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다른 뜻1, from=BTS, other1=동음이의어, rd1=BTS(동음이의어))]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CheerfulParsimoniousWeakCook, 합의사항1=잠정 중단일을 서술하지 않는다., 토론주소2=TanSmoothSolidPayment, 합의사항2=개요 문단에 '2013년 6월 13일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7인조 보이그룹이다.'로 서술 고정하며 이미지 첨부 및 추가 서술하지 않는다., 토론주소3=FlashySparklingFestivePoison, 합의사항3=개요 문단에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단체 gif 파일은 삽입할 수 있지만\, 사용되는 파일은 '소속사가 밝힌 자료'이거나 '근거 신뢰성 순위 내에 인용된 경우'로 한정 지으며 그 개수는 한 개로 제한한다., 토론주소4=TanSmoothSolidPayment, 합의사항4=위상과 인기를 합쳐서 '위상 및 인기' 문단으로 한다.)] [include(틀:방탄소년단)] ||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height=20]]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 '''방탄소년단의 소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하이브 레이블 아티스트)] ---- [include(틀:빅히트 뮤직)]}}} || ---- ||
{{{#fff '''방탄소년단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방탄소년단/주요 수상 이력)] ---- [include(틀:IFPI, artist=1, 연도=2018, 순위=2, 연도2=2019, 순위2=7, 연도3=2020, 순위3=1, 연도4=2021, 순위4=1)]}}} || ---- ||
{{{#fff '''방탄소년단의 주요 선정 ·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화관.jpg|width=170]] || || '''연도''' || '''2019년''' || || '''이름''' || '''방탄소년단''' || || '''분야''' || '''가수''' || ||<-2> '''[[틀:화관문화훈장|{{{#EDE4D3 화관문화훈장(5등급)}}}]]''' || ---- [include(틀:KBS를 빛낸 50인)] ----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 ---- [include(틀:시사저널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연예인/2010년대)] ---- [include(틀: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 ---- [include(틀:멜론의 전당, rd1=방탄소년단, rd2=방탄소년단)]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BTS 2023 FESTA 단체사진.jpg|width=100%]]}}}|| || '''[[정국|{{{#fff 정국}}}]] · [[슈가(방탄소년단)|{{{#fff 슈가}}}]] · [[진(방탄소년단)|{{{#fff 진}}}]] · [[뷔|{{{#fff 뷔}}}]] · [[RM|{{{#fff RM}}}]] · [[지민|{{{#fff 지민}}}]] · [[제이홉|{{{#fff 제이홉}}}]]'''[br]{{{-3 {{{#fff BTS '아포방포10' Project}}}, '''#2023BTSFESTA'''}}}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height=60]]||{{{#fff '''{{{+1 방탄소년단}}}'''[br]{{{-1 BTS}}}}}} ||}}} || ||<|2> '''그룹명''' ||<-2>'''방탄소년단''' || ||<-2><^|1>{{{#!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BTS {{{-2 (영문)}}}[* '방탄소년단'의 영어 음차인 "'''__B__'''ang'''__t__'''an '''__S__'''onyeondan"에서 따온 것이지만 영어 뜻으로도 끼워맞춘다면 "'''__B__'''ulle'''__t__'''proof Boy'''__s__'''" 혹은 "'''__B__'''ulle'''__t__'''proof Boy '''__S__'''couts"에서도 각각 BTS가 들어가기 때문에 어느 쪽으로 해석하든 맞다. [[2017년]]에 공식 로고를 바꾼 이후 '''__B__'''eyond '''__T__'''he '''__S__'''cene으로 매 순간 청춘의 장면들을 뛰어넘는다는 새로운 해석도 공개했다. 물론 기존의 해석들이 전부 갈아엎어진 건 아니고 같이 쓰이고 있다.] || ||防彈少年團 {{{-2 ([[정자(한자)|정자]])}}} || ||[ruby(防弹少年团,ruby= fáng tán shào nián tuán)] {{{-2 ([[간체자]])}}} || ||[ruby(防弾少年団,ruby=ぼうだんしょうねんだん)] {{{-2 ([[신자체]])}}} ||}}}}}}}}} || ||<|2> '''데뷔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13년]] [[6월 13일]][* 비공식적으로 멤버 7명이 다 모이기 전인 2010년 9월 30일 [[임정희]]의 '재'(미니앨범 《진짜일 리 없어》 5번 트랙)의 피처링부터 방탄소년단 이름으로 음반 참여를 시작했다. 해당 곡에서 [[RM]]의 파트가 나온다. 두 번째 비공식 음반 참여는 2010년 10월 26일 같은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소속 밴드였던 [[2AM]]의 'Love U, Hate U'를 피처링한 것이다. 또한 방탄소년단 데뷔 전 [[조권]]과 회사 선배인 [[GLAM]]의 백댄서로 선 경력이 있다.][*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에는 데뷔가 2013년 6월 12일로 되어 있지만 그것은 데뷔 앨범의 발매일이다.] {{{-2 (데뷔일로부터 '''[dday(2013-06-13)]일, [age(2013-06-12)]주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4년]] [[6월 14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4-06-14)]일, [age(2014-06-14)]주년''')}}} || || '''데뷔 음반''' ||<-2>{{{-4 {{{#!html 싱글 1집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65em" '''[[2 COOL 4 SKOOL|'''{{{#d5ad35 2 COOL 4 SKOOL}}}''']]'''}}} || || '''리더''' ||<-2>[[RM]] || || '''장르''' ||<-2>[[랩(음악)|랩/힙합]], [[춤|댄스]], [[대중음악|팝]], [[발라드]], [[EDM]], [[R&B]]/[[어반]] || || '''소속사''' ||<-2>[[빅히트 뮤직]][* 전 [[빅히트 뮤직|빅히트 엔터테인먼트]]] || || '''레이블''' ||<-2>[[HYBE LABELS]] || ||<|4> '''유통사'''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YG PLUS]][* 전 [[카카오엔터테인먼트/뮤직부문|로엔엔터테인먼트]] → [[드림어스컴퍼니]]]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유니버설 뮤직 그룹]][* 전 [[https://www.sonyatv.com/en/songwriters/2747/bts|sonyatv]]]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유니버설 뮤직 재팬]][* 전 [[포니캐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 || '''팬덤''' ||<-2>[include(틀:팬덤, 문서=A.R.M.Y, 팬덤명=A.R.M.Y (아미), 배경색=#000, 글자색=#fff)] || || '''응원봉''' ||<-2>[[/굿즈#s-3|아미밤]] || || '''훈장''' ||<-2>[[화관문화훈장]][* [[https://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02422030190247|한류와 우리말 확산의 공로]]를 인정 받아 경력 5년 만에 멤버 모두 본명으로 수훈 받았다.] || || '''링크''' ||<-2>{{{#!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ts_bighit, 크기=20)]^^{{{-2 공식}}}^^|[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TS_twt, 크기=20)]^^{{{-2 멤버}}}^^|[[https://facebook.com/bangtan.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https://instagram.com/BTS.bighit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com/@BT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tiktok.com/@bts_official_bighit|[[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https://cafe.daum.net/BANGTAN|[[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0]]]][* 역대 유명인 단일 팬카페 최초로 회원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 여담으로 한때 200만 명을 돌파한 적도 있었다.] || ||[[https://ibighit.com/bts|[[파일:방탄소년단 로고.svg|width=10]]]]|[[https://bts-official.jp/|[[파일:방탄소년단 로고.svg|width=10]]]]^^{{{-2 일본}}}^^ | [[https://btsblog.ibighit.com/|[[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width=20]]]]|[[https://weverse.io/bts|[[파일:Weverse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weibo.com/BTSbighit|[[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2 공식}}}^^|[[https://www.weibo.com/BTSmembers|[[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2 멤버}}}^^|[[https://soundcloud.com/bangtan|[[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http://i.youku.com/btsofficial|[[파일:요우쿠 로고.svg|width=35]]]]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10px" (둘, 셋) 방! 탄! 안녕하세요, 방탄소년단입니다.[* 한국에서의 팀 인사법이며, "둘 셋 방!"까지 리더 [[RM]]이 선창하고 "탄!"을 외칠 때 손으로 총 모양을 만들며 다 같이 외치는 방식으로 [[https://youtu.be/-HAA1Gs4IAM|인사]]한다.]}}} ----- {{{#!wiki style="margin: 8px" Hello, we are BTS![* 해외에서의 팀 인사법이며, 리더 [[RM]]이 "Hello(Hi), we are~"를 선창하고 "BTS!"를 다 같이 외치며 인사한다.] }}} || [[2013년]] [[6월 13일]]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7인조 [[보이그룹]]. == 멤버 == ## 나무위키에서 인물의 나이는 '만 나이'를 사용해야 하고, 자동 갱신이 필요한 나이는 age 매크로를 사용해서 [age(YYYY-MM-DD)]로 표기해야 한다. ('편집지침/일반문서' 참고) ## 생년월일 순서로 나열. || [[진(방탄소년단)|[[파일:Proof_jin.jpg|width=100%]]]] || [[슈가(방탄소년단)|[[파일:Proof_suga.jpg|width=100%]]]] || [[제이홉|[[파일:Proof_jhope.jpg|width=100%]]]] || [[RM|[[파일:Proof_RM.jpg|width=100%]]]] || || [[진(방탄소년단)|{{{#fff '''진'''}}}]] || [[슈가(방탄소년단)|{{{#fff '''슈가'''}}}]] || [[제이홉|{{{#fff '''제이홉'''}}}]] || [[RM|{{{#fff '''RM'''}}}]]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2. 12. 04. ([age(1992-12-04)]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서브보컬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3. 03. 09. ([age(1993-03-09)]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드래퍼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4. 02. 18. ([age(1994-02-18)]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댄서'''[br]서브래퍼[br]보컬[* 데뷔 초 영상들을 보면 본인이 [[https://youtu.be/8yGn0Zf3-l4?t=50|랩, 춤, 노래 담당]]이라고 소개하는 걸 볼 수 있다.]