다.[* 라프타리아가 나오후미의 여자 취향을 묻는것도 생략.] 마인의 뒷치기 때문에 쓰러지고 패배한 나오후미를 마인이 혼자가 되었다며 비웃는 장면 등이 추가되었고, 삼용교 교황이 결투를 관람하는 장면을 추가해 삼용교 에피소드에 대한 암시도 곁들였다. 렌과 이츠키가 결투의 공정성을 묻는 장면도 라프타리아가 모토야스의 뺨을 때린 후 비난을 날린 직후에 제기한다. 라프타리아가 나오후미는 노예 이외는 믿지 못한다면 다시 저주를 걸어달라고 부탁하는 장면이 생략.[* 이 작품의 아이덴티티라고도 할 수 있는 나오후미의 뒤틀린 신뢰 기준이 잘린 것이라 상당히 김이 빠지는 장면이다. 다만 애니메이션에서 이후에도 다소 독하다고 할 수 있는 장면은 대부분 잘리거나 각색돼서 애니메이션 자체만으로는 어색함은 없는 편.] * 라프타리아와의 키스신 깔끔하게 잘렸다.[* 이 뽀뽀씬은 원작에서 나오후미가 라프타리아를 가족처럼 여긴다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원작팬들 사이에서도 어색하단 이야기가 나오는 부분이었다.] 이후 원작에서는 이때부터 나오후미가 자신이 떠나고 난 뒤의 라프타리아를 걱정하지만, 애니에서는 그러한 묘사가 없다. 그래서 원작 같은 경우는 라프타리아를 딸처럼 생각하는 나오후미와 그런 나오후미 때문에 괴로워하는 라프타리아라는 관계인데, 애니에서는 파트너로서 좀 더 신경을 쓰는 나오후미와 그래서 부끄러워하는 라프타리아로 관계가 달라졌다. * 필로리알 vs 기룡 레이스 류트 마을 권리를 건 레이스도 압승을 거뒀던 소설과 달리 애니에서는 간신히 이긴 것으로 나온다. 레이스에서 마인 패거리의 반칙에 항의하는 장면도 잘렸다. 필로리얼 퀸 폼으로 진화한 것도 레이스 직후로 변경되었다. * 재판과정의 각색 21화에서의 제1왕녀 마르티와 국왕 올크트레이의 재판&형 집행의 진행이 각색됐다. 소설에서 나오후미가 참수형을 구형하고 여왕의 제안으로 처벌이 개명으로 순화됐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여왕이 사형 선고를 하고 여왕의 진의를 꿰뚫어본 나오후미가 사형집행 직후에 여왕의 자살을 막으려고 이런 인간들 목에는 단두대 날이 튕겨나가겠다고 야유하며 사형 대신에 개명을 제안하는 걸로 변경됐다. 그리고 재판에서 마인 스피아가 모토야스에게 도움의 눈길을 보냈으나 창의 용사 모토야스가 못봐주겠다는 표정으로 고개를 돌려 외면하는 장면도 추가되었다. 그 다음에 자기가 성추행범으로 누명씌우고 죽이려고 억지만 부렸던 억울한 피해자인 주인공 나오후미에게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모습은 진짜 꼴불견이었다. * 카밀라 섬 파도 때 글래스와의 결전 원작과는 달리 메르티가 전투에 참가했다. 그리고 원작에서는 애니에서처럼 라르크와 떨어져서 싸우는 것이 아니라 함께 싸우는 도중 스킬로 원거리 공격만 쓰던 글래스에게 필로를 접근시켜 근접 공격을 유도해서 에어스트 실드를 이용한 소울 이터 실드의 카운터를 먹여 글래스가 피해를 입고 약해진 틈을 타서 라프타리아가 마력검을 이용한 일격으로 치명상을 입힌다. 그런데 애니에서는 글래스가 '''미련하게 계속해서 스스로 소울 이터 실드의 카운터를 유발''"시키게 변경되었다. 이후 행보는 양쪽 모두 루코르 열매를 이용한 것은 동일하다. 문제는 해당 싸움에서 가장 큰 히든 카드로써 나온게 루코르 열매 통과 마력검인데, 그 중 하나가 아예 사라진것.[* 소울이터 방패 역시 큰 역할을 하지만 어디까지나 근접 공격에 대한 카운터에만 발동하고 카운터 역시 글래스를 제외하면 용사인 라르크에게만 통하는데 SP만 줄게하는 능력이니 큰 타격은 없다.] 게다가 '''마력검 자체가 정식으로 쓰인게 작품 전체 중 딱 이 장면 뿐'''인데다가 마력검 자체가 애니에서 안나왔으면 모를까 무기상에서 마력검을 받는 장면 자체는 애니에서 나왔으며, 그 검을 뽑아 날이 없는걸 의아해 하는 장면까지 있다. 