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4. 09. 12. ([age(1994-09-12)]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더'''[br]'''메인래퍼''' || || [[지민|[[파일:Proof_jimin.jpg|width=100%]]]] || [[뷔|[[파일:Proof_V.jpg|width=100%]]]] || [[정국(방탄소년단)|[[파일:Proof_jungkook.jpg|width=100%]]]] ||<|3>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50%]] || || [[지민|{{{#fff '''지민'''}}}]] || [[뷔|{{{#fff '''뷔'''}}}]] || [[정국|{{{#fff '''정국'''}}}]]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5. 10. 13. ([age(1995-10-13)]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댄서'''[br]리드보컬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5. 12. 30. ([age(1995-12-30)]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댄서[* 2018년 5월 7일, 빅히트의 퍼포먼스 디렉터 [[손성득]]으로부터 공식적인 댄서 라인으로 인정받았다. [[https://www.instagram.com/p/BiceFnUF3me|손성득 인스타그램]]][br]서브보컬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7. 09. 01. ([age(1997-09-01)]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보컬'''[br]리드댄서[br]서브래퍼 || === [[/멤버 간 케미|멤버 간 케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멤버 간 케미)] == 특징 == === 로고 === ||<-2>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모션.gif|width=100%]] || ||<-2> [[https://youtu.be/qx27yTK_KXw|{{{#fff '''LOGO ANIMATION'''}}}]] || || [[파일:방탄소년단 전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방탄소년단 전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파일:방탄소년단 로고.svg|width=20%&theme=light]][[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fff '''리뉴얼 전 로고'''}}} || {{{#fff '''리뉴얼 후 로고'''}}} || 2017년 7월에 리뉴얼된 현재 로고가 공개되어 상당한 호평을 받았으며, 2018년 2월에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인 [[독일]] 'iF Design Award'에서 [[https://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311&aid=0000821164|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아파트 브랜드 [[SK뷰]]가 [[SK뷰#BI/전용 색상|한때 사용했던 로고]]와 모양이 비슷하나, SK뷰는 2010년부터 SK 계열사 통합 CI인 [[SK#CI|행복날개]]를 사용하고 있다.] === 위상 및 인기 === >'''대한민국의 한 보이 밴드가 어떻게 세계에서 가장 거물이 되었나. (How a boy band from South Korea became the biggest in the world.)''' >---- >[[https://edition.cnn.com/2019/06/01/asia/bts-kpop-us-intl/index.html|2019년 CNN기사]] ##>[[https://ibighit.com/bts/kor/profile/|회사 소개문]][* (이전 소개문) 2013년 데뷔해 국내외 신인상을 휩쓴 방탄소년단은 명실상부 한국을 대표하는 최정상 보이 그룹으로 성장했다. 현재는 아시아를 넘어 북미, 유럽, 남미, 중동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방탄소년단 열풍을 일으키며 글로벌 슈퍼스타로 우뚝 섰다. 미국 빌보드, 영국 오피셜 차트, 일본 오리콘, 아이튠즈,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세계 유수의 차트에서 기록한 성적이 이를 증명하고 있으며 음반 판매량, 뮤직비디오 조회수, SNS 지수 등에서도 독보적인 수치를 기록 중이다. 또한, 스타디움 투어를 개최하며 전 세계 콘서트 시장에서도 글로벌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이어가고 있으며, UN 연설 및 LOVE MYSELF 캠페인 등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실천하고 있다. 2020년 '제62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한국 가수 최초로 공연을 펼치면서 '빌보드 뮤직 어워즈'와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그래미 어워즈'까지 미국 3대 음악 시상식을 석권하는 신기록을 세웠다.] ##>---- ##>2013년 데뷔해 국내외 신인상을 휩쓴 방탄소년단은 명실상부 한국을 대표하는 최정상 [[보이 그룹]]으로 성장했다. 전 세계적으로 방탄소년단 열풍을 일으키며 '[[21세기]] [[팝]] [[아이콘]]'으로 불린다. ##>미국 [[빌보드 차트|빌보드]], 영국 [[Official Charts|오피셜 차트]], 일본 [[오리콘 차트|오리콘]]을 비롯해 [[아이튠즈]],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세계 유수의 차트 정상에 올랐고, 음반 판매량과 뮤직비디오 조회수, SNS 지수 등에서도 독보적인 기록을 써 내려가고 있다. 특히, 방탄소년단은 한 주에 빌보드 '[[빌보드 핫 100|핫 100]]' 차트와 '[[빌보드 200]]' 차트 정상을 동시 정복한 최초의 그룹이며, 통산 '빌보드 200' 6차례, '핫 100' 6차례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제63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한국 가수 최초로 단독 무대를 펼쳐 '[[빌보드 뮤직 어워드]]'와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그래미 어워드]]'까지 미국 3대 음악 시상식 무대에서 공연하는 기록을 세웠다. ##>방탄소년단은 [[스타디움]] 투어를 개최하며 전 세계 콘서트 시장에서도 글로벌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다져 왔으며, [[유엔|UN]] 연설과 LOVE MYSELF 캠페인 등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실천하고 있다. ## >'''사람들은 여러분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인다. 그리고 여러분이 하는 일은 모든 이들에게 선한 것. (People care a lot about what you say, and what you're doing is good for all people.)''' >---- >- [[조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 2022년 5월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35분간 BTS와 단독 대담 중 [[https://x.com/POTUS/status/1531843043678208000?s=20|공식 영상]] * '''2013~2014년''' [[2013년]] [[6월 13일]] 싱글 앨범 《[[2 COOL 4 SKOOL]]》로 데뷔하였으며, 2014년 '[[상남자 (Boy In Luv)]]'가 크게 대중성이 있진 않았지만 방송 등에서 자주 쓰이면서 인지도를 쌓았고, 첫 음악방송 [[https://youtu.be/wxRps1M2_Hk|1위 후보]]에도 올랐었다. 처음 참여했던 [[로스앤젤레스|LA]] [[KCON]] [[https://youtu.be/6IvLa3naY2w|무대]]에서도 환호를 받아 [[미국]]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https://sports.donga.com/article/all/20200312/100128099/1|단초]]가 됐다. 하지만 이때까지는 여느 중소아이돌 중 하나였으며, '주목 받는 신인' 정도에 불과했다. * '''2015~2016년''' 2015년 '[[화양연화 pt.1|화양연화]]' 앨범부터는 '청춘 2부작'이 시작된다. 이전에는 열정, 미래, 꿈을 주제로 한 힙합 위주였다면 이제는 청춘과 서정을 노래한다. 시리즈 활동으로 인기가 오르며 [[/기록#s-6|첫 음악방송 1위]]를 하였다. 고무적인 것은 국내 반응도 컸지만 해외 반응이 더 컸다는 점. 지금처럼 유튜브가 커지기 전부터 유튜브 등 SNS 활동을 꾸준히 한 결과였다. 이로 인해 "[[쩔어(방탄소년단)|쩔어]]" 뮤직비디오(원더케이 한정)가 커리어 최초로 유튜브에서 '''1억뷰'''를 돌파하는 등 해외 팬덤이 생기기 시작한다. 2016년 정규 앨범 2집 《[[WINGS]]》도 큰 인기를 끌어서 [[https://youtu.be/90bCJQdy2G4?t=454|첫 대상]]을 [[https://youtu.be/_hWydqaHWd8|수상]]했다. * '''2017년 이후''' 2017년 '[[LOVE YOURSELF 承 'Her'|LOVE YOURSELF]]' 시리즈부터 '''[[빌보드 핫 100]]'''에 진입했다. 2017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BBMA]] '[[https://youtu.be/KAMMRWfrsT8|Top Social Artist]]'상 수상을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수많은 기록들을[* [[Dynamite|전 세계 최초 뮤직비디오 24시간 내 1억 이상의 조회수, 전 세계 최단 기간 뮤직비디오 3000만 좋아요 달성,]] [[BE(방탄소년단)|전 세계 2번째로 빌보드 Hot 100/200 차트 동시 1위 데뷔,]] 빌보드 Hot 100/200/ARTIST 100 동시 1위 석권, 빌보드 Hot 100/200 1위 통산 5주, Artist 100 1위 13주,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미국 3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음악]] [[그래미 어워드|시상식]] 노미네이트 및 공연, 한국 가수 최초 웸블리 스타디움 공연, 월드투어 회당 수익 620만 달러, 한국 가수 역대 최대 규모 콘서트 개최(62회 공연, 206만 관객 동원), 초동 판매량 전 세계 2위(337만 장), 앨범 누적 판매량 한국 1위(2200만 장 이상), 단일 앨범 총판 650만 장, 대한민국 [[화관문화훈장]] 수훈, [[멜론 뮤직 어워드|국내]] [[마마 어워즈|주요]] [[골든디스크어워즈|시상식]]에서 최초 대상 전 부문 수상, 한국 가수 역대 최다 대상 수상, 가온 디지털 주간/월간차트 최다 1위(통산 11주, 3개월) 등.] 세우며 미국은 물론 그동안 K-POP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유럽]]과 [[아프리카]] 등의 해외 국가들에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세계적인 아이돌 그룹으로 부상했다. 또한 2020년 9월 '[[Dynamite]]'로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핫 100]] 1위를 달성했으며,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차트]] 역사 상 최장 기간 1위를 달성하고, K-POP 가수 최초로 [[그래미 어워드]]에 노미네이트 및 단독 무대도 했고, 2020년 11월 《[[BE (Deluxe Edition)|BE]]》와 '[[Life Goes On]]'으로 [[빌보드 차트|빌보드 메인 차트]]인 [[빌보드 핫 100|Hot 100]](싱글)과 [[빌보드 200|200]](앨범)에서 1위를 동시에 석권했다. 그 외에도 빌보드 62년 역사 상 최초로 [[한국어]] 곡으로 [[빌보드 핫 100]] 1위를 달성하는 등의 [[https://news.joins.com/article/23934029|무수한 업적들]]을 세워 전 세계적으로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한류를 빛내고 있는 월드 스타 [[K-POP]] 그룹이다. 흔히 말하는 '[[중소돌|중소 기획사]]의 기적'의 대표주자이다.[* 중소 기획사에서 나온 아이돌은 대부분 데뷔 때부터 투자 규모도 작고 낮은 화제성으로 시작하며, 보통 국내 시장은 어찌어찌 잡는다고 해도 해외 시장에서 자리잡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 기존의 3대 대형 기획사([[SM엔터테인먼트|SM]], [[JYP엔터테인먼트|JYP]], [[YG엔터테인먼트|YG]]) 자체가 [[K-POP]] 팬들 사이에서 고정 팬층과 인지도를 획득했고 해외 진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염두에 둬가며 기획하기 때문에 외국인 멤버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스타일도 해외 시장을 신경을 써가며 기획하기 때문에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훨씬 유리하다.] 방탄소년단을 키워낸 빅히트 뮤직([[HYBE]])은 이러한 성과로 국내 4대 [[대형 기획사]]가 되었다. 방탄소년단은 해외를 염두에 두고 기획된 [[아이돌]]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데뷔 당시를 기준으로 영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는 멤버는 [[RM]]이 유일하며, 외국인 멤버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2017년부터 [[유튜브]]나 빌보드, 아이튠즈, UK 차트, 오리콘 등 해외 인기 관련 기록들에서 K-POP 가수 최대의 성과를 내었다. 2018년에 '건국 이래 최초로 대중문화계 한 부문 세계 1위에 오른 한국인'이라는 [[https://www.dailian.co.kr/news/view/760618/|기사]]가 나왔으며, 2019년에는 미국, 영국을 포함한 서구권에서 먼저 '[[https://imnews.imbc.com/replay/2019/nwtoday/article/5342235_28983.html|21세기 비틀즈]]'라는 찬사를 받았다.[* 물론 [[비틀즈]]와 비교 시 영미권 가수도 아닌 데다가, [[그래미 어워드]] 제너럴 필드(대상) 수상을 못한 데서 알 수 있듯 댄스 장르 특성상 음악성이 다소 저평가받는 경향이 있기에 엄밀히 따지면 음악적 영향력 측면에선 비틀즈급이라고 보긴 어렵다. 허나 서구권이 아니면 나올 엄두조차 못내던 시대에서, 한 시대를 아우르는 빅히트 보이그룹이 동양권에서 나왔다는 점만으로도 이미 역사를 쓰긴 했다. 물론 세대가 지나면 [[비틀즈]], [[서태지와 아이들]]처럼 [[클래식(음악)|클래식]]의 반열에 올라갈 것이란 국내 작곡가의 [[https://www.horse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307|기사]]도 있긴 하지만 그건 향후 방탄소년단의 행보에 달린 일이니 지켜볼 일.] 2020년에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주간지)|타임]]에서 '올해의 연예인'에 선정되었고 국내, 해외를 통틀어 K-POP 관련 기록 경신에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2021년 '해외 아티스트 최초'로 [[일본]] [[오리콘 차트]] 세일즈 부문 토탈 랭킹에서 [[https://www.mk.co.kr/star/musics/view/2021/12/1202982/|연간 1위]]를 차지했으며, '해외 밴드'로는 최초이자 '해외 가수'로는 [[마이클 잭슨]]의 [[Thriller]] 이후 37년 만에 오리콘 [[https://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505470|앨범 판매량 연간 1위]]를 차지했다. [[IFPI|국제음반산업협회]]에서 '전 세계 음악 시장 매출 1위가 방탄소년단'이라는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music-bts-korea-1_kr_605af0abc5b67ad3871aecce|글로벌 뮤직 보고서]]를 발표했다. [[2019년]] [[10월]] [[포브스]]에서 [[국내총생산|GDP]] 5.5조 원 규모를 창출하는 방탄소년단의 경제효과에 대해 주목하는 [[https://theguru.co.kr/news/article.html?no=5363|기사]]가 보도되었다. 또한 '[[Dynamite]]'로 [[빌보드 핫 100]] 1위를 함으로써 대한민국에 가져다주는 경제 효과는 최소 1조 7천억 원이라고 밝혀졌으며, 여러 언론에서 방탄소년단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sm=tab_jum&query=%EB%B0%A9%ED%83%84%EC%86%8C%EB%85%84%EB%8B%A8+%EA%B1%B8%EC%96%B4%EB%8B%A4%EB%8B%88%EB%8A%94+%EB%8C%80%EA%B8%B0%EC%97%85|걸어다니는 대기업]]'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2021년 기준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이 매년 한국에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143142|50억 달러(약 5조 7천억원)]]의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주고 있다고 밝혔으며, [[전국 공영 라디오|NPR]]은 방탄소년단이 한국 문화에 대한 학습과 기부 등에도 파급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전달했다. [[2023년]] [[1월 28일]] 기준, 모든 멤버의 솔로곡들[* 타 가수 곡들의 피처링 포함.]이 [[빌보드 핫 100]]에 공식적으로 차트인을 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3124394|관련 기사]] 이는 [[K-POP]] 그룹 최초이자 최고 기록이다. ## 멤버별 솔로 성적은 각 멤버 문서에 작성하십시오. === 그룹명 === '''방탄소년단(防彈少年團)'''이란 이름에서 [[방탄]]은 '총알을 막아낸다'라는 뜻이 있다. "10대들이 살아가면서 겪는 힘든 일, 편견과 억압을 우리가 막아내겠다는 심오한 뜻을 담아냈다"고 밝혔다. 방탄소년단이라는 팀명 자체는 2010년에 이미 빅히트에서 내정되었었다. [[https://youtu.be/uv4v3DGJtJQ|#]] === 정체성 === * 방탄소년단은 본래 [[힙합]] 음악을 컨셉으로 꾸려졌던 음악 그룹이다. 결성 초기에는 [[RM]]을 중심으로[* [[RM]]이 가장 먼저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빅히트]]에 입사했고 이후 [[슈가(방탄소년단)|슈가]], [[제이홉]]이 초기 멤버로 합류했다. 이 3명은 현재 방탄소년단의 래퍼 라인으로 활동 중이다. 다만 [[제이홉]]은 본래 래퍼가 아니라 [[보컬]] + 댄서를 지망했다가 래퍼 연습생들이 대거 탈퇴하자 기존의 희망 [[포지션]]을 변경하여 래퍼 라인에 합류한 것이라고 한다. [[제이홉]]은 노력 끝에 현재는 방탄소년단 래퍼 라인의 한 축을 담당하는 중. 가장 먼저 숙소에 들어온 것은 [[RM]]이나, [[빅히트]] 1호 계약 연습생은 [[제이홉]]이다.] [[힙합]] 그룹으로 데뷔하려 했으며, [[안무]]보다는 [[노래]]와 [[랩(음악)|랩]]에 집중하는 [[콘셉트]]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방탄 가슴을 열어라!" 에피소드에서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방시혁]] [[PD(방송)|PD]]를 향해 "(밴드 결성 때는) 율동만 하면 되고 랩에만 열중하라고 하시더니... 지금 방송국에서 우리 [[안무]]가 제일 힘들어요!"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빈지노]][* 오디션을 본 것은 아니고 방시혁이 함께할 것을 제안했으나 성형을 권유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껴 거절했다.], [[베이식]], [[아이언(가수)|아이언]][* 방탄소년단의 성격이 [[아이돌]]로 변하면서 자신과 맞지 않다는 판단이 들어 나가게 되었지만, [[리더]]인 [[RM]]과 여전히 친분을 유지하고 있었다. 나중에 [[RM]]의 소개로 [[대남협]] 크루에 들어가게 되었다.], [[REDDY]], [[로꼬]][* [[REDDY]]와 [[로꼬]]는 힛맨뱅 오디션을 보았다.] 등 현재 활동하는 유명 래퍼를 비롯해 약 30여 명의 연습생이 프로젝트를 거쳐갔으며, 컨셉트의 상당한 변경을 겪고 나서 지금의 아이돌 밴드 형식이 되었다.[* 많은 래퍼들이 방탄소년단 오디션을 봤던 것에 대해 [[아이돌]] 준비를 했다는 오해가 있는데 위에 서술했듯이 애초에 아이돌 밴드로 결성된 것도 아니었다.] 이미 래퍼로서의 경력이 있던 래퍼 라인의 실력이 상당히 좋다고 평가되기도 하고, 곡 전반적으로도 랩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 그리고 대부분의 멤버가 작사·작곡 능력을 갖추고 있어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초창기에는 작사·작곡 기량은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렇지만 [[슈가(방탄소년단)|슈가]], [[제이홉]], [[RM]] 래퍼 라인 세 명은 항상 작사·작곡 크레딧에 자신들의 이름을 빠뜨리지 않았으며,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 [[틀:방탄소년단/화양연화|화양연화]] [[화양연화 pt.1|시]][[화양연화 pt.2|리]][[화양연화 Young Forever|즈]]에서는 보컬 라인인 [[진(방탄소년단)|진]], [[지민]], [[뷔]],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의 이름도 작사·작곡 크레딧에 올랐다. [[2017년]] 앨범인 《[[YOU NEVER WALK ALONE]]》에서는 [[RM]]이 프로듀싱에 참여하여 작사와 코러스, 후렴 부분의 작곡을 맡은 '[[봄날(방탄소년단)|봄날]]'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모든 멤버가 작사 또는 작곡이 가능할 정도로 음악적으로 성장했다. * 앨범의 콘셉트와 뮤직비디오 그리고 가사에 문학이나 영화 대사를 참조한(또는 그러한 것으로 보이는) 부분이 많다. 《[[화양연화 pt.1]]》, 《[[화양연화 pt.2]]》, 《[[화양연화 Young Forever]]》 앨범 시리즈에서는 영화 〈[[화양연화]]〉를, 《[[WINGS]]》 앨범에서는 [[헤르만 헤세]]의 소설 〈[[데미안]]〉을 각각 테마로 잡아 세계관을 구축한 것이 그 사례이다. 봄날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여관 오멜라스는 [[어슐러 K. 르 귄]]의 단편 소설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에서 따왔다. 이외에도 가사 곳곳에 문학 구절과 영화 대사를 차용한 것들로 보이는 부분이 있다. 단적으로 눈에 띄는 예시를 몇 개 꼽아보자면 '[[Serendipity(방탄소년단)|Serendipity]]'에서 사용한 김춘수의 〈[[꽃(김춘수)|꽃]]〉[*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가사: '네가 날 불렀을 때 나는 너의 꽃으로'], 'Pied Piper'에서 등장하는 영화 〈[[아가씨(영화)|아가씨]]〉의 대사[* '나의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 가사: '널 구하러 온 거야 널 망치러 온 거야'], FESTA 2017의 네시(4 o'clock) 가사에 등장하는 영화 〈[[문라이트(영화)|문라이트]]〉의 대사[* 달빛 속에선 온 세상이 푸르니까] 등이 있다. * 퍼포먼스 또한 방탄소년단이 주목받게 된 큰 요인 중 하나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안무가 [[손성득]]이 전 안무를 관장하고 있다. 주목을 받기 이전인 데뷔 초부터 꾸준하게 난이도가 높은 안무를 보여주고 있다. 두 명의 메인 댄서 [[제이홉]]과 [[지민]]을 필두로 한 댄서 라인[* 데뷔 초 방탄소년단의 공식적인 댄서 라인은 [[제이홉]], [[지민]],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었지만 [[2018년]] [[5월 7일]] [[뷔]]의 [[Singularity]] 컴백 트레일러 영상이 공개되면서 빅히트의 안무가 [[손성득]]은 자신의 [[https://www.instagram.com/p/BiceFnUF3me/|인스타그램]]에 뷔를 [[공식]] [[댄서]] [[라인]]으로 인정하는 글을 올렸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17/0000555972|관련 기사]]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34383|리드댄서 명시 기사]]]이 각기 다른 스타일로 격한 안무를 소화해 내며 센터를 비교적 고르게 번갈아 차지한다. 안무의 높은 퀄리티 덕분에 학교 축제나 길거리에서 '[[상남자 (Boy In Luv)]]', '[[I NEED U]]', '[[쩔어(방탄소년단)|쩔어]]', '[[불타오르네]]' 등의 방탄소년단 커버 공연들을 굉장히 많이 볼 수 있다. * 콘서트 프리뷰 [[https://youtu.be/r4eMHmyR5Ys?t=13s|화양연화 온 스테이지]] [[https://youtu.be/kQBO87j5vnc?t=57s|화양연화 에필로그]] [[https://youtu.be/Nsy1cpJDfBg?t=19s|윙즈 투어]] * 안무 연습 [[https://youtu.be/bV9Svms-LYY|We Are Bulletproof Pt.2]] [[https://youtu.be/gqz6Adx63w8|상남자]] [[https://youtu.be/vJwHIpEogEY|Danger]] [[https://youtu.be/hvUZb9NT7EY|I NEED U]] [[https://youtu.be/9S3ZhJGv8JM|RUN]] [[https://youtu.be/sWuYspuN6U8|불타오르네]] [[https://youtu.be/v8z1TtlY1no|피 땀 눈물]] * 타 아이돌의 커버 영상 [[https://youtu.be/s4xAnUfWI5E|상남자 by 디아크]] [[https://youtu.be/4NUY2MIn2ic|불타오르네 by 구구단]] * SNS 계정 운영과 인터넷 개인 방송을 잘 활용하는 음악 밴드다.