원작에서는 마력검을 얻고 나서 함께 구매했던 장비들을 마물들에게 테스트 하는 장면이 있지만 애니에서는 역시 분량 문제인지 삭제되었기에 '''마력검을 얻는 장면은 제대로 나온 주제에 정작 마력검을 사용하는 모든 장면이 컷 당하는 묘한 연출''''이 되어버렸다. * 결말 원작에서는 나오후미가 꾸준히 파도를 물리치고 나서는 귀환할 것을 선언하고 남겨질 라프타리아와 필로를 위해서 이런저런 준비를 하며, 이를 라프타리아에게 설명해주지만 애니에선 이 부분들이 대부분 잘리고 후반에 나오후미의 심리묘사로만 짧게 다뤄졌으며, 라프타리아의 고향을 재건하는 부분[* 원작에서는 이 부분이 나오후미가 또다른 이세계로 갔다가 돌아온 직후 여왕에게 요청하여 이루어진다. 즉 원래는 한참후에 나오는 장면이었다는 것.]에서는 라프타리아의 고백을 받아들여 귀환을 포기하고 정착하는 듯한 묘사로 변경되었다.[* 원래 원작에서는 '원래의 세계로 귀환'은 나오후미가 거의 항상 바래오고 라프타리아의 마을을 재건하는 이유중 하나가 된다. 그리고 이후 이것이 자주 언급되고 거의 나오후미의 상징과도 같은 소원이다. ~~사실 원작 보는 사람들은 나오후미가 정착하기를 바랬거나 어차피 정착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막상 초반부터 묘사되는 것을 보니 별로다라는 평이 나오는 편...~~ 때문에 이때부터 나오후미가 정착하려하는 모습은 원작과 크게 틀어지는 이유가 될수있기에 애니판 2기를 기대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걱정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마지막에 모토야스의 말꼬리가 입니다요로 바뀌었었는데 이건 나중에 커스시리즈를 각성한 이후의 모토야스의 말꼬리이자 외전인 창의 용사 재시작의 말꼬리이다. == 기타 == * [[애니플러스]]에서 방송국 사정으로 인해 2019년 2월 8일에 4화가 재방영되고 5화는 2월 9일로 방영이 연기된다는 공지를 했다. 그런데, 여기에 5화 업데이트도 많이 늦어져 불만글이 엄청 올라왔다. 또한 3월 8일 방영된 9화는 초반부[* 오프닝 시작 전 한정.]가 자막 싱크가 안 맞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처음 고작 몇 분이라 처음에 약간 당황스러운 정도다.[* 다행히도 VOD판에서는 싱크가 올바르게 잘 맞춰서 나왔다.] * 북미에선 초기에 주인공이 강간혐의를 받으면서 마인을 빌런으로 묘사한 장면이 2010년대 후반을 지배하는 미투 운동 어젠다를 모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SJW]] 계열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큰 논란이 발생했으며, 레딧 등지에서 해당 작품을 옹호하면 비추를 받는 상황이 발생했다. 즉, 여성인 마인이 강간 피해자가 아니라 이를 위장해서 주인공을 위기로 몰고 가는 인간 쓰레기이자 빌런으로 묘사되었기 때문에 이를 미투 운동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들의 어젠다는 [[피해자의 목소리가 증거입니다|여성의 목소리만으로 유죄가 입증되는 것이 정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논란이 발생했다고 일본 측에 전달했으나 별 시원찮은 대답조차도 안 와서 실망했다는 반응들이다.[* 하지만 오히려 남성이 무조건 가해자로 억울하게 몰리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런 대응은 레디컬 페미니스트를 증오하는 부류의 찬사를 받은 덕에 인지도가 늘었다.] 원작이 처음 인터넷에 연재될 당시 [[일본]]에서는 소위 [[엔자이]]라 불리는 유죄추정식 원님재판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주목받고 있었다. 일본은 전 세계에서 [[중국]][* 중국은 미투 운동이나 페미니스트들의 사회 운동에 대한 시선이 굉장히 좋지 않은데, 이런 사회 운동을 중국 공산당 일당독재 체제를 위협하는 서방 국가들의 저열한 음모이자 내란선동으로 간주하여 주도자를 반역자로 엄벌에 처하는 경향이 있다.]과 더불어 [[미투 운동]]이나 [[정치적 올바름]]이 일방적 약세를 보이는 몇 안 되는 국가이다. 