[* 유튜버 [[슈카월드]][[https://youtu.be/xJg53tWy8ag|#]]와 [[지식한입]][[https://youtu.be/g5mdzj_5Ckk|#]]도 이 점을 언급하며 방탄소년단의 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주기적으로 방대한 양의 미디어 콘텐츠를 [[유튜브]], [[V LIVE]], [[트위터]] 등을 통해 제공한다.[* [[2020년]] [[8월 5일]] 기준 [[https://www.youtube.com/user/BANGTANTV|BANGTANTV]] 유튜브 영상은 1573개, 오피셜 트윗 12600개, 네이버 V LIVE 영상 793개 (중복 콘텐츠 포함)] 이 덕분에 높은 RT 수, 소통 지수, SNS 활동 지수, 평판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6년]] 하반기부터 아이돌 브랜드 평판 1~3위를 기록하고 있다. * 흥탄소년단 [[https://youtu.be/snRd8bErrzk|서든어택]] [[https://youtu.be/0-XR2iLEUQY|립싱크쇼]] [[https://youtu.be/hzRaOnTSIG4|티셔츠 대소동]] [[https://youtu.be/JRqbLZzMOuE|병뚜껑]] [[https://youtu.be/7jEF7ehSeY8|95z와 댄스타임]] [[https://youtu.be/PSdgzdDMIeE|It's tricky]] [[https://youtu.be/Etv1TDuI7UM|?!?야아아]] [[https://youtu.be/zuHJg7bTko0|고기]] [[https://youtu.be/ttSLLgU8F_I|빠세!?!]] * 안무 연습 [[https://youtu.be/70SMjxn4FBA|호르몬 전쟁]] [[https://youtu.be/V1i_x2_TGE0|뱁새]] [[https://youtu.be/6tUumjx2BWw|21세기 소녀]] [[https://youtu.be/Fl54gG0B8I0|고민보다 Go]] * 걸 그룹 댄스 [[https://tv.naver.com/v/151279|주간아이돌144]] [[https://youtu.be/YIds9C6pjos|오늘 뭐해]] [[https://youtu.be/5gEqOtODMH4|위아래]] [[https://tv.kakao.com/channel/2653486/cliplink/300030304|주간아이돌229]] * [[A.R.M.Y|팬들]]이 붙인 별명 중 하나는 '혜자소년단'이다. 앨범을 발표하고 활동하지 않는 기간에도 다양한 자체제작 콘텐츠로 '혜자스러운'(인심이 좋다, 또는 가성비가 좋다를 의미하는 유행어)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유튜브 채널 '방탄TV'에는 그들의 활동 비하인드 영상 '방탄밤'과 각종 활동 영상들이, 블로그에는 멤버 개개인의 일상에 대해 말하는 '로그'가 비정기적으로 올라온다. [[https://www.iz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009|ize]] * [[2018년]] 8월 BANGTANTV [[유튜브]] 구독자 수가 1000만을 돌파하여 다이아몬드 크리에이터 어워즈에서 KPOP 보이 밴드 최초 다이아버튼을 받았다. [[https://youtu.be/8jPGIjshtZ8|영상]] * 그룹 내에서는 메인 래퍼 [[RM]]과 리드 래퍼 [[슈가(방탄소년단)|슈가]]를 중심으로 한 래퍼 라인([[슈가(방탄소년단)|슈가]], [[제이홉]], [[RM]]), 메인 보컬 [[정국(방탄소년단)|정국]]과 리드 보컬 [[지민]]을 중심으로 한 보컬 라인([[진(방탄소년단)|진]], [[지민]], [[뷔]], [[정국(방탄소년단)|정국]]), 메인 댄서 [[제이홉]]과 [[지민]]을 중심으로 한 댄서 라인([[제이홉]], [[지민]], [[뷔]], [[정국(방탄소년단)|정국]])으로 흔히 구분된다. * 멤버들의 성격도 흥이 넘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유튜브 [[https://www.youtube.com/user/BANGTANTV/|BANGTAN TV]] 채널을 통한 방탄밤(BANGTAN BOMB)이라는 이름으로 올라오는 영상에서 멤버들이 노는 모습, 장난치는 모습 등 흥이 가득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흥 넘치는 성격 덕분에 흥탄소년단이라는 별명도 있으며 실제로 [[흥탄소년단|동명의 곡]]도 존재한다. === 콘셉트 === * 전반적으로 10대와 20대 청춘들의 생각과 고민, 삶과 사랑, 꿈과 역경을 주요 주제로 하는 노래들을 통해 자신들만의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으며, 연계되는 이야기를 다양한 뮤직비디오들을 통해 유기적으로 풀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 [[틀:방탄소년단/SKOOL|학교 시리즈 3부작]]인 《[[2 COOL 4 SKOOL]]》, 《[[O!RUL8,2?]]》, 《[[SKOOL LUV AFFAIR]]》에서는 앨범 이름에서도 느낄 수 있듯 [[10대]]들이 느끼는 삶, 사랑, 사회의 강요와 부조리함들을 10대 때부터 꽤 치열하게 살아온 그들의 시각과 에너지로 표현하고 있다. * 미니앨범 3집 《[[화양연화 pt.1]]》을 기점으로 20대 청춘들의 고충을 드러내 보이기 시작했는데 실제로도 이 앨범 활동 때부터 멤버들이 전보다 좀 더 성숙해졌음을 느낄 수 있다. 이때부터 [[N포 세대]], [[열정페이]], [[수저계급론]]으로 대표되는 사회불평등, [[지역감정]] 등 대학생 이상의 청춘들이 겪기 시작하는 이야기들이 가사에 등장한다. * 방탄소년단의 첫 대상 수상작이자 본격적으로 이름을 세계에 알리게 해준 정규 2집 앨범 《[[WINGS]]》[* [[빌보드 200]] '''26위'''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88&aid=0000464113|기사]]]로 넘어가면서는 성장한 음악성과 더불어 청춘이 성장하면서 겪는 고통과 유혹 그리고 성숙에 관해서 이야기한다. 때때로 노래 가사에서 특정 지명이나 상표를 직접 언급하는 때도 있어 지상파 방송 불가 판정을 받기도 하지만 일부 앨범 수록곡에 해당하는 사항이다. *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 《[[YOU NEVER WALK ALONE]]》은 《[[WINGS]]》의 후속 앨범으로 《[[WINGS]]》의 앨범 수록곡과 더불어 '[[봄날(방탄소년단)|봄날]]', '[[Not Today]]', 'Outro : Wings', 'A Supplementary Story : You Never Walk Alone'을 추가 수록시켜 발매했다. "함께라면 웃을 수 있어"라는 메세지를 담으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춘에게 건네는 "위로"와 "희망"을 담았다. 특히 타이틀 곡인 '[[봄날(방탄소년단)|봄날]]'은 발매 후 팬들과 대중들의 지속적인 사랑을 받아서 수년간 멜론 차트 100위 안에 머물며 역대 최장기간 차트인한 노래가 되었다. * [[틀:방탄소년단/LOVE YOURSELF|LOVE YOURSELF]] 시리즈는 ([[LOVE YOURSELF 承 'Her'|승]], [[LOVE YOURSELF 轉 'Tear'|전]], [[LOVE YOURSELF 結 'Answer'|결]]) 총 3부작으로 순수한 소년이 사랑을 시작할 때의 감정을 담은 《[[LOVE YOURSELF 承 'Her']]》 앨범과 이별에 대한 방탄소년단의 견해와 이중적인 메세지를 담은 《[[LOVE YOURSELF 轉 'Tear']]》 앨범, 결국 나를 사랑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의 시작이라는 메세지를 담은 《[[LOVE YOURSELF 結 'Answer']]》 앨범으로 3부작의 막을 성공적으로 내린다. 기승전결(起承轉結)을 의미하는 한자를 하나씩 앨범에 사용했는데, '기(起)'의 행방을 알고 싶다면 [[LOVE YOURSELF 起 'Wonder']] 참조. * 《[[BTS WORLD|BTS WORLD OST]]》는 총 4개로 이루어져 있다. 'Dream Glow'는 [[진(방탄소년단)|진]], [[지민]], [[정국(방탄소년단)|정국]], [[Charli XCX]]의 유닛곡이다. 희망적인 가사를 통해 꿈은 꾸는 동안 가장 행복한 것이며, 꿈을 꾸고 있다면 아직 포기한 게 아니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A Brand New Day'는 [[뷔]], [[제이홉]], [[자라 라슨|Zara Larsson]]이 함께했으며 도입부부터 유니크한 음색이 돋보인다. 두렵고 무서운 마음이 있지만 내 안의 목소리에 집중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의지를 노래했다. 'All Night'은 [[RM]], [[슈가(방탄소년단)|슈가]], [[Juice WRLD]]가 공동 작업한 노래로 90년대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방탄소년단이 꿈을 향해 밤낮없이 달려가는 모습을 노래한다. 전반적으로 희망적인 메세지를 담고 있다. * '[[틀:방탄소년단/MAP OF THE SOUL|MAP OF THE SOUL 시리즈]]'는 《[[MAP OF THE SOUL : PERSONA]]》 앨범에서 [[A.R.M.Y|팬들]]에 대한 사랑을, 《[[MAP OF THE SOUL : 7]]》 앨범에서는 데뷔 8년차(만 7년)가 된 방탄소년단이 자신을 돌아보는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다. * '[[Dynamite]]'가 빌보드 핫 100 1위를 함으로써 대한민국에 가져다주는 경제효과는 최소 1조 7천억 원이라고 추정되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전 세계인들이 고통을 받는 시기에 'Dynamite'가 가지는 의미와 영향력은 상당하다. 가히 전 세계인의 마음을 치유해 주는 감성 백신이라고 불릴 만하다. [[https://brunch.co.kr/@rooneykim/152|#]]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팬덤과 대중을 모두 사로잡은 방탄소년단은 명실상부 [[월드 스타|월드와이드 슈퍼스타]]가 되었다. === [[/세계관|세계관]]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BTS Universe (BU) 설정에 대한, 문서명=방탄소년단/세계관)] === [[/굿즈|굿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굿즈)] == [[/연혁|연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연혁)] === [[/음반 목록|음반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음반 목록)] == [[/수상|수상]]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음악 방송 1위 포함, 문서명=방탄소년단/수상)] == [[/기록|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기록)] === 빌보드 === ## 빌보드 공식 페이지의 select 박스에서 카테고리 선택 가능. [[https://www.billboard.com/artist/bts/chart-history/|'''방탄소년단 빌보드 종합 기록''']] ==== 빌보드 핫 100 ==== ## '핫샷 데뷔'는 그 주에 '진입한 최고 순위'의 노래나 앨범을 의미하며, 2위 이하를 가리킬 수도 있음. * 발매일이 빠를수록 위에 기재하며, 발매일이 같으면 순위가 높을수록 위에 기재함. * 아티스트 정보에 '''방탄소년단(BTS)'''으로 표시 안 된 솔로 곡인 경우 각 멤버의 문서에 작성.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핫 100|{{{#fff Hot 100}}}]], 1위 곡》}}}''' || || '''#''' || '''연도''' || '''제목''' || '''1위 기간''' || '''차트인''' || '''비고''' || || 1 ||<|3> 2020년 || [[Dynamite]] || 3주 || '''32주''' || [* '''한국 가수 최초'''의 Hot 100 1위 곡이다. (아시아 최초는 1961년 일본인 [[사카모토 큐]]의 [[Sukiyaki]]이다.)][* 2020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20/hot-100-songs/|38위]].[br]2021년 연간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21/hot-100-songs/|41위]].] || || 2 || [[https://youtu.be/qvu4nPMyl3U|Savage Love]] (Laxed - Siren Beat) - '''BTS''' Remix || 1주 || 1주 || [* Jawsh 685, [[Jason Derulo]]의 곡에 [[정국(방탄소년단)|정국]], [[슈가(방탄소년단)|슈가]], [[제이홉]]이 참여한 리믹스 버전으로 1위에 올랐다. [[피처링]]이 아닌 '''[[협업|콜라보]] 작업이라서 아티스트 정보에 방탄소년단(BTS)이 함께 표시된다.'''[br]'''한국어 (랩)가사가 들어간 최초'''의 핫 100 1위 곡이고, 원곡은 7위가 최고 기록이었으나 BTS Remix 버전 발매로 인해 처음 1위를 했다. 또한 '[[Dynamite]]'가 2위를 기록하여 [[블랙 아이드 피스]] 이후 '''11년만에 Hot 100에서 1위와 2위를 동시에 거머쥔 팀'''이 됐다. 원곡은 31주 차트인했으나 리믹스 버전은 1주만 판매했기 때문에 1주 차트인했다.] || || 3 || [[Life Goes On]] || 1주 || 3주 || [* '''한국어 노래 최초'''의 핫 100 1위 곡. 최초의 비영어 1위 (첫 주) 데뷔 곡. 《[[BE(방탄소년단)|BE]]》앨범과 함께 빌보드 메인 차트인 '''Hot 100과 빌보드 200을 동시에 1위로 데뷔한 최초의 남성 및 밴드'''고, [[테일러 스위프트]] 이후 2번째 기록이다.] || || 4 ||<|3> 2021년 || [[Butter]] || '''10주''' || 20주 || [* '''Hot 100 역사상 단일 밴드가 기록한 [[https://twitter.com/chartdata/status/1412437177695363076|최장 기간 1위]] 데뷔 기록이며, 아시아 가수 역대 최고 기록'''이다. [br]'''Hot 100 1위 데뷔를 3번 달성한 [[https://twitter.com/chartdata/status/1399751910761144321?s=19|최초]]의 밴드'''이며, 9개월 이내에 4곡이나 Hot 100 1위를 달성한 것은 10년 전 [[저스틴 팀버레이크]] 이후 [[https://star.mt.co.kr/stview.php?no=2021060201104399781|처음]]이고 밴드로서는 50년 전 [[잭슨파이브]] 이후 가장 빠른 기록이다. 2021년 '''핫 100 전체 1위곡들 중에서 [[https://namu.wiki/w/%EB%B9%8C%EB%B3%B4%EB%93%9C%20%ED%95%AB%20100/2020%EB%85%84%EB%8C%80%201%EC%9C%84%20%EA%B3%A1?from=%EB%B9%8C%EB%B3%B4%EB%93%9C%2F1%EC%9C%84%2F2020%EB%85%84%EB%8C%80#s-3|최장기간 1위]]'''를 했다.][* 2021년 연간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21/hot-100-songs/|11위]].] || || 5 || [[Permission to Dance]] || 1주 || 7주 || [* '[[Butter]]'에 이어서 '''연속으로 1위'''로 데뷔했으며, [[Drake]] 이후 [[빌보드 핫 100|Hot 100]]에서 [[https://twitter.com/chartdata/status/1417169841723691020|1위 데뷔]]로 [[바톤터치]] 한 역대 2번째 가수가 되었다. 그 다음 주에 다시 [[Butter]]가 1위를 재탈환하면서 빌보드 역사상 최초로 2번의 바톤 터치를 연달아 달성한 가수가 되었다.] || || 6 || [[My Universe]] || 1주 || 17주 || [* [[콜드플레이]]와 [[협업|콜라보]] 작업한 싱글이며, [[Music of the Spheres(콜드플레이)|Music of the Spheres]]의 수록곡이다.] ||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핫 100|{{{#fff Hot 100}}}]], 2~10위 곡}}}''' || || '''#''' || '''연도''' || '''제목'''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 1 || 2018년 || [[FAKE LOVE]] || 10위 || 6주 || || || 2 || 2019년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br]{{{-3 (Feat. [[Halsey]])}}} || 8위 || 8주 || || || 3 || 2020년 || [[ON]] || 4위 || 2주 || || || 4 || 2022년 || [[https://youtu.be/BGNkkVrJZks|Bad Decisions]] || 10위 || 5주 || [* [[benny blanco]], [[스눕 독]]과 콜라보 작업한 싱글이며, 방탄소년단의 보컬 멤버인 [[진(방탄소년단)|진]], [[지민]], [[뷔]], [[정국(방탄소년단)|정국]] 4명이 참여했다.] ||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핫 100|{{{#fff Hot 100}}}]], 11~50위 곡}}}''' || || '''#''' || '''연도''' || '''제목'''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 1 || 2017년 || [[MIC Drop]] {{{-3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Remix)}}} || 28위 || 10주 || [* 방탄소년단 노래 중 처음으로 [[빌보드 차트]] 집계가 시작되는 금요일에 발매되었다.] || || 2 || 2018년 || [[IDOL(방탄소년단)|IDOL]] || 11위 || 3주 || || || 3 ||<|2> 2020년 || [[BE(방탄소년단)#Blue & Grey|Blue & Grey]] || 13위 || 1주 || || || 4 || [[BE(방탄소년단)#Stay|Stay]] || 22위 || 1주 || [* [[진(방탄소년단)|진]], [[RM]], [[정국(방탄소년단)|정국]] 유닛곡.] || || 5 || 2022년 || [[Yet To Come (The Most Beautiful Moment)|Yet To Come]] || 13위 || 2주 || || || 6 || 2023년 || [[Take Two]] || 48위 || 1주 || [* 데뷔 10주년 기념 디지털 싱글.] || ||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핫 100|{{{#fff Hot 100}}}]], 51~100위 곡}}}''' || || '''#''' || '''연도''' || '''제목'''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 1 || 2017년 || [[DNA(방탄소년단)|DNA]] || 67위 || 4주 || [* '''한국 가수 최초로 Hot 100, 빌보드 200 동시 데뷔'''했으며, '''방탄소년단의 빌보드 Hot 100 최초 데뷔곡'''이고 월요일 발매인데도 85위로 진입했다.] || || 2 || 2018년 || [[https://youtu.be/bIv16itYi_0|Waste It On Me]][br]{{{-3 (Feat. '''BTS''')}}} || 89위 || 1주 || [*Feat [[피처링]] 참여로 곡의 아티스트 정보에 '''방탄소년단(BTS)'''이 표시 안 된 경우.][* [[스티브 아오키]]의 곡에 피처링으로 [[RM]],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 참여했고 둘이서만 부른 노래라서 사실상 듀엣곡이다.] || || 3 || 2019년 || [[Make It Right (Feat. Lauv)|Make It Right]][br]{{{-3 (Feat. [[Lauv]])}}} || 76위 || 2주 || [* 원곡은 95위로 차트에 진입했으나, [[Lauv]]가 피처링에 참가하면서 76위로 차트에 재진입함.] || || 4 ||<|6> 2020년 || [[Black Swan(방탄소년단)|Black Swan]] || 57위 || 1주 || || || 5 || [[MAP OF THE SOUL : 7#시차 (My Time)|시차 (My Time)]] || 84위 || 1주 || [* [[정국(방탄소년단)|정국]] 솔로곡.] || || 6 || [[MAP OF THE SOUL : 7#Filter|Filter]] || 87위 || 1주 || [* [[지민]] 솔로곡.] || || 7 || [[BE(방탄소년단)#s-3.2|내 방을 여행하는 법 (Fly To My Room)]] || 69위 || 1주 || [* [[슈가(방탄소년단)|슈가]], [[제이홉]], [[지민]], [[뷔]] 유닛곡.] || || 8 || [[BE(방탄소년단)#잠시 (Telepathy)|잠시 (Telepathy)]] || 70위 || 1주 || || || 9 || [[BE(방탄소년단)#병 (Dis-ease)|병 (Dis-ease)]] || 72위 || 1주 || || || 10 || 2021년 || [[Film out]] || 81위 || 1주 || [* 일본어 베스트 앨범 선공개 싱글로, '''일본 국적 외의 아티스트가 낸 [[일본어]] 곡 중 최초로 Hot 100 차트에 데뷔했다.'''[br]1963년 [[사카모토 큐]]의 두 곡 진입 이후 48년 만에 일본어 노래가 차트인했다.] || || 11 || 2022년 || [[Proof(방탄소년단)#달려라 방탄|달려라 방탄 (Run BTS)]] || 73위 || 1주 || || ==== 빌보드 200 ==== ## 차트인 기간은 차트아웃 시 작성. * 아티스트 정보에 '''방탄소년단(BTS)'''으로 표시 안 된 솔로 앨범인 경우 각 멤버의 문서에 작성.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200|{{{#fff 빌보드 200}}}]], 1위 앨범》}}}''' || || # || '''연도''' || '''앨범명''' || '''1위 기간''' || '''차트인''' || '''비고''' || || 1 ||<|2> 2018년 || 《[[LOVE YOURSELF 轉 'Tear']]》 || 1주 || 15주 || [* '''한국 가수 최초이자 [[아시안]] 앨범 최초''' 빌보드 200 1위이다. (아시아 가수 최초는 [[비틀즈]] 멤버 [[존 레논]]의 일본인 와이프 [[오노 요코]]이지만, 1980년에 [[Double Fantasy|영어 앨범]]으로 '''1위'''를 했다.)[br]방탄소년단 앨범 중 처음으로 빌보드 집계 시작 기간인 금요일에 발매했고, 이 이후 한국어 앨범은 계속 금요일에 발매 중이다. (노래는 [[MIC Drop]] 리믹스 버전이 금요일 최초 발매이다.)][* 2018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18/top-billboard-200-albums/|101위]].] || || 2 || 《[[LOVE YOURSELF 結 'Answer']]》 || 1주 || '''100주''' || [* '''[[리패키지]] 앨범으로도 1위'''를 했으며, 이 이후부터는 리패키지 앨범이 나오고 있지 않다.][* 2018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18/top-billboard-200-albums/|85위]].[br]2019년 연간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19/top-billboard-200-albums/|118위]].[br]2020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20/top-billboard-200-albums/|156위]].] || || 3 || 2019년 || 《[[MAP OF THE SOUL : PERSONA]]》 || 1주 || 35주 || [* 첫 1위 이후 11개월 만에 3개의 앨범이 1위를 달성하면서, 1996년 록 밴드 [[몽키즈]] 다음으로 빠르게 3개의 앨범이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한 첫 번째 밴드가 되었다. 몽키즈의 9개월 3주 기록을 넘지는 못했지만, 비틀즈의 11개월 1주보다 빠른 기록이다.][* 2019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19/top-billboard-200-albums/|51위]].] || || 4 ||<|2> 2020년 || 《[[MAP OF THE SOUL : 7]]》 || 1주 || 95주 || [* 1년 9개월 만에 4개 앨범이 1위를 달성하여 [[비틀즈]]의 1년 5개월 다음으로 빠른 기록이다. 솔로 아티스트 최단 기간 4연속 1위는 래퍼 '[[Future]]'의 1년 7개월이다.][* 2020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20/top-billboard-200-albums/|20위]].[br]2021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21/top-billboard-200-albums/|113위]].] || || 5 || 《[[BE (Deluxe Edition)|BE]]》 || 1주 || 37주 || [* [[타이틀 곡]]인 '[[Life Goes On]]'과 함께 빌보드 메인 차트인 '''Hot 100과 빌보드 200을 동시에 1위로 데뷔한 최초의 남자 가수 및 밴드가 되었으며, 'Skit'을 제외한 모든 수록곡이 Hot 100에 차트인한 방탄소년단 최초의 앨범이고 모든 수록곡이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 Top 10에 든 빌보드 역사상 최초의 앨범이다.'''[br]보통 앨범 4종에 포토카드 랜덤 포함으로 판매해서 한 명이 여러 장 구매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가격이 3배 정도 더 비싼 디럭스 버전으로 포토카드 랜덤 없이 단 '''1종 판매만으로도 1위'''에 성공했다. 