일단 [[메이와쿠]] 문화의 영향으로 과거부터 성폭력 피해 고발자가 오히려 대중의 비난을 받거나 무관심 속에 방치된 일이 대부분이라서 이렇다 할 반응을 안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일본은 과거부터 자국산 창작물에서 SJW 같은 부류들을 '''표리부동한 위선자나 구제불능 인간쓰레기들'''로 묘사해온지 오래다. 그렇기 때문에 주요 소비층인 오덕들한테는 자기 덕질 가로막는 장애물 내지는 상종 불가능한 악당 정도의 인식 밖에 없다. 결국 SJW들은 전혀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할 수 없는 국가한테다 대고 답변을 요구한 것이다. 물론 당연하지만 반PC 계열 애니메이션 팬들한테는 PC들의 위선과 거짓을 통렬하게 비판하는 역작으로 극찬을 받으며, [[아청법|창작물에다가도 엄격한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는 주제에]] 정작 자신들에게 불리한 묘사가 나오자 일제히 게거품을 물고 발광하는 것을 대차게 까는 이들이 많다. 안 그래도 PC에 대한 반감이 큰 상황인데 자기들이 알아서 불필요한 논란을 만들어 놓고 거기에 들어앉았으니 반PC들에게는 절호의 기회를 만들어준 셈이다. * 위의 논란이 오히려 작품 홍보가 되어 서양에서는 꽤 인기있는 작품이 되었으며 일본에서의 흥행이 그렇게 좋지 않음에도 3기까지 애니화가 확정되었다. 때마침 [[포켓몬스터소드·실드]]가 발매되자 패러디의 대상이 된것은 덤. * 나오후미의 인식장애(아인종 특성으로 급성장한 라프타리아를 성장 전 모습으로 인식하는 것)가 제대로 묘사되지 않아 시청자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면이 있다. 설상가상 라프타리아가 급성장한 부분부터 설명이 뒤늦게 나오기에 문제가 더 크게 다가온다. * [[애니플러스]]에서는 2019/5/11 기준으로 표지가 2쿨 것으로 변경됐다. 애니플러스에서 표지 변경은 손에 꼽을 만큼 케이스가 매우 적다. * 섹드립을 순화해서 번역하는 애니플러스답게 마인의 개명된 이름은 의역했다. 빗치는 [[https://ko.dict.naver.com/#/entry/koko/0bca157d0d9d40528b24dcce3a0aeec7|불여우]], 걸레[* 원문은 アバズレ로 닳고 닳은 여자란 의미. 북미판은 아예 직설적으로 '''[[창녀]]'''로 불리게 되었다.]는 구정물로 번역. 순화해서 번역하지 않으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철퇴를 맞기 때문이다. 물론 불여우의 뜻을 보면 전혀 틀린 번역은 아니다. * [[2019년]] [[1월 22일]]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에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7&no=12134510|개념글]]로 올라갔는데, [[대한민국의 젠더 분쟁]], [[대한민국의 미투 운동]]과 맞물려 “[[헬조선]]이 사실 이세계였냐”, '''"옆세계물"'''과 같은 자조 섞인 반응이 터졌다. * 13화에서 모토야스가 필로에게 채운 족쇄가 난데없이 실종되는 부분이 [[https://blog.naver.com/gkens629/221506961979|있다.]] * 2019년 10월, [[이세계 콰르텟 2]]에서 새로운 전학생 코너로 선정 되었다.[* 근데 오프닝 음악 나올때는 거의 보이지도 않고 등장도 적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방패 용사 성공담, version=697, title2=방패 용사 성공담/애니메이션, version2=24)] [[분류:방패 용사 성공담]][[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19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다크 판타지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분류:키네마 시트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