음악 밴드로서 비틀즈(2년 5개월) 이래 최단 기간 앨범 5장을 빌보드 200 정상에 올린 기록이다. (2년 6개월)][* 2021년 연간 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21/top-billboard-200-albums/|40위]].] || || 6 || 2022년 || 《[[Proof(방탄소년단)|Proof]]》 || 1주 || 41주 || [* 방탄소년단의 [[https://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2206131552003|챕터1을 마무리]]하는 [[앤솔로지]] 앨범이다.] ||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200|{{{#fff 빌보드 200}}}]], 2~10위 앨범}}}''' || || # || '''연도''' || '''앨범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 1 || 2017년 || 《[[LOVE YOURSELF 承 'Her']]》 || 7위 || 45주 || [* '''한국 가수 최초 Hot 100, 빌보드 200 동시 데뷔'''한 앨범이다.][* 2018년 연간차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18/top-billboard-200-albums/|150위]].][* 2018년 9월까지 차트인하다가 4년 4개월 만인 2023년 1월 다시 13위로 차트인, 통산 45주로 늘었다.] || ||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200|{{{#fff 빌보드 200}}}]], 11~100위 앨범}}}''' || || # || '''연도''' || '''앨범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 1 || 2016년 || 《[[WINGS]]》 || 26위 || 2주 || || || 2 || 2017년 || 《[[YOU NEVER WALK ALONE]]》 || 61위 || 2주 || || || 3 || 2018년 || 《[[FACE YOURSELF]]》 || 43위 || 1주 || [*J [[일본어]] 앨범.][* [[K-POP]] 밴드가 발매한 일본어 앨범 중 '''최초'''로 빌보드 200 차트에 데뷔했다.] || || 4 ||<|2> 2020년 || 《[[MAP OF THE SOUL : 7 ~ THE JOURNEY ~|MAP OF THE SOUL : 7 ~ THE JOURNEY ~]]》 || 14위 || 4주 || [*J][* 2019년 [[BABYMETAL]]의 《[[BABYMETAL/음반 목록#s-1.1.3|Metal Galaxy]]》 13위에 이어 역대 일본어 앨범 중 2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앨범의 음원 공개를 먼저 하여서 115위로 데뷔했다가 3주 뒤에 CD가 발매되어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11820514|역주행]]을 했다.] || || 5 || 《[[SKOOL LUV AFFAIR SPECIAL ADDITION]]》 || 12위 || 2주 || [* 원래 2014년 5월에 발매되어 절판된 앨범이었으나 설문 조사를 통해 재발매되어서 무려 발매 6년 5개월 만인 2020년 10월에 빌보드 200 차트에 오르게 되었다.] || || 6 || 2021년 || 《[[BTS, THE BEST]]》 || 19위 || 2주 || [*J] || ||<-6><#8C3BDE> '''{{{#fff [[파일:방탄소년단 로고 화이트.svg|width=3%]] [br][[빌보드 200|{{{#fff 빌보드 200}}}]], 101~200위 앨범}}}''' || || # || '''연도''' || '''앨범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 1 || 2015년 || 《[[화양연화 pt.2]]》 || 171위 || 1주 || [* 방탄소년단의 '''빌보드 200 첫 데뷔 앨범'''이다.] || || 2 || 2016년 || 《[[화양연화 Young Forever]]》 || 107위 || 1주 || || === 유튜브 MV 조회수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튜브 조회수 추이 및 상세 기록, rd1=방탄소년단/기록, anchor1=유튜브)] '''[[2020년]] [[유튜브]] 최다 [[유튜브/조회수 순위|조회수]] 1위'''(49억 6,500만뷰) {{{-3 [[https://twitter.com/chartdata/status/1320759719125016576?s=20|⚭]]}}} {{{-4 2020-10-27}}} [[K-POP]] 가수 중에서 최정상급의 유튜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의 '[[Butter]]'는 '유튜브 영상 시사회 최다 시청자 수', '유튜브 MV 시사회 최다 시청자 수' '''390만 명''' 그리고 '''24시간 내 유튜브 1억 820만뷰'''를 달성하여 '유튜브 MV 24시간 최다 조회수', '유튜브 K팝 그룹 MV 24시간 최다 조회수' 기록 등이 '''[[기네스 세계기록]]에 등재'''되었다. 지난 뮤직비디오들의 조회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편인데 컴백 때마다 꾸준히 국내외적으로 [[A.R.M.Y|팬덤]]이 확장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나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해외 팬덤으로 인해 데뷔 초기의 뮤직비디오들도 꾸준한 조회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K-POP 그룹 유튜브 조회수 상위권"을 다수 차지했고[* [[2019년]] 기준 조회수 누적 100억뷰 달성.], 앞으로도 계속 상위권을 장악할 것으로 보인다. [[https://youtu.be/he5zgJua5ew?t=165|관련 통계 영상]] 아래는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를 기록한 것이며, 각 '''1억뷰씩 추가될 때마다 중복되어 표기'''되었다. [[https://www.kpop-radar.com/BTS|실시간 조회수 추이 확인하기]]. [[https://youtu.be/zqXIP6p0i_I|뮤직비디오 그래프 추이 확인하기]] ---- ||<-4>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fff '''유튜브 MV 조회수'''}}} || || '''1억뷰 이상''' || 63개 || '''10억뷰 이상''' || 6개 || || '''2억뷰 이상''' || 35개 || '''11억뷰 이상''' || 6개 || || '''3억뷰 이상''' || 24개 || '''12억뷰 이상''' || 6개 || || '''4억뷰 이상''' || 20개 || '''13억뷰 이상''' || 4개 || || '''5억뷰 이상''' || 16개 || '''14억뷰 이상''' || 4개 || || '''6억뷰 이상''' || 12개 || '''15억뷰 이상''' || 3개 || || '''7억뷰 이상''' || 11개 || '''16억뷰 이상''' || 2개 || || '''8억뷰 이상''' || 8개 || '''17억뷰 이상''' || 2개 || || '''9억뷰 이상''' || 8개 || '''18억뷰 이상''' || 1개 || ==== 최초 24시간 조회수 ==== ||<-3> {{{#fff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유튜브 MV 최초 24시간 조회수 기록'''}}} || || {{{#fff '''곡명'''}}} || {{{#fff '''공식 조회수'''}}} || {{{#fff '''비공식 조회수'''}}} || ||<#f0f4fa> '''[[DNA(방탄소년단)|{{{#eda7c2 D}}}{{{#d4b1d3 N}}}{{{#9dc8ec A}}}]]''' || [[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pop/8457053/bts-fake-love-music-video-biggest-24-hour-youtube-debut-2018|'''2230만뷰''']] || [[https://twitter.com/BTSrecordbot/status/910185660421627904|'''2097만뷰''']] || ||<#141923> '''[[FAKE LOVE|{{{#f8bdbe F}}}{{{#f6b8be A}}}{{{#eea9c7 K}}}{{{#ddaed0 E}}} {{{#c7b7da L}}}{{{#b9bde0 OV}}}{{{#a1c7eb E}}}]]''' || [[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pop/8457053/bts-fake-love-music-video-biggest-24-hour-youtube-debut-2018|'''3590만뷰''']] || [[https://twitter.com/SerieTV46/status/997764309706035200|'''4096만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bd0b6, #f4a9c5, #d5b2d5, #c1bbde, #9dcaee)" '''[[IDOL(방탄소년단)|{{{#f1f4fb IDOL}}}]]'''}}} || [[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pop/8472359/bts-idol-youtube-24-hour-debut|'''4590만뷰''']]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3299276|'''5626만뷰''']] || ||<#f67599>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fff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br]{{{-3 {{{#fff (Feat. [[Halsey|{{{#fff Halsey}}}]])}}}}}}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606533|'''7460만뷰''']] || [[https://twitter.com/BTSrecordbot/status/1116993122800525312|'''7805만뷰''']] || ||<#fff> '''[[ON|{{{#006bb3 ON}}}]]'''[br]{{{-3 (Kinetic Manifesto Film : Come Prima)}}} || [[https://www.forbes.com/sites/bryanrolli/2020/02/27/btss-on-video-had-the-biggest-premiere-in-youtube-history/?sh=fbe210a77aec|'''4650만뷰''']] || [[https://twitter.com/BTSrecordbot/status/1231152129902923776|'''4324만뷰''']] || ||<#fff> '''[[ON|{{{#006bb3 ON}}}]]''' || [[https://www.jazminemedia.com/2020/03/youtube-finally-releases-on-mv-24-hour-official-view-count-responds-to-angry-fans-about-deleting-views/|'''4380만뷰''']] || [[https://twitter.com/filesjk/status/1233406737778184192|'''4420만뷰''']] || ||<#fff> '''[[Dynamite|{{{#e50048 D}}}{{{#1e99bb y}}}{{{#e16c98 n}}}{{{#73ad7b a}}}{{{#b234db m}}}{{{#f46a07 i}}}{{{#17a78e t}}}{{{#e6a000 e}}}]]'''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3334510|'''1억 110만뷰''']] || [[https://twitter.com/SerieTV46/status/1297021173667106816|'''9829만뷰''']] || ||<#fff> '''[[Life Goes On|{{{#000000 Life Goes On}}}]]''' || [[https://mb.com.ph/2020/11/25/youtube-reveals-first-24-hour-views-for-bts-life-goes-on-music-video/|'''7160만뷰''']] || [[https://twitter.com/jinginugh/status/1330013554083172355|'''6792만뷰''']] || ||<#fede02> '''[[Butter|{{{#000000 Butter}}}]]'''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52&aid=0001591564|'''1억 820만뷰''']] || [[https://twitter.com/BTSrecordbot/status/1395954450657775617|'''1억 1285만뷰''']] || ||<#ff6b01> '''[[Permission to Dance|{{{#000000 Permission to Dance}}}]]'''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753671|'''7230만뷰''']] || [[https://youtu.be/_vEg82Viw9U|'''6852만뷰''']] || === [[Spotify|스포티파이]] 재생 횟수 === [[K-POP]] 가수 중에서 최정상급의 [[Spotify|스포티파이]] 재생 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의 스포티파이 팔로워 수는 약 '''7147만명'''으로 '''[[https://chartmasters.org/spotify-most-followed-artists/|전세계 11위]]'''이며, '[[Dynamite]]'는 '''[[K-POP]] 가수 최초로 {{{#1ed760 10억회}}} 재생 횟수를 달성'''해 스포티파이로부터 공식 축전 인증을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799771|접시 모양의 상패]]로 받아 비빔밥을 먹었다. 지난 앨범 수록곡들의 스트리밍도 꾸준히 증가하는 편인데 컴백 때마다 꾸준히 국내외적으로 [[A.R.M.Y|팬덤]]이 확장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래는 각 노래의 스트리밍 추이를 기록한 것이며, 각 '''1억회씩 추가될 때마다 중복되어 표기'''되었다. 단체와 각 멤버 별 솔로곡들도 포함. [[https://kworb.net/spotify/artist/3Nrfpe0tUJi4K4DXYWgMUX_songs.html|단체]], [[https://kworb.net/spotify/artist/2auC28zjQyVTsiZKNgPRGs_songs.html|RM]], [[https://kworb.net/spotify/artist/5vV3bFXnN6D6N3Nj4xRvaV_songs.html|진]], [[https://kworb.net/spotify/artist/0ebNdVaOfp6N0oZ1guIxM8_songs.html|슈가]], [[https://kworb.net/spotify/artist/5RmQ8k4l3HZ8JoPb4mNsML_songs.html|Agust D]], [[https://kworb.net/spotify/artist/0b1sIQumIAsNbqAoIClSpy_songs.html|제이홉]], [[https://kworb.net/spotify/artist/1oSPZhvZMIrWW5I41kPkkY_songs.html|지민]], [[https://kworb.net/spotify/artist/3JsHnjpbhX4SnySpvpa9DK_songs.html|뷔]], [[https://kworb.net/spotify/artist/6HaGTQPmzraVmaVxvz6EUc_songs.html|정국]] ---- ||<-4>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70]]]] {{{#ffffff '''스포티파이 재생 횟수'''}}} || || '''1억회 이상''' || 153개 || '''10억회 이상''' || 6개 || || '''2억회 이상''' || 82개 || '''11억회 이상''' || 6개 || || '''3억회 이상''' || 38개 || '''12억회 이상''' || 3개 || || '''4억회 이상''' || 18개 || '''13억회 이상''' || 1개 || || '''5억회 이상''' || 13개 || '''14억회 이상''' || 1개 || || '''6억회 이상''' || 11개 || '''15억회 이상''' || 1개 || || '''7억회 이상''' || 8개 || '''16억회 이상''' || 1개 || || '''8억회 이상''' || 6개 || '''17억회 이상''' || 1개 || || '''9억회 이상''' || 5개 || '''18억회 이상''' || 0개 || == [[/공연 및 행사|공연 및 행사]]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팬미팅 FESTA 포함, 문서명=방탄소년단/공연 및 행사)] == [[/대중매체|대중매체]]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영화 및 방송 활동에 대한, 문서명=방탄소년단/대중매체)] === [[/대중매체#영화|영화]] === [include(틀:방탄소년단 영화)]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대중매체, 앵커=영화)] === [[/음악 방송 직캠|음악 방송 직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음악 방송 직캠)] == 게임 == [include(틀:방탄소년단 게임)] == 웹툰 == [include(틀:HYBE X 네이버 웹툰 슈퍼캐스팅 프로젝트)]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네이버 웹툰 슈퍼캐스팅 프로젝트에 대한, 문서명=7FATES: CHAKHO)]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방탄소년단 BU 세계관 네이버 웹툰에 대한, 문서명=화양연화 Pt.0 )] == 캐릭터 == [include(틀:라인프렌즈)]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네이버 라인프렌즈에서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직접 만든 캐릭터에 대한, 문서명=BT21)]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HYBE IPX에서 방탄소년단 멤버들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에 대한, 문서명=TinyTAN)] == 광고 및 홍보대사 == === [[/광고 및 캐릭터 상품|광고모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광고 및 캐릭터 상품)] === 홍보대사 === * 2017년부터 5년 연속 [[서울특별시]] 관광 [[https://sports.donga.com/economy/article/all/20210615/107443066/1|명예홍보대사]]. [[https://youtu.be/gfVqOazfQuI|어기영차 서울편]] * 2017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회변화 캠페인 '러브 마이셀프', 아동 및 청소년 폭력 근절 캠페인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790540|엔드 바이올런스]]에 참여했다. * 2020년, [[서울 E-프리]] 홍보 관련하여 [[포뮬러 E]] [[http://stoo.asiae.co.kr/article.php?aid=60659031268|글로벌 앰버서더]]가 되었다. * 2021년, [[LVMH]]사의 대표 명품 브랜드인 [[루이비통]]의 [[http://www.mark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583|글로벌 앰버서더]]로 선정되었으며, 멤버 전원이 동시에 같은 명품 브랜드의 글로벌 앰버서더가 된 경우는 전 세계 최초이다. * 2022년, 부산 [[엑스포]] 홍보대사가 되어 [[2030 엑스포]] [[부산광역시]] 유치 기원 [[http://www.knn.co.kr/260930|단독 콘서트]]를 개최했다. === 특별 사절 === * 2021년 [[UN]] 총회에 파견될 '''미래세대와 문화를 위한 [[문재인|대통령]] [[특사|특별사절]]'''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0&oid=055&aid=0000921102|임명]]되었다.[* 아이돌 밴드 최초로 특사 임명. 이 때문에 방탄소년단은 특사 활동 기간 동안 현역 연예인이 외교관여권을 들고 활동하는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 [[https://youtu.be/8VWSIoQfFWk|연설]], [[https://youtu.be/9SmQOZWNyWE|공연]]. ==# 자선 활동 #== {{{-2 ※기재된 날짜는 최초 기사가 작성된 날짜 혹은 기사 내용을 기반으로 함.}}} * 2014년 8월 22일, 방탄소년단이 [[루 게릭]] 요양 병원 건립을 위한 아이스버킷챌린지에 기부로 동참한다고 밝혔다. [[https://osen.mt.co.kr/article/G1109936552|기사]] [[https://twitter.com/BTS_twt/status/502834320566800384?s=20|SNS]] * 2017년 1월 방탄소년단과 소속사 [[빅히트 엔터테인먼트]]가 멤버들의 1000만 원씩 각출에 소속사가 보탠 3000만 원을 합한 금액 1억 원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416가족협의회에 기부했다고 한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886804|기사]] * 2017년 11월 1일,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방탄소년단과 UN 산하 국제기구 [[유니세프]]의 한국위원회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LOVEMYSELF (러브마이셀프)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알렸다. 이 캠페인은 [[유니세프]]가 [[2013년]]부터 선보인 범세계적 아동 및 청소년 폭력 근절 캠페인 #ENDviolence를 후원한다. [[https://www.unicef.or.kr/what-we-do/for-every-child/endviolence/|상세 내용 보기]] 방탄소년단과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이를 기점으로 '러브 마이셀프' 펀드를 구축, '[[LOVE YOURSELF 承 'Her'|러브]] [[LOVE YOURSELF 轉 'Tear'|유얼]][[LOVE YOURSELF 結 'Answer'|셀프]]' 시리즈 앨범 판매 순익의 3%, 캠페인 공식 굿즈 판매 순익 전액 등으로 기금을 조성한다. 또한 유니세프한국위원회에 5억원을 선 기부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캠페인을 통한 공식 누적 기부액은 33억원이다. [[https://www.mk.co.kr/star/musics/view/2019/10/872121/|기사]] * 2021년 3월 5일, 유니세프한국위원회에 따르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와 방탄소년단은 2022년까지 캠페인을 진행하도록 재협약을 맺었다. 굿즈 판매와 앨범 수익금 등 기존의 캠페인 기금과는 별도로 매년 50만 달러씩 2년간 총 100만 달러(한화 약 12억 원)를 유니세프한국위원회에 기부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05_0001360278&cID=10601&pID=10600|기사]] * 2018년 2월 [[지민]]이 폐교한 모교(회동초등학교) 후배들 모두에게 사인 CD를 선물, 졸업생 모두에게 동하복 교복비를 지원했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802201608360410|기사]] * 2018년 3월 9일,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자신의 생일에 맞춰 보육원 39곳에 방탄소년단 팬클럽 [[A.R.M.Y|ARMY]]의 이름으로 한우를 기부했다. * 2018년 6월 27일, 방탄소년단이 루게릭 요양 병원 건립을 위한 아이스버킷챌린지에 기부로 동참하며 기부 증서 사진을 게재했다. [[https://twitter.com/BTS_twt/status/1011885297410412549?s=20|SNS]] * 2018년 12월 [[제이홉]]이 인재양성 및 환아 지원을 위해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1억 5000만 원을 기부, 그린노블클럽의 146번째 멤버가 되었다. 그린노블클럽은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1억원 이상 기부한 후원자들의 모임이다. [[https://sports.donga.com/3/all/20190218/94176296/1|기사]] * 2018년 12월 4일, [[진(방탄소년단)|진]]이 자신의 생일을 맞아 동물권행동 카라와 동물자유연대 등에 유기동물을 위해서 사료 약 320kg과 밥그릇, 담요 등을 기부했다. [[https://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21&aid=0003724621|기사]] * 2019년 2월 [[제이홉]]이 자신의 생일을 맞아 [[국제고등학교(광주)|모교]]의 저소득가정 후배들을 위해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sports.donga.com/3/all/20190218/94176296/1|기사]] * 2019년 2월 [[지민]]이 부산시교육청에 저소득 학생들을 위해 교육기부금으로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mnews.joins.com/article/23433232|기사]] * 2019년 3월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자신의 생일에 방탄소년단 팬클럽 [[A.R.M.Y|ARMY]]의 이름으로 소아암 재단에 1억원과 직접 디자인에 참여한 [[BT21#s-2.7|슈키]] 인형 329개[* 팬클럽 창단일인 3월 29일을 기념한 것이다.]를 기부했다고 한다. [[https://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9279|기사]] * 2019년 5월 [[진(방탄소년단)|진]]이 전년도 5월부터 매달 일정 금액을 기부, 2019년 5월에 '유니세프 아너스클럽'의 회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고 한다. '유니세프 아너스클럽'은 전 세계 어린이를 위해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 1억원 이상 기부한 후원자들의 모임이다. [[https://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9297|기사]] * 2019년 9월 16일, [[RM]]이 자신의 생일을 맞아 청각장애 특수학교인 서울삼성학교에 음악교육을 위한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190920_0000775085|기사]] * 2019년 12월 [[제이홉]]이 환아 지원을 위해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2008180900240410|기사]] * 2020년 1월 9일, 관계자에 따르면 [[지민]]이 [[부산예술고등학교|모교]] 전학년 재학생들의 책걸상을 교체해주었다고 한다. [[https://sports.donga.com/3/all/20200209/99608418/3|기사]] * 2020년 2월 27일,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자신의 고향인 대구를 위해 전국재해구호협회에 코로나19 예방 및 피해복구를 위한 성금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news.imaeil.com/Society/2020022717125977049|기사]] * 2020년 6월 4일, 기사에 따르면 방탄소년단과 소속사 [[빅히트 뮤직|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Black Lives Matter]] 캠페인에 동참하며 관련 단체에 100만 달러(한화 약 12억원)를 기부했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3/0009898507|기사]] [[https://twitter.com/BTS_twt/status/1268422690336935943?s=20|SNS]] * 2020년 6월 23일, 기사에 따르면 방탄소년단과 소속사 [[빅히트 뮤직|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라이브 네이션 엔터테인먼트]] 주관, 전세계 라이브 콘서트 관계자를 지원하는 crew nation 캠페인에 100만 달러(한화 약 12억원)를 기부했다고 한다. [[https://hitsdailydouble.com/news&id=321980&title=BTS-&-BIG-HIT-DONATE-$1M-TO-CREW-NATION|기사]] * 2020년 7월 29일, [[지민]]이 전남미래교육재단에 학생들을 위해 장학금으로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035150|기사]] * 2020년 8월 18일, [[제이홉]]이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아동들을 돕기 위해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2008180900240410|기사]] * 2020년 9월 12일, [[RM]]이 자신의 생일을 맞아 국립현대미술관문화재단을 통해 [[국립현대미술관]]에 미술책 보급 등을 위한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009141021001|기사]] * 2021년 2월 18일, [[제이홉]]이 자신의 생일을 맞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장애아동을 위한 후원금 1억 5000만 원을 기부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57/0001550275|기사]] * 2021년 3월 9일,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자신의 생일을 맞아 대구에 위치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에 소아암 환자 치료 목적으로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3110311&t=NN|기사]] * 2021년 5월 4일, [[제이홉]]이 어린이날을 맞아 아프리카 탄자니아 아동들을 위해 써달라며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후원금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504047200004?input=1195m|기사]] * 2021년 12월 31일, [[제이홉]]이 소외계층 아동을 위해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m.news.nate.com/view/20211231n05750?sect=ent&list=rank&cate=interest|기사]] * 2022년 3월 9일,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자신의 생일을 맞아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등 산불 피해 이웃돕기 성금 1억 원을 기부했다. [[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22/03/220946/|기사]] * 2022년 8월 18일, [[제이홉]]이 수해 성금 1억원을 기부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44/0000831648|기사]] * 2022년 9월 15일, [[RM]]이 나라 밖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위해 써달라며 2년 연속 1억 원을 기부했다. [[https://v.daum.net/v/20220915090036396|기사]] * 2022년 9월 28일, [[지민]]이 [[강원도교육청]]에 거액의 후원금 전달 뒤늦게 알려졌다. [[https://v.daum.net/v/20220928000731526|기사]] * 2022년 11월 29일, 방탄소년단(RM, 진, 슈가, 제이홉, 지민, 뷔, 정국) 멤버 모두 소속사 [[빅히트 뮤직]]과 함께 'LOVE MYSELF' 캠페인을 통해 [[유니세프]]에 5년간 총 59억 원을 기부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609/0000659371|기사]] * 2023년 4월 14일, BTS [[정국(방탄소년단)|정국]], 서울대어린이병원에 10억원 기부 “아이들 건강하게 웃을 수 있길”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3041801399|기사]] == [[A.R.M.Y|팬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R.M.Y)] === [[/응원법|응원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응원법)]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논란 및 사건 사고)] == 방탄소년단에 대한 어록 == >'''세계에서 가장 인기 많은 아티스트가 서양의 아티스트가 아니라 한국어를 하는 아티스트라는 게 나에게 매우 특별하게 다가온다. 전 세계가 하나의 가족이라는 측면에서 희망적으로 생각한다. 그들을 한 사람으로 들여다보고 그들의 음악을 들어보면 자신을 찾고 내 자신이 되자는 연대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모든 면에서 내 생각과 일치한다.''' >---- >[[콜드플레이]]의 [[크리스 마틴]] [[https://youtu.be/viM_c-Fc7sc|#]] >'''우리가 겪었던 것들을 겪는 몇몇 젊은이들을 봤다. 방탄소년단, 한국 친구들! 그들을 지켜보는 걸 좋아한다.''' >---- >[[비틀즈]]의 [[폴 매카트니]]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609/0000361019|#]] >'''그들은 보통 가수가 아니다. 방탄소년단은 노래, 춤, 외모까지 모든 조건을 갖춘 친구들''' >---- >[[조용필]] [[https://www.hankyung.com/entertainment/article/2018091249884|#]] >'''이제는 너희들의 시대다.''' >---- >[[서태지]] [[https://www.sedaily.com/NewsVIew/1OKVUKZX4F|#]] >'''BTS는 놀라운 재능을 지닌 굉장한 밴드다. 여러분의 퍼포먼스를 보게 되어 너무 좋았다.''' >---- >[[X JAPAN]]의 [[Yoshiki|요시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4071638|#]] >'''방탄소년단이 참가한 SDG모먼트가 성공적으로 치러져 총회가 성공한 것과 다름없다. 내가 연설했으면 방탄소년단과 같은 그런 파급효과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 [[https://entertain.v.daum.net/v/20211001231631641|#]] >'''얼마 전에 작곡을[* [[Permission to Dance ]] ] 하나 했는데, 재능 넘치는 사람들에 의해 세계 무대에서 불려져서 정말 기쁘다.''' >---- >영국 싱어송라이터 [[에드 시런]] [[https://www.instagram.com/p/CRG2qMmBNd9/|#]] >'''BTS(방탄소년단)는 정말 기특하죠. 저번에 DADDY 활동을 할 때 음악 방송에서 몇 번 봤거든요. 리허설 할 때도 그렇고 춤추는 게 정말 애들이 뼈가 끊어지겠더라고요. 너무 열심히 하는 이쁜 기특한 후배들이고 이들의 스코어는 괄목할만하고 앞으로도 좀 더 갈 것 같더라고요.''' >---- >[[싸이]], [[4X2=8|8집]] 발매 기자회견에서 [[https://youtu.be/nR5r1oY0oD0|#]] >'''BTS(방탄소년단) 영향력은 저의 3000배가 넘는다.''' >---- >영화 감독 [[봉준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14410|#]] >'''나에게 가장 자극되는 후배는 바로 방탄소년단이다. 그 친구들이 글로벌하게 사랑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특히 우리말 가사로 세계에 진출했는데 미국 사람들이 환호하지 않냐. 거기서 배울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기도 한다.''' >---- >[[이문세]] [[http://pickcon.co.kr/site/data/html_dir/2017/12/21/2017122101189.html|#]] >'''당신들이 그들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든 저는 상관하지 않아요. 이해를 못하든 상관없고 본인 의견은 누구나 있는 거니까. 하지만 방탄소년단이 인간으로서 보여주는 행동들과 세상에 던지는 메시지들은 특별합니다.''' >---- >WWE 슈퍼 스타 [[존 시나]] [[https://youtu.be/eRZs8gmFhT4|#]] >'''방탄소년단은 놀라운 재능과 헌신으로 정상에 올랐다. 방탄소년단의 노래 뒤에는 자신감에 대한 긍정의 메시지가 담겨 있으며 음악 산업에도 돌풍을 일으켰다.''' >---- >[[할시]], TIME100 선정 추천사 [[https://www.altpress.com/halsey-bts-time-most-influential-people-tribute/|#]] >'''태어나 처음으로 한국어로 불러본다. 노래가 어떤 언어로 되어 있든 아름답다고 느낀다면 그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진정으로 아름다운 곡은 언어에 구애받지 않는다.''' >---- >[[보이즈 투 맨]]의 숀 스톡맨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3024223|#]] >'''솔직히 나는 그들이 무언가를 위해 연습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내가 여태까지 본 것 중 가장 놀라운 것이었다. 농담이 아니다. 난 비명을 질렀다.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걸 멈출 수 없었다.''' >---- >[[아리아나 그란데]] [[https://www.soompi.com/article/1379821wpp/ariana-grande-shares-her-reaction-to-watching-bts-rehearse-i-was-screaming|#]] >'''역사를 만들 줄 아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방탄소년단이다. 이 K-POP 밴드는 글로벌 음악 산업 전반에 걸쳐 신기록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 >[[저스틴 비버]] [[https://www.yna.co.kr/view/AKR20200909002900075|#]] >'''인터내셔널 슈퍼스타라는 말로도 부족한 밴드다.''' >---- >[[체인스모커스]], AMAs에서 방탄소년단을 소개하며 [[https://metro.co.uk/2019/05/30/the-chainsmokers-praise-bts-passion-for-music-and-reveal-hopes-to-work-with-blackpink-9749723/|#]] >'''방탄소년단이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콘서트를 연 일을 기억한다.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뻗어나간 K-POP은 매우 창의적이고 독특한 소리를 낸다.''' >---- >[[U2]]의 애덤 클레이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254068?sid=103|#]] >'''방탄소년단은 단순히 차트 성적이 가장 좋았던 K-POP 밴드가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밴드가 됐다. 2020년 여러 앨범을 냈고, 모든 종류의 기록을 깼고, 즉흥 라이브 스트리밍에 등장하면서 팝스타 반열의 정점에 올라섰다.''' >---- >[[TIME]], 올해의 엔터테이너를 선정하며 [[https://time.com/entertainer-of-the-year-2020-bts/|#]] >'''가장 눈에 띄는 후배는 방탄소년단이다. 제일 먼저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워낙 잘하기 때문에.''' >'''저도 역시 방탄소년단이다. 방탄소년단이 무대 위에서 무대를 집어삼키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열정이 돋보인다.''' >---- >[[동방신기]]의 [[최강창민]], [[유노윤호]] >'''제가 평생 본 사람들 중에 가장 아름다운 남성분들인 것 같아요.''' >---- >[[숀 멘데스]] [[https://www.justjaredjr.com/2017/12/16/shawn-mendes-calls-bts-the-most-beautiful-guys-ive-ever-seen-in-my-life/|#]] >'''당신들한테 감사하다.''' >----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2022년 백악관 초청 자리에서 BTS에게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045287.html|#]] >'''BTS가 저보다 먼저 백악관을 방문했을지 몰라도, 의회 의사당은 제가 먼저 왔습니다.''' >---- >-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 2023년 [[미국 의회]] 연설 중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63221|#]] == [[/관련 장소|관련 장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관련 장소)] == [[/여담|여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방탄소년단/여담)] [[분류:방탄소년단]]